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용성형수술과 정신건강

        신극선,변금순,김선아,민성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1

        연구목적 : 미용성형 수술 환자 64명을 대상으로 수술이 정신건강 상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술전과 수술후의 정신건강 상태와 신체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방 법 : 설문지와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정신건강평가도구로서 간이정신 진단검사(SCL-90)와 신체 만족도 평가를 사용하였다. 결 과 : 1) 대상자의 SCL-90 점수에서 수술전 평균 68.17점(표준편차 48.26)에서, 수술후 평균 58.03점(표준편차 46.7%)으로 수술후 매우 유의하게 정신건강 상태의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특히 신체화 증상, 대인관계의 예민성, 우울증, 적대감, 정신병적상태 등에서 수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 때, 정신건강상태의 호전이 유의하였다. 특히 수술전 정신건강상태가 나쁠 때 가족의 지시가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2) 대상자의 신체만족도도 수술전 평균 58.54점(표준편차 23.14)에서, 수술후 평균 78.14점(표준편차 18.30%)으로 유의하게 호전하였다. 수술후 신체 만족도가 클수록 정신건강사태도 호전하였으며, 특히 수술전 신체에 불만이 클수록 수술후 정신건강상태가 더욱 좋아졌다. 결 론 :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 성형 수술후 정신건강상태와 신체 만족도가 호전되었음을 입증하였으며 나아가 환자를 선별하여 필요한 사람에게 수술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과, 또한 이들에 대한 가족의 정서적 지지가 있을 때 더욱 수술후 정신 건강 상태와 신체만족도가 호전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esthetic surgery on mental health. Method : Sixty-four patients were assessed for their mental health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image before and after operations. The subjects mental health was evaluated by the Korean version of Symptom Check List-90(SCL-90), a satisfaction scale with body image, and a questionnaire for demographic data and operation. Results : 1) The average score of SCL-90 significantly improved from 68.17(S.D.±48.26) to 58.03(S.D.±46.93) after operation(p〈0.01). The scores of all subscales for somatization symptoms, interpersonal sensitively, depression, hostility and psychoticism improved significantly. Significant improvement was also found in patients who were in their 20's and 40's, had family support and ha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operations. Family support had a more positive influence in the group who had a poorer state of mental health before the operation. 2) The average score of significantly with their body image improved significantly form 58.54(S.D.±23.14) to 78.14(S.D.±18.30) after operation(p〈0.01). The mor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 the more their mental health state improved.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satisfaction was significant(p〈0.01) in patients who had shown a poorer health state before operat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esthetic surgery has influence on patients mental health and improved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image and also that, in selection of patients for aesthetic surgey, their age and possible family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정신병환자에서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의 치료요인 비교

