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國語 主格의 形成과 相

        오충연 국어국문학회 2024 국어국문학 Vol.- No.207

        이 연구에서는 의미역이 없는 주어가 부가됨으로써 이중주어문이 된 경우, 대격 또는 처격 기저의 논항이 주격을 취하면서 이중주어문이 된 경우, 본래 대격으로 표시될 논항이 주격을 취하고 주격이어야 할 논항이 대격으로 표시되어 교환된 경우 등 비전형적인 주격으로 표시된 주어들은 행위주나 동적 대상이 아니며 그 서술짝은 정태적인 상이어야 함을 밝혔다. 주어는 문장 전체의 상과 일치해야 하는데, 그러한 점에서 상의 구성과 주어의 결속체계는 이들 비전형적인 주격과 전형적인 주격이 다르지 않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위해서, 상의 복합체계와 관계화 검증 등을 통해서 국어의 문장에서 주격을 인증하는 문법양식이 상임을 논증하였다. 따라서 비전형적인 주어가, 상으로 제어되지도 않고 주격을 취할 수도 없는 화제어와는 구분됨을 제기하였다. 이전의 연구들에서 비전형적인 주격들을 특수한 것이거나 주격이 아닌 형태 및 통사론적 장치로 취급하여 전형적인 주격과 다른 범주로 묶음으로써, 주격이 일관적이지 못한 설명 방식으로 취급되어 왔다는 점과 대비해 볼 때, 본 연구는 상구(AspP)를 설정함으로써 한국어의 주격이 인증되는 일원적인 체계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In this study, it was argued that the grammaticality of Korean nominatives, which have been treated as atypical in existing studies, is certified 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s as typical nominatives. Here, the atypical nominative case refers to cases where a subject without a semantic role is added to create a double subject sentence, when an argument based on an accusative or accusative case takes the nominative case and becomes a double subject sentence, or when an argument that was originally supposed to be in the accusative case takes the nominative case, etc. In the case of these atypical nominative cases, the subject is not an agent or a dynamic theme, so the entire sentence has a static aspect. Since the subject coincides with the aspect of the sentence, the binding system between this aspect and the subject is the same for typical and atypical nominative cases. For this discussion, the grammatical form that certifies the nominative case in Korean sentences through relative clause verification was assumed through existing research, and topic words and topics that cannot take the nominative case were examined in that the so-called atypical nominative case is subject to upper limit restrictions. suggested a distinction.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that treated the nominative case in an inconsistent manner by treating atypical nominatives as special or non-nominative morphological or non-syntactic devices and grouping them into a different category from the typical nominative cas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unified system for authenticating the nominative case in Korean by establishing the Phrase of Asp.

