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차 修信使의 활동과 『朝鮮策略』의 도입

        李憲柱(Lee Heon-joo)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5

        1880년 5월 28일 조선정부는 제2차 修信使 金弘集을 일본으로 파견했고, 수신사 일행이 귀국한 직후부터 조선정부는 서둘러 조미수교와 개화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다. 김흥집이 駐日淸國公使館에서 받아온 『朝鮮策略』(이하 『策略』)이 정부 당국자들에게 큰 감명을 주어 개화정책 추진을 자극했던 것이다. 하지만 『策略』이 그 동안 淸國에서 전해진 정보와 내용상 별로 다르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조선정부의 적극적인 개화정책 추진이 과연 『책략』에 큰 감명을 받은 결과일까 하는 의구심이 든다. 본 논문에서는 『책략』 반입과 그 직후 개화정책을 주도했던 개화세력의 의도를 통해 『책략』 전래 이후 나타난 조선정부의 정책전환을 규명하고자 했다. 청국정부는 조선의 안전이 東三省, 나아가 중국 본토의 안전과 직결된다는 인식 속에서 1870년대 후반부터는 일본 · 러시아의 침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서양과 立約通商할 것을 조선에 적극적으로 권유했다. 조선의 수신사 파견을 좋은 기회로 보았던 청국정부의 지시에 따라 주일청국공사 일행은 수신사 일행에게 문호개방을 적극 권유했고, 마침내 『책략』을 저술하여 전달하기에 이르렀다. 조선을 위해 마련한 方策임을 표방하기는 했지만, 『책략』은 궁극적으로 청국의 위기상황을 타개할 목적으로 마련한, 청국을 위한 방책이었다. 『책략』 전달을 통해서 청국이 얻고자 한 것은 러시아의 위협을 막아내고 조선에 대한 청국의 종주권을 강화하는 것이었다. 반면 『책략』을 수용한 고종과 개화세력의 입장에서 『책략』은 防俄策으로서의 의미보다 조미수교와 개화정책을 추진하는 명분과 논리로서의 의미가 컸다. 斥邪論者들의 강한 반발로 인해 1876년 강화도조약을 '舊好重修'라는 명목으로 체결했기 때문에 이후 4년여가 경과하는 동안 어떠한 개화시책도 펼 수 없었던 조선정부 입장에서는 돌파구 마련이 절실했다. 『책략』 도입으로 정책추진의 명분과 논리를 획득한 조선정부는 유생들의 강력한 반발을 마침내 무릅쓰고 조미수교와 개화정책을 적극 추진했던 것이다. 요컨대 『책략』 도입 이후의 조선의 정책 변화는 자국의 안위를 고려한 청국정부와 개화정책을 추진하려 한 조선의 개화세력의 이해관계가 일치되어 나타난 결과였던 셈이다.

