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심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김경선,오오현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공감이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하고 그 과정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연구 설문에 동의한 전라남도 지역2개 도시 10개 학교의 중·고등학 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39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test와 ANOVA, Scheffe, Cronbach’α,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기분석과 sobel 검증으로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은 공감적 정서반응, 관점수용, 정서지각 순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경우 정서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 으로 정서표현, 정서조절, 정서활용, 감정이입 순으로 나타났다.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심의 경우는 하위요인에서 타인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회적 자기관심, 공동 체관심, 영성관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관심에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은 정서지능 이었다. 그 다음으로 중·고등학생이 지각된 아버지 공감-공감적 정서반응과 지각된 전체 아버지 공감, 지각된 아버지 공감-정서지각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중·고등학생이 지각된 어머니 공감-공감적 정서반응과 지각된 어머니 공감-정서 지각, 지각된 전체 어머니 공감, 지각된 아버지 공감-관점수용, 지각된 어머니 공감- 관점수용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 공감-관점수용과 사회 적 관심에서 정서지능, 지각된 아버지 공감-관점수용과 사회적 관심에서 정서지능이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 공감-정 서지각, 지각된 아버지 공감-공감적 정서반응, 지각된 전체 아버지 공감과 사회적 관 심에서 정서지능, 지각된 어머니 공감-정서지각, 지각된 어머니 공감-공감적 정서반 응, 지각된 전체 어머니 공감과 사회적 관심에서 정서지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1) 본 연구를 통하여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이 정서지능 및 중·고등학생 의 사회적 관심에 있어서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 했다. 또한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 모 공감과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심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 역할을 검증함으로 써 정서지능의 중요성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후속연 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중·고등학생들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 녀에 대한 부모의 정서 지각과 공감적 반응이 중요한데 지금까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정서조절 훈련이나 자녀에 대한 공감능력을 높이기 위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이 적었 기 때문에 관련 교육과 프로그램이 확장되어야 하겠다. In this study, it is to check how parental empathy perceiv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ffec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ocial interest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process. To this end,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1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wo cities in Jeollanam-do, who agreed to the research survey, and the final 393 students were collected. The data analysis used SPSS 21.0, and the intermediate effects were recogni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ANOVA, Scheffe, Cronbach'α, correlation analysis, mid-term analysis, and sobel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arents' empathy, whic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late for, was in the order of empathic emotional response, perspective acceptance, and emotional percep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was followed by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control, emotional utilization, and empathy. In the ca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ocial interests, other people's interests were the highest in the lower factors, followed by social self-interest, community interest, and spiritual interest. Second, it was emotional intelligence tha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social interest. Nex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empathy for their late fathers, empathy for their entire fathers, and empathy for their late fathers. In addit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hown to be perceived mother empathy-sympathetic emotional response, perceived mother empathy-sentence perception, perceived mother empathy, perceived father empathy-perspective acceptance, and perceived mother empathy-perspective acceptance.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has been shown to have full mediating effects in mother empathy-perspective acceptance and social interest, father empathy-perspective acceptance and social interest, whic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late for. On the other h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late father's empathy-perception, perceived father's empathy-perception, perceived mother's empathy-perception, perceived mother's empathy and social interes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athy of parents who were late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intere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reveal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by verifying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pathy and social intere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ubsequent research sugges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intere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emotional perception and empathy for their children are important, and related education and programs should be expanded because there has been less emotional control training for parents and counseling and educational approaches to improve their empathy.

