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년대 전봉건의 시적 변화의 의미 ‒「銀河를 主題로 한 〈봐리아시옹〉」의 세 가지 변주‒

        윤숙(Yun, Suk)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0

        1950년대 전봉건의 특이성은 모더니즘과 서정시 양 계열의 특성을 모두 보인다는 점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봉건은 한 쪽에서는 모더니스트로, 다른 한 쪽에서는 서정시 계열의 문제적 시인으로 거론되어 왔다. 그러나 전봉건의 시에 대한 인식이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는 시론들을 살펴보면 전봉건은 모더니즘이 나 서정시 계열 그 어느 측에도 쉽게 귀속시키기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오히려 전봉건의 진정한 특이성은 전투시에서 전후시로의 시적 이행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 있다. 아쉽게도 이와 같은 전봉건의 시적 이행 과정에 주목한 논의 는 없었으며 여전히 해명되지 못한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지금 까지 해명되지 못한 전봉건의 특이성인 시적 이행, 다시 말해 시적 변모 과정에 주목해 보고자 했다. 전봉건에게서 보이는 시적 변모 과정 사이에는 분명한 분기점이 확인된다. 그 분기점은 전투시와 전후시 사이의 분기점이다. 전봉건의 전투시와 전후시라는 두 지점 사이에 생긴 분기점은 전투시 속의 ‘나’가 상이군인 ‘나’로 바뀌면서 생기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 분기점에는 연대시집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와 시를 쓰는 ‘나’에 대한 질문이 동시에 놓여있다. 이러한 문제적인 지점들이 집약되어 있는 작품이 바로 「은하를 주제로 한 〈봐리아시옹〉」 이다. 전봉건의 시들에는 ‘보다’라는 행위가 가장 중요했으며 ‘보는 행위’는 상당히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었다. 전봉건의 전투시 속 화자, 다시 말해 전투원의 신체가 보고 있는 것은 탄피와 철조망 같은 전투 현장의 실물들이다. 전투원의 신체는 전투 현장의 실물들인 탄피와 철조망을 보고 감각하는 순간 이 실물들에 의해 전투의 현장에 고정되어 버리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전투의 현장에 있던 전투원은 손에 상흔을 입고 상이군인으로서 전투 현장의 밖으로 이동된다. 전투의 밖으로 이동되었음에도 화자의 ‘보는 행위’는 여전히 유지된다. 전투 현장의 밖으로 이동 된 전투원의 신체는 이제 전투 현장의 실물들이 아닌 자신의 손에 남은 상흔만을 볼 수 있게 되었다. 화자가 보고 있는 ‘상흔’이 라는 전투의 현장에서 생긴 지워지지 않는 흔적은 화자를 ‘전쟁’이라는 원체험 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없게 만들었다. 그렇기 때문에 ‘상흔’에서 비롯된 극복을 시도하게 되었고, 이 시도는 변주로 나타났다. 전투시와 전후시의 분기점에 놓여 있는 연대시집의 가장 문제적인 작품 「은하를 주제로 한 〈봐리아시옹〉」 에는 시인의 ‘보는 행위’ 에서 비롯된 총 세 가지의 변주가 시도되고 있었다. “은하”를 통해 ‘전투의 현장’은 “피묻은 6월”로, “탄피”는 “탄흔”으로, 전투원이었던 ‘나’는 ‘시인’으로의 변주를 시도했다. 이와 같은 시도는 결국 실패했다. 그러나 이러한 실패는 오히려 ‘빈자리’로 남아 평생 동안 전봉건에게 있어서 전쟁에 대한 시를 쓰게 만드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Jeon, Bong-Geon of the 1950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affiliations such as modernism and lyric poems. This is the reason why Jeon, Bong-Geon has been mentioned as a modernist in one side, and also a problematic poet affiliated to lyric poems in other side. However, the poetics that the most clearly reveals Jeon, Bong-Geon’s perception of poetry shows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put Jeon, Bong-Geon under modernism or lyric poems. The true characteristic of Jeon, Bong-Geon would be to show the poetic transitional process from combat poetry to postwar poetry. Unfortunately, there have been no discussions paying attention to the poetic transitional process of Jeon, Bong-Geon, and it has not been explained yet. Thus, this thesis aimed to pay attention to the unexplained characteristic poetic transition of Jeon, Bong-Geon, which would be the poetic change process. There is a clear turning point between poetic change process shown in Jeon, Bong-Geon. The turning point is between combat poetry and postwar poetry. The turning point formed between two points such as combat poetry and postwar poetry is formed when ‘I’ in combat poetry change to ‘I’ as a wounded soldier. And this turning point includes a joint collection of poems 『War and Music and Hope and』 and a question about ‘myself’ who writes poems. The work that is integrated with such problematic points is the 「 〈variation〉 under the Theme of Galaxy」 . In Jeon, Bong-Geon’s combat poetry, the act ‘look’ was the most important, and the ‘act of looking’ was pretty complicatedly composed. The speaker in Jeon, Bong-Geon’s combat poetry, who is a combatant looks at the real objects in the combat field such as empty cartridge and wire entanglements. As soon as the combatant’s body sensed the real objects in the combat field such as empty cartridge and wire entanglements, it was fixed by these real objects in the combat field. However, the combatant in the combat field is moved out of the combat field as a wounded soldier with scar in his hand. Even after he is moved out of combat, the speaker’s ‘act of looking’ is still maintained. The combatant’s body moved out of the combat field could not look at the real objects in the combat field, but just look at the scar left in his hand. The indelible trace formed in the combat field, which is called ‘scar’ that the speaker looks at, made it impossible for the speaker to completely get out of the original experiences of ‘war’. Therefore, he attempted to overcome originated from ‘scar’, and this attempt was shown as variation. In 「 <variation> under the Theme of Galaxy」 which was the most problematic work of joint collection of poems in the turning point between combat poetry and postwar poetry, there were total three types of variation originated from the poet’s ‘act of looking’. He attempted the variation through “galaxy” like ‘combat field’ as “bloody June”, “empty cartridge” as “bullet mark”, and ‘I’ who used to be a combatant as ‘poet’. Eventually, these attempts failed. However, this failure was remained as ‘empty space’, which worked as driving force for Jeon, Bong-Geon to write poems about war for his lifetime.

