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교육에 있어서 정서조절 연구 현황과 과제

        윤선아 ( Seon Ah Yoo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08 뇌교육연구 Vol.2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정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 중에 하나인 정서 조절에 대해 개관해보고, 이를 뇌교육과 접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초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정서 조절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일반적인 정서 조절의 정의를 기술하였다. 또한 정서 조절 모델로서 Forgas(1995)가 제안한 기분 관리 모델을 소개하였다. 이 모델에는 정서를 무의식적으로 유입시키는 기제와 정서를 의식적으로 조절하는 기제가 포함되어 있다. 정서 조절과 관련된 개인차 변인들로서, 부적 정서 조절 기대, 분산 경향성, 자존감 등이 정서조절을 강화시키는 변인들과, 반대로 정서를 조절하기 보다는 오히려 현재의 기분을 더 확대시키는 변인들을 소개하였다. 한편, 뇌교육적 관점에서 본 정서의 발생 과정과, 효율적 정서 조절 방법을 알아보고, 뇌교육과 정서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뇌교육에서의 고려되어야 할 정서 조절에 관한 연구 주제들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Emotion regulation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 in field of emotion stud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the emotion regulation studies and to explore the way to combine emotional regulation with brain education. First, brief history and definition of emotion regulation were introduced. Second, the mood management system suggested by Forgas(1995) was explained as emotion regulation model. Third, mood congruent and incongruent variables, such as negative mood control expectancy, distraction coping and self-esteem were introduced as individual differences variables related with emotion regulation. Fourthly, the process of emotion generation and effective methods for emotion regulation were described, and the various emotion related studies in brain education field were reviewed. Finally,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of emotion regulation in brain education field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서적 섭식자의 부정 정서와 폭식 행동의 관계: 정서조절곤란의 조절효과

        윤정민,심은정 한국건강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4 No.1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정서적 섭식자의 폭식 행동의 위험요인으로 정서조절곤란의 역할을 확인하고, 부정 정서가 정서적 섭식을 매개하여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정서조절곤란에 따라 달라지는 지 살펴보았다. 또한 생태순간평가(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를 통해 부정 정서와 폭식 행동의 관계 및 정서조절곤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여자 대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식이행동질문지, 폭식행동척도, 정서조절곤란 척도,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를 포함한 설문을 실시하고, 식이행동질문지의 정서적 섭식 점수 상위 25%(n = 43)를 대상으로 7일간 EMA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 자료 분석 결과, 정서적 섭식과 폭식 행동 위험이 모두 높은 집단은 정서적 섭식만 높은 집단에 비해 정서조절곤란, 특히 충동조절곤란이 높았다. 또한 정서조절곤란이 높을수록 부정 정서가 정서적 섭식을 통해 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다. EMA 자료 분석 결과, 정서적 섭식자의 부정 정서와 정서조절곤란이 높을수록 폭식 행동이 심각해지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서조절곤란과 폭식 행동 발생 위험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정서적 섭식자의 폭식행동 예방 및 치료에서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DER) as a risk factor of binge eating (BE) in emotional eaters, and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eating(E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and BE differs as a function of DER in an online survey with 228 female university students. Moreover,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and BE, and the moderating role of DER, using the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EMA) with 43 students with the top 25% score in EE. The group with both high EE and BE had a higher DER, particularly, more impulse control difficulties than the group with only high EE. The effect of negative affect on BE mediated by EE increased with higher DER. The EMA results showed that the BE severity increased with a higher negative affect and DER.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to address DER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BE.