      • KCI등재

        黃遵憲의 『朝鮮策略』에 나타난 朝鮮自强策과 ‘地域’의식

        김수자 동양고전학회 2010 東洋古典硏究 Vol.40 No.-

        1880년 6월 조선정부는 수신사 김홍집 일본 파견은 이후 서구열강과의 조약 체결로 이어진다. 그 계기를 마련해 준 것이 黃遵憲이 저술한 朝鮮策略이다. 조선책략에서 黃遵憲은 조선에 청의 宗主權 강화와 미국과 조약 체결을 권하고 있다. 당시 청은 러시아의 남하를 막기 위해 미국을 끌어들인 것이다. 그리고 서양 열강에 실추된 청의 위신을 세우기 위해서 조선이 청의 속국임을 인정하도록 만들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조선의 개화지식인들은 미국과의 수교 체결을 소국인 조선이 취할 수 있는 자강책으로 이해하였다. 이는 조선의 부국강병을 목적으로 개화정책을 추진하던 고종과 개화지식인들에게는 당연한 것이었을지 모른다. 특히 그들은 미국과의 수교 체결을 萬國公法에 의거한 均勢之法으로 이해, 조선이 당시 취할 수 있었던 최선의 방법이라고 여겼던 것이다. 그리고 조선책략에서는 러시아를 방어하기 위한 책략으로 淸∙ 朝∙ 日 동아시아 3국의 ‘지역공동체적’ 연대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세계의 중심으로, 아시아의 중심으로 자부하고 있었던 청이 지리적 近接性을 들며 지역연대를 강조하는 것은 전통시대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것이었다. 그러나 러시아의 남하정책을 목격하면서 청은 조선에게 ‘지역의식’을 내세워 청과의 친밀, 일본에 대한 침략 의구심을 떨쳐야 한다며 일본과 盟約을 체결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미국까지도 일본과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있는 지역주의로 연결시켜 수교 맺을 것을 권하고 있다. 중국, 조선,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 ‘지역’의식은 러시아를 방어하며 ‘중국’을 보전하기 위해 강조되었던 것이지만 근대 이후 동아시아 3국은 그 어느 때보다도 동아시아 ‘지역공동체’를 새롭게 인식하며 서양열강의 진출, 러시아의 남하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In June of 1880, Choson government dispatched Kim Hongjip as the 2nd Susinsa, Special Envoy to Japan and ordered to collect information like context of enlightenment policy, development of advanced skill, and ambition of Japan to invade Choson. But the dispatch of the 2nd Susinsa had a meaning inspect of concluding treaty with western great Powers. The chance had arisen from Choson chaengnyak written by Hwang Jun Heon carried by Kim Hongjib returning from Japan observation. In Choson chaengnyak, Qing's official Hwang Jun Heon recommended Choson to enforcement of suzerainty on Qing and treaty wth U.S. Qing had a plan to resolve its foreign crisis by drawing into Choson. At that time Qing had drawn U.S. as a Russia's counterpart to prevent Russia downward policy. Qing also wanted to make arise its authority fallen by Western Powers by Choson's admitting as a subjective country of Qing. Choson's enlightenment intellectuals had understood the Choson-U.S. treaty suggested in Choson Chaengnak as an Empowerment Policy accepted by the small country, Choson. This might be a natural to Go-Jong and enlightenment elites, who had pursued an enlightenment policy to make Choson as a wealth and power country. Choson had a purpose to overcome foreign crisis by treaty with U.S. They, especially, had understood Choson-U.S. Treaty as a Balance of power by a International Law, and a best method to accomplish at that time. In Choson chaengnyak, it was found that the strategy of preventing Russia had emphasized coalition of local consciousness of community in East Asia; Qing, Choson, and Japan. It could not find in a traditional era that Qing, having pride as a center of world and Asia, had emphasized regional relationship with geological neighboring. Entering the modern time, especially overseeing Russia downward policy, Qing emphasized Choson to make close relationship on local consciousness with it, and conclusion of an ally with Japan casting away doubts. It had been also suggested that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U.S. by regionalism located in Atlantic Ocean between Japan. Among three country in East Asia; Qing, Japan, and Choson, already had a consensus of opinion about restraining from Russia's downward. As this, it can be figured out that after modern times, three country; Qing, Japan, and Choson, had newly recognized East Asia as 'Local Community', and corresponded to coming of Russia and other Western Powers.

      • KCI등재

        1882년 전후 동(東)아시아 론(論)의 형성(形成)과 조선(朝鮮) 지식인의 반응(反應)

