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25전쟁 수업에서 ‘전쟁영웅’을 어떻게 이야기 할 것인가

        김광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9 사회과교육연구 Vol.26 No.2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of the 6ㆍ25 war hero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studies the reconstruction plan of it from the viewpoint of peace and humanism. The war hero narrative of North and South Korea shares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brave warrior type of a martyr who is sacrificed in order to protect each system of state but the difference between perception of historical facts, the notion of war and war hero is so great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a match. In the historical lesson on 6ㆍ25 war heroe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two th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Korean war hero narratives and to think about what to do in order to reduce the difference. By doing so, students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raise critical mind to explore the issues needed for peaceful coexistence and unification. Second, from the stereotype of a war hero = a soldier, we should consider war and war heroes from the point of view of urvival and salvation, peace and dignity and human beings. From this point of view, we must discover new war heroes and reconstruct new war hero narratives. 본 논문은 역사교육에서 6·25전쟁 수업은 평화교육, 통일교육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 기반하여 남북한의 6·25 전쟁영웅 서사를 검토하고 그것의 재구성 방안을 고찰한 것이다. 현재 남북한의 전쟁영웅 서사는 육탄돌격형 전사의 모습을 기본으로 각각 체제의 정통성을 수호하고자 희생한 영웅의 전공과 죽음이라는 서사 구조를 공유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 인식, 전쟁과 전쟁영웅에 대한 관념의 상이가 매우 크다. 6·25전쟁 수업에서 학생들이 남북 평화 공존과 통일을 위해 필요한 과제를 탐색하려는 실천적 문제의식을 키울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 남북한 전쟁영웅 서사의 상이함을 확인해 보고 그 상이함을 축소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어떻게 해야 할지를 생각해 보는 활동이 필요하다. 둘째, 전쟁영웅=군인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생존과 구원, 평화와 살림, 생명과 존엄성의 관점으로 전쟁을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가치의 관점에서 전쟁영웅이 아니라 전쟁의인을 발굴하고 새로운 전쟁의인 서사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죽임의 전쟁에서 인명을 구한 인물의 영웅 서사

        박현숙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한국문학연구 Vol.0 No.55

        This paper focuses on the issue of ‘saving lives’, as opposed to the existing research that concentrated on the subject of war hero's ‘killing’. This paper would seek the causes of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continuing conflict in the revenge narrative that reveals the vicious cycle of killing in the Korean War experience stories. And this study tried to promote a new perception of war heroes through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heroes who saved lives in the tragic killing of war. In chapter 2, this paper looked at the various aspects of revenge narratives that lead to the tragedy of family, relatives, and whole village as a result of ideological confrontation in the Korean War. On the surface, the tragedy caused by the revenge narrative justify its causes as a public punishment, but in fact, the private anger and vengeance were the root cause. The revenge narrative that arose from the war eventually led to the tragic sacrifice of many innocent people. The revenge narrative also becomes a vicious cycle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deepening the hostility toward the other side with different ideology and serving as a factor of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among society members up to this day. In chapter 3, this study noticed that Bonggang-ri that is a village of the Korean Left activist's family in Hoechon-myeon, Boseong-gun. Even though this village is the village of left activists' family, the reason had less damage caused by ideological confrontation at the time of the Korean War could be found in the attitude of Bonggang and the members of the village, who have tried to save lives. Bonggang with great character that respect human and oppose social discrimination blocked the elements of conflict by impressing the people of hostile relations. He also left out his personal feelings in front of the disastrous deaths of many left activists and prevented the deaths of the young people of the village by excellent bargaining power cooperated with the people of hostile relations. The village members of Bonggangri stopped the small war in the village by showing the attitude of embracing both the rebel and the police with the mind that respects people than ideology. Bonggang and the village member who saved lives with the first priority on human rescue than individual's ideological beliefs are the real war hero to be reviewed in this era. And the narrative of the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they created can be called the real hero narrative of this war. 이 글은 전쟁영웅에 대해 ‘죽임’의 화두에 집중했던 기존의 시선을 돌려 ‘생명 살림’의 화두에 주목하였다. 한국전쟁체험담 속에서 죽임의 악순환의 고리가 된 보복서사에서 이념 대립과 갈등 지속의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처참한 죽임의 전쟁에서 인명을 구한 인물들의 영웅서사적 특성을 살펴 전쟁영웅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전쟁에서 이념 대립으로 인한 가족, 친족, 마을 전체의 비극사로 이어지는 다양한 보복서사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보복서사로 인한 참극은 표면적으로는 공적 응징의 명분을 내세우지만, 실상은 이면에 내재한 사적 분노와 보복심이 근본 원인이었다. 전쟁 속 보복서사는 결국 수많은 무고한 양민의 비극적 희생까지 불러오고 말았다. 전쟁 속 보복서사는 대립과 갈등의 악순환의 고리가 되어 이념이 다른 상대에 대한 적대감을 심화시키고 오늘날까지 사회구성원의 갈등과 대립의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3장에서는 좌익 활동가 가문의 집성촌인 보성군 회촌면 봉강리 마을에 주목하였다. 이 마을이 좌익 활동가 가문의 집성촌임에도 한국전쟁 당시 이념 대립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적었던 원인을 인명구제에 힘쓴 봉강(鳳崗)과 마을 구성원들의 태도에서 찾았다. 봉강(鳳崗)은 인간을 존중하고 신분의 차별을 두지 않은 훌륭한 인품으로 적대적 관계의 사람들마저 감동시켜 갈등 요소를 차단하였다. 그리고 다수의 좌익 활동가 혈육의 처참한 죽음 앞에서도 사적 감정을 내려놓고 적대적 관계의 사람들과 손잡고 펼친 뛰어난 협상력으로 마을 청년들의 인명피해를 막아내었다. 봉강리 마을 구성원들은 이념보다 사람을 중시하는 마음을 갖고 반란군과 경찰을 모두 끌어안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마을 안의 작은 전쟁을 막아내었다. 사람의 목숨이 파리 목숨보다 못한 참혹한 전쟁에서 개인의 이념적 신념보다 인명구제를 최우선에 두고 생명을 지켜낸 봉강(鳳崗)과 마을 구성원이야말로 이 시대에 재조명 되어야 할 진정한 전쟁영웅이다. 그리고 이들이 만들어 낸 화해와 용서의 서사가 진정한 전쟁 속 영웅 서사가 아닐까 한다.

