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업가정신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김상용,조경동 용인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8 산업경영논총 Vol.15 No.-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조직유효성 간에 어떤 관련성 있는가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여 바람직한 기업가정신을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념적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이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업가정신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하여 국내의 중소의류업체를 대상으로 배포 수집한 852부의 설문지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621부의 설문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통하여 조직유효성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가정신과 조직유효성과의 관련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기업가정신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조직구성원들의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이 연구개발이나 혁신을 강조하고, 종업원의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창의적인 마케팅 개발을 위한 노력과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도 위험을 무릅쓰고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행동하여 새로운 유망사업에 진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기업의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혁신성과 위험부담성과 같은 기업가정신이 요청되며, 특히, 기업가정신 가운데서도 ‘혁신성’이 조직유효성 변수로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어 다른 기업가정신 요인보다 최우선적으로 정립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면에 진취성은 조직유효성에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조직유효성 간에 관한 새로운 사실의 발견보다는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업가정신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으나, 조사대상업종이 중소규모의 의류업체에 국한된 점과 조사업체의 모집단 크기의 제한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 기업윤리와 윤리풍토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류선권,조경동 용인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9 산업경영논총 Vol.16 No.-

        본 연구는 기업윤리 및 윤리풍토와 조직유효성 간에 어떤 관련성 있는가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여 바람직한 기업윤리 및 윤리풍토를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윤리경영을 정착시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기업윤리와 윤리풍토 그리고 조직유효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념적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이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업윤리 및 윤리풍토와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하여 우리나라 제조업, 금융보험업, 유통 및 서비스업을 대상으로 배포 수집한 663부의 설문지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422부의 설문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통하여 조직유효성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윤리 및 윤리풍토와 조직유효성과의 관련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먼저, 기업윤리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조직유효성 향상을 위해서는 조직구성원과 조직체 전체에 행동규범과 활동지침을 창출하는데 영향을 주는 바람직한 기업윤리의식과 기업윤리관리체계를 정립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최고경영자의 윤리적인 의사결정, 기업윤리헌장의 제정, 기업윤리실천을 위한 전담부서와 제도마련, 직원들에 대한 윤리교육실시와 윤리경영의 실천을 위한 기업윤리관리체계의 확립과 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윤리풍토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법률이나 직업상의 사회규범과 회사규정을 준수하고 의사결정시 법의 위반여부를 먼저 고려하는 규정 및 법률형 윤리풍토의 확립이 요청된다. 또한, 고객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중요시하고 지역사회에 책임의식을 가지며 고객과 사회이익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사회적책임형 윤리풍토 도입도 함께 병행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업윤리와 윤리풍토, 조직유효성 간에 관한 새로운 사실의 발견보다는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업윤리 및 윤리풍토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으나, 조사대상업종과 조사업체의 모집단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후보