      • KCI등재

        전봉건의 『사랑을 위한 되풀이』에 나타난 `사랑` 연구

        양경언 ( Yang Kyung-eo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2 국제어문 Vol.55 No.-

        전봉건은 전쟁에 대한 경험을 끊임없이 시적으로 형상화한 시인 중 한명이다. 그는 전쟁에 굴복하고 마는 시적 주체의 음울한 모습만이 아닌, 시적 주체가 능동적으로 삶을 견지하려는 모습 역시 두드러지게 그리는데 전봉건 시에서 시적 주체의 이와 같은 움직임들은 주로 `에로스`, `생명의식` 등으로 평가됐었다. 그러나 이 말들은 모두 `사랑`이라는 말을 경유하여 설명되어온 것이다. 때문에 `사랑`이라는 말 자체를 시작(詩作)의 형식적인 차원과 결부시켜 전봉건의 시를 바라보는 연구가 요구된다. 본고는 시인이 전쟁 후에 바로 쓴 『사랑을 위한 되풀이』(1959)를 주목하여 이 시집에 나타난 `사랑`의 구축과정과 `사랑`의 효과를 살핀다. 크리스테바의 `사랑의 윤리`를 빌려와 은유적으로 구축되는 사랑과 사랑을 통해 시에서 은유들이 연쇄적으로 생성되고 있음을 보면서, `사랑`이라는 말이 다른 무엇의 매개가 아닌 전봉건의 시적 원리 그 자체임을 증명한다. 2장에서는 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은유적 원리를 탐색하여 사랑이 어떤 방식을 통해 구축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크리스테바에 따르면, `은유`는 언술 작용의 주체와 대상이 그들 사이의 경계선을 혼동할 때,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의 이동이다. 은유가 진행되는 과정은 마치 타인과의 끝없는 동일화를 욕망하는 `사랑`의 체험과 유사한 것이다. 전봉건의 시에서 `사랑`이 만들어지는 원리 역시도 은유적인 방식과 유사하다. 사랑의 은유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언술 내용보다는 언술 행위 그 자체가 상기되어야 한다. 이는 곧 생성텍스트(geno-texte)에서 `사랑`을 구축하기 위해서 현상텍스트(pheno-texte)에서 `사랑의 증거`라는 은유를 성립시키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사랑을 위한 되풀이」에서 `사랑`은 은유의 생산현장에서 생성된다. 3장에서는 전봉건의 『사랑을 위한 되풀이』에 수록된 각종 시편들을 분석하여, 은유를 통해 구축이 된 `사랑`이 또 다른 생명들을 어떻게 잉태하는지 그 모습을 확인한다. 은유적 원리는 차이를 가진 대상들의 동일화를 통하여 끊임없이 불안을 야기하는데, 그 불안은 마치 사랑을 지속시킬 수 있는 실천이 있을 때에야 지속 가능한 사랑의 체험을 연상케 한다. `사랑`은 전후(戰後)의 피폐한 상황 속에서도 그 참혹함에 묻히지 않고, 오히려 전후 상황에 거리를 두고 다양한 수사로 상황을 표현해낼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동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봉건 시의 시적 주체들은 사랑의 생성에 그치지 않고 사랑의 윤리를 실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내 안의 것에 대한 사랑뿐 아니라, 그를 포함하여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크리스테바적인 사랑과 닮은 것이다. 전봉건이 표현하는 `사랑`이란, 전쟁의 입체적인 면모를 도리어 고발하는 통로로 기능한다. 사랑의 함의가 드러날수록 전쟁의 잔혹함은 짙어지지만, 사랑을 지키려는 시적 주체의 의지 역시 강화되므로 `사랑`은 죽음이 만연한 사회에서도 계속해서 시를 쓸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자리한다. Jeon Bonggeon is one of those poets who continually embodied his war experience in poetry. He does not stop short of depicting the gloomy aspects of the subject of poetry that kneel before the face of the war; he markedly paints the proactive side of the subject who holds fast to his life. Such behaviors shown by the subjects in Jeon`s poetry have been defined by “eros” or “consciousness of life”. These words however were used in place of the term “love” and there have been demands for the studies of Jeon`s poetry that view "love" with regard to the formality of writing poetry. This study focuses on 『Repetition for Love』(1959) that the poet wrote after the Korean war, exploring how the concept of “love” is built and how its effect is portrayed. It could be learned that Jeon borrows the “ethics of love” from Kristeva and that the series of metaphors are created based on the metaphorical love and love, showing that “love” is not a medium of another but Jeon`s poetic principle itself. Chapter 2 analyzes the long 『Repetition for Love』to discover the varieties of metaphorical principles to see how “love” is built. As Kristeva put it, “metaphor” is “the economy that modifies language when subject and object of the utterance act muddle their border”. The process in which metaphor takes effect and is built is similar to the experience of “love” - a desire to incessantly identify oneself with the other. The way “love” is created in Jeon`s works is similar to how metaphor is formed. For the metaphor of love to be created, the act of utterance itself should be reminded rather than the content of the utterance. That is, the metaphor of the “proof of love” is formed in the pheno text(pheno-texte) in order to build on “love” in the geno text(geno-texte). “Love in 「Repetition for Love」is created while metaphors are produced. In Chapter 3, the poems in 「Repetition for Love」are analyzed to see how “love” built on metaphor acts to give birth to other forms of life. The metaphorical principle brings about anxiety by identifying the different subjects, the anxiety of which allows for the experience of love that lasts only when there is action to continue the love. Devastation of war does not bury “love” under its sheer brutality; instead, it serves as a driving engine that helps describe the situation with diverse expressions, keeping a fair distance to the post-war situation. This process which emerges itself in Jeon`s works is what spurs the subjects to go beyond the creation of love to act on the ethics of love. It is not merely the love for what is inside oneself; it resembles more of the Kristevan love in which something new is created. “Love” as described by Jeon is a channel through which various dimensions of the war are exposed. The more the implications of love reveal themselves, the worse the cruelty of the war becomes. However, this also intensifies the subject`s willingness to protect love. “Love” therefore drives the poets to continue their work even in a world where death is prevalent.