      • 러시아어 통ㆍ 번역을 전제한 한국어의 주격조사 ‘이/가’의 기능과 의미에 대한 연구

        김성완(Kim, Sung-Wa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1

        각 언어에서 단어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방법은 다양한데, 이 글의 대상 언어인 한국어에서는 조사가, 러시아어에서는 굴절이 그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조사 중에서 주격조사 ‘이/가’가 러시아어의 주격조사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고, 분석하여 한국어와 러시아어 간의 통․번역에 응용할 수 있는 규칙을 설정하고자 한다.명사와 결합하여 문장 내에서 다른 단어와의 관계를 표시한다는 점에서 한국어 조사와 러시아어 격어미는 비슷하지만 격어미가 자 립성이 없이 명사의 어미변화에 의해 명사 뒤에서 격이나 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데 반하여, 조사는 문법적 의미만을 실현하는 것이 아니라, 어휘적 의미를 실현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한국어에서 조사는 크게 2가지로 인식되어져 왔으며, 격조사는 문장에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는 조사로, 보조사는 어휘적 기능을 수행하는 조사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모든 조사는 문법성과 어휘성을 다 같이 가진다는 시각이 대두되고 있다. 소고는 들어가는 말, 주격조사의 생략과 실현, 주격중출문, 맺는말로 이루어져있다. 다른 격조사에 비해 어휘적 관념보다는 문법적 관념이 훨씬 우세한 주격조사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주격조사에 대해서 많은 학자들이 의미를 갖는다고 하였는데, ‘배타적 대립’, ‘선택적 지정’ 등의 의미로 파악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이/가’는 선행하는 명사구를 주어로 만들어 주는 주격조사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고 알려져 왔으나, 이처럼 다양한 특성으로 파악이 될 수도 있는 만큼 어느 한 측면에 치중한다면 전체적인 특성을 파악하지 못하는 우를 범할 수 있다. 실제적인 담화의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국어의 발화에서는 주격이 실현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으며, 이 경우에 주격조사의 생략이 러시아어로의 번역에 있어서 어떠한 간섭도 일으키지 않는다. 국어 문장에서 격조사가 사용되면 그 격조사는 특정한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국어 문장의 격조사가 경우에 따라서 생략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화자의 의도에 따라 첨가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어 문형상의 특징 중의 하나는 주격중출문2)인데, 이 경우에 조사 ‘이/가’는 주격조사의 기능보다는 의미상의 지정과 강조의 기능을 하고 있다. 주격으로 쓰이지 않는 조사 ‘이/가’는 담화 상에서 초점이 배타적일 때, 절대성 부여, 강조 등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수 있으며, 주격조사의 위치가 아닌 곳에서 쓰이는 ‘이/가’는 격조사가 아니며, 특수한 의미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어 주격조사 ‘이/가’의 기능과 의미에 대한 분석은 러시아어 를 한국어로, 한국어를 러시아어로 통․번역할 때에 좀 더 정확한 의미의 분석이 가능하게 한다. 문장이 국어 어순에 맞지 않을 경우와 문장구조가 복잡하여 격의 혼동을 일으킬 수 있을 때에는 조사 ‘이/가’가 실현되어 격기능을 하지만 국어 문장의 어순에 합당한 경우에는 격기능만을 하는 조사 ‘이/가’는 일반적으로 생략된다. 문맥에서 조사 ‘이/가’가 실현되어 어떠한 의미기능을 한다면 이는 러시아어로 통․번역이 될 때에도 어휘적 첨가나 의미강세의 모습으로 나타 나야 하며, 러시아어를 한국어로 통․번역할 경우에도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The study has the purpose to analyze how the proposition of Korean language, ‘이/가’, is realized in Russian language, which is an inflected language, and provide Russia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ith actual assistance. From the aspect that it expresses the relationship with other words in sentence by combining with a noun, proposition of Korean language is similar to the declensional ending of Russian language. Although the declensional ending of a word has the role to express a case in the end of noun by the change of the noun's ending without independence, however, the proposition of Korean language is more independent. Generally, the proposition is recognized as two kinds. Among them, it has been regarded that declensional proposition is the one performing the grammar function in the sentence and supplementary proposition is the one performing vocabulary function. In recent year, however, the viewpoint that all propositions have grammar and vocabulary functions at the same time is appearing. Note is composed of suggestion of issue, omission and realization of subjective proposition, 주격중출문, and conclusion.A lot of scholars have given much meaning to the subjective proposit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they have understood it as the meanings such as ‘exclusive confronting’ and ‘optional appointment’. Generally, it was known that ‘이/가’ plays the role of subjective preposition making precedent noun phrase as the subjective. Because it can be understood as various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apt to mistake that we do not understand whole characteristic when we attach to certain one aspect. In many cases, th subjective is not realized in pronunciation of Korean language performed in practical conversation. In this case, the ommission of subjective preposition does not give any intervention to the translation to Russian language. When preposition is used in Korean sentence, the preposition will be in charge of a special function. It means that the preposition of Korean sentence is added according to speaker's intention rather than it is omit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ne characteristic of Korean language is 주격중출문. In this case, the preposition, ‘이/가’, operates as an appointment and emphasis of meaning rather than as a subjective preposition. The preposition, ‘이/가’, which is not used as the subjective, has the meaning of grant of absoluteness and emphasis when its focus is exclusive in conversation. The preposition, ‘이/ 가’, which is used in the place that is not the position of subjective preposition, is not declensional proposition and has special meaning function. Analysis o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Korean language preposition, ‘이/ 가’, is more accurate when translating or interpreting from Russian language to Korean language and vice versa. When the sentence is not same as the word order of Korean language and it gives confusion because of the complex sentence structure, the preposition, ‘이/가’, is realized and has the declensional function but it is generally omitted when it is proper for the word order of Korean language. If the preposition, ‘이/가’, is realized in the sentence and has a certain function, it shall appear as the figure of addition of vocabulary or emphasis of meaning when translating or interpreting to Russian language and it requires more careful attention when translating or interpreting to Korean language.