      • KCI등재

        전시체제기 일제의 육군특별지원병제도 선전과 조선인 전쟁영웅화 작업 –李仁錫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민선 숭실사학회 2019 숭실사학 Vol.0 No.42

        Following the Manchurian Incident, Japan expanded its aggressive war by leading to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As the war was prolonged,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had difficulties in increasing the number of troops, so it sought to secure the Korean colonists with human resources to solve this problem. As a result, it was decided to implement the 「陸軍特別志願兵令」 in December 1937 and announced the 「朝鮮陸軍特別志願兵令」 in February of the following year. Through this system,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mobilized the Joseon people as “the empire soldiers for war” at the front, and also used it to force them to recognize themselves as “citizens of empire of 銃後” at the back. In order to achieve this, they focused all their capabilities on propaganda and thought control. In addition,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created war heroes in Joseon and used them as propaganda tools for participating in the war, referring to the case of Japan. Cases of war heroes in the period of the war system were 李仁錫, 李亨洙, 池麟泰, 崔鳴夏, 金錫源, 李鍾贊, 嚴柱明, 柳寬熙, 印在雄, 韓鼎實. Among them,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put up In-Seok Lee as a representative war hero as a symbol of the first killed Joseon person in a battle in volunteering soldiers. Japan forced In-Seok Lee to participate in a war under the name of a volunteer soldier, and even his life and death after the war were glorified and manipulated again to promote the war. In this process, the argument of '兵農兩全論' was combined with propaganda theory, forcing the general people to be a desirable Joseon person represented as an exemplary citizen and a heroic soldier. In short, Japan actively used In-Seok Lee as a means for mobilizing its troops in the front, and forcing the Joseon people to recognize themselves as imperialists in the back with a perspective of mobilization for a war. Meanwhile, in that time of Joseon, there were various aspects about heroinization work of In-Seok Lee such as resistance, cooperation, and adaptation in a Joseon society. In particular, there were some Koreans who sympathized or cooperated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as corresponding to the intention of Japanese government for propaganda, but in some cases, Joseon people precisely acknowledged Japanese government’s intention and insisted against them. 일제는 만주사변에 이어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차례로 일으키며 침략전쟁을 확대해 나갔다. 전쟁이 장기화됨에 따라 일제는 병력 충원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식민지 조선인을 인적자원으로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937년 12월 「陸軍特別志願兵令」의 시행이 결정되었고, 이듬해 2월 「朝鮮陸軍特別志願兵令」이 공포되었다. 조선총독부는 이 제도를 통해서 전방에서는 조선인을 “戰線의 皇國軍人”으로 동원하였으며, 후방에서는 조선인에게 “銃後의 皇國臣民”으로서의 자각을 강요하는 데 활용하였다. 이를 위한 기초작업으로 선전활동과 사상통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였다. 이와 함께 총독부는 일본의 ‘軍神’의 사례를 참고하여 조선에서도 전쟁영웅을 만들고, 전쟁 참여를 위한 선전도구로 활용하였다. 전시체제기 조선인 ‘전쟁영웅’의 사례로는 李仁錫, 李亨洙, 池麟泰, 崔鳴夏, 金錫源, 李鍾贊, 嚴柱明, 柳寬熙, 印在雄, 韓鼎實 등이 있었다. 이들 중 李仁錫은 육군특별지원병 최초의 전사자라는 상징성을 가진 인물로 총독부가 내세운 대표적인 조선인 전쟁영웅이었다. 일제는 이인석을 지원병이라는 이름 하에 전쟁에 동원하였고, 전사 후 그의 생애와 죽음까지도 미화·조작하여 전쟁을 선전하는 데 또다시 동원하였다. 이 과정에서 ‘兵農兩全論’이라는 담론을 선전논리로 결부시킴으로써 ‘모범적인’ 국민과 ‘영웅적인’ 병사로서 대변되는 바람직한 조선인의 모습을 일반에게 강요하였다. 요컨대 일제는 이인석을 통해서 전방에서 병력을 동원하고, 후방에서 전쟁총동원이라는 측면과 함께 조선인에게 皇國臣民이라는 자각을 강요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자 하였다. 한편 이인석 전쟁영웅화 작업에 대해 당시 조선사회에서는 순응·협력·저항 등 다양한 양상이 나타났다. 특히 총독부의 선전의도에 부합하여 이를 동조하거나 협력했던 조선인이 있었지만, 일부 조선사회에서는 일제의 의도를 정확하게 이에 반발한 사례가 있었다.