      • KCI등재후보

        전봉건 『춘향연가』에 나타난 의인화personification 연구

        홍승희(Hong SeungHe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1

        전봉건의 『춘향연가』는 〈춘향전〉의 서사를 떠올리게 하는, 우리 현대시에서 長詩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논의되고 있다. 지금까지 에로티시즘ㆍ환상성ㆍ이미지 등의 다양한 각도에서 텍스트를 독해해왔지만, 이 모든 논의들은 〈춘향전〉의 서사를 바탕으로 구성된 ‘춘향’을 전봉건의 『춘향연가』에서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로 귀결시켰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전봉건의 『춘향연가』에 드러나는 다양한 언술 주체로서의 ‘춘향’을 단순화시켜 의미를 축소한다는 점에서 온당한 평가를 하기에는 부족하다고 보인다. 그러므로 본고는 『춘향연가』라는 하나의 텍스트에 다양한 언술이 분포되어 있는 부분을 의인화 양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춘향’의 변주된 주체들이 어떤 의식을 지향하고 있는지 확인해 보려고 한다. 이는 ‘춘향’이라는 하나의 의인화 personification 형상이 있는 것처럼 표면화되면서, 동시에 파편화된 다중의 목소리가 발화되고 있는 텍스트의 특성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런 특성은 전봉건의 『춘향연가』가 〈춘향전〉의 서사에 기대어 ‘춘향’이라는 인물을 일차 의인화 비유personification figure로 구성해냈음과 동시에 텍스트가 진행될수록 언술 주체가 자신을 지시하는 모습을 다양하게 나타내어 이차 의인화로 확장시키는 의인화 캐릭터personification character를 생성 했음을 확인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이는 ‘춘향’이라는 인물의 등장으로 기대하게 되는 서사의 재현 지점에서 〈춘향전〉의 ‘춘향’의 이미지를 배반하는 모습으로 시작된다. 즉 새로운 ‘춘향’이의 생성을 확인시켜 줌으로써 ‘춘향’의 의미를 새롭게 구축한다는 것이다. 이는 전봉건의 ‘춘향’이 ‘나’를 언술 주체로 삼으며 내가 꿈꾸는 것이 무엇인지 이야기함으로써 서사적 인물의 ‘춘향’이에 갇혀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또한 스스로를 새롭게 탄생하는 존재로 부각시키며 ‘춘향’이 결정불능의 인물이며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여성임을 확인시켜준다. 이러한 결정불능의 인물인 춘향이 ‘이도령’과 ‘변학도’의 언술까지 구성해냄으로써 ‘춘향이의 사랑’이 이항대립적인 관계 안에서만 의미를 가질 수 있었다는 것을 지적하고, 이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관계 정립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렇게 『춘향연가』에 나타나는 의인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서, 전봉건의 ‘춘향’은 타인의 욕망에 종속되지 않는, 향유의 주체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사랑’을 성취하는 주체로서의 ‘춘향’의 모습이며, 새로운 여성의 탄생을 보여주는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이는 고정된 현실을 새롭게 재구성하고자 했던 전봉건의 시도로 읽을 수 있다. Jeon Bonggeon’s “Chunhyang Yeonga” recalls the story of “Chunhyang” and is commonly cross lips as having good influence on modern Longpoetry. Jeon Bonggeon’s “Chunhyang Yeonga” has been read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eroticism, fantasy and image. “Chunhyang” of the thesis which has been written based on these perspectives is constituted by story of “Chunhyang” and shows how to constitute herself in “Chunhyang Yeonga”. However, in these contexts, it seems this construct is not enough to express the various perspectives of subject of speak, “Chunhyang”. This paper analyzes the personification of “Chunhyang”, which is appeared through different subjects of speak in Jeon Bonggeon’s “Chunhyang Yeonga”. Different subjects of “Chunhyang” open the new ways to understand the text. In the first stage, “Chunhyang” is just a personification figure at appearance. At the same time, in the second stage, different voices of “Chunhyang” are found in text. This is only possible when “personification figure” extends toward “personification character” based on the narrative poetry. In these second stage, “Chunhyang” reproduced “Chunhyang” as a “per sonification character” and the original image of Chunhyang was distorted by her “personification character”. New “Chunhyang”, which is made of by the text, becomes a new characteristics of new stories. New “Chunhyang” gives self-reproduction and keeps producing the “Chunhyang”’s new characteristics in new stories. By then, it’s not able to define who “Chunhyang” is. She may represent voices of “Lee Do-Rung” or “Byun Hak Do”. Original Chunhyang’s love was only meaningful either for “Lee Do-Rung” or “Byun Hak Do”. However new “Chunhyang”, second personification, is to break the narrative bound and needs new relationships. In conclusion, through the aspect of personification in Jeon Bonggeon’s “Chunhyang Yeonga”, it is found that “Chunhyang” of Jeon Bonggeon is the subject of Jouissance. Moreover she is not any more under the influence of Others’ desire. Through the “Chunhyang Yeonga”, she becomes a subject who achieves her love and shows the new women’s characteristics.