      • KCI등재

        국어학 : 고대국어 주격조사 형태와 그 음운론적 해석 -향가를 토대로 중세국어와 연계하여-

        박종덕 ( Jong Deok Park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7

        이 글에서는 인접하여 경계하고 있는 두 시기의 언어 현상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리라는 전제 아래, 고대국어 주격조사의 실현 양상을 중세국어의 것과 결부하여, 음운론적인 시각에서 논의하였다. 고대국어의 실체를 재구해내는 일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그 난점 중의 하나가 바로 자료의 해독 문제로서, 고대국어를 반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모든 자료를 한꺼번에 낱낱이 다루어 해독하는 일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고대국어를 재구할 수 있는 주 자료인 향가를 대상으로 고대국어의 주격조사 실현 양태를 밝혔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대국어 주격조사 형태: ㅣ(伊, 是) ○고대국어 주격조사 실현 조건: ·ㅣ(是, 伊)/C―·ㅣ(伊)/V― ○고대국어 주격조사 실현 정도: 수의적, 주격조사 미분화형 공존 이에서 보듯이, 고대국어 주격조사 실현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세국어에서 어떠한 환경에서도 반드시 실현되는 ㅣ주격조사가 고대국어에서는 수의적으로 실현된다. 둘째, 중세국어에 존재하는 ``ㅣ라셔, ㅣ셔, 겨셔`` 등과 같은 주격조사가 고대국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셋째, 고대국어 주격형에는 중세국어에서 발견되지 않는 유형인 ``체언+조사`` 미분화형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고대국어 시기에는 중세국어 시기에 비해 주격조사 표기형에 대한 의식이 뚜렷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고대국어에서 보이는 ㅣ주격조사는 중세국어 ㅣ주격조사 발달의 동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writing, on the premise that language phenomena are intimate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earlier times and later ones, I have examined the realized aspects of the Nominative case in Ancient Korean in relation to those in Middle Korean. Particularly, in this writing, from a phonological perspective I have translated the process of the realization of nominative case in Middle and Ancient Korean. It is not easy one to reconstitute the facts of Ancient Korean. One of the challenges is to decipher Ancient Korean, which is a realistic difficulty, meaning deciphering in detail at a time all the data presumed to include Ancient Korean. In this writing, therefore, I have examined the realized aspects of nominative case in Ancient Korean regarding only Hyang-Ga which could be the main material to reconstitute Ancient Korean. The study shows as follows. First, "ㅣ" of the Nominative was used in Ancient Korean as in Middle Korean. Second, while "ㅣ" of the Nominative was surely realized in Middle Korean under any circumstances, it was not in Ancient Korean. It was common in Ancient Korean for "ㅣ" of the Nominative not to be realized even when it should be. Third, The list of nominative case is fewer in Ancient Korean than in Middle Korean. ``irasyeo(ㅣ라셔), isyeo(ㅣ셔), gyesyeo(겨셔)``, etc, which were realized in 16th century, were not to be seen in the list of nominative case in Ancient Korean. In conclusion, the closer to Middle Korean it got, the more strictly nominative case was used. In contrast, nominative case was not still realized more often in Ancient Korean. It seems that the Nominative "ㅣ" in Middle Korean might have developed in the foundation of Ancient Korean.

