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총독부 日本人 司法官試補 연구 -採用과 出身背景을 중심으로-

        전병무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논총 Vol.36 No.-

        이 논문은 조선총독부 일본인 司法官試補의 자격, 채용기준과 방식, 지원동기 및출신배경을, 조선총독부 법무국에서 편찬한『司法官試補進退書類(1928~1941년)』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처음으로 고찰한 글이다. 조선총독부는 1913년 사법관시보제도를 신설하였다. 사법관시보는 고등관인 주임관 대우를 받으며 1년 6개월의 실무수습을 마치고 실무시험을 거친 후 조선총독부 판검사 즉 사법관으로 임용되었다. 조선총독부는 1913년부터 1944년까지 651명의 사법관시보를 채용하여 사법관의 공급원으로 삼았다. 이 가운데 일본인 사법관시보는 359명이었고, 조선인 사법관시보는 102명이었다. 즉 사법관시보의 신설로조선총독부는 독자적인 사법관 양성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었다. 조선총독부는 매년 신규 사법관을 임용하였다. 1911年부터 1944年까지 새롭게임용된 일본인 사법관은 약 585명이었는데, 이 가운데 320명이 사법관시보 출신이었다. 또 시기별 신규 사법관의 임용추이를 보면, 1910년대와 1920년대는 일본 국내의 현직 사법관시보 혹은 판검사를 직접 수입하여 임용한 ‘수입형’ 사법관이 많았지만, 1930년대 이후는 1년 6개월의 수습과정을 통해 조선의 사정에 익숙한 사법관시보 즉 ‘재래형’ 사법관의 임용이 대세를 이루었다. 이는 조선총독부의 독자적인사법관 양성 시스템이 이 시기에 정착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양성된 이들이법원 내에 다수 포진함으로써 1930년대 이후 조선총독부 사법부는 ‘在來型’ 사법관이 주도하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법관시보의 자격은 1923년까지는 제국대학 법과졸업자와 판검사등용시험 합격자이었고, 1924년부터는 고등시험(고등문관시험, 약칭 고문) 합격자만이 가질 수있었다. 다만 제국대학 법과졸업자 중 1923년도까지의 졸업자에 한해서 그 자격을인정하였다. 사법관시보의 채용은 신원조회 등의 서류심사와 면접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면접은 일본 거주자는 조선총독부 東京出張所에서, 조선 거주자는 조선총독부 법무국에서 실시하였다. 채용 기준은 고문 성적, 출신학교와 성적 등도 고려했지만, 가장 중요한 기준은 사상운동 관련여부였다. 비록 사법관시보에 채용되었더라도 사상운동에 관련된 사실이 확인되면 곧바로 발령을 취소하였다. 일본인이조선총독부 사법관시보에 지원한 동기는 개인의 사정과 형편에 따라 다양했지만,대체로 경제적 이유, 조선관련자(재조일본인 출신), 사법관 소신 지망 등이 가장 많았다. 일본인 사법관시보의 출신지는 비교적 각 현별로 골고루 분포하였는데, 東京·福岡·佐賀·山口등 도회적 성격이 강하고 교육문화가 진전된 大府縣의 출신자가많았다. 지역별로 보면 조선과 가까운 구주지역과 중국지역의 출신자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족적을 통한 사법관시보의 신분구성을 볼 때 평민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사족은 소수에 불과하였다. 사법관시보의 출신학교는 제국대학 출신자가 121명, 사립대 및 기타 출신자가85명으로 정리되었다. 제국대학 출신자가 많았지만 사립대 출신자도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는 고문 행정과와 외교과의 경우 동경대 출신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사법과는 상대적으로 낮았기 때문이다. 사법관시보의 출신학교를 제국대학과 사립대를 합쳐서 보면, 東京大-京都大-日本大-中央大순으로, 전체 일본인 사법과 합격자의 출신대학 분포와 대체로 비슷하였다. 일본인 사법관시보의 평균...

      • 조선총독부박물관 전시에 대한 소고

        김인덕(Kim In duck)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1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1 No.2