        조직유효성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한 조직문화론의 행정조직에의 적용

        김종수 한국인사행정학회 2008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7 No.1

        이념의 원칙을 중시하고 성장보다는 분배를 국정목표를 삼았던 참여정부에 비해 실용적이고 현실적이며 분배보다는 성장을 중시하는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다. 작고 강한 정부를 추구하기 위해 정부의 조직을 축소하고 인력을 감축하며 민영화를 예고하고 있기도 하다. 즉, 과거 정부와는 다른 방향으로의 정부재창조에 나서고 있는데 현 시점에서 조직문화론에 대한 고찰을 새로이 시도해 볼 필요성이 있다. 세계화에 따른 기업가형 정부, 경쟁적 정부, 고객지향적 정부, 수익창출적 정부, 시장지향적 정부 등 성격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정부의 색깔이 달라졌고 민관의 변화 된 관계 속에서 전통적인 정부의 조직문화는 상당히 변화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에 따라 사조직에서 어느 정도 연구가 이루어졌던 기업문화와 조직유효성과의 관계를 공조직인 정부조직에 적용하여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의 관계를 분석해 가는 과정을 통해 다음의 몇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조직문화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개념과 접근방법, 구성요소와 수준, 형성요인, 기능과 변화 등에 관해서 고찰하였다. 둘째, 조직유효성의 개념을 살펴보고 사회정의접근법에 입각하여 조직유효성의 측정기준을 체계화하였다. 셋째, 정부조직의 구성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직문화의 강도, 세련도 및 유형을 기준으로 정부의 조직문화적 특성을 목표최적화와 후회최소화를 기준으로 한 조직유효성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넷째, 이상과 같은 목적을 추구하면서 정부의 조직문화발전을 위한 조직문화론의 행정조직에의 적용을 시도하였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정부조직은 약하고 세련되지 못한 조직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보다 강하고 고급스러운 문화로의 변화가 요구되었다. 또한 조직문화는 권력 문화적 특성이 절대적으로 강하고 역할 문화적 유형도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구성원의 조직행동도 그러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으며 환경의 불확실성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과업문화와 질적 만족을 중시하는 인간문화가 더욱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실증적 고찰을 통해 소용돌이의 장을 이루는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정부재창조를 위한 조직문화론의 정부조직에의 바람직한 적용과정을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부천지역 기업을 중심으로

        김문준,이창호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5 기업경영리뷰 Vol.6 No.2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relationship tha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ffects the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organizational culture typ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ories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existing researches and previous study results, targeting employees working for companies located in Bucheon area. For this, an empirical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proposed three kinds of hypotheses by utilizing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based on 214 survey sheets which are finally confirmed. The empirical result has shown that all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for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ypothesis 1.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business performance, hypothesis 2 has shown that collective (consensus) culture and hierarchy culture have a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for the financial results of the business performance except for the rational culture. For the financial results of the business performance, hypothesis 3 has shown that two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A main implication shown through this study result is firstly the fact tha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ll be improved when apply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appropriately to organization members according to the business environment situation of companies and organizations. Second, from the fact that the more a competitive corporate culture is formed, the more the business performance can be enhanced, staffs in the organization should continuously improve the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the substantiality of the organization culture. Third, it was found that when organization members have high value in the satisfaction with the work, the provision of materials for the work, the work suitability, etc., the learning and growth of the organization members are high. Fourth,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a strategic HR management system which can create a new corporate culture for the company is required to be established and executed. 본 연구는 기존연구의 조직문화 유형, 조직유효성, 경영성과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부천지역의 기업에 있는 재직자를 대상으로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유효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종 확정된 214부 설문을 바탕으로 SPSS 20.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설정한 가설 3가지를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설 1인 조직유효성에 대해 조직문화유형의 모든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가설 2인 조직문화와 경영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결과 경영성과의 재무적 성과에 대해서는 합리문화를 제외하고 집단문화, 위계문화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내었다. 가설 3인 경영성과의 재무적 성과에 대해서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의 두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나타낸 주요 시사점은 첫째, 조직문화는 회사와 조직의 경영환경 상황에 따라 조직구성원들에게 적절하게 적용할 때 조직유효성은 높아진다는 것이다. 둘째, 경쟁력 있는 조직문화를 형성하면 할수록 경영성과를 강화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조직의 실무자는 조직문화의 내실화를 통해 경영성과를 지속적으로 향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조직구성원들이 업무에 대한 만족도, 업무수행에 대한 자료의 제공 및 적성의 적합성 등이 높을수록 조직구성원들의 학습과 성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조직유효성과 경영성과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특성에 적합한 조직문화 활성화 방안과 함께 관리자들에 대한 리더십 역량 강화와 전략적 인사관리제도의 실행이 필요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하여 나타낸 가설검증과 함께 주요 시사점을 밝혔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 지방행정조직 중간관리자의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지경이,김정원 한국산업경영학회 2010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0 No.2