      • KCI등재

        중·고등학생을 위한 진로메타인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태승,이동혁,고윤경,서희주,김혜윤,천재운 한국진로교육학회 2023 진로교육연구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을 위한 진로메타인지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진로메타인지의 구성개념에 근거하여 예비문항 60개를 구성 후 전문가 내용타당도를 총 3명(박사 3명)에게 검증하였다. 이후 중·고등학생 3명에게 안면타당도를 검증하고 반영하여 수정된 문항으로 중·고등학생 400명씩 2회에 걸쳐 총 800명에게 문항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는 400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60문항에서 20문항을 추출하였다. 이후 2차 조사는 중·고등학생 400명에게 실시하여 최종 18문항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항의 타당화를 위하여 중·고등학생 2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타당화 도구로는 메타인지 척도(State Metacognition Inventory; SMI), 진로개발역량검사 중 진로설계역량 척도를 활용하였다. 타당화를 위해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중·고등학생 진로메타인지 척도가 안정적인 요인구조와 신뢰도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고등학생을 위한 진로메타인지 척도의 전체적인 모형 적합도는 Bartlett 구형성 검증 χ2 = 1422.025(df=153, p<.000) CFI는 .941, TLI는 .930으로 상대적 적합도 지수에서 현실적으로 적합함이 검증되었다. 절대적 적합도 지수 RMSEA는 .058로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또한 Cronbach’s α는 계획 .82, 평가 .85, 조절 .79, 모니터링 .90으로 모든 요인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문항의 Cronbach’s α는 .89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대학생 진로메타인지 척도의 구성개념이 중·고등학생에게도 유사하게 적용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고등학생용 진로메타인지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추후 진로메타인지 척도를 활용한 다양한 진로 분야의 연구 영역을 확장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등학생용 진로메타인지 척도 개발 및 타당화의 의의와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develops and validates a career metacognition scale for middle·highschool stundents. For this purpose, 60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concept of career metacognition, an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a total of 3 experts (3 doctors). Afterwards, face validity was verified and reflected on thre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 preliminary survey to select question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800 students twice, with 4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ach, using the revised questions. Data from 400 people in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were analyzed and 20 questions were extracted from 60 questions. Afterwards, a second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4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final 18 questions were selected. To validate the final selected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n 2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validation tools, the State Metacognition Inventory (SMI) and the career design competency scale from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est were used. Validation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youth career metacognition scale had a stable factor structure and reliability. The overall model fit of the career metacognitive scale for middle·highschool stundents was Bartlett test of sphericity χ2 = 1422.025 (df=153, p<.000), CFI was .941, and TLI was .930, which was verified as realistic fit based on the relative fit index. The absolute fit index RMSEA was .058, showing good fit. In addition, Cronbach’s α was found to be good for all factors, with planning at .82, evaluation at .85, control at .79, and monitoring at .90, and Cronbach’s α for all questions was found to be .89.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the college student career metacognition scale verified in previous studies was similarly applied to middle·highschool stundents, especiall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a career metacognition scale for middle·highschool stundents was developed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onfirmed, which is significant in expanding the scope of future research in various career fields using the career metacognition scal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a career metacognition scale for middle·highschool stundents were discussed.

      • 대전지역 초·중·고등학교의 학교급식 실태 및 만족도 비교

        구난숙,왕수경,임영희,윤은영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1 自然科學 Vol.12 No.1