        하정원 ( Jung Won Ha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1

        1882년을 전후로 동아시아가 당면한 문제 해결의 위한 논의가 있었다. 이는 서세동점이라는 전지구적 사건에 대한 동아시아 삼국 나름의 자구의 시도였다. 그 당시 동아시아론의 중심 주제는 조선이었고, 이는 조선의 지리적·정세적 위치 때문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동아시아 각국이 서세동점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극복할수 있는 대응을 모색하여 제출한 것이 황준헌의 『朝鮮策略』이다. 1880년 황준헌에 의해 작성된 이 문건은 親中國, 結日本, 聯美國으로 구체화 되어있다. 『조선책략』의 유입으로 인해 조선 내부에서는 본격적으로 동아시아론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어 조선은 壬午軍亂(1882년)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서구주도의 근대화의 과정에 편입되었고, 이는 근대 동아시아 형성의 계기가 되었다. 淸과 日의 간섭과 상호간의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던 동아시아론은 그 목적은 달리했으나하나의 동아시아를 구상하는데 기여했고, 근대 동아시아의 개념을 형성하는데 일조했다.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임오군란을 경험했던 조선 지식인들은 서세동점의 상속에서 자국의 생존에 대한 고민을 거듭하였지만, 제한된 정보와 외부 소통의 부재로 타자에 의해 해석된 근대를 접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임오군란기에 내방한 중국인사들을 통해 서구 주도의 근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안목을 확립하고 대응 방식을 수립하는 하나의 방편으로 삼았다. 그 과정에서 김창희는 군란 수습을 위해 내방한 중국인사들의 접빈을 맡아 이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외세에 대한 정보를 습득해 나가며 근대전환기 조선의 자구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 결과물로 제출된 것이 『六八補』이다. 이 문건은 張건과 李延祜의 대조선정책 보고서인 「朝鮮善後六策」과 「戎幕十議」에 대하여 조선의 실정에 맞추어 보충한 것이다. 「육팔보」의 주요내용은 민생과 국가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안을 기술한 것으로, 조선 當局자들이 주체를 확립하고 실행해야함을 주장하였다. 즉 조선 지식인으로서 그 당시 형성된 동아시아론에 대한 반응을 피력한 기술이자, 아울러 自强을 통해 서세동점의 조류에 맞서고자 했던 노력이라고 평가할 것이다. The discussion for resolving problems of East-Asia had faced, had started Around 1882. It was a trying as a resolve from the worry against the movement toward the East-Asia of the western countries by themselves. At that time, because of its geographical position and circumstances, the theme of the discussion was Chosun(朝鮮). In these progress, called as ``Suh Se Dong Jum(西勢東漸)``, East-Asian countries submit some results that called "Chosun Chaek Ryak(『朝鮮策略』)" written by Hwang Jun Hun(黃遵憲). The contents of this document written by Hwang Jun Hun(黃遵憲) in 1880, can be sum up as ``Having friendly relations with China``, ``Getting acquainted with Japan`` and ``Making alliance with America``. From the time after the "Chosun Chaek Ryak(『朝鮮策略』)" had flowed in Chosun(朝鮮), discussion for resolving the problems of East-asia were started In earnest. Then after ``Im O Gun Ran(壬午軍亂)`` occurred in 1882, Chosun(朝鮮) had led to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 earnest, and this had become the factor of formation of modern East Asia. The discussion of East-Asia that had arised in the process of interference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s between Ching(淸國) and Japan(日本), The purpose were different but contribute to an idea of making East-Asia initiative, and had been helped to form the modern idea of East Asia.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Chosun(朝鮮) clerisys who had experienced ``Im O Gun Ran(壬午軍亂)`` continued to worry about its own survival in the situation of ``Suh Se Dong Jum(西勢東漸)``, but they had been placed in the situation that are bound to encounter the Modern that had been interpreted by others because of the lack of information and the absence of external communication. So they had regarded as a perspective to prepare the modernization led by West, and a way to establish a corresponding way through Chinese personnel who visited in the period of ``Im O Gun Ran(壬午軍亂)``. In the process, Kim Chang Hee(金昌熙) who In charge of hosting for Chinese people who had come for quell the rebellion, had measured to save ChosunI(朝鮮) in transition period to modern, had been forming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m, and getting information about foreign, So That was ``Yupalbo(『六八補』)`` that had been submitted as results. This document had been supplemented for Policy report on ChosunI(朝鮮) written by ChangGun(張건) and Leeyunho(李延祜) that named Chosunsunhooryukchak (「朝鮮善後六策」) and Yungmaksipii(「戎幕十議」), in accordance with actual state of ChosunI(朝鮮). The main contents of ``Yupalbo(『六八補』)`` is welfare and national development issues that might be helpful in, insists politicians of ChosunI(朝鮮) should must run this agenda in the situation that establish a main agents. In other words, ``Yupalbo(『六八補』)`` can be estimated as the effort against the tide of ``SuhSeDongJum(西勢東漸)`` by making themselves stongly, and this is the document what express response, as a clerisy of ChosunI(朝鮮), for the discussion about East-Asian problems formed at the time.

