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모형이론의 교육적 함의(含意)

        김환남(Kim, Hwan Na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0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 No.3

        지식 표상으로서 정신모형의 본질과 정신모형의 구성과정에 대한 문제는 중요한 교육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다. 정신모형은 새로운 과제가 주어지거나 새로운 환경 혹은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이를 해석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기기억에 저장된 지식과 과제로부터 이끌어낸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사람들의 정신 내에 형성되는 대상에 대한 역동적이고 구조화된 표상이다.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학습은 학습내용을 자신의 인지구조 내에 수용하여 정신모형을 구성하고 이에 대한 조작, 평가, 수정을 통하여 모형을 보다 정교화하고 확장시켜가는 순환적이고 연속적인 과정이며, 교수는 초보자인 학습자의 정신모형이 전문가의 정신모형으로 발달하도록 학습환경을 제공하고 학습의 과정을 촉진하고 격려하는 활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정신모형이론은 사람들이 단편적 사실이나 개별화된 지식이 아니라 정신모형을 통해 학습하고 사고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여타의 이론들에 비하여 영역 특성적 지식의 획득과 과제 수행의 인지적 프로세스, 해당 영역에서의 전문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해주는 이론적인 요소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정신모형이론과 모형중심 교수-학습에 대한 소개와 전반적인 연구경향에 대한 리뷰를 통하여 정신모형이론의 교육적 함의를 밝혀내고자하였다. The mental model as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mental model building have an important significance for education. The mental model is a dynamic and structured representation formed in the working memory by combining information stored in long-term memory with information extracted from a task to analyze the situation and solve problems when a new task is given or a new environment or situation is faced: learning is a series of cognitive processes based on building a new mental model by adapting what is learned to the cognitive structure. The theory of the mental model is useful and important in education, in that a person doesn't learn fragmented or particular knowledge; rather he or she acquires knowledge and perceives it through a mental model. The mental model also provides theories that explain more specifically than those of psychology about the acquisition of domain-specific knowledge and the cognitive process of task performance. The mental model affects the way people perceive objects and behave, and it is directly related to learning and problem-solving. Mental model theories focus on an integrated and organized knowledge structure and the mental mode as its representation, whereas the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is oriented to individual or de-structured knowledge acquisition and correct knowledge retrieval. Learning is an extension of the mental model and is a successive, revolving process of mental model building, operation, assessment, and modification. Teaching is an activity that provides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ates the learning process on order for learners to develop from an elementary mental model to an expert mental model. Thus, teaching needs to be reorganized to guide students towards forming more sophisticated and extended mental models through the process of mental model building, operation, assessment, and modification.

      • KCI등재

        과학영재의 협업적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난 공유된 정신모형의 정교화 양상 분석