      • KCI등재

        1960년대 전봉건 시극(詩劇) 연구

        이단비 한국시학회 2022 한국시학연구 Vol.- No.71

        전봉건의 시작(詩作) 활동은 그가 1950년 입대하여 이듬해 부상으로 제대한 시기에 본격화된다. 그가 이 시기에 발표한 시론들은, 시(예술)를 생명의 근원과 인간의 본성이 복귀하는 운동으로, 시인(예술가)은 인간을 사랑해야 하는 당위를 부여받은 존재로서 시라는 사랑의 결과물을 바치는 자로 규정한다. 여기서 강조되는 것은 그가 개인적 차원을 넘어 ‘우리’, 대중/시민을 염두에 두고 ‘희망’을 운반하는 작업을 통해 시적 현실을 창조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신념은 1950년대 「후반기」 동인의 모더니즘 기법을 비판하고, 1965년 시인 김수영과의 논쟁에서 독자 대중의 의미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첨예하게 드러난다. 그리고 그가 60년대에 시극을 발표하는 것과도 연결된다. 시극은 ‘있어야 할 세계’를 상상하는 데 있어서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르이다. 하나의 목소리임이 가정된 일반적인 서정시와는 달리, 시극은 시인 내부에서의 갈등과 변화, 의지 등 단일하지 않은 내적 투쟁의 목소리가 복수의 인물을 통해 그들의 행위와 동선 속에서 ‘대화’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배경과 사건을 갖춘 이야기가 되면서 작품의 ‘공간’ 또한 구체화된다. 특히 현실과는 ‘다른’ 시적 현실을 그리고자 했던 전봉건에게 이러한 시극의 성격은 그의 예술관을 투영하기에 적합한 장르로서 여겨진다. 이에 본고는 전봉건의 두 편의 시극 작품 「꽃소라」와 「모래와 산소」를 분석하였다. 「꽃소라」(1963)는 전봉건의 환상 시학을 구현하고 있는 시극 작품이다. 고향(섬 동네)과 바다라는 이분화된 공간 구성, 그리고 이를 오가는 인물들의 만남과 헤어짐을 통해 극적(劇的)인 효과를 창출하고 ‘시적 현실’의 의미를 구체화하고 있다. 「모래와 산소」(1968)는 전봉건이 그간 회복의 기재로서 강력히 신뢰했던 ‘에로스’ 욕망과는 다른 의미의 동물적인 성애를 그린 작품이다. 이는 사랑을 ‘불신’하는 현대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지만, 동시에 시인 스스로 ‘있어야 하는 세계’를 그릴 수 없는 한계를 폭로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전봉건의 시극은 현실극복의 극적인 수행임과 동시에 그 실패에 대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전봉건의 ‘사랑’의 노래와 전통의 현대적 변용

