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상매체를 중심으로 한 인문학적 장애학의 효용과 변용

        조원일 한국장애학회 2016 한국장애학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영상매체를 활용한 인문학적 장애학의 효용과 사회과학과의 융합 그리고 인류 생존을 위한 공생 배려학으로서의 인문학적 장애학의 확대 가능성에 관해 논하였다. 인문학적 장애학의 효용에 관해서는 장애 관련 학문으로서의 (교육)특수교육과 장애인복지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아울러 연구자의 경험적 근거를 바탕으로 인문학적 장애학 연구물의 파급을 위한 아이디어를 고찰하였다. 인문학적 장애학의 변용에 관해서는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융합의 실체와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어 자본주의의 맹위 속에 영상매체를 중심으로 한 인문학적 장애학의 공생 배려학으로의 확대를 통해 장애 여부를 불문한 쌍방향의 소통 양식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인문학적 장애학의 효용과 확대재생산을 위한 융합적 장애학자들의 결집과 관련자들과의 전략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iscussed the usefulness of humanistic disability studies which focused on the media of image and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humanistic disability studies into the viewpoint of a study respecting symbiosis(symbiosis-respecting-study) which was important to human existence. To look at the usefulness of humanities of disability studies, I examined the areas of special education and disability welfare as those directly regarded to 'disability'. And I also examined ideas for distribution of research results on the basis of my own experiences. Concerning the transformation of humanities of disability studies, I discussed the substantiality and the examples of syncretism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s a result, it was emphasized that mutual communication was important for humanistic disability studies employing image media to expand its influence, expecially in the powerful capitalism society. The author lastly suggested the strategic methods of intervention, explaining how disability researchers unify as well as cooperate for the expansive reproduction of humanistic disability studies.

      • KCI등재

        장애학에 대한 재고찰

        조한진 ( Han Jin Jo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요즈음 우리나라에서 장애학이 많이 회자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장애학에 관하여 아직 많은 것들이 정리되지 못하고 혼동되어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정작 장애학 이란 무엇인가에 관해 정리한 문헌이 거의 없기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다 현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에 대한 개괄적인 정리를 해 보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다른 장애인 관련 학문에 있어서 장애학의 적용의 의의와 더불어 장애학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se days disability studies has become the talk of the disability field in Korea. However, as for disability studies in Korea, many things seem to be still disorganized and confusing. This arises from the scarcity of literature on what disability studies actually is. Thus,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about disability studies. In its conclusion, the study provides the challenges faced by disability studies in addition to the significance of the application of disability studies to other disability-related studies.

      • 장애이론의 확장 : 장애학의 다윈주의적 적용은 가능한가

        김원영,문영민 한국장애인재단 2011 장애의 재해석 Vol.2010 No.-

        장애학(disability studies)은 장애를 하나의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새로운 종합학문이다. 장애학을 성립시키는데 중요한 계기가 된 것은 ‘장애의 사회적 모델(social model of disability)’로 불리는 접근법으로, 이는 기존에 개인의 생물학적 손상이라는 개념과 거의 동일시되던 장애라는 현상을 이론적으로 분리시켜 사회과학적 분석공간으로 끌어들였다. 하지만 사회적 모델은 그 유효성에도 불구하고 장애학의 외부와 내부에서의 논쟁에 휩싸여 왔다. 특별히 인간의 행동과 마음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추구하는 생물학적 접근들이 대두되면서, 그 가운데서도 다윈의 진화론에 기반을 둔 인식론적 입장인 ‘다윈주의 (darwinism)’가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인문학을 아우르는 영향력을 행사하는 시대를 맞이하면서 사회적 모델은 그 핵심 전제들의 새로운 성찰을 요구받게 되었다. 본고는 다윈주의 사회과학의 접근을 통해 장애를 구성하고 차별하는 ‘마음의 모듈’이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선천적이고 고정되어 보이는 모듈의 힘을 감안하면서도 장애인에게 적극적인 권리와 자유를 부여할 수 있는 방법론을 탐색하는 장애학이 성립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윈주의를 장애학에 적용한 이러한 시도는 손상과 장애를 여전히 분리하는 태도와 유전자 결정론을 넘어서는 다윈주의의 확장된 입장을 통해서 장애학으로서의 정체성을 고수한다. 다윈주의적 입장의 확장은 문화적 복제자(meme)이론과 이성의 진화를 통한 윤리의 가능성을 언급하는 이론들을 근거로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본고의 작업은 장애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식의 제안이면서, 동시에 그것이 여전한 실천학문으로서의 장애학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이다.