        윤성철,이후경,정인과,이규항,함 웅,차정화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3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정신병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에 작용하는 치료요인을 조사하여, 그 치료적 특성들을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방 법 : 1996년 9월부터 1997년 5월까지 낮병원에 참여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총 35명의 정신병환자로 남자 22명, 여자 13명이었다. 동일한 낮병원 환자들에게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 드라마를 각각 시행한 후, 13가지 치료요인 척도를 사용하여 집단정신치료의 구성원, 싸이코드라마의 주인공, 싸이코드라마의 관객에 작용하는 치료요인의 순위를 각각 조사하였다. 이 세 집단을 모두 상위기능 집단과 하위기능집단으로 나누어 치료요인을 비교하였다. 상위와 하위기능집단은 낮 병동에서의 생활,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을 때의 태도, 치료자와 면담하였을 때의 모습을 기준으로 하여 낮병원 치료팀 모임에서 치료자들의 합의에 의해 결정하였다. 각각의 치료 요인은 평균점수를 산출하여 치료 요인의 순위를 매겼으며, 이 순위에 의해 집단정신치료, 싸이코드라마의 주인공, 싸이코드라마의 관객에 작용하는 치료요인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에서 나타난 치료요인에 대한 특정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싸이코드라마에서 주인공은 기능수준에 관계없이 모두 “카타르시스”와 “일차 가족 집단의 교정적 감정 경험”을 매우 중시하였다. 2) 싸이코드라마에서 주인공은 상위기능집단의 경우 “치료자의 조언”을 하위기능집단의 경우 “구성원의 조언”을 중시하였다. 3) 싸이코드라마에서 관객은 기능수준에 관계없이 모두 “치료자와의 동일시” 와 “구성원과의 동일시”를 매우 중시하였으며, 또한 보편성을 중시하였다. 4) 상위기능집단의 경우 집단정신치료 싸이코드라마의 관객 및 주인공에서 “대인관계학습”을 중시하였으며, 특히 집단정신치료에서 “대인관계학습”을 매우 중시하였다. 5) 하위기능집단에서 싸이코드라마의 주인공과 집단정신치료에서 모두 “사회화 기술의 발달”을 중시하였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다. 먼저 집단정신치료나 싸이코드라마를 환자에게 시행할 때 치료자가 치료요인을 고려하여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는 모두 동일하게 중요한 치료법으로 실제 임상에서 널리 이용하는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집단정신치료와 싸이코드라마의 기법을 서로 혼합하여 사용한다면 매우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factors of group psychotherapy and psychodrama which were applied to psychotic patients, and to compare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two therapie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of a day hospital from September 1996 to May 1997.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35 psychotic patients(22 males, 13 females). Both of group psychotherapy and psychodrama were done to the patients of the day hospital. After these therapeutic factors were checked by the members of group psychotherapy, the protagonists of psychodrama, and the audience of psychodrama using 13 therapeutic factors scale. All three groups divided into higher functioning group and lower functioning group by mutual consent of the therapists in the treatment team meeting according to the patient's life of the day hospital, the attitude in programs, and the state during the interview with the therapist. And then therapeutic factors of higher and lower functioning group were compared. By the mean score of each therapeutic factor the rank of therapeutic factors was decided. By these ranks we compared the important therapeutic factors on the members of group psychotherapy, the protagonists, and the audienc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protagonists of psychodrama set a very high value on “catharsis” and “the corrective recapitulation of the primary family group”, regardless of their functional level. 2) The protagonists with a higher function set a higher value on “guidance of therapists”, while those who had a lower function set a higher value on “guidance of members”. 3) The audience of psychodrama set a very high value on “identification with therapists”, “identification with members”, and set a high value on “universality”. 4) The higher functioning group of the group psychotherapy, the audience, and the protagonists set a high value on “interpersonal learning”, especially the patients of group psychotherapy set a very high value on “interpersonal learning”. 5) The lower functioning group of the protagonists and the group psychotherapy set a high value on “development of socializing techniques”. Conclusion :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draw some suggestions. First, if therapists take the above-mentioned therapeutic factors into consideration during the sessions of group psychotherapy or psychodrama, they can obtain more effective therapeutic outcome. Second, it is desirable that both group psychotherapy and psychodrama should be used more extensively as important methods of treatment in clinical settings. Third, the combination group psychotherapy and psychodrama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the separate application of each therapy.