      • KCI등재

        전쟁, 영웅, 이념 -한국 고전소설에서 본 전쟁-

        정길수 한국고전문학회 2022 古典文學硏究 Vol.62 No.-

        I reserched the trend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 novels using ‘war’ as the theme. In the early novels, both sides of pain and opportunity of war could be observed. Jusaeng-jeon, Wisaeng-jeon, Choecheok-jeon and Kimyeongcheol-jeon set in the backdrop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ensuing wars, highlighted the misfortune of individuals and the destruction of daily life in the vortex of successive wars while illuminating the lives of ordinary individuals. The concept of nationalistic war was strengthened, and individuals facing war required to refuse to submit and devote their lives to the country. The ruling ideologues emphasized the king’s dignity, and presented a way to praise the unconditional devotion to the king and to hold one or two villain accountable for the failure of the war through Dalcheon-mongyurok, Gangro-jeon, Gangdo-mongyurok, Imjin-rok and Parkssi-jeon. The composition of novels consisting of the emergence of a war hero of national salvation, the patronage of a good king, and the inevitable fate of defeat was born from the desire of the ruling class to remember the failed war as a history of victory. It was necessary to create a virtual hero in a virtual history that eliminated the defeatist fatalism in order to realize complete victory, and Guunmong became the starting point. After Guunmong, the war happened ‘just in time’ at the moment of the hero’s greatest crisis and elevated the hero who received the Heaven’s decree came to command the world as a guardian of Chinese civilization. Heroic novels became a culmination achieved through family novels after the invention of Guunmong. War was a welcome opportunity in the world of heroes to free the hero from suffering, to show off the maximum of his abilities, and to enjoy happiness by rising to the highest position. A stream of novel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understood as a reflection of mental history and a conscious search to solve the problems faced by the ruling class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namely “How to overcome the failures of Imjin War and Qing Invasion of Korea?” and “How to rewrite the history of failures?” ‘전쟁’을 주제어로 삼아 한국 고전소설사의 큰 흐름을 살폈다. 초기 소설에서는 전쟁이 지닌 고통의 측면과 기회의 측면을 아울러 엿볼 수 있었다. 임진왜란과 이어지는 전란기를 배경으로 한 「주생전」․「위생전」․「최척전」․「김영철전」은 평범한 개인의 삶을 조명하면서 연이은 전란의 소용돌이 속에 놓인 개인의 불행과 일상의 파괴를 부각했다. 「달천몽유록」․「강로전」․「강도몽유록」․「임진록」․「박씨전」을거치면서 국가주의적 전쟁 관념이 강화되어 전쟁에 직면한 개인은 굴종을 거부하고 목숨을 바쳐 국가에 헌신할 것이 요구되었다. 17세기 소설에서 지배 이데올로그들은 국왕의 존엄을 강조하며 임금과 국가를 위한 무조건적인 헌신을 기리고 간신 한두 사람에게 전쟁 실패의 책임을 묻는 방식을 제시했다. 실패한 전쟁을 승리의 역사로 기억하고자 하는 지배층의 열망으로부터 ‘구국의 전쟁 영웅’의 출현과 선량하고 총명한 군주의 후원, 그럼에도 패배할 수밖에 없는 운명이라는 소설 구도가 탄생했다. 완전한 승리를 구현하기 위해 패배주의적 운명론을 걷어낸 가상의 역사 속에 가상의 영웅을 창조하는 일이 필요했는데, 『구운몽』이 그 출발점이 되었다. 『구운몽』 이후 전쟁은 주인공 최대의 위기 순간 ‘때마침’ 일어나 주인공을 상승시켰고, 과거의 중국이 ‘가상 세계’로 설정되면서 ‘天命’을 받은 주인공은 중화 문명의 수호자로서 천하를 호령하게 되었다. 20세기 전반까지도 큰 인기를 누렸던 영웅소설은 『구운몽』의 중요한 창안 이후 가문소설을 거쳐 만들어진 하나의 귀결점이 되었다. 영웅들의 세계에서 전쟁은 조금의 고통도 없이 주인공을 시련에서 벗어나 자기 능력의 최대치를 과시한 뒤 최고의 지위에 올라 행복을 만끽하게 하는, 반가운 기회였다. 본고를 통해 드러난 조선 후기 소설사의 한 흐름은 17세기 조선의 지배층이 당면했던 문제, 곧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실패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참혹한 실패의 역사를 어떻게 새로 쓸 것인가’라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정신사의 한 반영이자 의식적인 모색의 결과로 본다.