        최호영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5

        In this paper, I approach from the text’s external and internal elements the significance of Jun Bong-gun’s “Love Song for Chunhyang” in how it embraces tradition. From the early stages of his literary career, we can read from his essays that Jung Bong-gun understood the necessity of critical employment of tradition, as well as keeping a world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historical situation of Korea. Jung Bong-gun’s literary philosophy was shaped by his experiences as a soldier during the Korean War, and it was also influenced by his meditations on how to pursue a ‘modern’ literature that will take its place between the two pillars of “universality” and “locality.” Of course,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the “modernity” that he expresses, but we can still find significance in that he struggled to overcome the nihilism that followed the ruins of Postwar Korea. In Jun’s inner frame of mind, “eroticism” emerged as the location of creativity that worked to overcome nihilism, and within the concerns of 1950s in Korea, Jun’s “eroticism” can be connected to how the traditional pansori narrative “Chunhyangjeon” came to the fore as the literary text of new possibilities. In previous studies, the “eros” that appears in “Love Song for Chunhyang” have merely been mentioned in passing, and never deeply studied. In this paper, I will show that “the eros” was the element that fueled Jun’s writings, and that it is connected to the context of hi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tradition in Korea, and I have tried to bring to the foreground not just the aspects of the text’s subjects, but its aesthetic elements. 전봉건의 『춘향연가』는 그의 문학이 지향해온 흐름뿐만 아니라 1950년대 담론 체계 내에서 문제적인 위치에 놓여 있다. 표면적으로 전봉건이 초기에 전쟁 체험을 바탕으로 폐허 의식을 드러내거나 시의 현대성을 주창하다가 ‘춘향’의 기호를 도입하고 있는 것은 이질적인 현상으로 보이나, 오히려 『춘향연가』는 그가 추구해오던 실존적 위기의식이라는 내적인 문제를 극복하려는 기획의 산물이다. 전봉건이 초기부터 보편성(세계성)과 특수성(지역성)의 긴장 관계 속에서 현대성을 지향해왔다고 볼 때, ‘춘향’은 그에게 전통의 현대적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다양하게 그려질 가능성으로 다가왔다. 이것은 전후의 전통론에서 ‘춘향전’이 분단현실의 극복, 현실사회의 비판의식 확립 등으로 새롭게 호명되는 맥락과 맞물려 있다. 전봉건은 초기 시에서 ‘꽃’의 이미지 변주를 통해 폐허의 현실을 생성의 공간으로 바꿔 놓으려는 문제의식을 전개해간다. 그리고 여성의 이미지로 변주된 ‘꽃’의 기호는 억압적 현실기제에 대응하려는 에로티즘과 연결되며 『춘향연가』에서 정점을 이룬다. 『춘향연가』에서 ‘춘향’은 부재와 구속의 공간인 감옥에서 이도령의 ‘있음’을 현현하는 상상력을 펼쳐낸다. 전봉건은 이것을 단순히 감옥에 대한 거부가 아니라 새로운 주체의 탄생이라는 언어 실험으로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한 미학적인 효과를 산출한다. 따라서 『춘향연가』는 그의 문학이나 1950년대 담론 내에서 전통을 창조적으로 받아들인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재평가되어야 한다.

      • KCI등재

        현대시의 난해성에 대한 김수영의 비평적 사유 고찰―사기 논쟁을 중심으로

        송현지 한국시학회 2020 한국시학연구 Vol.- No.63

        이 논문은 1960년대 중반에 있었던 김수영과 전봉건의 사기 논쟁에 대한 면밀한 독해를 통해 현대시의 난해성 문제에 대한 김수영의 사유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사기 논쟁의 진행 과정에서 전봉건이 오독한 김수영의 몇몇 어휘들의 진의를 해명하는 한편, 「사랑의 변주곡」을 이러한 김수영의 진의가 담긴 시적 방법론으로 읽음으로써 실제 논쟁에서 미완으로 남은 김수영의 답변을 메우고자 했다. 지금까지 사기 논쟁은 두 시인이 사상과 기법 중 무엇을 더욱 중시하는가에 대한 싸움, 즉 일종의 기교주의 논쟁으로 규정되었다. 이는 김수영이 사기 논쟁에서 사용한 ‘사상’과 ‘양심’이라는 용어에 대한 전봉건의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당시 시단에 횡행하던 가짜 난해시와 이에 대한 해설에 대해 김수영은 그것이 ‘사상’과 ‘양심’이 결여되고 기술만 있다고 비판하였는데, 이때 그가 사용한 ‘사상’과 ‘양심’은 ‘포즈’에 대응하는 말로서 정확히 말하자면 ‘미학적 사상’과 ‘미학적 양심’을 뜻하는 말이었다. 그는 이 용어를 통해 시인은 시에 대한 자신만의 미학적 신념이 있어야 하며, 이에 근거하지 않은 채 난해한 기법을 빌려오는 것보다는 차라리 자신의 역량 내에서 정직하게 시를 쓰는 것이 낫다는 시관을 드러내었다. 그런데 전봉건이 이를 일반적인 의미로 이해함으로써 그들은 서로 다른 논점과 층위에서 논의를 진행하게 되었고 논쟁은 공회전 되었다. 그러나 전봉건의 이러한 오독은 결과적으로 모더니즘 시의 문제로만 논의되었던 난해성의 문제를 참여시에까지 확대하는 역할을 하였다. 전봉건은 김수영을 참여 시인으로 한정하여 규정한 후 김수영 작품의 난해성을 문제 삼았는데, 독자의 이해를 중시한 전봉건에게 김수영의 시는 그들의 현실 참여를 불가능하게 할 만큼 난해하다는 점에서 현실 참여를 주장한 김수영의 시론과 괴리되는 사기로 여겨졌다. 그러나 김수영에게 시의 난해성은 그것이 모더니즘시인지 참여시인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시인의 ‘미학적 사상’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라면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는 일반 독자의 현명함을 신뢰하였을 뿐만 아니라 독자 역시 성장한다고 생각하였으며, 독자에게 시를 이해시키는 것보다 시를 통해 독자의 감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더욱 중시하였기 때문이다. 이후 우리 시단에서 난맥의 시들이 점점 자 취를 감출 무렵, 김수영은 사상과 양심, 그리고 독자를 중심으로 한 현대시의 난해성에 대한 자신의 이러한 생각을 시를 통해 보여주는데, 그의 대표작 「사랑의 변주곡」은 이러한 시론의 집약체로 읽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ooking into the criticisms by Kim Soo-young toward the issue of abstruseness of modern poetry based on detailed reading of the Fraud Argument by Kim Soo-young and Jeon Bong-geon, which took place in the mid-1960s. For this aim, this study replaced the answer by Kim Soo-young, which had been incomplete until now, by clarifying the real intention of some words by Kim Soo-young, which had been misinterpreted by Jeon Bong-geon in the process of proceeding with the Fraud Argument, and reading 「Variation of Love」 based on the poetic methodology encompassing true intention of Kim Soo-young. Until now, the Fraud Argument was defined as the brawl regarding out of which one two poets prioritized between ideology and technique (that is, a sort of technicalism argument). This originated from misunderstanding by Jeon Bong-geon regarding ‘ideology’ and ‘conscience’ which had been used in the Fraud Argument by Kim Soo-young. With regard to fake abstruse poems which became rampant by poetical circles and corresponding interpretations, Kim Soo-young criticized that they lack ‘ideology’ and ‘conscience’ and only have techniques. Here, ‘ideology’ and ‘conscience’, corresponding to ‘pose’, meant ‘aesthetic ideology’ and ‘aesthetic conscience’. Through the terms, he expressed his poetic value that poems have to be written honestly within one’s own capability based on aesthetic standards and beliefs. However, after Jeon Bong-geon understood them as ordinary terms, Kim Soo-young and Jeon Bong-geon proceeded discussion from different points and levels and the Fraud Argument continuously went around in circles. However, misinterpretation by Jeon Bong-geon played the role of expanding the issue of abstruseness, which had been discussed as the only problem of modernism poetry, to engagement poetry. Jeon Bong-geon restrictively defined Kim Soo-young as engagement poet and pointed out the abstruseness of the works by Kim Soo-young. For Jeon Bong-geon who put emphasis on understanding by readers, poems by Kim Soo-young were regarded as a fraud which were disparate from the criticism of poems that insisted participation in reality in the sense that Kim Soo-young’s poems made participation in reality impossible. However, Kim Soo-young did not point out abstruseness of poem when it was based on ‘aesthetic ideology’ as problematic regardless of the issue of being modernism poem or engagement poem. This is because in a sense, he believed in the wisdom of normal readers and in another sense, what mattered to him was not understanding of poetry by readers but changes in sensitivity by readers due to poetry. Afterwards, around the time when poems of chaos were about to vanish in poetic circles, he expressed his thoughts toward ideology, conscience, and readers. His leading work ― 「Variation of Love」― is an aggregate of his thoughts.