      • KCI등재

        정신질환 범죄와 경찰의 대응에 관한 연구

        이영돈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외법논집 Vol.43 No.3

        A mental disorder, also called a mental illness, is a behavioral or mental pattern that causes significant distress or impairment of personal functioning. In Korea, the number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mental disorder crimes are increasing steadily due to stress and other reasons. The police are very often the first to be called to deal with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crimes. In this article, I examine how police respond to the mental disorder crime cases called by 112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irst, police agency have to prepare training program in recognizing mental illness and knowing how to deal with mental disorder crimes. Also, Specialized Team like Crisis Intervention Team in U.S should be organized to deal with mental illness crimes effectively.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system to share the mental disorder information between police and mental service provider by law. Third, mental disorder offenders should be hospitalized actively to prevent recommitting crimes. Fourth, collaboration between police department and local government including mental health system is crucial to deal with mental disorder crimes effectively. Lastly, Police Agency should define guideline and manual regarding how to handle crimes related to mental illness in detail. 오늘날 정신질환자의 증가는 필연적으로 정신질환 범죄발생 빈도의 상승을 예측케 한다. 정신질환 범죄는 동기가 명확하지 않고 피해자가 무차별적이라는 측면에서 일반범죄보다 심각성이 크고 국민불안을가중시킨다. 정신질환자는 적정한 치료를 받을 권리가 있으며 국가와 자치단체는 정신질환자의 치료를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그러나 정신질환자가 적정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방치되면 언제든지 범죄를 실행할 수 있다. 정신질환 범죄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신질환 범죄신고를 처리하는 경찰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정신질환 범죄에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경찰의 노력만으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 범죄 현황 및 경찰의 대응실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첫째, 정신질환 범죄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효과적인 대응을위해서는 경찰서 형사과에 전문대응팀을 신설하는 것을 검토하여야 한다. 둘째, 정신질환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여야 한다. 정신건강복지법의 개정이나 경찰관직무집행법의 사실조회 규정을 근거로 중증 정신질환자 퇴원 정보를 확보하여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정신질환자의 치료 및 범죄예방을 위하여 행정입원 및 응급입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이와 병행하여 정신의료시설을 확충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경찰은 정신질환 범죄사건의 처리기준과 매뉴얼을 만들어 절차의 명확성 및 객관성을 확보하여야한다. 경찰은 정신질환 범죄사건 처리의 게이트 키퍼 역할을 한다. 경찰의 처리기준이 명확하고 객관적일때 정신질환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경찰, 자치단체, 정신의료기관 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정신질환 범죄의 예방에 공동 대응하여야 한다. 자치단체, 정신의료 기관의 적극적인 협력 없이 경찰의 독자적인 정신질환 범죄 대응은 성공할 수 없다.

      • KCI등재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기돌봄에 대한 인식과 경험

        박향경,권자영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7 No.3

        This study is an explanatory study of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self-car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Data was collected over three sessions using FGI and analyzed using subject analysis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19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ith work experience of 3~10 years at mental health centers,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mental health clinic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self-car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could be analyzed into six subjects: entering the mental health practice field, perceiving myself and my surrounding in the reality of the mental health practice field, slowly becoming exhausted, ways to overcome crisis, unfamiliar but sort of realizing how to self-care, and boundary and space for self-care.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recommendations were made on the following: creating a sympathetic and caring mental health practice environment,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a systematic self-ca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motional welfare and growth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s professionals, and provision of self-care education and education about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rauma, secondary trauma, and burn out during the proces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training.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기돌봄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초점집단면접방법(FGI)을 활용하여 총 3차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주제분석방법을 통해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재활시설, 정신의료기관 등에 근무하고 있는 경력 3년 이상 10년 이하의 정신건강사회복지사 19명이다. 연구결과,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기돌봄에 대한 인식과 경험은 정신건강실천현장으로 들어섬, 정신건강실천현장의 현실 속에서 나와 주변을 봄, 서서히 고갈되어감, 고비를 넘기는 혹은 넘긴 방법들, 낯설지만 알것 같은 나를 돌보는 일, 나를 돌보기 위한 울타리와 장 등 6개 주제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공감과 돌봄의 환경’으로서 정신건강실천환경 조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전문가로서의 정서적 안녕감과 성장을 위한 체계적인 자기돌봄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제공,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수련교육 과정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외상, 이차외상, 소진 등에 관한교육과 자기돌봄 교육의 제공 등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소아ㆍ청소년 정신분열병 환자의 또래 관계에 관한 고찰 :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신성웅,조수철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1 No.2