      • KCI등재

        1880년대 초반 강위(姜瑋)의 일(日)·청(淸)여행과 조선 정부의 개화정책

        이헌주 ( Lee Heon-joo ) 우리한문학회 2020 漢文學報 Vol.43 No.-

        강위는 동아시아 삼국이 내우외환으로 큰 혼란을 겪던 격동의 19세기를 불꽃처럼 살다간 선각적 지식인이자 당대 조선을 대표하는 詩人이었다. 그는 한미한 무반 가계 출신이라는 신분적 한계로 인해 종신토록 자신의 포부와 역량을 충분히 펼 수 있는 지위를 얻을 수 없었다. 하지만 뛰어난 식견으로 문호 개방을 전후한 시기 위정자들이 정책 결정을 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고, 한문학에서도 한말 사대가로 불릴 정도로 큰 족적을 남겼다. 본 논문에서는 1880년대에 강위가 감행한 두 차례의 일본 여행과 연이은 중국 상해 여행을 중심으로 그의 만년의 삶을 다루었다. 강위는 환갑이 되던 년 제 차 수신사 1880 2 김홍집을 수행하여 첫 번째 일본 여행을 했고, 2년 후인1882년초김옥균과함께두 번째 일본여행에 나섰다. 제2차수신사행에서 일행에게는 조일 양국의 외교적 현안의 해결과 이홍장이 보낸 밀함과 관련한 일본의 동정 파악과 개화 문물의 시찰이라는 명확한 소임이 있었다. 이 때문에 수신사 일행의 움직임은 외교 현안 해결에 집중되었고, 개화문물 시찰이나 일본 측 인사들과의 교유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반면 일본의 국정 탐색과 함께 국채 모집의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1882년의 일본 여행에서는 상대적으로 기간과 세부 일정 등에서 여유가 있었다. 덕분에 메이지 일본이 추진하고 있는 근대화의 실상을 자세히 살피고 다양한 인사들과 교유할 수 있었다. 조선 정부는 제2차 수신사행이 귀국 때 『조선책략』을 가져오자, 이를 계기로 강화도조약 체결 이후 별다른 진척이 없었던 개화정책 추진을 가속화하였고, 청국 정부에도 영선사를 파견하여 미국과의 수교를 주선해줄 것을 요청하여 조미조약을 조인하였다. 하지만『조선책략』의 반입으로 국내에는 거센 반개화 운동이 촉발되었는데, 강위는 유생들의 반대 논리를 반박하는 두 편의 글을 지어 개화정책 추진의 정당성을 옹호하였다. 이는 조선 정부의 대미수교 개화정책 추진의 논리와 명분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두 차례의 일본 여행을 통해서 강위는 일본의 근대화 추진 실태와 함께 흥아회가 주창하는 ‘아시아 연대론’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귀국하던 중 임오군란 소식을 듣고 어윤중과 사태 수습을 논의하기 위해 天津방문을 계획했던 강위는 이후 양무운동의 산실인 상해의 근대문물을 살펴보고 귀국하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였다. 이미 두 차례의 여행을 통해 일본의 근대화 추진 실태를 살펴보았으니 청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양무운동의 성과도 직접 눈으로 보고 싶었던 것이다. 강위가 청일 양국의 근대화 정책 추진의 실태를 두루 살피고 귀국한 것은 1882년 11월의 일이다. 귀국 후 그가 어떤 활동을 했는지는 명확히 확인되지 않아 아쉬움이 크다. 이는 고령의 나이에 무리한 외유를 했던 후유증 때문이기도 있지만, 김옥균 등 개화당 인사들과 친밀했던 그의 이력으로 인해 갑신정변 실패 이후 기록의 대부분이 인멸되었기 때문이다. Gang Wi is a visionary intellectual and iconic poet of his time who lived like a flame in swirling turbulence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were stuck in great confusion due to troubles at home and abroad. His relatively lowly social status from a military noble family prevented him from obtaining a position and opportunity to be able to exercise his aspirations and capabilities for life. However, his outstanding knowledge and deep insight made a great impact on politicians in making their policy decisions around the time of the opening the national door to foreign countries and left a distinct mark in Sino-Korean literature as one of the four mast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late years of his life when he took two trips to Japan, followed by to Shanghai, China. Gang Wi took the first trip to Japan in 1880 when he turned 60 years of age to accompany Kim Hong-jip, the second envoy to Japan(第2次 修信使), and made another trip two years later in early 1882 together with Kim Ok-gyun. The second envoy team had clear duties of resolving pending diplomatic issu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dentifying what Japan was up to with regards to the documents sent by Li Hung-chang and inspecting the civilized culture of Japan at the time. Accordingly, the envoy team focused on resolving pending diplomatic issues with limited resources assigned to inspecting the civilized culture and the exchanging friendship with Japanese officials. On the other hand, his second trip to Japan in 1882, which appeared to be intended to understand the Japan’s state affairs and to raise funds with government bonds, allowed more leeway for the envoy to set the schedule and itinerary. For this reason, they were able to make a closer inspection of ongoing Meiji Restoration and modernization sought by Japan and to meet with various figures. The second envoy team brought the Strategy for Korea(『朝鮮策略』) on its way back from Japan and the Joseon Dynasty accelerated its policy of progressive movement, which had made little progress since signing the Ganghwado Treaty, sent another envoy to the Qing Empire to ask for an arrangement for a treaty with US and eventually signed the Joseon United States Treaty in 1882. However, the introduction of the Strategy for Korea triggered a strong anti-progressive movement in Korea while Gang Wi defended the legitimacy of implementing the progressive policy by writing two articles refuting the anti-progressive movement among Confucian scholars, which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it provided the reason and justification for the Joseon government to push ahead with making a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and promoting its progressive policies. The two trips to Japan allowed Gang Wi to develop keen interest in Japan’s modernization move and the Theory of Asian Solidarity(亞細亞連帶論) sought by Heungaheu(興亞會). Hearing the the Im-O Military Revolt(壬午軍亂) on his way back home, Gang Wi decided to inspect the modernization of Shanghai, the cradle of the Chinese Westernized Reform(洋務運動) before returning home, after discarding his original plan to visit Tianjin to discuss how to respond to the situation with Eo Yun-jung. He wanted to witness the achievements of the Chinese Westernized Reform led by the Qing Dynasty after examining the Japan’s modernization status through two previous trips. It was in November 1882 that Gang Wi returned home after inspecting the ongoing modernization of the two countries. It is a pity that we are not able to gain a clear understanding of what activities he engaged in after returning home due partly to the aftereffects of his overstretched overseas trips at a late age and partly to the destruction of most of the relevant records following the failure of the Gapsin Coup orchestrated by the Enlightment Party due to hi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arty’s key figures, including Kim Ok-gyun.