      • KCI등재

        ‘사랑’ 개념에 관한 시적 탐구와 인지 시나리오로서의 시 – 전봉건의 「사랑을 위한 되풀이」를 중심으로

        김청우 한국시학회 2021 한국시학연구 Vol.- No.68

        War and Love can be said to be very important keywords in Jeon, Bonggeon's poem. Jeon, Bonggeon was actually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as a wounded soldier during the Korean War, and was a poet who had no choice but to have a so-called ‘trauma’ in the war, losing his brother in a tragic situation created by the fire of the war. The fact that the battlefield he faced must have been disastrous itself can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he is a hygienist who treats the injured. However, he focused on actively healing himself through love rather than despair,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poetic healing socially by poeticizing about the Korean War throughout his life to endure the reality of hell-like division of war. In this regard, Jeon Bong-gun's poems have many implications for the real society, where post-war wounds still remain. This paper examined Jeon, Bonggeon's poem, which activel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poetic healing under the theme of Love beyond the tendency to reproduce the horrors of war shown by existing post-war poems, especially his marketplace, which focuses on love exploration. This study starts with the view that Jeon, Bonggeon's exploration of love, which claimed to be a composition for ‘hope’ in postwar situations, is clearly revealed in “Repetition for Love”, especially through the form of ‘repetition’ as well as metaphorical expressions. “Repetition for Love” consists of a total of seven parts, which is presented as a kind of scenario about love, and each part is a style of overlap and repetition that convincingly shows the three-dimensional aspect of love one by one. Such persuasive power is secured by metaphors and scripts. ‘전쟁’과 ‘사랑’은 전봉건의 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주제어라고 할 수 있다. 전봉건은 실제로 한국전쟁 당시 위생병으로 참전하여 전상자로 제대했으며, 전쟁의 포화가 만들어낸 비극적 상황 속에서 자신의 형을 잃기도 한, 전쟁에 이른바 ‘트라우마’를 가질 수밖에 없는 시인이었다. 그가 마주한 전장이 참혹함 그 자체였으리라는 것은 그가 부상자를 치료하는 위생병이라는 사실로도 충분히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그는 절망하기보다 사랑을 통해 적극적으로 자신을 치유하는 데 힘을 쏟았으며, 지옥과도 같은 전후 분단의 현실을 견뎌내기 위해 일생에 걸쳐 6ㆍ25에 관해 시화함으로써 사회적으로도 시적 치유의 가능성을 제안했다. 그런 점에서 전봉건의 시는 여전히 전후의 상처가 곳곳에 남아 있는 현실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본고는 기존의 전후시가 보여준 전쟁의 참혹함을 재현하는 경향을 넘어 ‘사랑’을 주제로 적극적으로 시적 치유의 가능성을 타진했던 전봉건의 시, 그중에서도 「사랑을 위한 되풀이」가 사랑의 탐구를 구심으로 삼는 그의 시세계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보고, 그것이 토대로 삼는 사고와 문체적 특징을 함께 읽기 위해 인지시학과 정신분석의 주요 개념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전후 상황에서 ‘희망’을 향한 구도자를 자처한 전봉건의 사랑에 관한 탐구가 「사랑을 위한 되풀이」에 여실히 드러나 있으며, 특히 그것이 은유와 같은 표현뿐만 아니라 ‘되풀이’라는 형식을 통해 제시된다고 보는 데서 출발한다. 「사랑을 위한 되풀이」는 전체 7개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일종의 사랑에 관한 시나리오로서 제시된 것이고, 각 부분은 중복과 반복의 문체로서 사랑의 입체적인 면모를 하나하나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그러한 설득력은 은유와 스크립트 등에 의해 확보된다.

