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약의 제사장과 현대의 목회자

        이영미(Lee Yeong-M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3 신학사상 Vol.0 No.160

        제사장에 관한 구약의 언급들을 종합해 보면 고대 이스라엘에는 크게 아론계열,레위계열,사독계열의 세 부류의 제사장 집단이 있었다 이 들의 지위는 역사적 단계에 따라 달라졌는데 왕정시대에는 레위계열 제사장들은 지방 성소를 중심으로 제의와 성전과 관련된 업무,그리고 율법을 지키고 가르치는 일을 담당했으며 예루살렘 성전은 사독계열 제사장이 담당해 왔다. 중앙제의 화를 핵심으로 하는 요시야 종교개혁은 지방제사장이었던 레위계열 제사장들의 지위를 약화시켰고 이들은 율법을 지키고 가르치는 일에 주력하게 되었다.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로 사독계열 제사장은 포로지로 잡혀가고 남아 있던 아론계열 제사장이 제의를 담당하게 되었다. 고레스 칙령으로 포로지에서 사독계열 제사장이 유다로 돌아오면서 제사장들 간의 갈등이 심해졌는데 궁극적으로는 사독계열 제사장이 성전의 주도권을 차지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아론계열 제사장과 레위계열 제사장과 타협을 이루어 제사장은 아론의 후손이며 레위지파로 통합되었다. 신명기 법전의 제사장의 수입원에 관한 규정은 제사장들의 역할이 무엇인가를 불문하고 하나님의 성별된 지파로서 성전에 바쳐진 제물과 십일조에 의존해서 살아가도록 규정하였다. 성직자들이 지나치게 재물을 축적하거나 극빈의 기초생활이 보장되지 못하는 양극의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제사장의 임무도 제의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율법을 지키고 가르치는 일과 성전의 재정 관리,재판 등 다양하였다. 말라기 1 장 6 절에서 2장 9 절의 제사장에 대한 비판논쟁은 제의와 율법을 지키고 가르치는 것, 둘 모두 중요한 제사장 본연의 임무임을 보여준다,거짓된 제의와 율법을 가르치고 실천하지 못함으로써 하나님의 이름을 영화롭게 하지 못하는 제사장들은 하나님과의 생명과 평강의 언약을 캔 것이며 백성들 앞에서 멸시와 천대를 당하는 수모를 겪게 된다. 말라기의 제사장 비판은 오늘날의 목회자들 역시 참 목회란 교회건물의 대형화와 교인수의 확대 등의 외적 성전권력의 확장에 있지 않고 하나님의 백성으로 하여금 회개하며 하나님의 율법을 행하도록 이끄는 소명을 담당하는 것임을 다시 성찰하게 한다. The present article aims to reflect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ministers in the modern society through the status and roles of priest in the Old Testament. For this purpose, it briefly reviews the history of priesthood of ancient Israel and examines the prophet Malachi's criticism on cultic priests in Malachi 1 :6-2:9. The biblical texts on priest shows that there are three main priest families in the Old Testament: Aaronites, Levites, Zadokites. Unlike the common prejudice, the priests not only took charge of the cult, performing sacrifices, but also involved in interpreting and teaching the Torah, collecting tithe, and even military duties in relation to the temple. Their status and roles had been changed according to different historical stage. The fate of the temple played major role in defi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priests. During the early Israelite society, priests were not necessarily from the tribe of Levi. But from the period of Monarchy, all the priests were categorized under the Levites, which refer to all kinds of ministry workers in relation to the cult or temple. During the monarchy, the Zadokite priests served in Jerusalem temple; the Levite priests, the local cults, until the reform of Josiah. The centralization of the cult by Josiah's reform threatened the Levites priests who lost their local cult. Their role seemed to focus more on teaching than cultic performance since then. In the post-exilic period, Zadokite priests were conflicted with Levi priests and took the authority over the cult and the Temple. The Levite priests work to interpret and teach the Torah and serve other ministries in the Temple. The prophet Malachi addressed critical debate against the priest. The prophet used an inclusive term for all priests, the Levites, that diminishes the division. among priests. He proclaimed that the true priesthood is to carry right sacrifice to God and to teach and live according to the Torah. The prophetic proclamation against culti

      • KCI등재

        성막과 제사장의 관계와 그 의의

        배선복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23 Canon&Culture Vol.17 No.2