        이지원 ( Jiwon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6

        협업으로 문제를 해결할 때 집단 구성원들은 정신모형을 공유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 협업의 시너지 효과를 이해하고 이를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집단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해나가는지를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정신모형 공유에서 나타나는 시너지 효과의 원천을 알아보기 위하여 10명의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빈약하게 정의된 문제를 주고 어떤 요소가 집단의 정신모형에 공유되는지, 또 이것이 어떤 과정을 거쳐 공유되어 가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집단의 정신모형에 공유되는 요소는 첫째, 초기 공통 아이디어 중 가장 과학적인 개념을 공유하였다. 논의 전 이미 가지고 있던 공통 아이디어에 포함된 개념에서 선개념과 과학적 개념이동시에 나타날 때, 학생들은 논의를 거쳐 과학적인 개념을 선택하여공유하였다. 둘째, 집단 구성원들이 각각 가지고 있던 개별 아이디어를공유하였다. 논의 과정에서 구성원들은 변인에 대한 개별 아이디어를제안하였고 집단 구성원들이 동의하면 이는 집단의 정신모형에 공유되었다. 셋째, 협업 전 정신모형에 포함되어 있지 않던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하여 공유하였다. 건설적 갈등 상황에서 자신의 정당성 주장의 근거 마련을 위해 개별 아이디어 조합, 기존 아이디어의 재생산등과 같은 방법으로 창조된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공유하였다. 창조된아이디어는 개인의 정신모형에 포함되어 있지 않던 것으로, 집단 정신모형 공유에서 나타나는 시너지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집단 정신모형이 공유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문제해결에 가장 중요한변인부터 제안하고 공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집단의 정신모형에 무엇이 공유되었는가를 분석하는 것만큼 어떤 순서로 공유되었는가를 아는 것도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논의 후 학생들의 최종응답을 분석해보면, 공유된 정신모형이 초기의 개인별 정신모형에 비해 포괄적이면서 정교화 되었으며 각 개인의 정신모형도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공유된 정신모형의 측정과 협력 학습모형 개발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 understand the synergy of collaboration and to apply this understanding to education, an analysis of how a team solves a problem and the sharing of their mental models is needed. This paper analyzed two things qualitatively to find out the source of synergy in a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process. First, the sharing contents in team mental model and second, the process of sharing the team mental model. Ten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collaborated to solve an ill-defined problem called sunshine through foliage problem. The gifted students shared the following results after the collaboration: First, scientific concept prior to common idea or the idea that all group members have before the discussions; second, unique individual ideas of group members; and third, created ideas that were not originally in the personal mental model. With created ideas, the team model becomes more than the sum of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ocess analysis, in the process of sharing mental model, the students proposed and share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irst. This result implied that the analysis of the order of sharing ideas is important as much as finding shared ideas. Also, the result shows that through their collaboration, the gifted students` shared mental model became more refined and expanded as compared to their individual prior mental models. It is recommended that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measure shared mental model and develop collaborative learning models for students.

      • KCI등재후보

        팀 학습행동과 팀 효과성의 관계에서 팀 공유정신모형의 매개 효과

        전명남 한국산업교육학회 2014 산업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 팀 학습을 할 때에 팀 학습행동과 팀 효과성 및 팀 공유정신모형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팀 학습과 관련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해내는 데 있다. 수업에서 팀 활동이 시작된 지 4주 후에, 팀 학습행동 척도(Van den Bossche et al., 2010)와 팀 공유정신모형 척도(Johnson et al., 2007; 전명남, 2013)를 실시하였 다. 팀 활동의 종료 시점에, 참가자들은 팀 효과성 척도에 응답하였다(Van den Bossche, 2010; Fransen et al.2011). 수집된 자료 중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25개의 자료 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657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사용했다. 연구 결과 첫째, 대 학생들의 팀 학습행동, 팀 효과성과 팀 공유정신모형은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특 히 팀 공유정신모형과 그 하위요인인 일반과제와 팀 지식, 일반과제와 의사소통기술, 팀원과 과제에 대한 태도, 팀 역동성과 상호작용, 팀 자원과 활동환경 하위변인과 유의 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팀 학습행동은 팀 공유정신모형 전체를 부분매개 (partial mediating)로 하여 팀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팀 학습행동은 팀 공유정신모형의 하위요인인 일반과제와 팀 지식, 일반과제와 의사소통기술, 팀원과 과제에 대한 태도, 팀 역동성과 상호작용, 팀 자원과 활동환경을 부분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대학 수업에서 팀 학습행동이 팀 공유정 신모형을 매개로 하여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밝혀 학습 팀을 활 용한 대학 수업과 산업교육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mediated effects of team shared mental model(TSM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learning behavior and team effectiveness b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t learning team in the classroom.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657 college students in Kyungsangpookdo and Daegu City in Korea and were used for the analysis. At the point of 4 weeks later from beginning of team work, team learning behaviors scale(Van den Bossche et al., 2010), TSMM scales(Johnson et al, 2007; Korean version validated by Jun, 2013) were administrated. At the end of semester(At the point of 6 weeks later from beginning of team work), students were answered at and team effectiveness scale(Van den Bossche, 2010; Fransen et al.(2011). The first, learn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whole TSMM and its sub-variables which were general task & team knowledge, general task &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toward teammates & task, team dynamics & interactions, team resources & working environment and dependent variable which is team effectiveness. The second, team learning behavior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partial mediates of the whole TSMM. The third, team learning behavior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partial mediates of the subfactors of TSMM, general task & team knowledge, general task &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toward teammates & task, team dynamics & interactions, and team resources & working environment.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as it provides basic data for educational application that team learning behavior made effect on team effectiveness under the mediate of TSMM.