        1915년의 공진회는 만들어진 홍보공간이었다. 빛나는 조선 문화 보다는 열등한 조선 문화, 제국에 눌린 조선의 왕권, 일본자본주의를 학습하는 장소였다. 문제는 공진회의 전시가 기본적으로 역사성과 문화성이 결여되었고, 동시에 비교 전시를 통해 현실의 정치와 문화를 상대화시켰으며, 종국적으로 조선총독부의 효율성을 과시하는 공간이 되어 제국의 ‘목적’에 충실했다는 점이다. 공진회 때의 미술관인 석조 건물은 조선총독부박물관의 본관이 되었다. 개관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은 박물관 건물로 지어진 것은 아니었다. 기능적으로 미술관이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의 1920년대 전시는 1923년의 내용을 우선 확인할 수 있다. 1923년 전시는 공진회 때의 미술관 1층의 전시 내용, 즉 중앙 홀의 경주 남산 약사불, 석굴암 부조 등과 동실의 고기물, 서실의 각종 미술품 등이 부분적으로만 확인된다. 본관 2층의 전시는 공진회 때의 2층 동실의 조선 회화 중심, 2층 서실의 현대 회화 중심의 전시에 변화가 있었다. 변화의 핵심은 본관 1층 동실에 낙랑, 대방 등에서 발굴된 유물이 전시되었다는 것과 수정전 등에 중국 신강성에서 수집하여 온 유물들이 전시되고 있는 사실 정도이다. 본격적인 조선총독부박물관 전시실의 구성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시기는 1926년으로 보인다. 1926년의 전시는 큰 변화가 있다고 할 수 없지만 유물의 시대순 정리와 분류가 분명해졌다. 1930년대의 전시는 1933년과 1936년의 전시 내용을 통해 확인되는데, 1933년의 전시는 기본적으로 1920년대의 공간 구분의 큰 틀은 그대로 유지했으나, 진열장 내부의 전시 유물이 변했다. 특히 1936년 본관 상설 1층 전시는 진전된 연구가 보인다. 아울러 기초한 진열장과 전시 유물의 순서 변화도 보인다. 이상과 같이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전시를 볼 때는 공진회 미술관과 큰 차이가 없었다. 동선도 기본적으로 변화가 없어 건춘문을 지나 본관을 구경하고 사정전, 수정전, 경회루를 지나 탑들을 관람하고 박물관 사무실이 있던 자경전 앞을 지나 다시 본관으로 돌아가는 방식이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 전시의 내용은 부분적으로 개편된 것은 사실이다. 특히 1층 중앙 홀의 진열장의 순서와 벽면을 이용하는 전시 방식의 개편은 확인하는데 어렵지 않다. 그리고 2층 회랑 전시의 경우도 독립장의 수치가 변화되었고, 제6실의 경우는 독립장의 사용방식을 바꾸어 내부에 가림판을 넣어서 활용하다가 통장의 형태로 전열장을 사용했다. 특히 1930년대로 가면 학술 조사의 진전과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고분 발굴품의 전시가 보다 정연해지는 모습도 보인다. 이러한 전시의 변화는 선수유물이 조선총독부박물관에 들어가면서 부득이 하게 진행되거나 아니면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전체 전시의 부분적인 개편 의도가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역사적 진열법’에 의거하고 각 시대의 특질을 보여 주어 ‘문화 발달’의 단계를 인지하는데 편리한 ‘특수 진열법’을 병용하고 있었다. 실제로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식민통치를 위해 존재했기 때문에 이러한 논리는 전시 의도를 통해서도 그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Competitive exhibition in 1915 was formed promoting space where educate interior Chosun culture, oppressed Chosun dynasty, Japanese imperialism rather than excellent Chosun cutlture. The problem was that exhibition was lack of historical and cultural orientation. At the same time, throughout comparative exhibition, which relativizing actual politics and culture. Frequently, exhibition showed the efficien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which was purpose of Japanese imperialism. Museum of art in 1915 competitive exhibition made of stone became main building for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Primary opened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was not originally built for museum but technically art gallery.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s exhibition in 1920s was begun from 1923 display. 1923 display involved 1<SUP>st</SUP>floor in museum of art in 1915 competitive exhibition which was Bhaisajyaguru in Namsan, Kyong-ju and carved part of Seokguram. Second floor of main building was displayed with east side of 1915 competitive exhibition paintings of Chosun, west side filled with modem paintings. The major transition was that east side of main building exhibited by relics from Nangnang, Daebang and artifacts from in Xinjiang, China. Earnest period when are able to figure the display of exhibition is 1926. This is the moment that they classified relics in periodic. Exhibitions in 1930s can be verified by 1933 and 1936’s exhibition. Basically, 1933 was kept 1920s’ space but relics been replaced. In particular, 1936s’ permanent exhibition of main building progressed with display case and formalities. With this, there were no especial changes betwee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and museum art of competitive exhibition. Also, visitor’s movement was fundamentally same as before; starting from Kunchunmoon and see main building, followed by Sajungjun, Sujungjun, Gyeonghoeru pavilion with pagodas, back to main building in the end. It is true that they reorganized from 1920s. Particularly, orders of display case in main hall on first floor and using the surface of wall were clearly showed their reforming. In add, second floor exhibition differed with the numbers of individual cases. In the case of 6<SUP>th</SUP>room, they utilized whole case which was alternation from previous exhibition using splashback. As time went to 1930s, display of excavations from ancient tomb well-ordered in terms of researches, scientific investigation. These types of transition in exhibition indicate either inevitable effect of new relics or reforming inten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based on historical display principle and showed characters of each period so that using Special display principle jointly which was likely to understand cultural progression. Literally,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was built for ruling colonies. In result, this logic clearly can be comprehended by intention of exhibition.