      • 속격에서 주격으로

        박진호 한국언어유형론학회 2016 언어유형론연구 Vol.3 No.1

        일본어와 한국어는 주격-대격 정렬을 보이면서도 주격이 유표지인 특이한 모습을 보인다. 일본어의 경우 본래 속격이었던 '-ga'가 주격으로 재분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비슷한 추론을 한국어에 대해서도 할 수 있다. '-이'가 속격으로 사용된 예가 소수이지만 발견되는데, '-이'가 본래 속격이었다가 주어적 속격 구문을 교량문맥으로 하여 주격으로 재분석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신라어, 고려어에서 동명사 어미로 끝나는 절이 관형절, 명사절뿐 아니라 주절, 접속절에도 폭넓게 사용되었으므 로, 주어적 속격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이것이 주격으로 재분석되 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Japanese and Korean are untypical in that the nominative case is not zero in spite that their case alignments are of nominative-accusative type. It is well-known that the nominative marker in Japanese arose from the former genitive marker. The same scenario can be applied to Korean also. We can see a few examples in which '-i' is used as a genitive marker in Middle Korean.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i' which was originally a gentivie marker, was reanalysed as a nominative marker through the brige context of gentivie subject constructions. In ancient Korean, the verbal noun endings were used as the marker of adnominal and nominal clauses as well as subordinate and even main clauses, and in these constructions, which were in essence nominalized clauses, the subject could be marked with a genitive case. I suspect that this genitive was reanalysed as nominative.

      • 러시아어 무동사문 연구

        어건주(Eo Keon Joo)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2

        러시아어에는 동사가 존재하지 않는 다양한 유형의 문장들이 존재한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그러한 문장들을 동사가 존재하는 문장들과의 단순한 비교를 통하여 불완전문이나 생략문으로 간주하였다. 그와 같은 불완전문 또는 생략문이라는 표현 속에는, 문장 내부에는 동사가 당연히 존재하여야 한다는 생각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한 생각들이 반영되었기 때문에, 기존의 무동사문에 대한 연구는 ‘생략된’ 성분들의 재구와 그들이 어떤 경우에 생략되는가에 집중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동사, 즉 인칭 동사 형태는 모든 러시아어 문장에서 필수적인 성분은 아니다. 러시아어에서 인칭 동사 형태만이 술어성을 표현하는 유일한 수단이 아니라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략의 과정을 통해 동사가 존재하지 않는 무동사문이 아닌, 동사가 원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무동사문인 주격문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주격 형태의 명사를 주성분으로하여 형성되는 주격문은 무동사 일원문의 대표적인 형태이다.본 연구에서는 러시아어에서 가장 단순한 형태의 문장이라고 할 수 있는 주격문의 형태-통사적, 구조적 특성과 주격문의 주성분을 이루는 명사의 의미적 특성을 분석하여 러시아어 주격문의 본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주격문은 필수적으로 주격의 명사로 이루어져야한다는 요건 외에도 형태-통사적으로 다양한 이차 성분 및 한정소에 의해 확장되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 그리고 그러한 가능성은 주격문에 다양한 의미적 탄력성을 부여하여 보다 생생한 표현력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리고 주격문의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명사들이 비록 원칙적으로는 아무런 제한이 없지만, 실제 쓰임에 있어서는 일정한 의미적 특징을 지니는 어휘들로 범주화될 수 있음을 살펴볼 것이다. This study addresses the syntactic properties of a russian nonverbal sentences. In russian, verb is not essential element to formation of sentences. In addition, there is special sentences formed without verbs. So we do not treat nonverbal sentences as an elliptical. Russian nonverbal, especially nominative, sentences have properties their ow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the russian nonverbal sentences and to describe the morpho-syntactic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russian nominative sentences. Russian nominative sentences connote meaning of presence. And that meaning is expressed through nouns. In these sentences nouns are used in a variety of senses: time, location, natural phenomena, etc.

