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신체활동이 기본운동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순옥 ( Song Soon-ock ),성연정 ( Sung Youn-j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신체활동이 영아의 기본운동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에 위치한 만 2세 영아 36명(실험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으로 4개 반을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기본운동능력 척도와 정서조절능력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 2세 영아의 기본운동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정서조절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통해 영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의미 있는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as examine the effect of a personality improvement activity on the basic motor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of toddlers. The subjects were 36 toddlers saged two years (experimental group: 18; comparative group: 18). Infant basic motor ability and emotion regulation activity criteria were used as experimental tools.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1.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the basic motor ability of toddlers. Second, physical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t enhancing the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of toddlers. Such results signify that the basic motor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ctivity were improved through physical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hysical activity using picture books is worth doing as a meaningful teaching metho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KCI등재

        농사체험활동이 유아의 식습관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을이 ( Eul I Lee ),김경숙 ( Kyung Sook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농사체험활동이 유아의 식습관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G시 인근에 소재한 H유치원의 만4세 유아 20명과 G시에 소재한 I유치원 만 4세 유아 20명으로 이들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임의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12주 동안 주 2회씩 총 24회 농사체험활동에 참여하였으며 비교집단 유아들은 같은 기간 동안 실내에서 식물 기르기 활동에 참여하였다. 유아의 식습관을 측정하기 위해 김두례(2001)가 제작한 식습관 조사 질문지를 구자림(2011)이 식습관 영역별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정서 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Shields와 Cicchetti(1995, 1997)의 Emotion Regulation Checklist를 김지윤(2007)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에 참여한 후 실험집단 유아의 식습관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하위영역인 ‘식사위생’, ‘식사예 절’, ‘식사행동’과 ‘편식’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둘째, 실험집단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하위영역인 ‘적응적 정서조절’과 ‘불안정/부정 적 정서조절’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는 농사체험활동이 유아의 식습관 및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farming experience activities on eating habits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research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children aged four years at H kindergarten in t G city. Th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farming experience activities two times a week for twelve weeks, a total of 24 times, an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growing plants indoors during the same period. In order to evaluate children``s eating habits, the tool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Gu, Ja-Rim (2011) from the eating habits questionnaire made by Kim, Du-Re (2011) was used. In order to evaluate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y, the tool adapted by Kim, Ji-Yun (2007) from Emotion Regulation Checklist (ERC) of Shields and Cicchetti (1995, 1997) was us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ating habit scores of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got higher scores in the sub-areas of eating habits, such as eating hygiene, table etiquette, eating behavior, and unbalanced diet than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 scores of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got higher scores in the sub-areas of emotion regulation ability, such a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unstable/negative emotion regulation than the comparison group.

      • KCI등재

        신체접촉놀이 활동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순희 ( Kim Sun-hee ),김경숙 ( Kim Kyung-so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3

        본 연구는 신체접촉놀이 활동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및 정서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37명이며 유아용 신체접촉놀이 활동 16개와 또래상호작용척도 및 정서조절능력 척도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접촉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신체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에 비해 긍정적 또래관계 행동은 더 증가했고 부정적 또래관계행동은 유의미하게 더 감소하였다. 둘째, 신체접촉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자기 정서조절과 타인 정서조절능력 모두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접촉놀이 활동을 통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과 정서조절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체접촉놀이 활동을 제공하는 것이 유아의 또래상호작용 및 정서조절능력 향상을 돕기 위해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hysical contact play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 children aged 5 years. The used research tools were the peer interaction scale and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scale for young children.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contact play activities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points in positive peer related behaviors and lower points in negative peer related behaviors than comparative group who participated in general physical activitie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points in self-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others-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than comparative group. The study results suggests that physical contact play activities may be a meaningful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to help young children improve their peer interactions and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 KCI등재후보