      • KCI등재후보

        1915년 조선총독부박물관 설립에 대한 연구

        김인덕 서울역사편찬원 2008 서울과 역사 Vol.- No.71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역사박물관으로 1915년 설립되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본질적인 문제가 있었다. 첫째, 조선의 박물관제도가 일제의 정책 입안자나 학자들에 의해 임의로 조직된 식민지 문화통치의 산물이었다는 점이다. 둘째는 전시와 소장품들이 고적조사의 성과물과 기탁ㆍ구입품ㆍ기증 자료 등으로 민족의 근원을 밝히기 보다는 왜곡된 역사인식을 위해 준비된 입증자료였다는 점이다. 셋째는 총체적인 역사 문화의 식민지지배를 위한 시스템을 조선총독부박물관이 주도했고, 특히 제도상의 정비와 사업의 본격적인 조직화를 통해 역사왜곡에 있어 실제적인 중심에 있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1915년 설립 때부터 독립된 기관으로 존재하지 않았다. 초창기부터 조선총독부 총무국에 소속되었다. 그 후 소속 부서가 바뀌기는 했으나, 조선총독부 산하 기관이라는 지위에는 변함이 없었다. 그리고 일본의 패전에 의해 폐관될 때까지, 독립된 직제가 없이 조선총독부 소속 사무관이 주임으로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업무를 총괄했다. 결국 주사 행정을 수행했던 것이 조선총독부박물관이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일상적인 박물관의 업무는 진열·보관·열람·고적조사·유적조사 등의 각종 조사와 매장문화재 취급에 대한 일이었다. 이와 함께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설립 다음해인 1916년부터 고적조사의 중심기관으로 발굴을 계획하고 진행하며, 그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하여 역사 왜곡의 내용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했다. 1915년의 경우도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유물은 공진회 인계물품, 내무부 및 회계과 보관고물, 내무부 편집과 조사 수집품, 참사관 분실 보관품, 고적조사물품, 구입품 등으로, 그 중심은 공진회의 인계물품이었다. 이 가운데 삼국시대의 유물의 비중이 많다. 거기에는 동화주의와 만들어낼 필요가 있는 고대 조선의 모습을 위해서였다. 조선총독부는 침략과 동화라는 이중적인 요소를 통해 식민 지배를 위한 이데올로기의 선전도구로 조선총독부박물관을 만들었던 것이다.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had a plan to build complex museum since 1915 at the time museum established. However, it was just an illusion. The reality was just a place to make the people of Chosun into the subjects of Japanese Empir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classified itself as a historical museum.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essential problem. First of all, Chosun’s museum system made by policy maker or scholars which meant it was product of cultural policy by Japanese imperialism. Second, exhibition and collections could not make its origins clear with outcomes from investigating historical remains, donation, purchased but more like supporting evidence to distort historical understanding. Third,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lead the whole ruling colony with historical culture system. In particular, they were in the middle of historical distorts throughout consolidation and systematization. Since the establishment, in 1915,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did not exist as independent. They were under the general affairs bureau from the beginning. Since then, there had been alternation of position but still they were under bureau. Until the closing because of Japan’s defeat, administrative official from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was the leader of museum and he generalized all the tasks. Eventually, the place did scan and have administration was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The tasks that normally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did was exhibition, custody, inspection, investigation of historical remains. Those were managing buried cultural assets and various kinds of researches. With this, a year after foundation(1916),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devoted to historical distortion’s basis throughout reports of processing excavation and plan and as a central agency. All the relics from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in 1915 were from GongjinHyoe in large; GongjinHyoe’s hand over things,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and the accounting session’s charged antiquities, the compilation of Ministry of Home Affairs, investigated and collected antiques, missed articles in custody from councilor, articles of the investigating historical remains, and purchased antiquities. Most of these were placed in great deal of weight in the age of Three States. Because there was a purpose for the assimilation and the perversion of the ancient Chosun’s features. Government-General of Chosun built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for two important factors; aggressions and assimilation. It was for ideology’s instrument of propaganda. Henceforth, Government-General museum of Chosun had historical limitation.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인 군사훈련 현황