        본 논문은 사춘기를 전후하여 발병하는 정신분열병의 또래 관계에 관해 사례 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해 정리한 논문이다. 정신분열병의 예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서 발병 전 대인관계 양상과 적응정도가 중요하며, 교사가 평가한 학교 생활과 또래 관계가 정신분열병의 발병 및 경과를 예측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식들을 대상으로 한 고위험군 연구(high-risk study)와 장기간 추적 연구(long-term follow-up study)들을 통해 정신분열병 발병에 관여하는 전후기 아동기 성격적 행동적 특성에 대해서 기술하였고, 정신분열병에 발병하고 난 후 나타나는 대인관계 양상과 병태생리에 대해서 서술하였으며, 이를 사회화(socialization)의 관점에서 통합하려는 시도를 소개하였다. 끝으로 사춘기에 발병한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대인관계 양상을 사례별로 정리하고, 향후 진행되어야 할 연구 과제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중심 단어 : 정신분열병ㆍ또래 관계ㆍ사회화. We focused on the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hich usually occurs around puberty. Reviewing cases with schizophrenia and the literature extensively, we had co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 1) the most robust predictors among factors influencing the prognosis of schizophrenia are premorbi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daptive functions. 2) Especially teachers' reports about school life and peer relationship during school life are useful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schizophrenia in adolescents. We described characteristic and behavioral childhood features which are important in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based on high-risk studies and long term follow-up studies. Also, pathological profiles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athology in adulthood were presented. We tried to integrate various aspects of interpersonal and social weaknesses of schizophrenics applying 'primary and secondary socialization' concept. Finally, five cases of adolescent schizophrenics were described briefly and proposal for the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for risk factors was introduced. KEY WORDS : SchizophreniaㆍRisk factorㆍInterpersonal relationshipㆍSocialization.

      • 집단정신치료의 역사와 전망

        이후경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2

        본 논문은 의야분업과 정신보건법 개정으로 날로 어려워지는 한국 정신의학계의 현 실정에서, 외국 집단 정신치료의 발전사를 거울삼아 한국 집단정신치료의 바람직한 발전과 적용을 목표로 하여 작성하였다. 본 논문의 서론에서 집단정신치료의 정의, 정신과 영역에서의 집단정신치료에 관심이 적은 이유, 집단 정신치료의 현실, 치료효과 및 치료결과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았다. 이어 본론에서 외국 집단정신치료의 역사, 집단정신치료의 전망, 한국의 집단정신치료의 순서로 서술하였다. 집단정신치료는 정신치료에서 뿌리를 두면서 정신치료와 버금하게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공인된 치료양식이다. 최근 선진국에서는 의료환경과 보험정책이 경제성의 원칙에 의거하여 약물치료와 단기증상 지향치료가 중심이 되면서 정신치료는 점점 위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집단정신치료가 치료자와 환자간의 만남의 장을 제공하는, 보다 전체적이고 인간적인 치료방법으로서 그 중요성이 날로 부상되고 있다. 새천년을 전후하여 한국에서도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의 확대와 의약분업의 실시로 집단정신치료가 사이코드라마와 더불어 입원환자 및 외래환자(낮병원 포함) 치료에서 매우 중요한 치료양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Recently, the Korean psychiatrists has faced to the difficult situation because of the separation of medical practice and pharmaceutical dispensing and the revision of mental health law. In this situation,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desirabl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roup psychotherapy in Korea in the basis of the history of foreign group psychotherapy. Introduction is composed of definition of group psychotherapy, reasons why the group psychotherapy is not applied so actively in psychiatric area, the present of group psychotherapy, therapeutic effect, and therapeutic outcome. Main subjects are the history of foreign group psychotherapy, the prospect of group psychotherapy, and Korean group psychotherapy. Group psychotherapy has heen formally accepted as one of therapeutic modalities that must be as equally effective as individual psychotherapy even if group psychotherapy derives from individual psychotherapy. Those days, in psychiatric clinic in Korea psychophamacotherapy and brief symptom oriented therapy have been applied mainly due to the economic principle of medical environment and insurance policy. And psychiatrists apply psychotherapeutic modalities in there less and less. The importance of group psychotherapy should be emphasized one of holistic and humanistic therapy which provides the field of encounter for therapists and patients.As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in Korea are expanding and the separation of medical practice and pharmaceutical dispensing is being performed. The group psychotherapy and psychodrama should be perceived as a much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therapeutic modality in the settings of inpatient and outpatient clinics.