      • KCI등재

        A Macro-level Approach to English in the History of early Modern Korea, 1882-1899

        이기석(Ki-Suk Lee) 미래영어영문학회 2016 영어영문학 Vol.21 No.1

        한국의 영어는 19세기 말 서구열강의 제국주의가 조선에 진출하던 때부터 시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1882년 조미수호조약을 서명하는 순간부터 공식적으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는 바, 이 때 한-영 통역관이 없었고 그 조약문도 영어와 중국어로 작성되는 등, 언어적 불평등을 겪게 된다. 그 후 1883년 보빙사의 미국 방문을 계기로 한국과 미국 사이에는 국가적 대등관계가 형성되기 어렵게 되었고 따라서 영어와 한국어 사이의 위상도 동등한 위치에 놓이기 어렵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영어의 수용 및 교육, 확산의 관점에서 볼 때, 그 동안 많은 연구업적을 이룬 바 있는 영어 학습방법을 중심으로 하는 마이크로 차원 (micro-level)의 연구를 지양하고 Pennycook (2001)의 비평적 응용언어학 (critical applied linguistics) 관점에서 한국의 영어를 매크로 차원(macro-level)의 연구로 접근해 본다. 이와 같은 시도에서는 영어의 도입과 확산의 문제, 및 영어교육의 문제를 사회, 정치, 역사, 문화적 관점과 연관 지어 연구를 하게 된다. 특히 19세기 말 조선이 처해 있었던 국제 지정학적 상황에서 영어가 조선정부의 전폭적인 지지 속에 도입되는 배경을 Phillipson (1992)의 언어제국주의 시각으로 조명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제국주의의 역학관계를 제안한 Galtung (1980)의 국주의 구조, 즉 지배적 입장에 있는 중심부 (Center)와 피지배적 입장에 있는 주변부 (Periphery)의 이분법을 도입하고, 또 중심부 내부에서의 중심부 (cC)와 주변부 (pC), 주변부 내부에서의 중심부(cP) 와 주변부 (pP)의 개념을 도입한다. 다른 한편으로 조미수호조약 이전에 이미 황준헌의 “조선책략”이 제시하는 이른바 연미론 (allying with the U. S.)에 의지해서 조선은 19세기 말 미국을 선택하게 되고, 고종은 이 미국을 조선독립의 조력 국가로까지 인정하게 된다. 이런 맥락 속에서 조미수호조약과, 보빙사의 미국방문, Allen을 중심으로 Underwood와 Appenzeller 같은 미국 선교사들의 의료 및 교육을 통한 선교사업 등이 중심부 미국과 주변부 조선 사이의 제국주의 불평등 속에 이루어져 간다. Phillipson (1992)에 따르면 여러 유형의 제국주의가 있지만, 그 어느 것이든 간에 이 양자 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중요한 도구가 언어이며, 한미 간에는 곧 영어가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본다. 이 뿐만 아니라 당시에 세워지기 시작한 영어학교, 예를 들어 1883년의 동문학, 1886년의 육영공원, 그 이후 한성학교에서의 영어교육을 고찰해 볼 때, 이들 교육기관은 Galtung의 이론으로 본다면, 미국의 cC와 연결되어 있는 한국 내의 cP 역할을 감당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시 이 cP는 한국 내의 pP에게 힘으로 작용된다. 이 제국주의 이론에 따라서 당시 조선의 입장에서 볼 때, 영어는 조선의 독립을 좌지우지할 만큼의 대단한 힘으로 작용했으며, 바로 이 때문에 실제로 개화파를 중심으로 하는 대부분의 조선의 지도자들은 영어 구사의 능력을 갖추어 나갔다고 본다.