        표영수 숭실사학회 2013 숭실사학 Vol.0 No.30

        아시아ㆍ태평양전쟁기 일제는 21만여 명의 조선인들을 일본 군대의 군인으로 강제동원하였다. 그리고 일제는 조선인 군인동원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조선인에 대한 군사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일제강점기 조선인에 대한 군사훈련 방식은 학교교육과 사회교육, 그리고 조선총독부 군사훈련기관을 통한 군사훈련으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학교 교육에서는 교련을 통하여 군사훈련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일반 청년에 대해서는 일본어 교육과 ‘황민의식’의 주입은 물론 기초적인 군사훈련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회교육의 차원에서 청년훈련소를 비롯하여 조선청년특별연성소, 장정훈련소 등 다양한 형태의 기구를 설치, 운용하였다. 또한 일제는 1938년 육군특별지원병제도의 실시와 함께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를 설치 운영하는 한편 1943년에는 해군특별지원병제도의 실시에 따라 ‘조선총독부해군병지원자훈련소’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1944년 징병제가 실시됨에 따라 기존의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를 폐지하고 징병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조선총독부군무예비훈련소’를 설치하였다. 이들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와 해군병지원자훈련소, 군무예비훈련소는 조선인 군인동원을 위해 조선총독부와 조선군사령부에 의해 직접 설치, 운영된 군사훈련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것이었다. 이상과 같은 일제의 조선인에 대한 군사훈련은 전쟁의 장기화와 전장에 확대에 따라 조선인을 군인으로 동원하였을 때 일본 군대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당시 각각의 군사훈련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1942년 이후 육군 현역 장교가 배속된 학교의 교련 교수시간은 중학교의 경우 5년간 총 430시간의 교련과 23일간의 야외연습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학교교육의 군사훈련은 실업학교, 사범학교, 양성소, 대학예과전문학교, 전문학교, 대학 등 상급학교에서도 교련 및 야연연습 시간이 각기 책정되었다. 또한 보통학교 졸업 이후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않은 청년들에 대한 사회교육과 관련하여 청년훈련소 본과의 경우 4년간 총 350시간의 교련이 실시하였고, 조선청년특별연성소의 경우 1년간 총 200시간의 교련 및 근로작업을 실시하였다. 특히 조선청년특별연성소의 경우 이곳에서의 연성과정을 통하여 군인 및 노무자로 동원하였다. 그리고 조선인 군인동원이 본격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설치된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의 경우 구체적인 시간은 확인할 수 없으나 주된 훈련 내용으로 보통학과와 술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가운데 술과의 경우 교련이 포함되어 있다. 조선총독부해군병지원자훈련소의 경우 6개월의 훈련기간 동안 보통학 500시간과 술과 340시간으로 책정되어 있었으며 이 가운데 술과의 경우 해군동원과 관련하여 직접적인 군사훈련이 실시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군무예비훈련소에서의 훈련은 주당 총 39시간의 교육시간이 책정되어 있었으며 제1부의 경우 2개월(1944년도의 경우 40일), 제2부의 경우 6개월(1944년도의 경우 5개월)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주당 39시간 가운데 일본어와 교련이 각기 10시간(26%)씩 가장 많은 시간이 배정되어 주로 일본어 보급과 군사훈련에 중점을 두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In the period of Asia-Pacific War, the Japanese imperialism forced 2.21 million of Koreans to mobilize the Japanese army. And the Japanese imperialism conducted the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in various ways in order to mobilize Koreans to the Japanese army. The ways of military training to Korean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divided into school education, social education, and military education through the institutions of military educ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 these, the school education was conducted by high school drill. An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established and operated in the aspect of social education the various forms of institutions such as Korean Youth Special Camp, Youth Adult Training Center, including Youth Training Center, and conducted the basic military training, as well as educated the Japanese language and infused the sense of people of the Japanese emperor to those who did not enter school. The Japanese imperialism established and operated the Arm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long with enforcement the Army Special Volunteer System in 1938, and the Nav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ccording to enforcement of the Navy Special Volunteer System in 1943. As the conscription was enforced in 1944, the existing ‘Arm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was abolished and ‘Preliminary Camp of Military Affair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was established for the draft. Arm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Nav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and Preliminary Camp of Military Affairs was installed directly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nd Korean Military Headquarters in order to mobilize the Koreans to Japanese army, which had the character as a military training institutions. The military training of the Japanese imperial to Koreans, as the war was protracted and the battlefield was expended, intended to adapt Koreans to Japanese army, when they was mobilized to it. Looking at the contents of each of the military training, after 1942 the instruction time of the school that assigned the army active officer was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total 430 hours of school drill and 23 days of field training during 5years. And in the senior school such as trade school, a teacher-training institution, training school, Preparatory a vocational school, technical school, university, these military training of school education also involved the training time of the school drill and field training. In the case of social education to those who did not enter senior school after graduation from primary school, the regular course of Youth Training Center educated the school drill in total time of 350 hours during 4 years, and Korean Youth Special Camp educated the school drill in total time of 200 hours during 1year and conducted the labor work. Especially, Korean Youth Special Camp mobilized Koreans to army and laborers through the soft curriculum. The Arm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stalled as the military mobilization was conducted on a full scale seemed to have the primary department and art department involving the high school drill in the main education program, although we could not confirm the specific time for education. The Navy Training Center for Volunteer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arranged the education time for respectively 500 hours of primary education and 340 hours of art department involving directly military education for navy mobilization. The training of Preliminary Camp of Military Affair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involved the time for education of 39 hours per week, and Department1 involved 2months(40days in 1944), and Department2 6 months(5 months in 1944). And The time for education of Japanese language and high school drill was respectively 10 hours(26%) which was the very much time, through this, it was seemed to focus on the diffusion of Japanese language and the military training.

      • KCI등재후보

        박물관 전시를 활용한 통치의 장으로서 식민지 시기 경복궁 개방 공간의 재편 과정

        전가람(Jeon, Ka Ram),성종상(Sung, Jong Sa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1 서울학연구 Vol.- No.84

        본 연구는 식민지 시기 경복궁 개방의 주된 프로그램 요소로서 박물관과 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전시가 궁궐의 개방이라는 문제에서 어떠한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경복궁을 개방하고 그 프로그램으로 박물관을 도입하는 구상은 사실상 1910년대 당시 조선총독부 청사 건립 계획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당시 박물관 설치 구상은 경복궁 궁역의 재편이 조선총독부에 의해 배타적·폐쇄적으로 점유되는 형태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나마 식민지 사회에 대한 개방을 염두에 둔 것이었을 가능성을 내포한다. 경복궁 내에 박물관이 설치된 최초의 사례는, 1915년에 개관한 조선총독부 박물관이다. 개관 초기(1915~1921 추정)에는 조선총독부가 확보한 유물을 전시하는 동시에, 조선물산공진회의 전시 공간을 재활용·재편한 심세관과 교통관이 박물관 전시를 구성했다. 이는 식민지 초기 식산흥업 정책과 관련이 있는 구성으로 보인다. 이후 1921년 및 1926년의 전시 개편을 거치며 조선총독부 박물관의 전시내용은, 식민 주체의 역사 인식을 유물 전시를 표상하는 것에 집중되었다. 이후 1935년에는 시정 25년 기념 종합박물관 계획이 수립되어, 조선총독부 박물관과 남산의 과학관을 통합 이전한 형태의 미술 박물관 및 과학 박물관과 자원관이 계획되고, 추후 조선총독부 미술관의 건립도 추진된다. 이와 같은 계획은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문화 및 식산흥업 정책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종합박물관 계획에서 실제로 완성된 것은 조선총독부 미술관이 유일하며, 과학 박물관은 전시체제기의 정책적 필요성에 의해 공사가 추진되었으나 해방을 거치며 미완성에 그친다. 상기한 논의를 통해 식민지 시기 박물관 전시를 활용한 경복궁 개방에 대한 두 가지 해석을 제시하였다: 먼저 식민지 시기 박물관과 그 전시를 통한 경복궁의 개방은 조선총독부의 제국주의적 가치관 및 정책적 변화와 밀접하게 연동되어 변화해온 통치의 수단으로서 그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식민지 시기 박물관을 활용한 경복궁 개방은, 해방 이후의 경복궁의 활용 방식에 있어 부분적으로나마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opening of the Gyeongbokgung Palac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erms of the opening of the museum and its space. The idea of opening the Gyeongbokgung Palace and introducing the museum through its program can actually be traced back to the plan to build the building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the 1910s. At that time, the idea of the museum was not only in the form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Gyeongbokgung Palace being exclusively and clos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ut also implied that it was partly intended to open up the colonial society. The first case in which a museum was established inside the Gyeongbokgung Palace was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hich opened in 1915. In the early days of its opening(1915-1921 estimation), the museum was exhibited by the Hall of Current Conditions and the Hall of Transportation, which recycled and reorganized the exhibition space of the Joseon Industrial Expo(1915). This seems to be a composition related to the early colonial policy of food production. After the reorganization of the exhibition in 1921 and 1926, the contents of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focused on representing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colonial subjects. In 1935, the plan of the general museum for the 25th anniversary of rule was established, and the history museum, resource museum, and science museum were also designed, with the plan of moving and integration of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Namsan Science Museum. And in addition to these plans, the plan of the Museum of Art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as set up. Such plans can be interpreted as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and colonial industry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the 1930s. However, the only museum that was actually completed in the general museum plan was the Museum of Arts of Korean Government General, and the science museum was constructed due to the policy needs of the wartime regime but was not completed until the liberation(1945). As results of this study, Two interpretations of the opening of the Gyeongbokgung Palace using the museum’s exhibi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presented: the museum and its exhibition were closely linked to the imperial values and policy change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addition, the opening of the Gyeongbokgung Palace using the museum during the colonial period is likely to be a preliminary form of the use of the Gyeongbokgung Palace after the liberation.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에서의 국어정책-중등 국어교육을 중심으로-