      • KCI등재

        한(韓)ㆍ일(日)ㆍ유(琉) 격조사 비교연구 - 주격(主格)ㆍ목적격(目的格) 조사를 중심으로 -

        이갑 ( Li Jia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6 No.-

        韓國語ㆍ日本語ㆍ琉球語 세 언어는 여러 면에서 비슷한 점이 있다. 본 논문은 韓國語ㆍ日本語ㆍ琉球語 세 언어의 문법 범주인 격조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를 중심으로 하여 격조사의 형태와 기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세 언어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히고 앞으로 더 심층적인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韓國語, 日本語, 琉球語의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중세국어시기부터 이미 상당한 형태상의 차이가 남을 밝혔다. 형태 차이에도 불구하고 세 언어의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기능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가 다른 조사로 나타나는 경우 세 언어는 각각 차이점을 보였다. 한국어의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는 다 보조사로 쓰일 수 있으며, 일본어의 경우는 주격조사가 접속조사로 사용될 수 있고 목적격조사는 간투조사(間投助詞)로 사용될 수 있다. 유구어의 주격조사는 일본어의 주격조사와 유사한 용법으로 사용된다. Compared with other Altaic languages,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are much closer to each other in grammar, and also to Ryukyuan language. According to the literature, Korean people are the first foreigners to record Ryukyuan language in a written form. In the passage “pronunciation interpreting the Ryukyuan Kingdom” from A Journey to the Eastern Countries (1512), Korean people perfectly preserved the pronunciation and meanings of words and sentences in Ryukyuan language in both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which is an extremely valuable material. Unfortunately, the later time period witnessed stagnation after a prominent beginning. In order to clarify the language family to which Korean belongs to,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compare Korean language with Japanese and Ryukyuan languages. Different from lexis, grammar underwent a slow and gradual process of variati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three languages can provide strong evidence for defining the language family of Korean. Based on this rationale, this paper starts from the comparison of grammar elements of these three languages, aiming at case markers including the nominative case markers and the accusative case markers, and observe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iachronically. Based on the examples from the medieval data, it is found that the nominative case markers and the accusative case markers of these three languages vary from each other in forms and origins. Although they show some similarities in functions, it can be conjectured that there is no cognate for the three languages in the history.

      • KCI등재

        한국어의 격조사와 초점 -주격과 대격을 중심으로-

        김민국 ( Kim Min-gook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8 No.-

        이 연구에서는 ‘초점’을 중심으로 한국어의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의 의미ㆍ화용적 기능을 밝히고 그 실현과 비실현 양상과 관련된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가’와 ‘을/를’은 격을 표시하는 동시에 ‘주제-초점’ 구조에서의 신정보인 가로초점을 표시한다. ‘이/가’와 ‘을/를’은 세로초점의 실현과도 관계가 있다. 하지만 ‘이/가’와 ‘을/를’에 의한 세로초점은 발화 맥락에 따라 수의적이고 가로초점에 늘 겹쳐서 나타난다. 따라서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초점의 본질은 결국 가로초점이다. ‘이/가’와 ‘을/를’이 표시하는 가로초점에 세로초점이 겹쳐 나타나면 다양한 의미가 나타난다. 이러한 의미는 ‘이/가’와 ‘을/를’에 관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이들 조사의 의미로 볼 수는 없다. ‘이/가’와 ‘을/를’이 세로초점만을 표시하는 경우는 이른바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에서 나타난다. 보조사적 용법의 ‘이/가’와 ‘을/를’이 나타내는 ‘강조’의 의미는 세로초점의 핵심인 대안집합과의 대조를 통해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가’와 ‘을/를’은 그 실현을 통해 초점을 표시해 주지만 초점의 유무에 따른 필수적 실현 여부에는 차이가 있다. ‘이/가’는 주어에 초점이 놓이면 반드시 실현되어야 하지만 ‘을/를’은 목적어에 초점이 놓이더라도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한국어 주어의 문법화 정도가 낮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격과 대격의 비대칭적 실현 양상은 주격과 대격의 비실현형이 서로 다른 문법적 지위를 가진다는 것을 말해 준다. 주격의 비실현은 주격과 대립 관계를 이루므로 Ø 표지의 실현으로 해석되지만 대격의 비실현은 단순한 격표지의 비실현으로 볼 수 있다. 주격의 대립형으로서의 Ø 표지는 ‘이/가’의 이형태보다는 ‘이/가’, ‘께서’와 구별되는 또 하나의 주격 표지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그러나 주격 표지로서의 Ø는 그 기능이 ‘이/가’와의 대립을 통해서 소극적으로만 드러나기 때문에 주격 조사로서의 지위는 불완전한 것이다. In this article, we aim to find semantic or pragmatic function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case markers in Korean focusing at focus and to argue the issues concerning their occurrence and nonoccurrence. i/ka and ul/lul mark case and syntagmatic focus. It seems that i/ka and ul/lul have relevance to paradigmatic focus which is so-called contrastive focus. However paradi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marker is optional and always involves syntagmatic focus. Thus the essential function of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is syntagmatic focus. There are several meanings when syntagmatic focus which is marked by nominative and accusative pluses paradigmatic focus. But these meanings are not conventional meaning of i/ka and ul/lul and 'emphatic' function of i/ka and ul/lul comes form contrast in alternative set. Thus i/ka and ul/lul have in common in that focus marking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at their obligation. i/ka must occur in focus subject but ul/lul does not have to occur in focus object. This aspect seems to result from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of subject. Asymmetric occurrence of i/ka and ul/lul shows that non-occurrences of nominative and accusative has difference grammatical status. Non-occurrence of nominative can be interpreted zero marker but non-occurrence of accusative is simply non-occurrence of case marker.