        지방행정은 민선시대등장과 조직의 규모가 거대해지고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세분화, 전문화되어가고 있다. 조직원인 공무원의 행정능력을 발휘하고 개혁과 변화를 통한 경쟁력강화와 조직의 유효성을 높이는데 중간관리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지방행정조직의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연구하고자 독립변수로 리더십과 조직문화, 결과변수로 조직유효성의 변수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설정하여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지방공무원의 자기효능감이 조직유효성에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초자치단체에 근무하는 6급이하 지방공무원을 대상으로 474부의 설문지를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은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둘째, 조직문화 또한 조직유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사이와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사이에서 부분적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지방행정에서 조직의 유효성을 높이는데 중간관리자의 리더십과 조직문화의 중요성이 입증되고 지방공무원의 자기효능감도 중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기업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조직시민행동,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김진혁,최은수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3 역량개발학습연구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유효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공사기업체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얻은 662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학습조직에 직접적이고 긍정적 효과를 주었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과 학습조직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으며 서번트 리더십은 학습조직을 통하여 조직시민행동에 간접효과가 있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유효성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고 학습조직은 조직시민행동을 통하여 조직유효성에 간접효과가 있으며, 서번트 리더십은 학습조직과 조직시민행동을 통하여 조직유효성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기업 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수준, 조직시민행동, 조직유효성 간의 정적 상관이 입증되었다. 즉, 기업 내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유효성에 중요한 선행변인임이 밝혀졌다. 특히, 중간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 유효성에 영향력 있는 변인임이 입증되었으며, 학습조직과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유효성에 중요한 매개변인임이 증명되었다. 서번트 리더십, 학습조직,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유효성 제고에 있어 중요한 변인이며 HRD 분야에 많은 연구의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시스템 개선이나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iddle managers’ servant leadership(1), learning organization(2),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3),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4).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5, 2012 to September 15, 2012. 662 piec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1)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2). Second, (1) and (2)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3), and (1) ha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3)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 of (2). Third, (1), (2), and (3) had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4), and (2) ha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4)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 of (3). And also, (1) had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on (4) through the intervening variable of (2) and (3). Findings from SEM demonstrated the existence of a positive relationship of (1), (2), (3), with (4). That is, (1), (2), (3)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for (4). In particular, (1) was found to be influential variable for (4), and (2) and (3)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tervening variable. (1), (2) and (3)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4), and this study result will contribute to system improvement and program development for HRD.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 및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

        김정현(Jung Hyun Kim),이기성(Ki Sung Lee)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자료는 서울 및 경기지역을 주요 기반으로 하는 일반 기업체(공기업 및 중소기업을 포함한 일반기업, 단, 공공기관 제외)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820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은 학습조직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은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학습조직을 매개로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고, 학습조직은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을 경유하여 조직유효성에 간접적인 영향이 있으며,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은 학습조직과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을 경유하여 조직유효성에 간접적인 영향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최고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이 학습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을 경유하여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조직과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도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었다.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최고 경영자의 감성리더십, 학습조직, 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될 때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of the CEO, learning organization,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positive PsyCa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EO’s emotional leadership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rganization an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positive PsyCap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Second, learning organization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positive PsyCap. Third, CEO’s emotional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and employees’ positive PsyCap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Learning organization ha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s’ positive PsyCap. Also, CEO’s emotional leadership had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employees’ positive PsyCa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uld be better understood with the outcomes of the interrelated antecedents such as CEO’s emotional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and employees’ positive PsyCap.

      • 조직공정성과 조직문화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김대현,하규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09 한국벤처창업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10

        본 연구는 조직공정성과 조직문화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개인의 집단주의 성향이 조직공정성, 조직문화유형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전문건설업체 현장 관리자의 조직유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도출 제시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검정의 결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검정의 결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급과 직종에 따라 조직공정성, 조직문화유형, 조직유효성에 대한 인식 차이에 관한 가설검정의 결과도 모두 유의적인 것으로 검정되었다. 둘째, 개인의 집단주의 성향이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 조직문화유형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에 관한 가설검정도 모두 유의하지 못하여 기각되었다.