      • 소학교 조선어문수업에서 학생들의 사유능력배양에 존재하는 문제 및 해결책략

        강홍화(姜?花),안성애(安成?)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21 중국조선어문 Vol.233 No.-

        기초교육단계는 학생들이 사유능력을 키우는 황금시기로서 금후의 학습과 생활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 따라서 사유능력은 조선어문핵심소양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요소로 되고 있다. 본 론문에서는 소학교 조선어문수업에서 학생들의 사유능력을 배양함에 있어서 존재하는 문제를 주로 시험, 문제설계, 교재의 사용, 교원의 인도 등 네가지 방면에서 찾고 교원의 관념갱신, 문제설계, 교재에서 사유훈련문제를 발굴하기, 교원의 지도 등 네가지 방면으로 그 해결책략을 제시해보았다.

      • 조선어 듣기리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따른 교수방안 연구

        한조원(?兆元)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8 중국조선어문 Vol.215 No.-

        본 론문은 한국어 듣기리해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들에 대한 연구분석과 더불어 조선어전공 4급시험에서의 듣기령역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조선어 듣기수업, 듣기련습 등 과정에서 어떠한 책략을 구사할 것인가를 모색함으로써 듣기수업에서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학생들의 듣기수준을 한단계 더 끌어올리는 데 취지를 두었다.

      • KCI등재

        만국공법과 위정척사론

        조현걸 ( Hyun Keol Cho ) 대한정치학회 2016 大韓政治學會報 Vol.24 No.1

        본 논문은 만국공법에 대한 위정척사론자의 인식과 반응을 논구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편의상 시기를 2단계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제1기는 만국공법의 수용기로서 ‘신사척사운동기’이며, 제2기는 만국공법의 확산기로서 을미사변 이후이다. ‘만국공법’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근대 국제법으로서 만국공법과, 마틴이 한역한 서책으로서 『만국공법』이다. 따라서 제2장에서는 『만국공법』의 간행과 『만국공법』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조선에 만국공법이 수용되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제4장에서는 위정척사론자의 만국공법에 대한 인식과 반응을 고찰하였다. 제1기 만국공법 수용기의 위정척사론자 들, 즉 신사척사운동기의 척사론자들은 일반적으로 만국공법에 대해 부정적 내지 무관심의 태도를 보였다. 제2기 만국공법의 확산기에 있어서는, 당시 위정척사론을 주도한 최익현의 인식과 반응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법적 원리들을 수용한 최익현은 공법적 질서에 조선이 당당히 편입함으로써 조선의 자주와 자립을 실현하기를 희망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방편적ㆍ전략적인 것이었으며, 궁극적으로 조선이 이적과 금수로 전락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 즉 소중화 조선을 조선다운 나라로 보존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actions of those who had claimed the theory of Wijungchugsa(defending orthodoxy and heterodoxy) to the International Law.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search, in this paper I have studied by dividing the period into two. The International Law contains two meanings. First it means the modern international law, second it means the name of the book 『The International Law』 translated by W. A. P. Martin in Chinese. In Chapter Ⅱ, I tried to study 『The International Law』 and the features of the book. In Chapter Ⅲ, I examined the process 『The International Law』 was introduced to Korea. And In Chapter Ⅳ, I tried to search their reaction and perception of the theorist of Wijungchugsait about the International Law. The International Law was widely known by Hwang Junhun`s 『Chosun Stratagem』 that Kim Honggip brought from the author of the book in Japan into Chosun. When Hwang Junhun`s 『Chosun Stratagem』 has been known, some people showed a positive reaction, yet some exhibited a negative reaction. In the first stage receptors that is the Wijungchugsa movement in the early 1880`s, most of the theorist of Wijungchugsa were denied or ignored it. In the second stage diffuser, Choi Ikhyun was typical figures who led the Wijungchugsa movement. Choi Ikhyun showed a positive response and recognition for the International Law. He had wanted to defend Korea`s sovereignty by the International Law. And he had tried to find a way to better preserve the traditional value and order of Korea by the International Law.