        본 연구는 성막, 제사장, 이스라엘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제사장 법전이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살펴본다. 제사장 법전과 성결 법전에서 성막은 ‘배타적 중앙 성소’이다. 다른 장소에서의 예배는 허용되지 않는다. 제사장 법전의 성막이 ‘배타적 중앙 성소’라는 가장 강력한 근거는 이 성막은 야훼가 직접 임재하여 거주하는 장소라는 이야기 배경이다. 이 이야기 배경은 제사장 법전이 이스라엘에게 언제나 중앙 성소에서 야훼를 경배할 것을 명령하는 이유가 된다. 다음으로 제사장 법전과 성결 법전은 제사장의 역할을 강조한 다. 오직 제사장만이 제사를 집전할 수 있다. 고대 근동의 다른 종교 관습과 비교할 때, 눈에 띄는 차이점은 제사장 법전은 제사장들이 피로 제단과 성막의 부정을 처리하는 방식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는 점이다. 제물의 피는 오직 제사장만 다룰 수 있고, 이것은 제사장의 특권을 ‘지시’한다. 특히 피를 가지고 성막 곳곳에 접근하여, 오염된 것을 정화 할 수 있었다는 것은, 비제사장보다 제사장이 성막과 더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이것이 그들에게 우월한 신분과 특권을 제공한다는 것을 드러낸다. 이러한 주석적 연구를 염두에 두고, 본 연구는 결론에서 유형의 교회를 거부하는 일부 경향에 대해, 성경과 성서학이 무엇을 어떻게 말할 수 있는지를 간단하게 살펴본다. This study examines the tabernacle, the priests, Israel, the priestly la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the priestly law and the holiness law, the tabernacle is the ‘exclusive central sanctuary’. Worship in other places is not permitted. The most powerful reason that the tabernacle of the priestly code is the ‘exclusive central sanctuary’ is the story background that this tabernacle is a place where Yahweh is directly present and dwells. This story background is the reason why the priestly law commands Israel to always worship Yahweh in the central sanctuary. Next, the priestly law and the holiness law emphasize the role of the priest. Only the priests could officiate the sacrifices. Compared to other religious practices in the ancient Near East, a notable difference is that the priestly law pays much attention to the way priests deals with the uncleanness of the altar and the tabernacle by blood. The blood of the sacrifice could only be handled by the priest, and this ‘indexes’ the privileges of the priest. In particular, being able to approach every corner of the tabernacle with blood and purify the contaminated parts reveals the priests’ closer relationship with the tabernacle than the non-priests. With this exegetical study in mind, this study finally, though briefly, discusses in its conclusion what and how the Bible and biblical studies can say about some of the recent tendencies to avoid the institutional church.