      • KCI등재

        중국 연변 지역어 주격조사의 식별에 관한 연구

        최화 ( Hua Cui ) 배달말학회 2011 배달말 Vol.48 No.-

        본고에서는 중국 연변 지역어의 주어 명사구에 ``-이``, ``-이가``, ``-(이)랑``, ``-(이)라메``, ``-란게(랑게, 라는게, ㄴ게)``, ``-(이)사``의 형태가 실현되는 현상에 주목하여 이들 형태를 주격조사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결과, 이 지역어에는 주격조사 ``-가``의 형태가 존재하지 않고, ``-이가``의 ``-가``는 주격조사의 지위를 획득하는 과정 중에 나타난 과도기적 형태임을 밝히었다. 그리고 ``-(이)랑``, ``-(이)라메``, ``-(이)란게(랑게, 라는게, ㄴ게)``, ``-(이)사`` 역시 문법적 기능보다는 특수의미를 더해주는 특수조사임을 밝혔다. 여기에 연변 지역어에 [+존대]를 나타내는 주격조사 ``-께서``가 존재하지 않는 현상도 언급하였다. 본고는 중국 연변 지역어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구두어(口頭語)를 연구자료로 삼아, 주격조사 ``-이``와 주격조사의 과도기적 형태인 ``-이가``가 존재한다는 결론을 도출한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주격조사 ``-가``, ``-께서``가 존재하지 않는 원인을 이들 주격조사의 발달과정과 연변 지역의 역사배경(이주배경)과 결부하여 설명한 것과 조사 ``-이``, ``-이가``, ``-(이)랑``, ``-(이)라메``, ``-(이)란게(랑게, 라는게, ㄴ게)``, ``-(이)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 것은 이 지역어의 주격조사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 whether the forms of ``-이``, ``-이가``, ``-랑``, ``-란게(랑게, 라는게)``, ``-사`` in subject noun phrases in Yanbian region language of China can be looked as the nominative cases by focusing on the realization phenomenon of these forms. As a result, this paper finds that ``-가``, as the form of nominative case, doesn`t exist in this region and also finds that ``-가`` in ``-이가``, ``-랑``, ``-란게(랑게, 라는게)`` and ``-사``are specific particles which emphasize specific meaning rather than their grammatical functions. Furthermore, this paper also mentions the phenomenon which nominative case ``-께서`` which represents honorific doesn`t exist in Yanbian region. At last, this paper draw a conclusion that nominative case is unique and its form of representation is ``-이`` in Yanbian region. This paper explains the causes which nominative case ``-가`` and ``-께서`` don`t exist in Yanbian region by connecting the developing process of nominative cases and history setting of Yanbian region. And also explains the meaning functions of ``-가`` of ``-이가``, ``-랑``, ``-란게(랑게, 라는게)`` and ``-사``.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drawing a conclusion that the unique form of nominative cases is ``-이`` in Yanbian region by studying oral languagesusing in Yanbian region. this paper is also helpful in comprehending the nominative case in this region through studying cases ``-이``, ``-이가``, ``-랑``, ``-란게(랑게, 라는게)`` and ``-사``on the process of draw this conclusion,