      • KCI등재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과 공감에 미치는 영향

        장정주 ( Jung Joo Ch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 그리고 공감능력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3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조절, 정서조절의 지지추구적 양식, 공감능력,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인 공감적 관심을 측정하여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 회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조절의 지지추구적 양식, 공감능력, 공감적 관심간 각 변인들의 긍정적 상관이 나왔다. 그리고 정서자각에 기초한 정서표현이 정서조절에 그리고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모형검증 결과 정서자각이 정서조절 그리고 공감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정서표현이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여 정서조절 그리고 공감능력에 간접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의 지지추구적 양식과 정서적 공감의 하위요인인 공감적 관심간의 모형검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정서자각이 정서조절의 지지추구적 양식과 공감 능력 요인인 공감적 관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서표현이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여 지지추구적 양식과 공감적 관심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침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정서자각과 정서표현이 정서조절과 공감 간에 긍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on emotional regulation and empathy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ubjects were 384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s positive correlation among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empath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7.0 was employed for analysis. Emotional expression mediated the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empathy. Emotional expression mediated the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support-seeking strategies, empathic concern. Support-seeking strategies mediated the between emotional variables(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ic concer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김현이 ( Kim Hyun I ),송미경 ( Song Mi Kyoung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 정서조절양식의 관계를 분석하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 하위유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경북, 충북 소재의 대학교 재학생 482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척도, 정서조절양식척도, 학업지연행동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 학업지연행동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학업지연행동은 능동적 정서조절양식,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은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 연구의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academic procrastina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82 undergraduate students from Seoul, Gyeonggi, Chungbuk, and Gyeongbuk province and 455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And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MPS), Aiken procrastination inventory (API)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checklist (ERSC) were used for measurements. Using the SPSS 22.0 packag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But supportseeking emotional regulation style among three subtypes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turned out in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cond,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discussed abou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정서조절 및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홍석희,성미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유아의 정서조절 및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조절할 수 있는지를 유아의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세 유아 203명(남아 100명, 여아 103명)과 그들의 어머니, 담임교사 2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부모 정서표현 수용태도 척도’를, 유아의 불안정/부정적 정서, 정서통제를 측정하기 위해 ‘정서규제 체크리스트’를, 행동조절을 측정하기 위해 ‘행동조절능력 척도’를,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교사-유아 상호작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의 행동조절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정서조절 및 행동조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청소년의 정서조절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영주(Young Ju Lee)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1 상담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정서조절 관련 변인과 학교생활적응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정서조절 관련 변인 “정서조절전략”, “정서조절양식”, “정서조절능력”, “정서조절곤란”과 “학교생활적응” 및 “대학생활적응”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기초사항, 정서조절 변인별 연구현황, 연구대상, 측정도구, 변인별 분류기준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서조절 관련 변인과 학교생활적응변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2005년을 시작으로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정서조절 관련 변인은 “정서조절능력”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정서조절 관련 변인과 학교생활적응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는 논문 중 회귀분석을 사용한 논문 29편 중 정서조절 관련 변인은 독립 변인으로 14편, 매개 변인으로 14편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in the relationship of emotion regulation related variables and school adjustment variables in Korea,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Methods: For this purpos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emotion regulation style ,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 emotion dysregulation , school adjustment , and college adjustment were searched on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40 domestic journals and theses were chosen and analyzed based on the fundamentals of research, research trends in emotion regulation variables, study subjects, measurement tools and research variables. Result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of emotion regulated related variables and school adjustment variables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05. For the emotion regulation related variable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as the most common, and for study subejec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common. Among journal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related variables and school adjustment variables, 29 journals used regression analysis, and the emotion regulation related variables were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14 studies and used as the mediating variable in other 14 studi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nd the limitations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조절초점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목표달성에 대한 기대정서, 의지의 매개효과 검증

        오홍석,조한익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6 No.1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model concerning causal relations among regulatory focus, self-regulated learning, and mediators (e.g., Anticipated Emotions and Volition on Goal Achiev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329 college students.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fit the data well. The casual model of the regulatory focus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dicated that the promotion focus positively influenced the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the negative anticipated emotion, the volition, and the self-regulated learning respectively,. However, the prevention focus negatively influenced the negative anticipated emotion and the volition. The analysis of mediator effects revealed the promotion focus presented a positive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the anticipated emotions. Likewise, the prevention focus showed a negative effect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negative anticipated emotion.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근거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조절초점의 두 차원(향상초점, 예방초점), 자기조절학습 그리고 관련 매개변인들인 기대정서(긍정기대정서, 부정기대정서)와 의지간의 복합적인 인과적 관계를 보여주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그 모형이 적합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절초점 척도, 기대정서 척도, 의지 척도, 자기조절학습 척도를 사용하였다. 통계 결과 분석은 AMOS 18.0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조절초점의 두 차원과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모형에서는 향상초점은 기대정서(긍정기대정서, 부정기대정서), 의지 및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예방초점은 부정기대정서, 의지에 각각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대정서는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의지 역시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간접 경로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향상초점은 긍정기대정서와 부정기대정서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방초점은 부정기대정서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 및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ADHD 아동의 정서조절 특성 및 행동문제와의 관계 고찰