      • KCI등재

        대학 팀 학습에서의 협력적 자기 효능감,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 만족도, 팀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정한호 안암교육학회 2020 한국교육학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mental model and cooperative self efficacy for group work, and the effect of the shared mental model on satisfaction and team performance. In this study, based on the existing related studies, a hypothetical research model was devised to explain the team performance derived through team learning at the university. In order to select research subjects suitable for the study purpose, in this study, based on the team learn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we systematically explored the influence of collaborative self efficacy on team member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task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the influence of two types of shared mental model on satisfaction and team performance. Specifically, this study was based on convenience sampling: a) group work organized within the same university, b) teachers college students(sophomore and above), and teacher training course students(senior and above)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ooperative self efficacy for group wor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task related sharing mental model and the team member related sharing mental model, but it was found that it did not directly affect satisfaction. Second, the team member related shared mental mod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ask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both types of shared mental models significantly affected satisfaction. Third, the team member related shared mental model, task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satisfaction all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team performance. In addition, collaborative self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nd team performance through the team member related shared mental model and task related shared mental model.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were discussed to make college team learning to be activated in a desirable dir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공유정신모형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그리고 공유정신모형이 만족도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팀 학습을 통해 도출되는 팀 성과를 설명하는 가설적인 연구모형을 구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팀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팀 학습에서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에 미치는 영향력과 두 가지 유형의 공유정신 모형이 만족도와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서의 팀 학습 경험이 3회 이상이며 팀 학습을 수행 중인 대학생(286명)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해 편의표집을 수행하였으며, a)동일 대학 내에서 구성된 팀 학습만 대상, b)사범계열은 2학년이상, 교직과정생은 3학년 이상인 예비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과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만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은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두 가지 유형의 공유정신모형은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 만족도는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팀원관련공유정신모형, 과제관련공유정신모형을 매개로 만족도,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대학 팀 학습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통합적 접근이 필요한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이해: 현상론적 초안과 국면 분석을 통한 식 현상에 대한 정신모형 탐색