        박화리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아시아문화연구 Vol.34 No.-

        Not confined within the current interpretation which views coercion of the Japanese language as a national language since the 3rd Chosun Educational Ordinance(1937) only as imperial or political maneuvers,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Japanese language came to be accommodated by Korean people as a national language by looking at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of the national language, above all things with the help of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Japanese linguist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a of high schools and girl’s high school while the previous studies did on those of elementary schools. Based on empirical research on textbook analysis, teaching methods, and notational system, this study approaches the subject interdisciplinary. Finally, the 1936 handbooks of national language teaching methods of Kyungsung Jeil high school and Jeonju girl’s high school allow this research to analyze the current national language teaching methods. Tracing the Japanese modernization during which Japanese studies of national language embraced linguistic issues domestic or foreign, we can witness how the Japanese language was experimented and degraded as a colonial national language, as seen on the Chosun secondary schools 본 논문은 국어로서 일본어의 강제가 조선어 탄압으로 이어지는 제국적 도구나 수단 혹은 정치적 메커니즘으로만 해석해 온 종래의 시각에서 한 걸음 나아가, 조선총독부 주도하 일본어교육을 일본어의 언어사적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거의 대부분 초등학교 과정에 중점을 둔 것과는 다르게 일본내지와 거의 동일한 국어교수가 적용된 상급교육과정인 중등학교 국어교육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선총독부의 자료를 토대로 학제개편을 통한 식민지교육의 성격을 분석했으며 그 결과 제1기부터 4기에 걸친 조선교육령 개정과 연동해서 각 시기에 따른 중등학교 국어교수 현황 속에서, (하시모토)고등국어독본 (권1-권8), 여자고등국어독본(권1-권6), (신편)고등국어독본 (권1-권10), 중등교육국문독본(권1-권10)을 분석, 조선총독부의 편수방침을 명확히 밝혔다. 또한 당시 조선총독부학무국편집과장 오다쇼고(小田省吾)의 『조선총독부편찬교과서개요』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조선교육에 필요한 교과서 편찬에 따른 표기법문제와 교과서 편찬 취지를 명시할 수 있었다. 끝으로 실제 교육 현장이었던 1936년 당시 대표적인 남자학교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와 여학교인 전주공립여자보통고등학교의 국어과수업 요강을 통해 중등교육의 실제운용방식을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이, 조선총독부가 교과서편찬을 시작으로 표기법문제는 물론이고 교수법문제에 이르기까지 적극적으로 국어교수에 관여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렇지만, 조선총독부의 국어정책이 후반으로 갈수록 조선인이라는 특징이 고려되지 않은 채, 내지화 되었고 그것은 당시 조선인의 심각한 언어문제로 나타났다. 즉, 일본의 ‘국어학’이 국수주의에서 못 벗어난 채 문자와 음성, 양자의 대립에 의한 언어학적 이상이 실현되지 못했던 것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조선에서의 국어정책