      • KCI등재

        신명기에서의 레위인

        민경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2 장신논단 Vol.44 No.4

        There has been no scholarly consensus about the Levites in Deuteronomy. Some contend that they were subordinate to the priests as in the Priestly document. Others,however, object to this contention in terms that the same office as the priests was also given to the Levites. This study seeks the real aspect of the Levites in Deuteronomy. We first analyze the texts referring to ‘Levites’ and ‘priests’, and then answer to the questions raised from the analysis. In doing so, the followings can be observed and put forward as our conclusions:(1) Deuteronomy frequently depicts the Levites as those who should be economically taken care of. This shows that there was a period when a discrepancy existed between the Levites and the priests, and the Levites were excluded from the temple office. (2) Some texts(10:8; 18:5-7) assert that the cultic affairs of the centralized temple were open to the Levites. (3) Out of the Levites, some who served in the temple are called ~ywlh ~ynhkh in Deuteronomy. This asyndeton phrase is combined with ~ywlh and ~ynhkh which denote origin and status respectively. Thus it can be translated as “the priests originating from the Levites”, who differed from the common Priests. (4) The principle of “origin and status” between the two words above can also be applied to another important phrase ywl jbX-lk ~ywlh ~ynhkh(18:1), for the first two words are written without any conjunctive to the last two words. It means that “all the tribes of Levi” can be “the priests originating from the Levites”. As a corollary, it may be allowed to conclude that in Deuteronomy all the Levites have the privilege of serving in the temple and are on par with the priests. (5) This conclusion implies that a long time has passed for the Levites’s cultic promotion since Josiah’s reformation and Deuteronomy may have been written at a later time. 신명기 안의 레위인의 위치에 대해 의견이 상충되어 왔다. 한쪽은 P문서처럼제사장에 종속된 계층이었다고 보지만, 다른 한쪽은 레위인에게도 제사장과 똑같은 권리가 주어졌다며 이를 반박한다. 본 연구는 신명기 안에 언급된 레위인 본문과 제사장 본문을 분석한다. 이 분석 및 이로부터 파생된 중요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1) 신명기는 레위인들을 경제적 돌봄이 필요한 자로 여러 차례 묘사하고 있어제사장들로부터 차별됐었던 역사, 곧 요시야의 종교개혁 이후 중앙성소 업무에서배제된 채 지내야 했던 레위인들의 삶을 ‘반영’한다. (2) 일부 구절들(10:8; 18:5-7)은 레위인들에게도 제사장 직무를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레위인들 중 일부는 제단업무를 수행했었지만, 지방에서 율법을 가르치는 업무 등에 주력했던 이들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었다. (3) 레위인들 중에서 제사장 직무를 하게 된 이들을 신명기는 ~ywlh ~ynhkh <하코하님 하르위임>이라고 부른다. 접속사 없이 사용된(asyndeton) 이 어구 중 뒷단어 ~ywlh<하르위임>은 ‘기원’을, 앞 단어 ~ynhkh<하코하님>은 ‘직책’을 가리킨다. 따라서 이 어구는 “레위인 출신의 제사장들”로 번역할 수 있으며, 이들은 예루살렘에서 제단 업무를 줄곧 보아 왔던 제사장 가문 출신의 제사장들과 구분된다. 이 어구는 요시야의 예루살렘의 중앙성소화 정책 이후 소외됐던 레위인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예루살렘 중앙성소에서 일하게 된 과정이 있었음을 암시한다. (4) ywl jbX-lk ~ywlh ~ynhkh<하코하님 하르위임 콜 쉐베트 레위>(18:1)에서 ~ywlh ~ynhkh<하코하님 하르위임>과 ywl jbX-lk<콜 쉐베트 레위>의 관계도‘기원’과 ‘직책’의 관계로 볼 수 있다. 이 어구도 ~ywlh ~ynhkh<하코하님 하르위임>과 마찬가지로 접속사 없이 두 어구가 나란히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이 어구는 “레위 온 지파”(ywl jbX-lk)에 속했으면 누구나 “레위인 출신 제사장들”(~ywlh ~ynhkh)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이며, 연대적으로는 가장 후대에 이루어진 정황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5) 이와 같은 우리의 추정이 옳다면, 신명기는 모든 레위인들에게 제사장 직무를 허용했다고 볼 수 있으므로 P문서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제사장으로부터의 차별이나 차이는 거의 발견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요시야 종교개혁과 더불어 제사장들로부터 신분과 직무에 있어 차별을 받았던 레위인들이 그후, 레위인들 중 제사장 직무를 할 수 있도록 허용된 시기(= ~ywlh ~ynhkh)를지나, 레위지파 출신이면 누구든지 “레위인 출신 제사장들”이 될 수 있었던 시기(= ywl jbX-lk ~ywlh ~ynhkh)에야 신명기가 집필되었음을 암시한다. 우리가얻은 이 결론은 차후에 신명기 집필 연대 논의에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Priestly Messiah and Kingly Messiah in the Jewish Traditions and the Implications to Priestly Messiology of Hebrews

        Jung Sung Kook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6 ACTS 신학저널 Vol.29 No.-