        이기영 한국지구과학회 200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9 No.4

        This study explored pre-service teachers' mental models about eclipse phenomena to investigate their understandings on the earth science concept need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wo different contexts on 30 secondary and 36 primary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nts, and analyzed phenomenological primitives(p-prims) and facets of causal explanations about eclipses. Based on this study, we identified four different levels of mental models about eclipses. Four mental models were categorized as (1) Screening model, (2) Orbital plane model, (3) Hybrid model, and (4) Shadow cast model. Screening model is a flawed mental model, orbital plane model is an incomplete correct mental model, and shadow cast model is a scientifically correct mental model. Hybrid model, composite of two or more mental models, use multiple mental models simultaneously. Orbital plane model was the most widespread mental model in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group, whereas screening model was used frequently in primary group.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mental model could be determined by the level of facet and p-prims. We confirmed context sensitivity of the mental models and perceived the necessity of integrated approaches to promote progression of mental models.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enhanc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ssociated with eclipse phenomena are also discussed here.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과적 접근이 필요한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이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식 현상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정신 모형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는 30명의 중등 예비 지구과학 교사와 36명의 초등 예비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정신 모형의 분석을 위해서 서로 다른 맥락의 질문지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응답 및 질문지를 토대로 한 심층 면담 과정에서 나타난 현상론적 초안과 전략적 국면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식 현상에 대해 예비 교사들은 4개의 서로 다른 수준의 정신 모형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1) 차폐 모형, (2) 공전궤도면 모형, (3) 혼성 모형, 그리고 (4) 그림자 모형. 차폐 모형은 결함이 있는 모형이며, 공전궤도면 모형은 불완전한 모형, 그림자 모형은 과학적으로 옳은 모형이다. 혼성 모형은 두 개 이상의 정신 모형을 동시에 사용한다. 중등 예비 교사의 경우는 공전궤도면 모형이 40%로 가장 우세한 반면, 초등 예비 교사의 경우는 차폐 모형이 67%로 가장 많았다. 국면의 수준이 정신 모형의 수준을 결정하며, 국면의 수준은 현상론적 초안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정신 모형의 상황 의존성을 확인하였으며, 식 현상에 대한 낮은 수준의 정신 모형들이 개념적 모형으로 바뀌기 위해서는 광학과 기하학이 통합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신 모형의 규명을 통한 예비 과학 교사의 주제 특정적 교과교육학 지식의 향상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정신보건사례관리의 실천 현황 및 실천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 ---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황성동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0 No.-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current practice of case management at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in Korea and to develop a practice model of case management most suitable for those centers. Data was obtained by mail survey on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orking at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The analysis showed that ninety six perc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provided case management services and the average caseload was 58 clients per worker. Case management was the most frequent service carried out by the center staff while the least was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specific services case managers provided more assessment, telephone counseling, and linkage and coordination than any others, but advocacy and monitoring were the lowest in their list. Regarding the practice model, three types of models were developed; base/broker model, generalist/rehabilitation model, and specialist/clinical model. The generalist/rehabilitation model was suggested the best model for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in Korea. For this model to be adopted and widely utilized, first of all, the caseload must be downsized to, for example, 30 to 1. Case managers then need to be reeducated and retrained on a ongoing basis, and they should focus on the strengths of clients, while utilizing the informal support system around the clients and their famili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신보건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례관리의 실천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적 정신보건사례관리 실천모형을 개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료는 모델형 정신보건센터에 근무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전수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현황 분석 결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대부분(96.0%)이 사례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들이 담당하는 평균 클라이언트 비율은 58:1로 나타났다. 센터의 업무 중에서 사례관리 수행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94.0%), 직업재활프로그램은 가장 낮았다(28.0%). 구체적인 사례관리 서비스에서는 사정(99.2%), 전화상담(99.2%), 서비스 연계 및 조정(98.3%)에서 가장 높은 제공 비율을 보이고 있었지만 클라이언트의 권익옹호(78.3%), 서비스모니터링(77.3%)에서는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그리고 사례관리 실천모형에 대해서는 기본(연계)모형, 일반(재활)모형, 전문(임상)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이 중 일반(재활)모형을 정신보건센터에 가장 적합한 실천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형이 유용한 실천 모형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우선, 사례관리자가 담당하는 클라이언트의 규모가 적절해야 하며, 그 규모는 사례관리자 1인당 30명 정도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효과적인 사례관리를 위해서는 사례관리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이루어져야 하며, 아울러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자율성을 존중하고 비공식적 지지체계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학습 양식이 다른 중학생들의 판구조론에 관한 정신모형 분석