        유아 원예활동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행복감과의 관계 연구

        김재희(Kim, Jae Hui)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2020 영유아교육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원예활동을 실시한 후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원예활동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에 위치한 S와 K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0명과 비교집단 20명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S어린이집의 실험집단은 유아 원예활동을 실행하고, K어린이집의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기초한 자연탐구 및 예술경험영역활동으로 진행하였다. 정서조절능력 검사도구는 양옥승(2011)의 자기조절능력 검사도구(Self-Control Rating Scale; SCRS)를, 행복감 검사 도구는 이은주(2010)의 유아행복척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을 활용하여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유아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원예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교육기관 현장에서 유아들에게 흥미로운 원예활동 프로그램으로서 교육적 효과가 있는 지속가능한 활동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and happiness through the experiment. For this research, forty 5-year-old children of tow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do were divided into 20 preschoolers of an experiment group and 20 children of a comparative group.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had positive influence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All sub-factors of the emotional regulation competence such as recognizing emotions, coping with emotions, suppressing emoti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ariances. It meant that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for preschoolers. Second,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had positive influences on young children’s sense of happiness. All sub-factors of the happiness such as parental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immersion, spirituality, emotion, health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ariances. It meant that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sense of happiness for preschoolers. It could be expected to utilize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as an educationally effective and sustainable progra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교사개입유형이 협동적 조형 활동에서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황정남(Jung nam Hwang),송수희(Su hee Song)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4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교사 개입 유형이 협동적 조형 활동에서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원주시에 위치한 B유치원의 만 4세 유아 32명으로 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협동적 조형 활동에서 상호작용적 교사 개입을 경험하였고, 비교집단은 협동적 조형 활동에서 지도적 교사 개입을 경험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8주 동안의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처치는 1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대한 검사 도구는 박주희와 이은혜(2001)가 취학 전 유아용으로 제작하여 사용한 또래 유능성 척도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유아용검사 도구를 사용하였고 정서조절능력 검사 도구는 Salovey와 Mayer(1990)가 제시한 정서지능의 모형을 근거로 이병래(1997)가 제작한 유아정서지능 척도 4개 중에서 연구자가 자기조절과 타인조절 2개 하위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전후에는 사전 ·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측정 결과는 SPSS ver.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협동적 조형 활동에서 상호작용적 교사 개입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정서조절능력이 지도적 교사 개입을 경험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examined the type of the teacher who intervenes in cooperative art activity effects on young children s peer competency and emotional regulation skills. An object of study was 4 years old children who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hat one is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was a comparative group of 16 members from 32 students at B kindergarten in Wonju. The story surveyed the procedure of an advance test, preliminary test, 8 weeks test term, and an ex post test. The test period was at 16 times from Dec.19, 2011 to Feb.17, 2012. The preliminary and post experiment was tested before and after test. The survey result was analyzed an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by spss ver.20 program. An abstract is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s peer competency of an experimental group which the teacher intervened reciprocally was improved more significancy than a comparative group which the teacher intervened instructively in cooperative art activity. Second, emotional regulation skills of an experimental group which the teacher intervened reciprocally was improved more significancy than a comparative group which the teacher intervened instructively in cooperative art activity. The survey was shown as the teacher interactive intervening effected on young children peer competency and emotional regulation skills in cooperative art activity. Therefore, the teacher reciprocity intervening can apply to improve child s capability and an emotional regulation skills in cooperative art activity.

      • KCI등재

        국악을 활용한 동작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공진희(Kong Jin-Hee),최미숙(Choi Mi-Soo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8

        본 연구는 국악을 활용한 동작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시 H유치원 만 5세 유아 36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국악을 통한 동작활동을, 비교집단 유아들에게는 동요를 통한 동작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국악을 활용한 동작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자기조절능력 점수가 더 높았으며 하위요인 중 ‘주의집중’, ‘자기통제’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악을 활용한 동작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 보다 정서지능 향상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악을 활용한 동작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정서지능 증진에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vement activitie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on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6 children under five-year-old young children of 2 classes in H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movement activitie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given the movement activities with children’s s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indicates that not only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elf-control” among sub-factors on the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eaningful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but also the self-regulation of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young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ressively higher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it is founded that the movement activitie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have an effects to improve partially on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 KCI등재후보