      • KCI등재후보

        The Sino-Japanese War (1894-1895)

        Kyu Hyun Kim(김규현)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7 No.1

        청일전쟁(1894-1895)은 20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화라는 측면 그리고 이후 한중일각국의 역사 전개란 측면에서 사건의 중요성이 일찍이 주목되어 왔다. 종래의 연구사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외교관계, 군사전략, 정치적 흐름 등이 주된 관심의 대상으로 다루어졌다. 본 논문은 청일전쟁을 통해 일본이 창출했던 상(像)이 끼친 문화적, 사회적 영향력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일본이 창출했던 상이란 다음과 같은 것이다. 곧, 변화된 일본인 스스로의 이미지를 통합된 국민국가의 ‘시민-주체’로써 표현하고, 대조적으로 조선인의 이미지는 문명화가 필요하고 결국 식민지화 될 수밖에 없는 ‘타자’로써 나타낸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사회사 및 문화사적 측면에서 청일전쟁을 분석하는 최근의 연구들을 검토함과 동시에, 다양한 민간 언론과 대중 문화를 통해 당시 일본사회에 나타난 전쟁에 대한 담론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일본사회에 나타난 여러 담론들을 청일전쟁 당시 정치, 군사, 외교사 상의 적절한 맥락 위에서 살펴본다. 이를 통해 청일전쟁을 연구하는 다양한 방법론들 사이에서 발생했던 불가피한 간극을 좁혀보고자 한다. 청일전쟁 시기의 ‘국민통합’과 ‘제국주의적 팽창’ 과정은 다음과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곧 일본은 청일 양 제국간의 전쟁을 스스로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결정적인 요소로 수용하였고, 아시아 국민국가의 새로운 유형으로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위 과정을 살핀 본 연구의 시도가 일본사의 결정적 국면을 조명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동시에 이상의 과정이 어떻게 한국 병합을 최종적으로 정당화하는 문제에 이용되었는지 해명하는데 일조하기 바란다. The significance of the Sino-Japanese War (1894-1895) for the evolution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in the twentieth century as well as the unfolding of national histories in China, Japan and Korea has been long recognized. Historiographically speaking, diplomatic relations, military strategies and political intrigues have received a lion’s share of attention. In the present essay,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cultural and social impact of the war on construction of dual images: the changing Japanese self-image of themselves as a “citizen-subject” of an integrated nation, and the image of Koreans as the “Other” to be colonized and civilized. I will examine some of the more recent studies of the Sino-Japanese War that have adopted the approaches of social and cultural history as well as some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Japanese discourses on the war, expressed through various forms of civilian news media and popular culture. The goal is to situate these discursive activities in the proper context of the political, military and diplomatic relations surrounding the war, bridging the artificial gap created between these diverse approaches. I hope that this brief exercise will help illuminate an important conjuncture in Japanese history, to which the processes of “national integration” and “imperial expansion” of Japan were converged, resulting in a new type of Asian nation-state that had accepted imperial wars as a critical component of its identity, and how such processes paved the way for the eventual rationalization for colonization of the Korean people.