        본 논문은 제 2성전기 후기 유대교의 다양한 메시아론을 왕적인메시아와 제사장적 메시아의 관계에 집중하여 연구하고, 히브리서의 제사장적 기독론에 미치는 해석적 함의들을 살펴 보았다. 제 2성전기의 다양한 유대교 메시아론은 구약에 대한 해석 전통, 종말론 사상, 각분파의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사독계열은 아니었으나 레위의 후손으로 왕과 대제사장을 겸하였던 하스몬왕가의 입장을 지지하는 “열 두 족장의 유언집”에서는, 제사장적 메시아가 종말에 나타날 제사장 역할 뿐만 아니라 왕과 선지자의 역할까지도 감당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하스몬 왕가의 실현된 메시아론에 반대하는 입장은 쿰란 공동체의 문헌과 “솔로몬의 시편”에 잘 나타난다. 쿰란 공동체는 왕과 제사장을 독점하고 있는 하스몬왕가의 실현된 메시아론에 반대하며 사독 계열의 제사장적 메시아와 비-하스몬 출신의 왕적인 메시아를 갈망한다. “솔로몬의 시편” 역시왕과 제사장의 역할을 독점하고 있는 ‘레위의 아들`을 겨냥하여 왕의역할 뿐 아니라 제사장의 역할을 감당하는 ‘다윗의 아들`을 고대한다. 제 2성전기 유대교의 이러한 메시아론들은 히브리서의 독특한 아들기독론과 하늘 대제사장 기독론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히브리서는 유대교의 전통적 제왕 신학이 말하는 ‘아들` 개념을 하늘 대제사장사역을 위한 전제 조건으로 재해석하여 유대교적 이데올로기를 교정한다. 또한 예수의 제사장직을 멜기세덱의 반차에 연결함으로써 제사장계열에 대한 유대교의 내부 논의를 초월하고, 모든 민족을 위한 제사장으로 보편화시킨다. This paper has attempted to present diverse messiologies in the late Second Temple Judaisms as unique combinations of biblical traditions, eschatological expectations, and ideological agendas. Given the co-existence of rival claims to leadership, whether kingly or priestly,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eschatological messianic expectations arising from the period are characterized by wide diversity of political and religious motives. Under the Hasmonean agenda, as Testaments of Twelve Patriarchs demonstrates, the future Davidic king messiah was in part thrust away because of the present Levitical priest-king. Eschatological messianism was withdrawn because of such a secular, realized messianism. Against the Hasmonean dynasty, Qumran community waited for two messiahs, ‘the Anointed of Aaron and Israel,` which means the re-installment of Zadokite high priest and non-Hasmonean king. Internally against the Levitical king-priest in the current Hasmonean dynasty and externally against the Roman conqueror, the community of Psalms of Solomon looked forward to the coming of ‘the son of David.` While its messianic expectation was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royal theology and the Deuteronomic theology, its strong anti-Hasmonean agenda shaped its messianic expectation. The son of David ruling and purifying in Pss. Sol. 17 is best taken as aiming against the son of Levi who is currently ruling and purifying. Given these Jewish messianic traditions, the author of Hebrews reinterpreted Ps 2, 110 and 2 Sam 7 from a Christologically shaped cultic perspective to redefine and de-ideologize the identity and role of the son of the traditional Jewish royal theology. The son in Hebrews is not a triumphant Davidic royal messiah but one of ‘many sons` who condescended himself to represent other sons through sufferings and death. In a word, Jesus` sonship in Hebrews is a precondition for his heavenly high priestly work. Further, the son`s priesthood is connected to the order of Melchizedek, by which the order of priestly messiah becomes transcended beyond any particular Jewish line and thus universalized for every nation`s access.

      • Q 복음서의 제사장에 관한 연구

        김재현(Jae-Hyun Kim) 한국Q학회 2019 예수말씀연구 Vol.13 No.-

        신약성서를 살펴보면 제사장과 관련된 내용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Q 복음서를 살펴보면 제사장이라는 단어조차 등장하지 않는다. Q 복음서에 제사장이라는 단어가 등장하지는 않지만, 제사장과 관련된 단서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Q 복음서에는 희미한 단서가 있다. 본 논문은 Q 복음서의 제사장이라는 어휘의 부재를 중요한 문제로 간주하면서, 제사장과 관련된 혹은 관련된 것처럼 보이는 성전, 십일조, 그리고 사가랴를 순서대로 연구해서 Q 복음서가 제사장을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추정하고자 한다. Q 복음서는 원칙적인 제사장의 제도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제사장 제도를 인정하되, 당대의 제사장 실행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다. Q 복음서가 당대의 제사장 직분을 모르지 않았고, Q의 표상 세계에서 제사장이 일정 부분 극히 미미한 역할을 하지만, Q 사람들 내부에서 결정적인 중요성을 가진 것은 예언자의 전통이었다. There are many things related to the priest in the New Testament. But when we look at the Q Gospel, we can not even see the word “priest.” The word priest does not appear in the Q Gospel,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re are no clues related to the priest in Q. This paper considers the absence of the priest in the Q Gospel as an important issue and attempts to estimate how the Q Gospel understood the priests by studying in order the temples, tithes, and Zachariah that appeared to be related or related to the priests. The Q Gospel did not deny the priesthood. In Q, The priesthood system was recognized, but Q criticized the execution of the priests at that time. It is the tradition of the prophet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Q Gospel. The priests played a very minor role in the representational world of Q.