      • KCI등재

        한국어 주격중출구문 연구에 대한 고찰 및 급진구문문법에 기댄 제안

        김일규(Kim, Ilkyu) 한국어학회 2022 한국어학 Vol.97 No.-

        한국어의 소위 주격중출구문의 통사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수많은 기존 연구가 있지만, 특히 주격 명사구의 정확한 통사적 지위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분분할 뿐 모두가 동의하는 하나의 답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의 목표는 주격중출구문의 통사 구조에 대한 이해에 진전이 없는 근본적인 이유를 밝히고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을 제시하는 것이다. 주격중출구문의 주격 명사구가 갖는 통사적 지위에 대해 의견의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는 대부분의 기존 연구가 주어와 목적어와 같은 문법기능이 본질적으로 언어보편적이거나 구문보편적 이라는 잘못된 가정을 하고 있기 때문이며, 그러한 가정으로부터 자유로운 급진 구문문법으로 주격중출구문을 분석하면 주격 명사구의 문법기능에 대해 더 이상 무의미한 논쟁을 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범언어적 비교 분석도 가능하게 됨을 밝힐 것이다. Although tremendous efforts have been put into understanding the syntactic structure of the so-called multiple nominative construction in Korean,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exact syntactic status of the nominative NPs in the construction.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issue by discussing the fundamental problem shared by most, if not all, previous works, which is an assumption that the nature of grammatical functions like subject and object is language-universal or construction-universal (within a language) and proposing a Radical Construction Grammar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which posits that grammatical functions are language- and construction-specific. It will be shown that the proposed analysis is superior to the previous ones in that it can account for the phenomena that really need explanation, while avoiding meaningless and unproductive discussions on the exact grammatical function of nominative NPs.

      • KCI등재

        이중주격구문의 의미구조

        김경환(Kyunghwa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5

        언어의 통사, 의미, 형태 등 여러 다른 영역들을 동시에 그리고 독립적으로 생성되는 모듈로 보는 자율어휘 문법을 기반으로 이중주격에 대한 의미론적 분석을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과거의 통사중심주의적 이론에서는 이중주격에 대한 분석방식으로 소유자인상, 예외적 격부여, 병합 등이 제시되었다. 통사중심주의적 이론과 달리 본 논문에서는 내적소유와 외적소유에 대한 기능-논항구조를 밝혀 이중주격에 대한 의미론적 분석을 제시한다. 이중주격에 사용되는 소유대상은 관계명사로 기능-논항구조에서 소유자를 논항으로 취하는 것으로 본다. 소유자에 해당되는 이 논항이 바로 관계명사와 결합하면 내적소유구문이 생성된다. 반면에 소유자가 공백상태인 경우 소유자와 공지시관계인 논항이 최종적으로 술어와 결합하여 그 결과 소유자가 주격으로 표현되는 외적소유구문이 생성된다. 외적소유의 기능-논항구조는 해당 문장이 내적소유와 달리 주격으로 표현된 소유자에 대해 서술하고 있음을 구조적으로 보여준다. This paper provides a semantic account of double nominative constructions in the framework of Autolexical Grammar, which views syntax, semantics, morphology, and other language components as modules generated simultaneously and independently. Some syntactocentric models in the past analyzed double nominatives as a result of possessor raising, ECM or incorporation. This paper provides a semantic explication of double nominatives through function-argument (F/A) structure of internal possession and external possession. The possessum used in double nominatives is a relational noun which takes a possessor as its argument in F/A structure. If the possessor directly combines with the relational noun, then internal possession is generated. If the possessor is a gap in F/A structure, then the argument which is coreferential with the gap combines later with the predicate, resulting in external possession, in which the possessor is in the nominative case. Unlike internal possession, the F/A structure of external possession structurally shows that the sentence is predicated of the possess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