      • KCI등재

        전봉건 시의 ‘여성’과 아이러니적 거인

        오채운 ( O Chae-woo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2

        본 논문은 설화 속의 거인과 현대시의 왜소한 인물들이 가지는 공통점을 찾아내고 그 공통점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전봉건의 시에 등장하는 ‘여성’과 관련하여 논의하고 있다. 첫째, 전쟁이라는 시대적 상황과 관련하여 살펴보았을 때 여성은 위축되고 훼손된 모습으로 위태로운 상황에 놓여 있다. 전쟁으로 인해 어머니의부재가 드러나고 여성의 관능적인 육체는 부패하게 된다. 이때 관능적인 육체의 부패는 여성거인이 가지고 있는 생산신적 기능의 소멸을 의미하게 된다. 둘째, 전봉건의 시에서 남녀의 문제를 거인설화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거인설화에서 두드러지는 재앙이나 벌은 전봉건의 시에서 ‘전쟁’이라는 참혹한 상황으로 드러난다. 그런가운데 여성의 생명과 사랑에 대한 의지는 남성과 대립관계로 공존하면서 여성거인의 창조신적 기능을 암시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셋째, 여성의 관능미와 관련하여 거인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전봉건의 시에서 여성은 흙으로의 변형을 통하여 남성과의 합일을 이루어낸다. 관능미를 통한 남성과의 합일은 거인의 생산신적 기능과 창조신적 기능을 하며 전쟁으로 인한 폐허의 상황에서 재건을 꿈꾸게 만든다. 전봉건의 시에서 여성은 외형적으로 거인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항아리나 흙으로 모습을 변형하여 거인의 기능을 한다. 외형상으로 거인이 아닐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 모습이 와해됨으로써 거인의 기능을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현대시에서 거인의모습은 평범한 사람들보다 더 왜소하며 우리의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숨어서 거인의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그만큼 거인의 모습은 상징적으로 드러나고 암시적으로 감추어져 있는 것이다. 현대시에서의 거인은 그 위용이 휘황하게 드러나는 것이아니라 아이러니적인 형태로 변형되어 우리 가까이에 숨어 있기 때문이다. In regard to ``women`` appearing in Jeon Bong-geon``s poetry, this paper is finding something in common between giants in folk tales and small figures in the contemporary poetry and discussing what the things in common mean. First, examined in line with war of that time, women are placed in the risky situation, daunted and disfigured. Due to the war, the absence of mothers is exposed and the voluptuous body of women is decomposed. Here, decomposition of voluptuous body means extinction of functions of producing deity, which female giants have. Second, the problem of men and women in Jeon Bong-geon``s poetry was investigated linked to the giant tale. The disaster and punishment highlighted in the giant tale are expressed as ``war``, the horrible situation, in his poetry. Women``s will of life and love in that situation coexists as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with men and connotatively exposes the function of the creating deity of female giants. Third, as regards voluptuousness of women, the function of giants was investigated. In his poetry, women attain a unity with men through transformation into soil. The unity with men through voluptuousness functions as the producing and creating deity of giants, and makes people have a dream of reconstruction in ruins. In his poetry, women do not expose themselves as a giant physically, but they are transformed into a jar or soil and function as a giant. They are not a giant physically; their shape is rather collapsed and obtain a function of the giant. The figure of giants in the contemporary poetry is smaller than ordinary people and hidden in inconspicuous places. Like that, the figures of giants are symbolically shown and connotatively hidden. It is because giants in the contemporary poetry are not shown brilliantly but transformed into the ironical form and hidden near us.