      • 정신장애인 및 정신보건 시설에 대한 주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충효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

        본 연구는 남해군을 대상으로 지역주민들의 정신보건 문제의 인식정도, 정신장애인과 정신보건시설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남해군의 지역 실정에 맡는 정신장애인들의 재활을 촉진하기 위한 서비스의 계획과 실행 전략을 수립하여 정신장애인들의 사회통합을 이루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조사 결과 정신보건 문제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치매노인(68.4%), 다음은 알코올중독(53.9%)의 순으로 나타났고, 조사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평균적으로 자비심과 지역사회 정신보건관념에서는 동정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권위주의와 사회생활제한에서는 평균적으로 덜 권위적이고 덜 제한적인 태도를 나타내었다. 남해군 지역 주민들의 정신보건시설에 대한 태도에서 “정신보건시설의 설치 의견”은 찬성의 응답이 261명(44.9%)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치단체의 정신보건사업 지원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은 필요하다는 350명(60.2%), 매우 필요하다는 59명(10.2%)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정신장애인들의 사회적응과 치료를 위한 가장 적합한 기관에 대한 의견”에서는 정신보건센터가 338명(58.2%),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애주기 전체를 포괄하는 정신보건 문제의 접근과 서비스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정신보건에 대한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정신보건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다. 넷째, 지역사회 욕구 수준에 맞는 재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 당사자가 참여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수강이 대학생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숙희(Sookhee Jung)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0 한국사회복지교육 Vol.5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 당사자가 참여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수강이 대학생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유사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를 통해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수강생 50명을 실험집단으로, 비수강생 42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하였고, 정신장애인 태도 척도와 사회적 거리감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한 후 평균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보건사회복지론을 수강한 학생들이 비수강생들에 비해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정신보건사회복지론 수강 학생이 비수강학생에 비해 정신장애인의 태도 하위척도인 권위주의는 낮아졌고, 자비심은 높아졌으며, 사회생활 제한은 낮아졌고, 지역사회 정신보건개념은 높아졌다. 또한, 수강학생이 비수강학생에 비해 사회적 거리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사회복지사들이 정신건강영역에서 일할 전문가로 성장하는 데 있어서 가져야 할 정신장애인에 대한 관점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in social welfare class affect the attitude towards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social distance. For this study, through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50 students of mental health and social welfare theory were organized into experimental groups and 42 non-students as comparative groups. Using the Community Attitude to the Mentally Ill Inventory (CAMI) and the Social Distance Scale(SDS), pre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and average comparison was performed. Students who took the Mental Health in Social Welfare changed their attitude toward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mpared to non-stud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distance of students in the clas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non-students. Based on this, prospective social welfare firms explained the importance of the attitude toward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 growing up as experts working in the mental health area and suggested specific directions on this.

      • KCI등재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주도성이 정신장애인의 옹호태도와 옹호개입에 미치는 영향

        김미영,김윤아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2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9 nurses attending the hospital an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or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 in B and K city.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for the perception of proactivity,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n advocacy attitudes and advocacy interventions. Factor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nurses’ advocacy attitudes are “proactivity” (β =.532),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β=.29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60.5%. Factor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nurses’ advocacy intervention are “proactivity” (β=.532), “human rights sensitivity” (β=.291), “turnover” (β=.121), “religion” (β=.092), “position” (β=.083)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72.6%. In addition, a continuous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offered to psychiatric nurses who may have a positive approach toward advocacy.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통합을 위하여, 정신간호사를 대상으로 정신장애인의 옹호태도와옹호개입의 관련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와 K도에 소재한 정신의료기관과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시설에 근무 중인 간호사 1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정신간호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인권감수성, 주도성을 확인하고, 정신장애인의 옹호태도와 옹호개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정신간호사의 옹호태도에 가장 큰 영향력은 주도성(β=.532), 인권감수성(β=.291)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0.5%이다. 옹호개입에 가장 큰 영향력은 주도성(β=.583), 인권감수성(β=.328), 이직희망(β=-.121), 종교(β=.092), 지위(β=.083)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72.6%이다. 정신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연령, 이직희망에따라 지역사회정신건강복지시설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인권교육참여횟수,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근무환경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회남자의 정신론