        박수경 ( Soo Kyong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판구조론 관련 개념에 대한 정신모형의 유형을 밝히고 학습양식에 따라 정신모형이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는 것이다. 중학교 3학년 94명을 대상으로 판구조론의 주요 개념인 판의 위치와 마그마 생성, 산맥의 생성, 지구의 내부 등 세 가지 주제에 대한 그리기 과제를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기 과제의 결과를 3명의 평가자가 분석하여 각 과제의 정신모형 유형과 유형별 준거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준거에 근거하여 전체 연구대상 학생들의 그리기 과제 결과를 정신모형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였으며, 학습양식이 다른 학생들의 정 신모형 빈도를 비교하였다. 정신모형의 유형은 각 주제의 특성에 따라 불안정 모형, 인과모형, 개념적 모형 또는 정적 불안정 모형, 동적 불안정 모형, 개념적 모형 등으로 분류되었다. 정신모형을 조사한 결과 나타난 불안정 모형에는 마그마가 핵이나 맨틀에서 생성된다는 대안개념과 판이 충돌하면서 판 자체의 표면부만 상승하여 산맥이 형성된다는 제한적인 사고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학습양식이 다른 학생들의 정신모형 유형별 비율을 비교한 결과, 세 가지 주제 모두 시각적 학습양식을 가진 학습자가 언어적 학습양식을 가진 학습자보다 개념적 모형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불안정 모형의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이로써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라 판구조론에 관한 정신모형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학습양식을 고려한 교수전략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iddle school students` mental models on plate tectonics and to compare the mental models of verbal-learning-style students with those of visual-learning-style students. 94 student participants in 9th grade were requested to draw and explain three topics; generation of magma, the formation of the mountain range and the interior of the Earth. The criterions for analyzing the mental models are derived from the data of the drawing task.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ntal models on the generation of magma were classified as ``unstable model,`` ``partial casual model,`` ``causal model,`` and ``conceptual model.`` On the other hand, the mental models on the interior of the Earth were classified as ``static unstable model,`` ``dynamic unstable model,`` and ``conceptual model.`` Students holding ``unstable model`` were unable to relate the plate collision and the magma generation. They showed a variety of alternative conceptions of study areas, such as ``magma is generated from the core`` and ``the mountain is formed by rising of the plates themselves.`` Also, visual-learning-style students showed higher proportion of conceptual models and lower proportion of unstable mental models than verbal-learning-style students on three topic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students tend to have different concepts on the plate tectonics depending on their learning style.

      • KCI등재

        정신건강 2요인 모형에 기초한 대학생의 정신건강 유형별 삶의 의미, 학업참여, 목표조절의 차이

        신현숙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10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생 표본에서 정신건강 2요인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모형 적합도를 분석하였고, 정신병리 유무와 정신적 웰빙 3수준(번영, 양호, 쇠약)을 구분하여 정신건강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정신건강 유형별 삶의 의미, 학업참여, 목표조절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DASS-21, 정신적 웰빙 척도, 삶의 의미 척도, 학업참여 척도와 목표관여, 목표이탈, 목표재관여를 묻는 문항들로 구성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4년제 대학교 재학생 784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정신건강 2요인 상관모형의 적합도가 2요인 독립모형과 1요인 모형보다 우수하였다. 정신건강 5유형이 분류되었고(양호 유형 59.6%, 쇠약 유형 16.5%, 쇠약․병리 유형 9.3%, 번영 유형 8.0%, 순수병리 유형 6.6%), 목표이탈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정신건강 유형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삶의 의미, 학업참여, 목표관여, 목표재관여에서 번영 유형이 가장 높았고, 쇠약 유형은 쇠약․병리 유형과 유의한 차이없이 순수병리 유형보다도 저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건강의 병리적 요인인 정신병리와 긍정적 요인인 정신적 웰빙이 관련되면서도 구분된 두 요인으로 설정된 정신건강 2요인 모형의 타당성을 지지하고,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정신병리의 감소와 정신적 웰빙의 증가를 병행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Keyes’ dual-factor model of mental health in a Korean college student sample by testing differences in meaning in life, academic engagement and goal adjustment among mental health types classified by the levels of mental illness (present, absent) and mental well-being (flourishing, moderate, languishing). Data were collected from 784 college students through a nationwide online surve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the correlated dual-factor model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independent dual-factor model and the single factor model. 5 mental health types were classified (moderate mental health 59.6%, languishing 16.5%, languishing & mental illness 9.3%, flourishing 8.0%, pure mental illness 6.6%). Differences among mental health types were significant in all the variables except goal disengagement. The flourishing type was highest in meaning in life, academic engagement, goal engagement, and goal reengagement. The languishing type and the languishing & mental illness type were poorer than the pure mental illness type. Such results support the validity of the dual-factor mental health model with mental illness and mental well-being as related but distinct factors.