        대전지역 급식학교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급식 실태와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92.8%가 피급식자였으나, 학교급식의 선호자는 9.2%뿐 이었다. 35.1%는 식당에서, 64.9%는 교실에서 음식을 먹었고, 40.6%가 전학년이 동시에 급식을 받는다고 하였다. 학교급식의 선호이유로 초등학생은 ‘다양한 식품섭취’(44.0%)를, 중·고등학생은 ‘도시락 지참 불필요’(59.0%)를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p〈0.001). 학교급식물 선호하지 않는 이유로 초등학생은 ‘반찬이 맛없음’(26.9%)과 ‘싫어하는 음식이 많음’(20.5%)과 ‘먹는 장소가 지저분함’(13.5%)을 지적하였다(p〈0.001). 초·중·고등학생이 공통적으로 좋아하는 음식은 쌀밥, 배추김치, 튀김이고, 보리밥, 콩밥, 깍두기에 대한 선호도는 초등학생보다 중·고등학생이 높았다(p〈0.001). 초등학생은 미역국을 중·고등학생은 쇠고기국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초·중·고등학생들은 나물류와 국을 가장 많이 남기며, 특히 초등학생은 국을, 중·고등학생은 김치를 더 많이 남기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1). 급식음식의 양, 식당의 위생상태, 급식비에 대한 만족도는 중·고등학생이 초등학생보다 낮았다(p〈0.001). 조사대상자의 34.5%가 이물질이 있는 음식을 먹어 본 경험이 있었고, 상한 음식에 대한 경험은 초등학생들이 더 많았다. The aspects and satisfaction on school lunch program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basis- information for better foodservice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by~questionnaire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Daejon, and data were analyzed by SAS. Although 92.8% of subject were under foodservice, only 9.2% of them preferred the foods served in school. The subjects took foods in their classroorn(64.9%) or dining ha11135.1%), 40.6% of them had chance to eat foods at the same time. The most favorite reason for foodservice was indicated as variety of foods(44.0%)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no need on lunch bag(59.0%)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p<0.001). The most unfavorite reason for foodservice was indicated as bad taste of focds(26.9%) or many disliked foods(20.5%1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many disliked foods(28.0%) or dirty eating place(13.5%)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p<0.001). The subject liked ssalbap, baechu kimchi, fried foods. The acceptance about boribap, kongbap, kkakduki was highe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p<0.001). The preference of mieokkuk was highe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amount of leftover was the most from namul and soup. The main leftover was soup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kimchi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lower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bout the amount of foods, sanitary condition of eating place, and food fee(p<0.001). 34.5% of them had taken the unwanted materials in foods and more elementary school children had experienced the deteriorated foods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food preference of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in meal planning and various cooking method should be utilized to enhance taste of foods for better foodservice. Also, the importance of various foods intake must be periodically and continuously taught to them through nutrition education.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 및 진로교육 경험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와의 관계

        최윤정(崔允禎),김지은(金智恩)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발달이론과 관련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중요한 발달과업인 진로와 학업과의 연계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진로발달 관련 내외적 변인들을 학생 개인과 개인이 속한 학교 수준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2010년과 2011년에 시행한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진로발달 관련 변인과 진로교육 경험 및 학교 수준에서 제공되는 진로지도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태도를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 추론하기 위해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발달 관련 변인인 자아개념, 진로성숙도가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태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인식한 진로지도 교육 경험과 자기주도 학습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중학교 1학년 때에는 학교 및 학과 안내, 진로검사, 직업체험이 그리고 중학교 2학년에서는 진로강연과 직업체험이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1학년에서는 진로검사, 학교 및 학과 안내, 교과를 통한 진로지도가 그리고 고등학교 2학년에서는 진로강연, 학교 및 학과 안내, 교과를 통한 진로지도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관계를 나타낸 반면, 고등학교 1학년에서 진로상담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부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생들이 속해 있는 학교의 특성이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중학교에서는 직업체험활동(1차년도만)이,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1, 2차년도 모두 자율학교 및 특목고 여부가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태도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등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 실제 및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n aim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er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in 2010 and 2011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udents’ career education experience, various career development variables and career education provided by school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pplying Multileve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conception, career maturity were giving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Second, the student’s career education experience had exhibited differen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ers. Three experiences during the first year in middle school, guidance about school and major, tests for career and job experience, and two experiences during the second year, lectures on career and job experienc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 high school, while tests for career, guidance about school and major and career guidance in school curriculum were positive in the first year, the experience of career counseling in the second year were identified the negative relation to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Third, among the school characteristics variables, the supply of job experiences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to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 middle school, and autonomous high school and special high school also showed positive rel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career education and related research in middle and high school were discussed.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 분석 방법을 활용한 중·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 예측모형 비교 연구: 개인-환경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임소현,이영광,이승엽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6