      • KCI등재
      • KCI등재

        우림과 둠밈: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일어나기 전에는”(스 2:63)에 관한 소고

        김준 한국기독교학회 2019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4 No.-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meaning of the sentence in Ezra 2:63, “until a priest with Urim and Thummim should appear.” Ezra 2:63 forbids the priesthood from three families by using the expression “until a priest with Urim and Thummim should appear.” Considering that the last occurrence of the use of Urim and Thummim in the Old Testament was at the time of King Saul, the meaning of Ezra 2:63 is unclear as to whether the restriction of the families is intended for a temporary period or for a long time in the absence of Urim and Thummim. This paper deals with the meaning of Ezra 2:63 in two parts. First, it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the use of Urim and Thummim through the study of the Hakkoz family, which was banned from the priesthood in Ezra 2:63 and reappeared as priests in Ezra, Nehemiah, and Chronicles. Second, it explores the Bible translations and extra-biblical literatures related to Urim and Thummim during the Second Temple period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appearance of Urim and Thummim in the days of Ezra and Nehemiah. 본 논문은 에스라 2:63의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일어나기 전”이라는 문장이 어떤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연구이다. 에스라 2:63은“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일어나기 전에는”이란 표현을 사용하여 포로 귀환 후 족보에서 자신의 이름을 찾지 못한 제사장 가문들에게 제사장 직분과 지성물 먹는 것을 금지하였다. 구약성경에서 우림과 둠밈의 사용이 마지막으로 언급된 것이 사울 왕 시기인 것을 고려하면, 에스라 2:63의 의미가 우림과 둠밈을 통해 제사장 가문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임시적인 제한 조치였는지 혹은 우림과 둠밈이 없는 상황에서 불명확한 제사장 가문들을 제사장 직분으로부터 오랜 시간 배제하기 위한 조치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본 논문은 에스라 2:63의 의미와 에스라 느헤미야 시대의 우림과 둠밈의 사용 가능성에 대해 두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한다. 첫째, 에스라 2:61-63에서 제사장직이 금지되었던 가문 가운데 에스라, 느헤미야, 역대기에서 제사장으로 다시 등장하는 학고즈 가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림과 둠밈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 연구한다. 둘째, 제2성전 시대의 우림과 둠밈과 관련한 성경역본과 성경 외 문서들을 연구함으로 에스라와 느헤미야 시대에 우림과 둠밈의 존재 가능성에 대해 알아본 후 에스라 2:63의 의미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 KCI등재

        모세와 아론으로서의 예수

        장동신(Dongshin Chang) 한국신약학회 2016 신약논단 Vol.23 No.4

        히브리서는 제사장적 기독론의 보고라 할 수 있다. 히브리서 저자는 예수의 대제사장적 기독론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특징적으로 언약개념과 제사장개념을 통합하여 제시해 주고 있다. 본 소고에서 필자는 히브리서 저자가 어떻게 두 개념을 통합하여 제시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저자가 시 110:4에 나오는 멜기세덱 전승을 사용하면서, ‘서약/맹세’라는 모티프를 발전시켜 사용하는 것을 보고자 한다. 저자는 ‘서약/맹세’라는 모티프를 옛언약(모세언약) 아래서 레위 제사장직을 위임하였던 토라의 법규정에 대응하는 새언약 시대의 제사장직을 위임하는 대안적 토라로 사용하고 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히브리서 저자는 예수의 죽음과 흘린 피가 예레미야에 약속된 새언약을 비준하는 언약의 피일뿐 아니라 동시에 새언약 아래에서 하나님과 백성을 연결해 주는 속죄의 피라는 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히브리서 9장에 모세의 언약체결 본문(출 24)을 인용하면서, 레위기 16장의 대속죄일의 요소들을 포함시키고 있음을 논증하고, 이와 연관된 함의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will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the author of Hebrews articulates his arguments about the priestly covenant. My primary interest is in the combination of the two important concepts of “priesthood” and “covenant” in Hebrews. I consider how the two concepts are combined and for what purpose. Hebrews seems to contain traceable clues that show the way in which the author combines the two concepts in order to present Jesus as both the covenant mediator and the high-priest of the new covenant era. In this paper, I intend to demonstrate that the author articulates his own priestly covenant tradition by developing an oath-taking motif, as the counterpart of Mosaic law (Torah) concerning the appointment of priesthood, in his use of Melchizedek traditions (Ps 110:4) in Hebrews 7. I also argue that in Hebrews 9 the author articulates blood sprinkle tradition of Exodus 24 in combination with the Day of Atonement of Leviticus 16 as a bridge for the two concepts of priesthood and covenant.