      • 팀 기반 학습에서 공유정신모형의 구조적 측정 방법 고찰

        권숙진(Kwon, Sukji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3 학습과학연구 Vol.7 No.2

        조직 내 집단 지성 창출과 고차원의 문제 해결이라는 목적으로 팀 기반 학습을 널리 활용하고 있다. 팀기반 학습은 비구조화된 혹은 복잡한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지만 그에 대한 평가는 주로 교육 만족도 확인이나 개인 수준의 지식 습득 및 활용 차원에 머무르고 있다. 학습자들이 학습한 지식 및 기능이나 인식 수준 대한 개별적 평가와는 다른 조직 차원에서 학습 결과를 평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동료 구성원과 협력 학습한 결과로 어느 정도 서로의 정신 모형을 공유하였고, 이 공유정신모형이 전문가의 정신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한지 측정할 수 있다. 정신 모형의 구조를 측정하는데 주로 쓰이는 방법 중 하나는 학습자가 학습한 개념 또는 지식의 구조를 도식화하는 것이다. 이 구조를 통하여 특정 영역의 개념들간 의미적 관련성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팀 학습의 결과 중 하나인 공유정신모형을 구조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유정신모형의 구성 요소와 이를 구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원리를 고찰한 후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도구인 패스파인더를 활용한 구조적 측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기업 혹은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육 결과에 대한 대안적인 평가 방법을 제공해줌으로써 학습 결과에 대하여 팀이 획득한 지식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구체적인 측정 방법을 단계별로 제공하여 실무자나 연구자가 기반 원리를 이해하면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공유정신모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본 원리를 제공하였는데, 이는 후속되어 신규로 개발하거나 기 개발된 도구들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The focus of study is to review Pathfinder Networks(PFNETs) as one of methods on measuring shared mental model. Shared mental model is one of team effectiveness indicators. Because one of the purposes in corporate or school education is to enhance team effectiveness, measuring shared mental model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PFNETs provides data about coherence, similarity and correlation of cognitive network models among team members(shared mental model). This study reviews the data processing procedures and interpretation of output data in PFNETs. In general, shared mental model has been being studied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development, but it could be re-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technology. The research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ly, it could provide alternative viewpoint apart from conventional evaluations such as measuring individual satisfaction or achievement. Secondly, it provides practical guide for practitioners or researchers. Finally, our theory driven approach provides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a new and fully automated Korean-based tool for the assessment of team knowledge.

      • KCI등재

        현장 전문가가 인식하는 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 수업 모형의 타당화

        임영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7

        목적 이 연구는 기업가정신, 발명, 지식재산, 창업에 관한 교육의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 수업 모형을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국내외 기업가정신, 창업, 발명, 지식재산에 관한 문헌고찰과 수업 모형(안)을 개발 및 현장 전문가(16명)에게 총 4차에 걸쳐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차수별 연구 결과를 델파이 검토⋅자문위원(10명), 수업 모형 검토⋅자문위원(10명)들에게 자문 및수정, 보완 과정을 거쳐 델파이 연구 방법에 의한 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 수업 모형에 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 방법에 의해 수행된 주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 발명, 지식재산, 창업에 관한 문헌고찰을통해 각각의 영역별 구성요소를 도출하였고, 이것을 바탕으로 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 수업 모형(안)과 델파이 1라운드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둘째, 현장 전문가(16명)에게 델파이 제2, 3, 4라운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최종 수업 모형의 내용 타당도가1.00, 합의도 .80 이상, 수렴도 .50 이하이고, 수업 단계의 내용 타당도는 1.00, 합의도 .80 이상, 수렴도 .50 이하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세부 절차에 관한 내용 타당도가 .88 이상, 합의도 .80 이상, 수렴도 .50 이하이고, 구성요소의 내용 타당도는 .88 이상, 합의도 .86 이상, 수렴도 .35 이하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현장 전문가에게 총 4회의 델파이 연구 및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결론 이 연구에서 개발한 발명교육 수업 모형은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을 실천함으로써, 지속가능한발전을 추구하는 창의융합인재를 효과적으로 육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