        The study aimed to select person-environment, person-family and person-school interaction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enior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career identity of students by identifying prior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environmental interaction variable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eniors was the way of raising affection from their parents, while the variable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career identity of high school seniors was peer affection. Second, person-family interaction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eniors were in the order of affection and supervision parenting style, and in the case of high school seniors, supervision and love parenting style were followed. Third, person-school interaction variables that affect the career identity of middle school seniors was teacher relationship, and in the case of high school seniors was peer attach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환경, 개인-가정 및 개인-학교 상호작용 변인을 선정하고,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중·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KCYPS 자료 중 초4 패널과 중1 패널의 6차년도 자료에서 중학교 3학년 학생 1,788명과 고등학교 3학년 학생 1,655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SPSS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의사결정나무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의 진로정체성 수준에 따른 집단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개인-환경 상호작용 분석 결과,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개인-환경 작용 변인은 애정 양육방식이었고,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은 또래애착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가정 상호작용 분석 결과,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은 애정 양육방식, 감독 양육방식 순이었고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경우, 감독 양육방식, 애정 양육방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학교 상호작용 분석 결과,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진로정체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개인-학교 상호작용 변인은 교사관계였고,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경우, 또래애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진로정체성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광주지역 중 · 고등학생의 급식만족도 조사

        이신경(Shin Kyung Lee),이현정(Hyun Jung Lee),최차란(Cha Ran Choi)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10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10 No.-

        본 연구에서는 중 · 고등학교 급식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광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9개교의 중 · 고등학생 640명을 대상으로 급식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급식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보통 이상이 73.2%이었고, 남학생의 경우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만족 이상이 37.5%가 많았으며 여학생은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15.9% 더 높게 나왔다. 학교급식에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먹고 싶은 것을 마음대로 먹을 수 없어서가 28.4%, 양이 너무 많아서가 21.2%, 잔반을 남기지 말도록 강요하기 때문 15.9%, 맛이 없어서가 15.6%를 차지했으며, 남학생은 중학생의 경우 잔반을 남기지 말도록 강요하는 것에 대한 불만족이 30.7%, 고등학생은 맛이 없다가 41.4%, 먹고 싶은대로 먹지 못해서가 37.%로 높게 차지했고,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위생 상태에 대한 불만족이 중학생은 23.6%, 고등학생은 30.2%로 높았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의 여가활동에 대한 인식

        김혜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의 여가활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여가활용 교육을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경남 지역의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체장애를 가진 중·고등학생 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 첫째,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은 여가활동에 대한 필요도나 참여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나, 여가활동에 대한 정보 부족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은 여가활동에 대해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나, 여가활동을 위한 시설이나 교통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중·고등학교 지체장애학생의 여가활용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leisure time to pose an effective way for leisur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Method: Survey was employed with 62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and classes from Busan-Gyeongnam district. Results: Although the needs and willingnes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leisure time was highly ranked they felt difficulties due to the information shortag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ere satisfied with leisure activity. On the other hand, they had negative a negative perception on both transportation system and leisure facilities. Conclusion: The author argued about efficient alternatives in leisure education for physical disability students.