      • KCI등재

        전봉건과 김종삼 시의 수사학 : 『한국전후문제시집』을 중심으로

        송승환(Song Seung-Hwan) 우리문학회 2011 우리文學硏究 Vol.0 No.32

        본 연구는 『한국전후문제시집』에 수록된 전봉건과 김종삼 시의 수사학을 탐구함으로써 『한국전후문제시집』이 지닌 1950년대 전후(戰後) 한국의 미적 현대성의 한 국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 전쟁 이후 최초로 발간된 사화집인 『한국전후문제시집』은 1950년대 전후 한국의 모더니티를 (무)의식적으로 체험하고 내면화한 시인들의 언어를 반영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전봉건과 김종삼의 시쓰기는 해방 이후 일본어 대신 한국어를 스스로 연습하고 한국어 사전을 찾아가면서 한국어 사용을 훈련하는 과정이었다. 그들은 6?25 전쟁 이전 평안남도와 황해도에서 각각 월남한 시인으로서 낯선 남한(서울) 한국어의 새로운 미적 가능성을 각자의 방식으로 실험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들은 전쟁 체험과 세계의 폐허 속에서 한국어의 언술 방식과 자기 자신만의 수사학을 단련함으로써 1950년대 전후 한국시의 미적 모더니티를 창조했던 것이다. 전봉건은 전쟁으로 인한 죽음과 폐허 속에서 상처를 치유하고 생명을 잉태시키는 한국어의 리듬을 탐구한다. 그 리듬은 약동하는 생명력이다. 더 나아가 모든 생명의 원천인 태양을 향해 펄럭이는 모든 존재의 리듬이다. 전봉건의 리듬은 언어의 반복과 변주를 통해 음악과 무의미의 아름다움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 죽음과 폐허 속에서 새로운 생명을 잉태시키는 삶의 찬가로서 삶의 긍정을 지향한다. 전봉건 시의 리듬은 전쟁의 폐허 속에서도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부여하는 그의 수사학이다. 이와 달리 김종삼은 한국어의 시제 탐구를 통해 순수하고 영원한 미적 순간을 그려낸다. 그는 전쟁 체험과 만연한 죽음의 목격 속에서 시제의 미묘한 운용을 통해 현실 너머의 순수하고 순결한 세계를 창조한다. 세계의 더러움이 모두 지워진 순백의 아름다운 세계를 지향하는 까닭에 그의 시세계에서 인간적인 목소리와 일상 세계의 의미는 모두 지워진다. 김종삼 시의 시제는 세계의 모든 인연과 절연되어 의미가 모두 사라지는 백지의 아름다움과 침묵의 순수에 대한 지향과 비극적 실패를 구축하는 그의 수사학이다. 전봉건과 김종삼은 1950년대 전후 한국의 시공간에서 한국어의 수사학을 탐구함으로써 폐허로 변한 현실에 대한 시적 대응과 삶의 모색을 보여준다.

      • KCI등재

        전봉건의 전쟁체험시에 나타난 상상의 양상과 의미

        장만호 한국비평문학회 2023 批評文學 Vol.- No.87

        Imagination is the work of the mind that forms images. It is grounded in reality and at the same time nullifies reality. It is a desire to understand the world by imaging an incomprehensible world, and to develop a world that does not exist in reality. Imagination is also an act of freedom in that it seeks to be free from the constraints of reality. Poet Jeon Bong―geon constructed various imaginary figures in his war experiences. In his poems dealing with battle scenes, imagination and perception intersect. Sensitivity is essential to survive in battle, but the anxiety and fear of an upcoming battle can only be overcome through imagination. The narrator of Jeon Bong―geon's poem is to stop perception and gain peace of mind by recalling images. Another characteristic of imagination is that it schematizes or manifests knowledge or thought. Jeon Bong―geon presents a number of war experience poems with the theme of recovery of humanity and pursuit of vitality. The subjects of these poems are natural objects such as flowers and river water, or jars. Since concepts such as war, love, and life cannot be grasped through logic and knowledge, Jeon Bong―geon manifests them as flowers, river water, or jars. Another characteristic of imagination is that it desires and pursues something that is absent in reality and is not given. Humans can be freed from the restraints of reality through imagination, and the poet transcends the limits of himself and the world toward the imagined world. Jeon Bong―geon manifests things that do not exist on the horizon of ruins and imagines things that should exist. 상상은 이미지화하는 정신의 작용이다. 그것은 현실에 기반하는 동시에 현실을 무화시킨다. 그것은 이해할 수 없는 세계의 모습을 이미지화함으로써 세계를 이해하고자 하며, 현실에 부재하는 세계를 현상하고자 하는 욕망이다. 또한 상상은 현실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롭고자 한다는 점에서 자유의 행위이기도 하다. 전봉건 시인은 자신의 전쟁체험시에 다양한 상상의 모습을 구축하였다. 전투 장면을 다룬 그의 시에서 상상과 지각은 교차적으로 나타난다. 전투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지각의 예민함이 필수적인데, 이에 반해 다가오는 전투의 불안과 공포는 상상을 통해서만 극복된다. 전봉건 시의 화자는 지각을 중단시키고 이미지를 떠올리면서 마음의 안정을 얻는 것이다. 상상의 다른 특징은 지식이나 사유를 도식화하거나 현시한다는 것이다. 전봉건은 인간성의 회복과 생명력의 추구를 주제로 하는 다수의 전쟁체험시를 발표한다. 이 시들의 제재는 꽃, 강물과 같은 자연물이나 항아리이다. 전쟁, 사랑, 생명과 같은 개념들은 논리와 지식으로 파악할 수 없기에, 전봉건은 이를 꽃이나 강물, 항아리로 현시하고 있는 것이다. 상상의 또 다른 특징은 현실에 부재하는, 주어지지 않은 무언가를 욕망하며 추구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상상을 통해 현실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시인은 상상된 세계를 향해 자기와 세계의 한계를 초월해간다. 전봉건은 폐허의 지평 위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들을 현시하며, 있어야 할 것들을 상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