      • KCI등재

        호메로스의 전쟁관

        김요한(Kim, Jo-Hann)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호메로스가 살던 사회는 끊임없는 전쟁이 벌어지는 사회였고 그 사회에서 요구되는 아레테는 전투 능력이 출중한 전쟁영웅들이 갖던 전투 기술이었다. 따라서 그 사회에서 아레테를 강조하면 강조할수록 전쟁을 수행해야할 명분들이 축척되는 결과들을 초래하게 된다. 왜냐하면 한 사람이 아레테를 획득하여 전쟁 영웅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쟁이 일어나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아킬레우스나 헥토르도 자신의 죽음을 미리 예견하고 있었지만 기꺼이 전투에 참여하게 된다. 이처럼 호메로스 시대에 아레테는 전투 기계들을 생산해내는 이데올로기로 작용했다. 그리고 이 아레테 개념을 뒷받침해주는 것이 임전무퇴를 죄악시하는 aidōs 개념이다. 그렇다면 오직 이런 전투기술의 숭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호메로스의 작품들이 기획되었을까? 연구자는 호메로스의 의도는 그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는 전쟁옹호자도 아니고 전쟁 아레테의 찬미론자도 아니다. 연구자는 일반적인 aidōs 개념과 상충하고 있는 3가지 사례들을 살펴본다. 첫 번째는 네스토르가 이야기한 ‘다른 사람들’과 관련해서 그것은 전쟁 영웅이 돌볼 의무가 있는 가족이다. 안드로마케나 헤카베의 요청처럼 헥토르는 전투에 참여해서 자신의 명예나 가족 외의 사람들로부터 비난을 듣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신이 죽고 난 후 험한 일을 당할 자신의 처자식에 대한 돌봄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두 번째 사례는 전쟁은 신들의 기획이라는 점이다. 신들이 짜놓은 체스판에 인간은 꼭두각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아가멤논이나 이도메네우스 또는 메넬라오스는 제우스의 도움을 받고 있는 헥토르와의 전투를 피하려고 노력한다. 마지막 사례는 파리스의 태만이다. 그는 한 사람의 명성은 현재 벌어지고 있는 전투에 의해서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그가 살아온 삶의 이력에 의해서 평가되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그는 자발적 태만을 통해서 다른 사람들이 던지는 aidōs에 전혀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 이런 3가지 사례들에 비추어 볼 때, 전쟁 수행을 통한 명예나 수치심에 중심을 두는 아레테 사회에 호메로스는 다른 견해를 제시해주고 있다. In Homer"s society there were different types of wars everywhere. The merits of Greek Warriors were regarded as one of the greatest virtues in their society. So they get used to kill each other in order to make themselves more famous as a warrior. Logically they should bring about wars to become excellent soldiers. That"s why both Achilles and Hector challenged to join army even though they had predicted their mortal fate. The concept of arete was working as a political ideology to produce war crafts. And the concept of aidos contributed to that ideology as widening the domain of war, since it didn"t allow someone to retreat. Is That the reason why Homer focused on the admiration of such war crafts? I think that is not Homer"s original intention when he wrote his works on war. He didn"t protect Greek war ideology nor defend the concept of arete as war crafts. In this article I was trying to find some clues that lead to the solution of that question. I examined 3 types of explanation which conflict with general meaning of aidos. In the first case, there is a concept of obligation of heros which concerns to the safety of their families. Hector was waving to find a solution in his dilemma for either protection of members of his family after his defeat or avoiding some accusation for his honor. In the second case, there is a belief that wars are programmed by gods. Many heros seem to playing as marker in chess which set up by gods. That"s why Agamenon and Idomeneus were trying to escape from dangerous conflict to Hector who was guided by gods. In the last case, there is a intentional negligence of Hero. Paris showed us that fame of heros was not evaluated by current situation but by the whole process of life. His voluntary negligence rejected different types of accusation of other people toward him. Based on these 3 types of aidos I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re is a room for other explanation of the concept of arete in Homer"s works of war crafts.