      • KCI등재

        루터의 만인 제사장직 교리의 의미와 현대적 의의

        우병훈(Byoung Hoon Woo)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7 신학논단 Vol.87 No.-

        Luther’s conception of “universal priesthood” played a major role in the history of the Protestant church. His thought, however, was misunderstood in many ways among modern scholarship. This essay aims to show the development of Luther’s doctrine of universal priesthood, and in so doing it will unpack various meanings of the doctrine. In his three major 1520 works, To the Christian Nobility of the German Nation, The Babylonian Captivity of the Church, and The Freedom of a Christian, Luther formulated the doctrine through a provocative exegesis of important scriptural verses such as 1 Peter 2:9 and 1 Corinthians 14:29. His view, however, was changed through his experience of a series of historical events; Thomas Müntzer and the “Zwickau prophets” used violence to defend their opinions, and the German Peasants’ War resulted in a great massacre. Then Luther clearly saw the ignorant cruelty of lay people and toned down his previous doctrine on universal priesthood. Luther abandoned or changed the main points of his exegesis of the scriptural verses that he endorsed for the doctrine in 1520. He argued that ministers of the word can be ordained not by lay people but by the national church, that only those who are formally ordained can preach the word of God, and only preachers can judge the sermons of other preachers. It is certain that Luther’s doctrine of universal priesthood was altered in many respects by the end of the 1520’s. In sum, one can get the true meaning and implication of Luther’s doctrine of universal priesthood better through this historical perspective. Luther’s conception of “universal priesthood” played a major role in the history of the Protestant church. His thought, however, was misunderstood in many ways among modern scholarship. This essay aims to show the development of Luther’s doctrine of universal priesthood, and in so doing it will unpack various meanings of the doctrine. In his three major 1520 works, To the Christian Nobility of the German Nation, The Babylonian Captivity of the Church, and The Freedom of a Christian, Luther formulated the doctrine through a provocative exegesis of important scriptural verses such as 1 Peter 2:9 and 1 Corinthians 14:29. His view, however, was changed through his experience of a series of historical events; Thomas Müntzer and the “Zwickau prophets” used violence to defend their opinions, and the German Peasants’ War resulted in a great massacre. Then Luther clearly saw the ignorant cruelty of lay people and toned down his previous doctrine on universal priesthood. Luther abandoned or changed the main points of his exegesis of the scriptural verses that he endorsed for the doctrine in 1520. He argued that ministers of the word can be ordained not by lay people but by the national church, that only those who are formally ordained can preach the word of God, and only preachers can judge the sermons of other preachers. It is certain that Luther’s doctrine of universal priesthood was altered in many respects by the end of the 1520’s. In sum, one can get the true meaning and implication of Luther’s doctrine of universal priesthood better through this historical perspective.