        정세근 ( Se Geun Jeong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70 No.-

        이 글은 『회남자』의 ‘정’(精)과 ‘신’(神), 그리고 ‘정신’(精神)의 용법을 순서대로 정리하면서 정신론이 어떻게 안착되는지 설명했다. 『노자』에서는 정과 신이 만나지 못했지만, 『장자』에서는 정신이란 용어가 탄생하고, 드디어 『회남자』에서는 정신이란 개념이 완성된다. ‘정신의 가르침’이라는 뜻을 담고 있는 「정신훈」이 그 대표적인 예다. 도가를 중심으로 지방분권주의를 선택하는 『회남자』는 집체창작의 결과물답게 체계적이어서 진리론, 우주론, 초월론에 이어 인간의 정신에 대해서 논한다. 그런데 『회남자』는 정신과 형체를 구분하고, 정신의 형체에 대한 우위를 강조한다. 이 점은 여타의 사상에서 보이지 않던 형국이다. 『회남자』에서 장생불로는 『장자』와 마찬가지로 ‘양형’(養形)에 불과한 것으로, 진정한 양생은 정신을 지키고 기르는 것이라고 여겨진다. 『회남자』의 복합개념으로서 ‘정신’은 단독개념으로서 ‘정’보다 더 의미를 가지며, 이때 ‘정신’은 과거의 ‘신’의 개념에 접근한다. ‘신’도 ‘정’과 대구로 쓰이면서, ‘신’이 ‘정’보다 귀하거나 ‘정’을 부리는 존재임을 내세운다. 형식적으로도 ‘형신’이 아닌 ‘신형’의 용법을 보여 정신적인 것이 물질적인 것에 비해 우월함을 드러낸다. 이런 사고는 전대의 『장자』와는 달리, 『회남자』가 우주발생론적 성격을 강하게 갖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무가 있어야 유가 있듯이, 정신이 있어야 형체가 갖추어진다는 사고다. 이것은 『주역』의 형이상과 형이하 구분의 영향으로 보인다. ‘신’이 깃드는 곳으로 ‘심’(心)을 설정하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형(形)의 주인은 심이고, 심의 보배는 신이다. ‘정신’은 『회남자』 제7편 「정신훈」의 주제로 생명의 핵심을 가리킨다. 오늘날의 표현에도 근접한다. 정신은 산란하거나 소모되거나 요동치지 않고, 조화로우며 충만해야 한다. 한마디로 우리는 정신을 지켜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총명을 버리고 소박해야 한다. 이렇게 『회남자』에서 정신은 하늘에서 사람에게로 내려온다. 『관자』 4편이나 『여씨춘추』와 『태평경』이 장수를 꿈꾸는 데 비해, 『회남자』는 정신의 초월성을 강조한다. 『장자』의 입장과 같이, 만물을 만드는 정신은 만들어진 만물과는 달리 죽거나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This paper orderly analyzed usages of Jing(精: essence), Shen(神: spirit), and Jingshen(精神: essential spirit) in Huai-nan zi, to explain how to the notion of Jingshen is accepted. Jing and Shen did not met each other in Lao zi; Jingshen was born in Zhuang zi; at length Jingshen was completed in Huai-nan zi. The chapter of ‘Jingshenxun’(Teaching of essential spirit) is a representative example. Huai-nan zi which adopted decentralism based on Taoism by a group of scholars is not only systematic, for example, theory of truth, cosmogony, transcendency, and spirit of human being, but also emphasized that spirit precedes matter. It is the new situation in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Longevity is not important for Huai-nan zi as well as Zhuang zi. Long life is just external wellbeing. The true wellbeing comes from spiritual cultivation. Jingshen as a combine notion became more meaningful than Jing as a simple notion, and more familiar with Shen in the past. Shen also formed an antithesis to Jing, at the same time, Shen operating Jing became more noble than it. Outwardly, the expression of Shenxing(神形: spirit-body) shows spirit precedes matter. This way of thinking sprung from cosmogony of Huai-nan zi, comparing with cosmology of Zhuang zi. As Being was born of Nonbeing, things were embodied of spiritualness. It seems to be influenced with the book of Changes which had metaphysic and physic world. Spiritual Shen dwells in physical Xin(心: heart). The master of Xing(body) is Xin; the treasure of Xin is Shen(spirit). Essential spirit, Jingshen, is a core of life. It is also similar to mentality in contemporary meaning. Mentality should not be distracted, but be kept with naivety(naivete) and without knowledge and affec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