      • KCI등재

        여성 전쟁체험담의 역사적 트라우마 양상과 대응방식

        박현숙(Park, Hyeon Suk)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7 No.-

        이 논문의 목적은 여성 전쟁체험담에서 역사적 트라우마로 작용하는 보편적 서사 양상을 살펴보고, 참혹한 전쟁의 역사적 삶을 여성들이 어떠한 태도로 대응하고 극복해 나가는지 서사를 통해 살핌으로써 우리시대의 아물지 않은 전쟁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구원의 서사를 찾는 데 있다. 여성 전쟁체험담에서 여성들의 역사적 트라우마로 작용하는 서사는 세 가지로 그 양상을 살필 수 있다. 첫째, 남성이 부재한 전쟁의 후방에서 여성의 몸으로 가장의 삶을 감당해내야 했던 고난의 서사이다. 여성들은 결혼, 임신, 출산, 피난, 가족부양 등의 버거운 책임감으로 감당해 내야만 했던 고난은 전쟁의 기억에서 가장 많은 여성들이 몸서리를 치는 보편적 서사이다. 둘째, 소중한 가족을 잃는 아픔의 경험인 상실의 서사이다. 많은 여성들은 전쟁 상황에서 아무런 죄도 없는 선량한 아비가 누명으로, 피난 가던 어린 동생이 총격으로, 가족의 이념적 사상으로 자녀를 처참하게 잃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 아물지 않은 상흔은 전쟁체험 구술과정에서 가족의 억울한 죽음에 대해 한 서린 분노와 안타까움의 눈물로 표출된다. 셋째, 사선(死線)에서 직면한 죽음에 대한 공포의 서사이다. 이 서사적 경험은 예고된 죽음의 추상적 공포와 죽음과 직면한 사실적 공포가 있다. 공포의 서사는 여성 전쟁체험담 중 가장 극복하기 힘든 역사적 트라우마가 된다. 전쟁체험은 여성들에게 온갖 고통을 주며 깊은 상처를 남겼지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해답도 전쟁 상황 속에서의 그녀들의 삶의 방식과 태도에서 찾을 수 있다. 여성들은 전쟁 상황에서도 가족을 부양하는 가장의 책임감으로 어떤 생명의 위협에도 삶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감내해 낸다. 이러한 희생적 삶은 곧 영웅서사가 되고, 트라우마를 극복해 나가는 힘의 원천이 된다. 또한 여성들은 분노와 원망의 사건들을 포용과 통합의 서사로 받아들임으로써 트라우마로 작용하는 많은 전쟁의 상흔을 자정적으로 치유해 내고 있다. 이와같은 서사의 건강성과 긍정성은 전쟁의 역사적 트라우마 치유서사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nding a narrative of salvation to heal the Korean war wounds of our time. For this, I researched into common aspect of narratives which work as a historical trauma in the stories of women’s war experiences, and checked how the women responded and overcame the miserable life in the war through the narratives. The narratives which work as a historical trauma in the stories of women’s war experiences may be divided into three aspects: (1) It is the narrative of hardship which the women had to support her family alone without husband because of the war. The women’s hardships that had to deal with great responsibilities for a marriage, pregnancy, childbirth, evacuation, family support are common narrative which make many women who had experienced the war shudder. (2) It is the narrative of loss about the grief which lost family member. Many women who had experienced the war have a experience which unjustly losing family members by the ideological conflict. Scars left by the war expressed as the storyteller’s tears and rage about their family member’s wrongful deaths in a process with dictated the war stories. (3) It is the narrative of the fear about the death which met in the war. This experience is divided into the abstract fear about the omened death and the realistic fear which directly face death. Thus, the narrative of the fear is related with the most difficult historical trauma to overcome in the stories of women’s war experiences. The war did deeply hurt the women, but we can find the answer to overcome this through a way and an attitude of the women’s life in the wartime. Many women had borne untold suffering and hardship as the head of the family, and were not giving up their life under any threats in the wartime. These sacrificial life became the heroic narrative and a source of power to overcome the trauma. In addition, the women are able to heal the wounds of the war trauma by themselves through their unceasing efforts accepting the anger and resentment as the narrative of integration and generosity. Healthiness and positiveness of these narratives show possibility that are able to heal the historical trauma of war.