        산책활동에서 전래놀이가 만 2세반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박신자(Shin-Ja Park),신현정(Hyun-Jung Shin)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18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산책활동에서 전래놀이가 만 2세반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S시에 소재한 S어린이집과 M어린이집의 만 2세반 영아 28명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에서는 10주간 총 16회에 거쳐 산책활동 중에 적용할 수 있는 영아의 발달수준과 흥미 등을 고려한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산책활동에서 전래놀이는 정서조절능력 전체와 하위 요소인 자기 정서인식-표현, 정서관리, 정서적 대처 등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산책활동에서 전래놀이는 일상적 스트레스 전체와 하위 요소인 비난-공격상황, 불안-좌절경험, 자존감 손상상황 등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영아 교사들은 어린 시기부터 스트레스가 많고 자기 정서조절이 어려운 영아들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어린이집 일과 중에 자연 속에서 자유로움을 경험할 수 있는 전래놀이를 활용한 산책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play during walking activity on the 2-year-old infant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daily stress. In the study, 28 infants in the 2-year-old class in S kindergarten and M kindergarten in S city were identifi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Korean traditional play during walking was implemented for 10 weeks (16 lessons) to take infants’ development level and the interest into consideration. It is tes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ten weeks as walking activities. Such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Korean traditional play during walking activ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2-year-old infants emotion regulation ability as a whole as well as its sub-elements such as self-awareness and self-expression of emotion, management of emotion, and emotional coping skill. Second, the Korean traditional play during walking activity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elimination of daily stress as a whole as well as its sub-elements such as accusative-aggression, anxiety-frustration, and self-esteem.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teachers should widely utilize the Korean traditional play during walking activity as one of the programs for kindergarten so that infants can experience freedom in the nature because the Korean traditional play will be helpful for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the infants who are easily exposed to the stress and have difficulty in self-control of emotion

      • KCI등재

        흙 놀이 활동이 2세반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허영숙(Hur, Yeong-Sook),이진희(Lee, Jin-Hee)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흙 놀이 활동이 2세반 영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J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 28명을 실험집단 14명과 비교집단 14명에 배정하여 실험집단에는 흙 놀이 활동을 제공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주제에 따른 실외놀이를 제공하였다. 주 2회씩 8주 동안 흙 놀이 활동을 제공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게 사전, 사후 정서조절능력과 놀이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비모수 통계방법인 Wilcoxon’s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흙 놀이 활동을 제공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정서조절능력과 놀이성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흙 놀이에 대한 관심과 흙 놀이의 가치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il play activities on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layfulness of two-year-old toddlers. For this purpose, 28 toddlers in J-city were randomly assigned to 14 experimental groups and 14 comparative group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soil play activities,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provided with the outdoor play activities according to themes. After eight weeks of play activities twice a week,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tested for pre and pos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layfulness. The data collected was statistically analyzed running Wilcoxon s signed-rank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provided with the soil play activities encountered significant change in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layfulness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that the interest in the soil play activities and a review of the value of the soil play are necessary.

      • KCI등재

        실내암벽등반 체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임미정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indoor rock climbing activitie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gulating ability of children aged from 4 to 5. In this study, 200 children aged from 4 to 5 were randomly selected and divid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ative group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indoor rock climbing activitie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gulation capabilities of the subjects. A survey was conducted on 10 pre/kindergarten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indoor rock climbing activities were implemented. Next, I would like to present the results of my research. It was founded that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gulation capabilities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were implemente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ean of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ative groups after the activities were implemented. These results imply that children aged from 4 to 5 have improve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gulating capabilities through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xperiences to observe, understand, and yield to others when faced with difficult situations while carrying out indoor rock climbing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실내암벽등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5개의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4, 5세 유아 400명을 실험집단 및 비교집단으로(임의적으로 같은 수로 나누어)하였다. 실험집단에게 주 2회 10주 간 실내암벽등반활동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 계수를 구하였고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실내암벽등반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가 비교집단 유아에 비해 정서지능 및 자기조절능력의 모든 하위요인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 및 자기조절능력의 효과는 실험참여 여부에 따라 주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실내암벽등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자기조절능력 향상에는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실내암벽등반활동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에게 다양한 체육활동을 제공하는 방안으로 활용되고 다양한 실내체육활동을 개발 및 제공에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또래관계증진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상임,이향미,한종화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ctivity that enhance peer relationships using picture books on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seventeen 3-year-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in W city and B kindergarten in C city. Twice a week for 8 weeks, a picture book was used for an activity to enhance peer relationshi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y to enhance peer relationships using picture book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er competence of 3-year-old children. Second, the activity to enhance peer relationships using picture book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3-year-ol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ctivity to enhance peer relationships using picture books may be a useful tool to improve the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3-year-old children.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또래관계증진 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K도 W시 공립 단설 A유치원의 만 3세 17명(실험집단)과 C시 공립 단설 B유치원의 만 3세 17명(비교집단)을 대상으로 매주 2회씩 8주 동안 연구가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의 유아는 그림책을 활용한 또래관계증진 활동에 참여하였고, 비교집단의 유아는 이야기나누기를 통한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또래관계증진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또래관계증진 활동이 만 3세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