        박화리(Park, Hwa-ri)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아시아문화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국어로서 일본어의 강제가 조선어 탄압으로 이어지는 제국적 도구나 수단 혹은 정치적 메커니즘으로만 해석해 온 종래의 시각에서 한 걸음 나아가, 조선총독부 주도하 일본어교육을 일본어의 언어사적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거의 대부분 초등학교 과정에 중점을 둔 것과는 다르게 일본내지와 거의 동일한 국어교수가 적용된 상급교육과정인 중등학교 국어교육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선총독부의 자료를 토대로 학제개편을 통한 식민지교육의 성격을 분석했으며 그 결과 제1기부터 4기에 걸친 조선교육령 개정과 연동해서 각 시기에 따른 중등학교 국어교수 현황 속에서, (하시모토)고등국어독본 (권1-권8), 여자고등국어독본(권1-권6), (신편)고등국어독본 (권1-권10),중등교육국문독본(권1-권10)을 분석, 조선총독부의 편수방침을 명확히 밝혔다. 또한 당시 조선총독부학무국편집과장 오다쇼고(小田省吾)의 조선총독부편찬교과서개요 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조선교육에 필요한 교과서 편찬에 따른 표기법문제와 교과서 편찬 취지를 명시할 수 있었다. 끝으로 실제교육 현장이었던 1936년 당시 대표적인 남자학교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와 여학교인 전주공립여자보통고등학교의 국어과수업 요강을 통해 중등교육의 실제운용방식을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이, 조선총독부가 교과서편찬을 시작으로 표기법문제는 물론이고 교수법문제에 이르기까지 적극적으로 국어교수에 관여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렇지만, 조선총독부의 국어정책이 후반으로 갈수록 조선인이라는 특징이 고려되지 않은 채, 내지화 되었고 그것은 당시 조선인의 심각한 언어문제로 나타났다. 즉, 일본의 ‘국어학’이 국수주의에서 못 벗어난 채 문자와 음성, 양자의 대립에 의한 언어학적 이상이 실현되지 못했던 것이다. Not confined within the current interpretation which views coercion of the Japanese language as a national language since the 3rd Chosun Educational Ordinance(1937) only as imperial or political maneuvers,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the Japanese language came to be accommodated by Korean people as a national language by looking at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of the national language, above all things with the help of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Japanese linguist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national language curricula of high schools and girl’s high school while the previous studies did on those of elementary schools. Based on empirical research on textbook analysis, teaching methods, and notational system, this study approaches the subject interdisciplinary. Finally, the 1936 handbooks of national language teaching methods of Kyungsung Jeil high school and Jeonju girl’s high school allow this research to analyze the current national language teaching methods. Tracing the Japanese modernization during which Japanese studies of national language embraced linguistic issues domestic or foreign, we can witness how the Japanese language was experimented and degraded as a colonial national language, as seen on the Chosun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요코타 고로(橫田五郞)와 1920년대 조선총독부 사법부의 변화

        문준영 한국법사학회 2023 法史學硏究 Vol.68 No.-

        조선총독부 사법관의 인적 구성에 관한 그간의 연구는 주로 조선인 사법관들에 관심에 가져왔다. 반면 조선총독부의 사법 부문의 수뇌부 혹은 중추를 이루고 있던 일본인 사법관에 관한 연구는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일본인 사법관에 관한 연구는 병합을 전후한 시기 한국으로 건너온 자들을소개하는 데 치중하고 있으나, 그 시기 형성된 사법부 인적 진용이 식민지 시기 내내 유지된 것은아니다. 몇몇 연구에서 3.1 운동 이후 총독부 사법관료 집단 내에서 일어난 인적 교체가 지적된 바있다. 즉, 신임 법무국장 요코타 고로(橫田五郞) 부임 후, 종래 근무해온 사법관료들 및 사립학교출신이 주축이 된 파벌이 해체되고 조선 사법부 내부 및 일본 본국에서 관학 출신의 젊은 사법관들을 발탁하는 인적 쇄신과 세력 교체가 추진되었다는 것이다. 이 글은 요코타의 국장 부임 후 조선총독부 사법부의 인적 변화의 실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1920~40년대의 법무국장, 고등법원장, 고등법원 검사장은 거의 모두 요코타 고로라는 인물과 직접적,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1920년대 조선민사령과 조선형사령 등의 개정작업은 물론이고, 조선총독부 판사 정년제 도입, 고등법원장의 하급법원의 행정사무에 관한 지휘ㆍ감독권 확보, 조선사법협회(朝鮮司法協會)의 창립과 사법협회잡지(司法協會雜誌)의 창간, 고등법원 판례조사회(判例調査會)의 조직과 운영 등, 이 모든 일에 요코타가 법무국장 또는 고등법원장으로서 관여하였다. 그와 그의 사람들은1920~30년대 조선 사법계의 요로에 포진하며 고등법원장, 고등법원 부장, 고등법원 검사장, 법무국장 등의 자리를 거의 독식하다시피 하였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이 시기의 주요 입법과 정책이요코타 개인의 업적이라거나 요코타의 사람들로의 세력 교체에 따른 결과라고 단정해서는 안 될것이지만, 1920년대 이후 조선의 사법 수뇌부가 요코타와 직접,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있다는 점은결코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요코타가 출범시킨 사법협회와 고등법원 판례조사회는 그모델이 된 본국의 조직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높은 위상과 권위를 갖고 있었으며, 그 위상과 권위는간접적으로 1922년 12월의 조선총독부재판소령 개정에 따라 변화된 고등법원장의 권한과 관계가있다고 볼 수 있다면, 이를 요코타와 그의 사람들의 영향력을 지속시키는 데 일조한 기제로서 검토할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더 면밀한 고찰이 필요하다. Previous studies concerning the judicial officer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have predominantly focused on Korean lawyers, resulting in a relative lack of research on Japanese judicial officers who constituted the leadership or central part of the judicial branch within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Researches on Japanese judicial officials primarily concentrate on the early stages of the colonial period, but the composition of personnel established during that period did not persist throughout the entire colonial era. Several prior studies have highlighted a shift in power within the judicial branch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Following the appointment of Yokota Gorou (橫田五郞) as the new director of the Bureau of Legal Affairs in December 1919, the faction led by judicial officials who had served before and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and Japan was dissolved. This led to personnel reforms and a shift in power to favor the selection of young judicial officers from both the Joseon’s judiciary and Japan’s home country. Apart from the revisions made to the civil and criminal ordinances in the 1920s, Yokota was involved in introducing the retirement age system for judges, ensuring command and supervision of lower courts by the chief judge of the High Court, establishing the Joseon Judicature Society(朝鮮司法協會), founding the Journal of the Society(司法協會雜誌), and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High Court’s Case Research Committee(高等法院判例調査會). It should not be asserted that the major changes in legislation and policy during this period solely stemmed from Yokota’s individual achievements or the result of power shifting to the ‘Yokota faction’ within the judicial branch.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since the 1920s, the directors of the Bureau of Legal Affairs of the Government-General, chief judges and prosecutor-generals of the High Court have all been directly or indirectly associated with an individual named Yokota Goro. They held positions enabling them to influence critical decisions regarding legislation and policy.