      • KCI등재

        논문 : 북한의 영웅서사, 60년의 간극 -『조옥희』를 중심으로

        김은정 ( Eun Jeong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0 No.-

        이 글은 북한 최초의 여성 영웅인 조옥희를 형상화한 소설과 혁명열사릉에 안장된 여성영웅들의 기록을 중심으로 여성 영웅 서사를 검토하고 있다. 또한 조옥희 관련 문예 창작물과 회상기를 통해 전시문학에 나타난 영웅과 현대 영웅의 차이를 살피고자 하였다. 조옥희는기존 영웅들과는 달리 당대에 평가를 받고 영웅칭호를 수여받은 인물이며, 지위와 계급 그리고김일성과의 심적, 물리적 거리에 따라 대우가 달라지는 북한의 영웅 선별 과정에서 벗어나 있는인물이기도 하다. 전시문학에 나타난 영웅과 현대 영웅의 차이는 한국전쟁기까지의 영웅서사가 폭력적 사태에 대비한 육체적·도덕적 무장과 희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2000년대 초기영웅서사는 공적과 희생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전쟁 영웅인 조옥희가 2008년 호출된 것은전쟁 미경험자인 인민들에게는 선군시대의 후방 모델에 부합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heroine narration with the novel which embodied Jo Ok-hui, the first heroine of North Korea and with the record of heroines which buried in Revolutionary Cemetery. It also compared today`s hero with the hero who disappeared in the wartime literature through the reminiscences and the literary creation related to Jo Ok-hui. Jo Ok-hui is person who was awarded the title heroine unlike previous heros and who strayed from the process of hero selection according to status, class, and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of Kim Il Sung. The hero narration of the wartime literature focused on sacrifice and fortification morally and physically provided against violent situation until the Korean War period. However hero narration in the early 2000s did on sacrifices and achievements. Jo Ok-hui, heroine of the Korean War was called in 2008 be cause she was the person suitable for model of in the times of "songun" to Inmin(people) who are poor at war.

      • KCI등재

        탈영웅적 사회와 평화의 전망

        공진성(Gong, Jin-su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

        희생태세의 감소로 특징지어지는 사회의 탈영웅화와 그에 따른 전쟁수행방식의 탈영웅화는 1990년대 이후로 유럽과 미국의 일부 학자들에 의해서 관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탈영웅화 현상이 그 자체로 평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탈영웅화 현상은, 그들에 따르면, 사회의 도시화와 인구성장율의 감소로 인한 것이며, 탈영웅적인 사회는 성공적으로 도시화하지 못하고 여전히 높은 인구성장률을 지닌 영웅적인 사회 혹은 영웅적인 공동체와 동시대에 존재하게 된다. 근대성과 영웅성의 이같은 불일치가 일시적이나마 전쟁의 소멸을 가져오는 듯했지만, 무기기술의 확산과 테러리즘이 그 가능성을 우회하여 새로운 전쟁을 가져온다는 것이 또 다른 관찰이다. 따라서 분쟁이 발생하게 된다면 우월한 무기체계를 지닌 탈영웅적 사회와 우월한 희생태세를 갖춘 영웅적 공동체 간에 발생하게 되며, 이때 영웅적인 공동체는 자신들이 지닌 비대칭적 우월성에 기초하여 탈영웅적인 사회의 불안정한 정신적 하부구조를 공격한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가능한 탈영웅적 사회의 평화는 어떤 모습일까? 시민적 자유의 희생을 대가로 하는 보안국가와 시민들의 영웅적인 초연함은 그 가능한 두 모습일 것이다. The postheroic societies, which are characterized by a reduced readiness of society members to sacrifice themselves for the overall good of society and their accordingly postheroic way of warfare, have been observed since the last decade of the twentieth century by some academics and researchers in the USA and in Europe. However,these postheroic phenomena do not ensure by themselves that peace prevails. The emergence of the postheroic society has been caused by urbanization and decreasing birthrate. Therefore, postheroic societies continue to coexist with heroic societies or communities which are not successfully urbanized and which maintain a relatively high birthrate. This disparity between modernity and heroicity ape can cause new wars. Conflicts flare up between postheroic societies with superior weapons and heroic communities with a greater readiness to sacrifice and attack the labile mental substructure of postheroic societies on the basis of their asymmetric superiority (Ed- I don’t understand). What kind of peace can be achieved and in which form will this peace be taken in this situation? Two possible forms of peace in a postheroic society are the security state which is managed at the cost of abandoning civil rights and freedom, and the heroic tranquility of citizens.