        장우영 ( Woo Young Jang ),황순영 ( Soon Young Hw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정서조절과 관련된 문헌 연구를 통해 ADHD 아동의 정서조절특성과 ADHD 아동의 하위유형간의 정서조절 차이, 그리고 정서조절과 행 동문제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ADHD 아동의 정 서적 반응과 정서조절 특성에 관한 연구관련 논문들을 검색하여 선별하고 재검색하 는 과정을 통해 총 17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분석문헌에 나타난 ADHD 아동의 정서조절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ADHD 아동은 정서조절의 어려움으로 인해 정서적 반응 수준이 높고 주로 부정적 정서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DHD 하위유형에 따른 정서조절 특성에서는 ADHD의 정서조절 문제는 부주의 보 다 과잉-충동성과 공격성이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DHD 아동의 정서조절 결함과 행동문제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의 하위유형에 따른 정서조절 중재 방법이 다르게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과잉-충동성이 ADHD 아동의 정서조절 문제를 모두 설명하지는 않으며 다른 관련변인들을 보다 더 면밀하게 탐색해봄으로써 ADHD 아 동의 정서조절의 매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정서조절 특성과 변인을 다각적으로 다루지 못한 점에서 한 계가 있으며 이와 관련한 문제들을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raits and subtype differences of emotional regulation in children with attention and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reviewed 17 articles international and domestic journals since 1990. As the result, Children with ADHD was found to have more emotional responses and specially more negative emotion than positive emotion. And children with ADHD display more symptom of hyperactivity-impulsivity was in difficulties with both the emotional regulation and high levels of emotionality. Aiso, there was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and problem bevavior of Children with ADHD. This results show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deficits and hyperactivity-impulsivity. However, this relationshjp didn’t fully explain mechanism of emotional regulation to the ADHD symptoms. From the aspect of the differences of emotional regulation between ADHD subtypes, invention strategies of emotional regulation should be implemented the different ways on ADHD subtypes. Finally, discuss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addressed.

      • 유아의 정서 능력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와의 관계

        송영혜,김은경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 학습장애아교육 학술발표회 Vol.15 No.2

        유아의 정서적 능력은 또래 유능성,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과 관련이 있으며 유아기의 사회화 과정에서 발달시켜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능력과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및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5-6세 유아의 어머니에게 질문지를 통해 자신의 아동기 경험, 정서조절양식, 정서반응태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교사에게는 유아의 정서능력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상관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가 아동기에 과잉보호 또는 거부당한 경험이 많을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능동적인 정서조절양식은 적게 사용하고 회피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머니가 능동적인 정서조절양식을 적게 사용할수록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점수는 낮았다. 또한, 어머니가 아동기에 부모로부터 거부당한 경험은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통제적인 반응태도와 상관이 있고, 어머니의 통제적인 반응은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점수와 상관이 있다. 반면,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 및 정서반응태도와 유아의 정서인식능력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은 부모로부터 과잉보호 받았던 경험과 상관이 높은 반면, 어머니의 정서반응태도는 아동기에 거부당한 경험과 상관이 높았다. 요약하면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은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 및 정서반응태도와 상관이 있으며 이러한 어머니의 정서적 특성은 자녀의 정서능력과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정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머니에게 바람직한 정서조절양식 및 수용적인 정서반응태도를 교육해야하고, 이를 위해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ers` emotional ability. The subjects were 137 preschoolers`(65boys, 72girls, aged 5-6) mothers and teachers. Emotional ability was measured by their teacher.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measured by mother. The data were analyzed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 used much more active-regulation way, their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as better. Second, the more permissive mother`s attitude toward a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better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rd, the more overprotected and rejected experience in childhood, the lower level of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The more rejected experience in childhood, the more compulsive attitude toward child`s expressiveness Forth, mother`s attitude toward thei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had effect on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s results showed that parents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permissive attitude towards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active-regulation way should be developed, counselling on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hould be done designed in order to improve a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implicated father`s role in parenting.

      • KCI등재

        정서강도, 정서조절곤란이 강박적 구매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

        이슬아,고사랑 한국건강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정서강도와 강박적 구매의 관계를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고, 정서조절곤란이 강박적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충동성이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만 18세 이상의 성인 426명을 대상으로 정서강도 척도, 강박적 구매행동 척도, 정서조절곤란 척도, 충동성 척도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정서강도와 강박적 구매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 효과와 충동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검증하여 확인한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강도, 강박적 구매행동, 정서조절곤란, 충동성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정서강도가 정서조절곤란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정서조절곤란은 정서강도와 강박적 구매행동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된 매개 효과 검증 결과, 정서강도가 강박적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고, 정서조절곤란과 강박적 구매행동의 관계가 충동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intensity and compulsive purchas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mpulsivity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compulsive purchasing. The Affect Intensity Measure, Compulsive Purchase Scale,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 and Impulsivity Scale were administered to 426 adults over the age of 18, and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hich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impuls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intensity and compulsive purchasing behavior,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ffect intensity, compulsive purchasing behavior, emotional dysregulation, and impulsivity. Second, affect intens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emotional dys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intensity and compulsive purchasing behavior. Third, the moderated mediation test revealed that affect intensity mediated the pathway through which emotional dysregulation affected compulsive purchas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compulsive purchasing behavior was moderated by impulsivity, confirm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