      • KCI등재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상설 전시와 식민지 조선 문화 -전시 유물을 중심으로-

        김인덕 서울역사편찬원 2010 서울과 역사 Vol.- No.76

        근대 역사학에서 식민지 경험은 각종 현재적 문제를 풀어내는 요소를 제공하며 동시에 발전지상주의적 근대성론이 갖고 있는 정치적 목적지향론에 대한 객관적 시점을 제공한다. 동시에 지역의 다양성에 대한 역사적 경험에 대한 객관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시는 미학, 흥미위주의 전시와 정보를 제공하는 전시 그리고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전시 등이 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정치적인 의도가 전제된 조직된 왜곡의 현장이었다. 특히 시종일관 관장을 겸임한 藤田亮策과 같이 철저하게 관변학자의 조직적인 지도와 지원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전시학적인 차원에서의 합리적인 전시는 오브제들 사이의 유사성과 유전학적 관계 보편성에 기초한 전시를 시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박물관 전시는 본질을 흐리는 전시로밖에 설명이 불가능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위치상으로 볼 때 국가 조선과 조선 황실의 권위를 의도적으로 축소하는 데서 출발했다. 황실을 전시공간으로 만들고 역사성이 일탈된 공예품적 관점의 전시를 의도한 것이 조선총독부박물관이었다. 실제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전시는 공진회의 미술관을 계승하면서 출발하여 의도된 공간이었다. 조선총독부라는 지배자의 의도가 반영된 전시는 왜곡된 고대사와 축소된 조선시대를 핵심적인 공간으로 했다. 이러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본관의 상설전시는 불교, 대외관계, 왜곡된 상징성에 주목하여 한민족 문화의 본질, 시민적 요구, 인간중심주의에 벗어난 식민지적 왜곡을 진행한 ‘식민지 근대’를 보여주는 공간이었다. 핵심적인 전시품은 역사, 문예, 종교, 미술, 공예품과 선사시대의 유물이었는데 비교 전시의 방법을 통해 중국과 인도 및 일본의 유물을 동시에 보여주면서 왜곡된 역사상을 만들어 냈다. 결국 조선총독부박물관의 건립으로 경복궁은 ‘12만여 평의 대박물관’이 되었다. 특히 용도가 바뀐 공진회 미술관을 활용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상설 전시는 전시 기법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적은 공간에 대량의 유물이 무매개적으로 전시되면서 시대별, 종류별, 나열식 비교전시를 했다. 아울러 전시실 구조와 채광, 조명 등의 시설도 절대 문제를 갖고 있었다. 특히 부수적인 전시 공간으로 경복궁 내의 근정전, 사정전, 수정전 등을 사용한 것은 박물관의 조건으로서는 왜곡된 시설의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전시는 그 내용을 ‘식민 통치 정치’가 장악하여 타율성과 정체성, 일본 문화 중심적 관점의 심미안에 따른 불교 중심의 조선 문화를 강조하는 공간으로 전락했다. Colonial experiences in modern history provide elements solve present problems also provides objectification about political purposeful process that modern doctrine theory’s development for development’ sake included. At the same time, it requests objectification about diversity and historical experiences in region. Exhibitions are displaying esthetics, interests, information, and exhibition that shows ideas.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s the place where involved political purpose and manipulated distorted museum. In particular, this museum was supported and advised by thorough official scholar such as Fujida Ryosaku who had been director for a long time. Rational exhibition in academic could be explained as exhibition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similarities and genetics among objects. Exhibitions i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can only be expressed as losing essence. When seeing the loca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t started with intention reduce throne and royal authority. Japanese remodeled imperial rooms as exhibition space where displayed relics which lost historical meaning. Indeed, main building exhibi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the intended museum that inherit exhibition art gallery. Exhibition in the museum clearly presented ruler’s purpos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mainly about distorted ancient history and scaled chosun history down. Permanent exhibition in main building of museum took notice of Buddhism,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istorted symbols so that this was the place for showing distorted colonial era essence of Korean culture, demand as a citizen, anthropocentricism. Essential exhibits were the time of the prehistoric age such as history, religious, fine art, literature, handicrafts. Throughout compare with Chinese, Indian artifacts, Japanese made distorted history. To conclude, since the establishment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Kyung-bok palace became giant museum that involves 98 acre. Especially, there is an exhibit problem that permanent exhibition of main building untilized from art gallery. While many of relics displayed in limited space, they categorized with era, species. Also, structure of exhibition and lightning, skylight had problem as museum. In particular, using Keunjeong-jun, Sajeong-jun, and Sujeong-jun in Kyong-bok palace as displaying space was example of distorting facility and places. Followed exhibition i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ventually determined that Chosun culture as Buddhist in terms of Japanese aesthetic view by colonial ruling in Korea.