      • KCI등재

        중·고등학생용 창의융합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정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의 창의융합역량에 대한 구성요인을 검증하고 통합적 관점에서 중등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융합역량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기반으로 중고등학생의 창의융합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한 후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 지역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고등학생이었다. 설문조사 결과로 수집된 데이터는 통계처리를 위해 SPSS WIN 25.0 및 AMOS WIN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표본의 적합성 여부는 KMO로 확인하였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992명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KMO의 표본 적절성 수치를 살펴보면서 표본의 상관행렬 크기가 요인분석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Bartlett의 구형성 검증결과 스크리 도표를 고려하여 요인구조를 분석하고, 주성분 분석 및 배리맥스(varimax)를 이용한 직교회전방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서 1,552명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를 기반하여 최대우도법과 자료의 결측값 추정을 위해 FIML(full-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을 활용하였고, CFI=.969, TLI=.963, IFI=.969, NFI=.958, RMSEA=.041 값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중∙고등학생용 창의융합역량 검사도구는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창의적리더십, 융합적 사고, 융합적 가치 창출이라는 5개의 요인별 각 4개의 문항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도구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인된 검사로 개발 및 타당화되었다. 이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중∙고등학교뿐만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청소년을 위한 평생교육에 이르기까지 창의융합인재 양성 목적의 검사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components of the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test that can be used in secondary educat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o this end, the concept of creativity convergence competenc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def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fter deriving the components, various experts checked the content validity.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Gangwon-do, Gyeongsang-do, Jeolla-do, and Jeju. The collected data were SPSS Win 25.0 and AMOS Win 22.0 programs, and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KMO checked the suitability of the sample, and the Bartlett sphericity test was conduc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hecked whether the size of the correlation matrix of the sample was suitable for factor analysis by examining the sample adequacy value of KMO (Kaiser-Meyer-Olkin) using the data of 992 students. The factor structure was analyzed considering Bartlett's sphericity verification and scree plot. The orthogonal rotation metho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varimax was implement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aximum likelihood estimates were used based on data from 1,552 students, and FIML (full-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was used to estimate missing values in the data. CFI=.969, TLI=.963, IFI=.969, NFI=.958, RMSEA=.041, were confirmed. The final confirmed test was derived with four questions for each factor: creative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leadership, convergent thinking, and convergent value creation. The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and validated, an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onfirm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be used as a test tool to nurture creativity convergence talent, not only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for youth education through school and community connections.

      • KCI등재

        중ㆍ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습관여와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의 관계

        김종운,최미숙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8 middle school students and 220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ity of Busa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al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suggested by Baron & Kenny(1986)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the mediation effect of validation from others among maladaptive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s are analyzed by SPSS win 18.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in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had a static correlation. Also, learning motivation verified that they play a role of mediation variance in the process of predicting how effective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of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above study,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have the relationship with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learning strategies have effects of motivation for learning. The results provide the theoretical and experiential basis which is applied to real educational scene and adolescents learning and counsel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습관여가 학습전략 및 학습동기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학습동기가 부모학습관여와 학습전략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증해 봄으로써 중․고등학생 자녀의 효과적인 학습전략 사용을 돕고 학습상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부산시에 소재한 A, B 고등학교와 C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ㆍ고등학생 31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부모학습관여검사, 학습전략검사, 학습동기검사를 사용하여 각 변인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학습동기가 부모학습관여와 학습전략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 방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중ㆍ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습관여, 학습동기, 학습전략 간에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중ㆍ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습관여와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의 각 하위변인 중 가장 상관이 높은 학습선택권부여가 메타인지전략에 미치는 영향에서 본질동기가 매개하는지 살펴본 결과, 본질동기는 부와 모 모두 학습선택권부여와 메타인지전략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ㆍ고등학생이 효율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함에 있어 학습동기가 중요한 요소이며 여기에 부모-자녀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의 경험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 광주지역 중 · 고등학생의 식습관 조사

        이신경(Shin Kyung Lee),최차란(Cha Ran Choi),이현정(Hyun Jung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08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8 No.-

        본 연구에서는 중 · 고등학생의 식습관을 조사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욕구충족 및 학교급식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광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9개교의 중 · 고등학생 6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하루 세 끼 중 아침 결식이 73.6%로 나타났고, 음식을 먹을 때 중점을 두는 것온 맛있는 음식을 먹으려 함이 44.9%, 골고루 먹으려고 함이 25.8%이었다. 자신의 식습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가족이 65.6%, 자신의 식습관 중에 개선해야 할 점은 편식이 37.6%, 불규칙한 식사시간 21.8%로 나타났다. 간식의 횟수에 대해서 살펴보면 중학생은 고등학생에 비해 10.4%가 간식을 거 의 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식의 횟수도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소요시간의 경우 10 ∼ 20분 이내가 57.9%이었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10분 이내로 식사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고풍학생이 중학생보다 육류나 자극성 음식 섭취정도가 더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