      • KCI등재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건설현장 관리자의 집단주의 성향에 대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대현,하규수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2

        본 연구는 건설현장 관리자의 조직유효성 결정요인으로서 조직공정성과 개인의 집단주의 성향에 대한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했으며 특히, 현장관리자의 집단주의 성향이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검증해 봄으로써 조직공정성과 현장관리자의 집단주의 성향에 대한 조절효과의 중요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공정성을 선정하였다. 조직공정성은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으로 대별될 수 있으며, 조직공정성과 현장관리자의 집단주의 성향의 결과로 나타나는 조직유효성 변수로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선정하였다. 또한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에 대한 영향을 조절하는 변수로 현장관리자의 집단주의 성향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가설검정의 결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에서 건설현장 관리자의 집단주의 성향에 대한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potential moderating effects o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ne's collectivism propensity as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construction site managers.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verify if site managers' collectivism propensity could have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o that it could find out the importance of moderating effects o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site managers' collectivism propensity. In order to meet these goals, this study selected organizational fairness as a factor that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fairness can be divided broadly into distributive fairness and procedural fairness. And this study also sel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s variabl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result from organizational fairness and collectivism propensity of site manager. Moreover, this study selected the collectivism propensity of site manager as a variable that moderates potential effects o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effectiveness.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findings in detail: First,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fair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was demonstrated in the result of relevant hypothesis test. Secondly, it was found that construction site managers' collectivism propensity had no moderating effect upon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effectiveness.

      • KCI등재후보

        조직구성원이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서울ㆍ경기 지역 기업을 중심으로

        김문준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중소기업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위계문화 유형, 합리문화 유형, 개발문화 유형)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조직몰입,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함께 조직유효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2015년 7월 7일부터 7월 24일(약 3주간)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 대하여 나타낸 최종 285부를 바탕으로 SPSS 20.0 프로그램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실증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결과는 첫째,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의 영향 관계 결과 조직문화의 위계문화 유형과 개발문화 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위계문화 유형, 합리문화 유형, 개발문화 유형)와 조직유효성의 조직몰입 간의 검증 결과는 3가지 요인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의 직무만족 간의 검증결과 개발문화 유형의 회귀식 계수 베타(β)가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유효성과 조직성과 간의 검증 결과 2가지 요인(조직몰입, 직무만족)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문화와 조직성과 간의 영향 관계는 조직유효성에 따른 매개효과의 검증결과 조직문화의 위계문화 유형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조직유효성에 따라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문화의 개발문화 유형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조직유효성에 따라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주요결과에 대한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와 기업 내 실체적인 자료 및 일정한 평가준거 자료를 활용하여 조직문화와 조직성과에 대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종단적 연구로 보다 내실 있고 심화된 연구가 진행되도록 해야 하겠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type of hierarchy culture, type of market culture, type of developmental culture) recognized by employees working at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on organizational achievement as well as what kinds of effect organizational culture has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find out mediated effects of organization effectiveness, survey was conducted from 7th, July, 2015 to 24th, July,2015(forabout3weeks). Also, based on 285 of final copies, empirical test was conducted via statistical package, SPSS 20.0. For the first primary implication, as the result about effect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organization’s type of hierarchy culture and type of development culture had significance statistically. Secondly, verification result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type of hierarchy culture, type of market culture, type of development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rganization effectiv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ll 3 factors. Thirdly, regarding verification result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type of developmental culture had the highest regression coefficient beta (β). Fourthly, verification result between organization effectiveness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 ha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factors. Fifthly, in regard to effect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characteristic, verification result of mediated effect followed b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ed complete mediation according to effec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organization achievement. Also, type of developmental culture showed partial mediation according to effect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n organization achievement. Despite the primary implications above, afterward research should proceed with more substantial and profound longitudinal studies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and achievement by utilizing depth interview with subjects, tangible data within the businesses, and consistent data based on evaluation cri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