      • KCI등재

        조선문인협회 성립과정 연구

        이건제 ( Keon Je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4

        이 논문은 조선문인협회의 성립과정을 연구하였다. 총동원체제하 성립된 조선문인협회는 일제시대 최초의 친일문인단체였으니 이의 전 단계 단체와 행사로 조선가요협회(일명: 조선시가협회), 조선문예회, 그리고 ``북지황군 위문 문단사절`` 행사가 있었다. 본론으로서의 제2장에서는 조선문인협회가 성립하기까지의 과정을 다루었다. 제2장 제1절에서는 조선가요협회를 다루었다. 1929년에 만들어진 조선가요협회는 아직 조선총독부가 개입한 흔적이 보이지 않으나,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폄하하며 스스로의 존재근거를 내세우려 한바, 이후 친일문예단체의 기원이 되었다. 제2장 제2절에서는 조선문예회를 다루었다. 1937년에 만들어진 조선문예회는 조선가요협회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퇴영적 조선을 극복해가는, 일치하(日治下) 조선의 긍정적 기운을 문예를 통해 반영하고 발전시켜 갈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하지만 조선문예회 역시 전문 기예인의 부족으로 한계를 드러냈다. 제2장 제3절에서는 ``북지황군 위문 문단사절`` 행사를 다루었다. 조선총독부가 여태까지의 실험과 시행착오 끝에 본격 친일문인단체의 결성을 계획한바, 이에 대한 예비훈련 격으로 1939년 3~5월에 ``북지황군 위문 문단사절`` 행사를 기획 수행하였다. 제3장에서는 조선문인협회의 성립과 조선총독부 외곽단체로서의 증거를 다루었다. 제3장 제1절에서는 조선문인협회의 탄생 순간을 다루었다. ``북지황군위문 문단사절`` 행사를 수행한 뒤 1939년 10월에 일제시대 최초의 친일문인단체인 조선문인협회가 창립되었다. 이 조선문인협회는 총칼을 잡은 병사처럼 문인들이 붓을 잡고 내선일체와 신동아건설을 위해 싸울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제3장 제2절에서는 조선문인협회가 조선총독부 외곽단체인 증거를 제시하였다. 이에 여러 증거자료를 살펴본바, 조선문인협회는 조선총독부가 설립을 주도하였고, 총독부와 인적 또는 물적 관련을 갖는 한편, 여타 총독부 외곽단체의 하부단체이기도 하기에, 조선총독부 외곽단체임을 분명히 알 수 있었다. 이 조선문인협회는 더욱 강력한 조직인 조선문인보국회에 자리를 물려주는 1943년 4월까지 조선총독부의 문학적 하수인 역할을 충실히 해나갔다.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the process of formation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조선문인협회)`` under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of Japanese rule. And before ``Joseon Writers` Association``, there was two organaizations and one event for the formation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 such as ``Joseon Association for Song(조선가요협회)(aka, Joseon Association for Song and Poetry[조선시가협회])``, ``Joseon Association for Art and Literature(조선문예회)``, and the event of ``literary mission for comforting Japanese army of Northern China(북지황 군 위문 문단사절)``. In the chapter 2, I studied the process of formation to the birth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 In the first paragraph of chapter 2, I researched on the ``Joseon Association for Song``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1929. Even though there was no evidences that ``Governor-General of Joseon(조선총독부)`` had intervened the establishment of ``Joseon Association for Song``, this organization which had tried to claim their raison d`etre through belittling Korean history and culture, finally became the origin of pro-Japanese literary organization under Japanese rule. In the second paragraph of chapter 2, I researched on the ``Joseon Association for Art and Literature``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1937. ``Joseon Association for Art and Literature`` passed ``Joseon Association for Song`` ahead, aimed at reflecting and advancing the affirmative trend of Japanese rule by art and literature. But ``Joseon Association for Art and Literature`` also shown its limitations due to deficiency of professional artists and writers. In the third paragraph of chapter 2, I researched on the event of ``literary mission for comforting Japanese army of Northern China`` which had been gone forward from March to May in 1939. Through many trial and error, ``Governor-General of Joseon`` eventually set their plan of establishment of pro-Japanese literary organization. Therefore they realized the evnt of ``literary mission for comforting Japanese army of Northern China`` from March to May in 1939. In the chapter 3, I studied the moment of birth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 and the evidences which reveal the true character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 In the first paragraph of chapter 3, I researched on the ``Joseon Writers` Association`` which had been born on October in 1939. After the event of ``literary mission for comforting Japanese army of Northern China``, ``Joseon Writers` Association``, the first pro-Japanese literary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on October in 1939. This organization aimed at the struggle for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and ``construction of new East Asia`` by means of pen like a weapon of soldier. In the second paragraph of chapter 3, I researched on the evidences which reveal the true character of ``Joseon Writers` Association`` as a auxiliary organ of Governor-General of Joseon. Through inquiring into many evidences closely, I found the fact that ``Joseon Writers` Association`` was the auxiliary organ of Governor-General of Joseon. This ``Joseon Writers` Association`` gave its fealty to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until ``Joseon Writers` Association`` hand over its duty to ``Joseon Writers` Patriotic Association(조선문인보국회)`` on April in 194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