      • KCI등재
      • KCI등재

        淸末 중국의 變革사조와 근대日本 인식

        曺秉漢(Cho Byong-Han)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8

        1895년 청일전쟁의 참패와 함께 康有爲 중심의 變法派의 주도하에 시작된 근대적 政體개혁운동은 1898년 강유위의 급속한 황제 접근에 따른 북경 정부의 실패한 戊戌개혁으로 그 최종 단계에 이르렀다. 일본의 메이지[明治]維新을 모델로 삼은 이 해의 개혁운동에서 그 구체적 정치개혁안을 제공한 두 지침서로 黃遵憲의 經世的 역사서인 『日本國志』와 강유위의 정책서인 『日本變政考』가 큰 영향력이 있었다. 1877년 첫 일본 주재 외교관인 황준헌이 1887년에 완성한 『일본국지』는 변법운동이 막 시작된 1895년에야 출간되어 황제와 변법파의 주목을 받고 강유위의 책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는 유교 윤리를 옹호하는 면에서 中體西用論의 잔재가 강유위 일파보다 더 강했다. 그러나 『일본국지』는 유신정부 수립후의 질서있는 개혁정책 추진과정뿐 아니라 그 이전의 개항을 둘러싼 尊王攘夷운동으로부터 막부 타도, 天皇制 관료정부 수립에 이르는 尊王倒幕의 혁명적 내전 과정을 서술함으로써 근대 일본의 국체 변혁과 지사들의 애국적 희생을 포함한 동태적 역사의 전모를 정확하게 소개하는 장점이 있었다. 그 반면 개혁적 황제당 관료의 협력 아래 민간 신사층의 조직화와 공론 형성을 위한 유토피아적 개혁 이데올로기 창출에 주력해왔던 강유위는 황제에의 접근을 통한 급속한 정치개혁의 추진이 당면과제가 되자 『일본변정고』의 저술을 통해 일본 모델에 따른 전략적 정책 지침을 마련하게 되었다. 『일본국지』나 『일본변정고』 모두 유교적 경세론의 연장선에서 官紳ㆍ士人層 등 비교적 광범한 계층의 公論에 기초한 官制 개혁이 변법 이론의 중심이었다. 또한 그들이 이해한 메이지유신의 개혁 모델은 입법ㆍ행정권이 분화된 법치적 관료국가를 수립하는 것으로 귀결되는 것이었다. 만국 公道(公理)에 따른 근대국가의 정체 개혁은 민주적 정체와는 무관한 것이며, 한 때 제기했던 의회 설립도 황제권에 의존한 중앙집권적 개혁이 추진되는 현실에서 유보될 수밖에 없었다. 湖南 정치개혁에서 황준헌은 省 단위 지방자치를 중시했으며, 강유위 일파는 중국분할의 위기 앞에 망국후의 개혁 거점으로서 省 독립에 언급하더니 결국 북경중앙의 개혁에 집중해 쿠데타 정국으로 끝났다. 북경의 개혁정국을 주도한 강유위의 『일본변정고』는 황제권에 의존한 중앙집권적 개혁의 질서있는 추진을 위해 일본 유신의 혁명적 동란 과정을 생략하고, 유신정부 수립후 약 10여 년간 天皇制를 중심으로 오꾸보 도시미찌(大久保利通) 등 개혁파 관료 주도하의 근대적 정체변혁 과정만을 집중적으로 해설해 의도적인 역사 왜곡을 하고 있다. 황준헌은 『日本雜事詩』와 『일본국지』를 통해 일본의 역사와 문화, 특히 일본 유교인 漢學의 전통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통해 華夷的 정통론을 탈피하고 역사상 대등국으로서 일본의 독립성을 인정했다. 중ㆍ일간의 同種ㆍ同文 의식, 유교 문화권으로서의 중ㆍ일 연대의 낙관적 전망을 신뢰하고 일본인이 제창한 아시아주의에도 호응했다. 메이지유신 이후 서구화에 따른 일본의 한학 멸시에 그가 항의한 것도 동아시아 유교 문화권의 지속성과 관련된 것이었다. 이 같은 동아시아 연대론에 입각해 『朝鮮策略』을 통해 조선과 중ㆍ일ㆍ미국의 대러시아 협력과 조선의 개방과 개혁을 권고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조선과 중국간의 전통적 조공ㆍ책봉관계를 서구적 조약체제와 결합해 근대적 종속 관계로 전환하는 동아시아 외교전략을 제안하기도 했다. The Reform movement(變法운동), which was led by K'ang Youwei(康有爲) since China's total defeat in sino-japanese war, reached to the final phase of the Movement in Beijing court's attempt to drive reforms following K'angs access to the Guangxu(光緖) emperor in 1898. The reforms were guided by the policies and political steps, modeling after the Meiji Restoration of modern Japan, which was furnished the emperor and reformists with through two books, Annals of Japan(日本國志) written by Huang Zunxian(黃遵憲), and On Japanese Political Reform(日本變政考) by K'ang Youwei. The former book, whose writing was finished until 1877, was printed in 1895, and had an effect on K'ang's book. Even though Huang was more conservative than K'ang and his zealots in defending the traditional Confucian ethics, But Annals of Japan had merits to introduce the whole history of Meiji restoration including the reformation of national polity and the heroic sacrifices of patriots by