      • 1960년대 『한국전쟁문학전집』 발간과 정전화 기획

        이행미 ( Haeng-mi Lee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8 한국어와 문화 Vol.24 No.-

        이 글은 1960년대 전집 발간이 활발해진 상황과 문단과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한국전쟁을 전면적으로 성찰하는 분위기 속에서 출간된 『한국전쟁문학전집』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한국문인협회에서 편한 『한국전쟁문학전집』은 ‘전쟁문학’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전집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이색적인 시도로 여겨졌다. 이러한 기획에는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문학화 한 정전의 역할을 선도하고자 하는 한국문인협회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었다. 이들은 전쟁문학 개념을 재해석하여 전후문학과 구분되는 의미를 규정하고, 기성문단으로 대변되는 이들의 전쟁문학을 정전화하고자 했다. 이는 현실 권력과의 유착 관계를 공고히 하려는 보수우익문단의 의도와 한국전쟁문학의 대표작이라는 위상을 전후세대의 전후문학에서 탈환하고자 했던 욕망이 투사된 것이었다. 그러나 한국문인협회의 이와 같은 시도는 그 과정에서 이미 모순을 내재했다. 전쟁문학을 재조명하려는 특집은 참여 필자들의 다양한 해석을 통해 되레 혼란을 낳았고, 신예 작가를 포괄하겠다는 야심은 전집을 통어하는 규범을 비판하는 작품을 수록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전집의 목적과 상치되는 이와 같은 작품은 새로운 세대가 새로운 관점에서 전쟁을 조망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한국전쟁을 새롭게 서사적으로 구현하는 이러한 소설이야말로 역설적으로 이 전집을 의미 있게 한다. 이처럼 『한국전쟁문학전집』의 정전화 기획의 실패는, 한국전쟁이 특정 이념과 이해를 초월한 주제이며 지속적으로 다양한 차원에서의 문제제기와 문학적 형상화가 이루어져야 할 숙명적인 과제임을 상기시킨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Korean War Literature Complete collection published in the late 1960s. This complete collection was published in a sociocultural atmosphere that reflects on the Korean War and the situation of the publication of various complete collection. This complete collection, which was published by the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was regarded as an unusual attempt in that it referred to the theme of 'War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complete collection contains the intention of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which desired their works to be a literary canon. They reinterpreted the concept of war literature and defined the meaning that distinguishes it from postwar literature, and tried to make their literature into canon. They also created this complete collection to achieve two objects. First, the editors of the conservative right-wing wanted to further solidify their relationship with the regime. Next, they sought to recapture the status of representative works of Korean War literature from postwar generations. However, such a plan by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has already had contradictions in the process. The special project, which was intended to rewrite the war literature, was rather confusing through the various interpretations and regulations of the writers. In addition, the ambitious inclusion of a new writer resulted in the inclusion of a work criticizing the norms that are passed through the complete collection. These works differ from the purpose of the complete collection. However, these works, written by the new generation according to a new perspective on the Korean War, is meaningful in this complete collection. This failure of canon formation by Korean War Literature Complete collection reminds us that the Korean War is a subject that transcends certain ideologies and understanding. Furthermore, it is a fateful task that requires constant problem making and literary formulation in various dimen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