      • KCI등재

        마지 못한 개발, 일제강점기 경성은사수산장의 운영과 좌절

        김인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1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operation of the Gyeong-Seong royal bounty factory(filature factory & spinning factory), led by Gyeonggi province, that focused solely on pacification was nothing more than an enervated developmental gesture by inspecting the actual business conditions and verifying the deceitful management behaviors of Gyeong-gi province as well as its retrograde business status. the Gyeong-Seong royal bounty vocational education factory was founded 1st April, 1911 and the filature factory was founded 1st June, 1915. They were out the business on March 31 in 1924. since then. The spinning factory and filature factory was maintained Gyeong-Seong royal bounty factory, ‘the Gyeong-Seong royal bounty filature factory special accounts’. But both of parts were abolished on March 31 in 1930 end of 1929 fiscal year. It was sizable facility. The sum of two budgets was around 440,000won based on 1923. The budget of the filature factory amount to 541,405 won in 1926. The filature factory had more budget than The spinning factory. There were several problems. Despite both of the budget was increased, the outcome of business was yet insignificant. GyeongGi-Do Provincial Government had a mind to privatize continuously. Due to a large portion of the expenses had been distributed to business. GyeongGi-Do Provincial Government and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ade rumor such as they will grow the factory through private transfer or privatize filature factory to korean local leader since 1920. However, they couldn't sell public facilities to Korean. In conclusion, The spinning factory was handed over Gyeong-Seong City Government and The filature factory reduced finance, thereby the factory had gone into liquidation with special accounting. There's no sincerity to Korean people, in one word. When there was not developed the korean cotton textile industry in 1910s, the business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royal grant fund had constant influence on an ethos of new industry spending the public debt based on royal grant fund. Especially, technical professionals who grew up through the business contributed to Korean modern economic growth after 1920s. By expanding various industry overcome textile and sericulture industry. However, the vocational education facility based on royal grant fund existed to appease noble man from the start. It was hostless public enterprise and the manager doubled as a engineer from department of Commerce and Industry, the Governor-General. The staff were not able to meet the creative achievement within framework of Gyeonggi Province department of Industries. Also, there were limit to adapt to marketplace and to increase self perpetuating owing to situation of controlled by government authority situation. They whenever advertised local leader’s participation through spread the theory of transfer of private enterprise and privatization, but it is all talk and no action. They had no energy when they had hard time. GyeongGi-Do Provincial Government was just eating away the tax. It did deliver the goods only if it use public relations facility. They can boast achievement of colonization and favor of the Japanese emperor when Joseon inspection team visit only. 본 연구는 경기도가 주도한 경성은사수산장(은사수산경성기업장과 은사수산경성제사장)을 연구대상으로 수산장 사업의 전개과정과 사업의 실상, 재정 운영상황 등을 분석하였다. 경성은사수산기업장은 1911년 4월 1일, 제사장은 1915년 6월 1일 각각 설립되어 1924년 3월 31일부로 은사수산사업에서 탈락하였고, 이후 기업장은 경성부수산장으로, 제사장은 경성제사장특별회계로 유지되었지만 1929년도 회계를 끝으로 1930년 3월 31일부로 모두 폐장하였다. 1923년을 기준으로 두 수산장의 예산안이 합해서 44만원에 육박할 정도로 나름 규모를 가진 은사수산장이었다. 기업장보다는 제사장의 예산규모가 커서 1926년의 예산은 541,405원에 달하였다. 문제는 제사장이나 기업장의 예산은 팽창하는데 사업 성과는 미미하였고, 계속해서 거액의 예산이 들어가는 이유로 경기도는 늘 수산장 사업을 민간불하하고 싶어 했다. 1920년 이래 틈만 나면 경기도나 총독부 당국자들은 조선인 유지에게 제사장을 불하한다느니, 민간이양을 통해서 공장을 키운다느니 하면서 소문을 흘렸다. 그러나 예산이 들어간 것을 조선인에게 불하하기 만무하였고, 결국 자금부족을 이유로 기업장은 경성부에 넘기고, 제사장은 자금을 줄여서 특별회계로 정리과정을 밟았다. 한마디로 조선인에 대해선 ‘성의 없는’ 수산장 사업이었다. 은사수산장 사업으로 1910년대 아직 기계제 방직공업이 발전하고 있지 않을 때 은사금공채이자를 들여서 새로운 산업기풍을 도입하는데 일정하게 영향을 주었다. 특히 여기서 성장한 기술인력이 20년대 이후 잠업, 방직업을 넘어 다양한 산업방면으로 진출하여 조선인의 근대적 성장에 기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경성은사수산장은 처음부터 양반, 유생 등을 위무하기 위한 것이었고, 소장은 늘 총독부 상공과 소속 기사(技師)가 겸직하는 ‘주인 없는 공기업’이었다. 오히려 직원들도 경기도 산업부의 명령체계 아래서 창의적 성과를 기대할 수 없었고, 관권에 좌지우지되는 상황에서 애시당초 시장에 적응하는 플랜이나 자생력을 키우는 데도 한계가 있었다. 결국 불황이 오면 무기력했고, 맷집없이 몸집만 키워진 결과 가뜩이나 열악한 경기도지방비를 시시각각 축내었다. 오로지 효용이라곤 조선시찰단 방문시 천황의 은혜와 식민통치의 성과를 자랑하는데 홍보 시설로 기능하는 것 뿐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