describing the civil war to overthrow Tokugawa shogunate(德川幕府)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modern bureaucratic government under the imperial polity. Whatever books, written about Japan in contemporary China, wasn't more detailed and accurate than Huang's book. Under the support of the emperor party, converted from Confucian fundament- alism recently, K'ang Youwei had strived for the formation of reformist opinions and the mobilization of Confucian literati societies in several provinces, and converted hastily for the centralized institutional reforms promoted by imperial court. Both books of Huang and K'ang had almost common reformist views that were founded on the public opinion and the reform of bureaucratic institutions, originated from the Confucian statecraft of Chinese literati, or gentry class. They understood that the reformist model of Meiji restoration was resulted in the constitutional government, sustained by modern bureaucracy. The reform of national polity, inclined for the universal principle didn't mean the fulfil of Western democracy. Therefore, K'ang's proposal to establish the parliament should be reserved in future, as the reform was dependent upon the emperor's power, controlled by the Empress Dowager. This is the reason why in K'ang's book, the main themes were the modern reform of political institutions promoted orderly under the powerful leadership of centralized bureaucratic government during ten years and more, avoiding to describe the civil war, nearly revolutionary, before the reformists seized the power to overthrow the old Bakuhu regime. Huang Zunxian also had researched on Japanese history and culture, especially Japanese tradition of Confucianism, in which he found the close cultural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China and Japan. Not attaching to the Sino-centric orthodox faith to discriminate between civilized China and barbarian foreigners, he confirmed Japan as China's equal neighboring state, and joined to Pan-Asianism advocated by Japanese against the West, especially Russia, holding the prospect to attain Sino-Japanese solidarity on the common racial and cultural basis. His conviction of the continuity of Confucian cultural circle in the East Asian area made him criticize Japanese contempt against old Chinese learning(漢學) following Japanese rapid westernization. His another book, Korean stratagem(朝鮮策略) recommended the Korean court to cooperate with China and Japan, and take the open-door policy to the United States against Russian aggression. But Huang contended that Korea should accept China's priority as suzerain state in Korean diplomacy by combining the pre-modern tributary order with the modern treaty system, and study China's conservative Yangwu(洋務) reforms for the self-strengthening(自强)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