      • KCI우수등재

        포스트휴먼 장애학 관점에서의 ‘학생 주도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수한(Soohan Lee),박유나(Yuna Park),이설(Xue Li)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이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최근 교육과정 개혁의 흐름을 특징 짓는 아이디어인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 개념을 포스트휴먼 장애학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대한 보다 (장애)포용적인 이해 방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휴먼 장애학의 등장 배경 및 주요 주장을 살펴보고, 학생 주도성 개념의 기반이 되는 인간 행위성이 포스트휴먼 장애학 관점에서 어떻게 다른 방식으로 사유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관련 정책 문서들을 분석한 결과, 2022 개정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 주도성은 다양한 교육과정상의 장치들(고교학점제 등)을 통해 ‘선택-책임’의 논리를 중심으로 의미화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장애학 관점에서 보면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포용교육에 대한 지향을 내세움에도 불구하고, 자율성, 자기-결정, 자기-책임과 같은 특정한 근대 휴머니즘의 가치들을 기반으로 학생 주도성이 행해질 수 있다고 전제하는 동시에 주도성 발현을 가능하게 하는 ‘인간 너머의’ 상호의존적 관계성에 충분히 주목하지 못함으로써, 의도치않게 비장애중심주의의 지속에 기여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과정상에서 주도성을 적극적으로 함양해야 하는, ‘보편적인 학습자’로 상정되는 비장애학생과 달리, 장애학생은 자립을 위한 특수한 종류의 학습경험을 초점에 둔 교육적 개입을 필요로 하며, 그렇기에 상대적으로 ‘덜 주도적인’, ‘예외적인 학습자’의 위상을 점하고 있음을 드러내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포스트휴먼 장애학이 제안하는 학생 주도성 개념 및 (장애를 포함한) 학생들의 차이에 관한 대안적인 사유 방식에 터해, 보다 정의롭고 포용적인 미래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examine the concept of student agency, an idea that has characterized recent curriculum reform policies,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 disability studies (PDS) and to propose a more inclusive framework for it.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plored how PDS enables us to rethink human agency, which underlies the notion of student agency. Next, the analysi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its related policy documents revealed that student agency embodi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predicated on the logics of choice-responsibility undergirding a range of curricular devices (e.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Drawing on PDS, the study argues tha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ay (inadvertently) contribute to the perpetuation of ableism by assuming that student agency can be exercised based on modern humanist values, such as autonomy, self-determination, and self-responsibility. Furthermore, it was also found that, unlike non-disabled students, disabled students are positioned in the curriculum as potentially less agentic, i.e., exceptional learners requiring educational interventions whose focus is on special kinds of learning experiences for their independence. Finally, the study discusses directions for developing a more just and inclusive version of the future curriculum that reflects PDS-based alternative ways of thinking about not only student agency but students’ differences, including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학 관련 외국학술지에 나타난 통합교육 분석

        강종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1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입장에서 주로 접근하는 학문인 장애학에 관련된 논문들이 통합교육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장애학을 주로 다루는 4개 외국학술지들에서 최근 10년(2004-2013)간 발표된 31편의 논문들을 검토하였다. 문헌검토결과 통합교육에 관한 주제들은 통합교육의 현실, 통합교육에 관한 교육자의 인식, 통합교육의 실천, 통합교육의 경향, 통합교육과 분리교육에 대한 논의와 같이 5가지로 나타났다. 장애학을 통한 통합교육에 관한 연구는 통합교육의 실행에 관한 관심으로부터 통합교육의 현실에 관한 관심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장애학에 관한 연구들은 미국, 영국과 같이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이 발전된 국가들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에서도 장애학을 포함하여 다양한 접근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통합교육의 발전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들과 실천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통합교육의 현실이나 통합교육의 경향 등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에 관한 연구들도 많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

        성찰적 근대화론의 장애학적 함의

        정지웅(Jeong, Ji-Woo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2

        본 연구에서는 성찰적 근대화론이 장애학에 갖는 함의를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장애학의 개념 및 장애학의 주류 담론 토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성찰적 근대화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수행하며, 성찰적 근대화론의 개인화이 장애학에 갖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성찰적 근대화는 장애인의 노동이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마르크스주의에 근거한 논의보다 보다 현실적으로 예측할 수 있었고, ‘개인화’가 심화되면서 가족의 기능이 약화되는 가운데, 성찰적 근대화에서는 장애인의 욕구가 충족되는 것이 장애인복지서비스의 공공성 확보 수준에 달려 있음도 알 수 있었으며, 성찰적 근대화가 진행될수록 장애정체감과 장애자부심의 형성이 보다 지지될 가능성이 있음도 예측할 수 있었다. 한편, 성찰적 근대화는 새로운 사회적 위험(new social risks)을 보다 심층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담론이 될 수 있으며, 장애인복지서비스의 대안적인 공급주체로서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 조직이 중요하고, 장애인 당사자의 정치적 역량을 강화하며, 장애인복지 전문가에게 새로운 성찰의 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음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performed to inquire the implication of reflexive modernity theory on disability studies centered on individualiz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article studied the concept of disability studies, the main discourse foundation of disability studies, the basic understanding of reflexive modernity theory, and the implication of reflexive modernity theory on disability studies. Reflexive modernity theory can anticipate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labor market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the extent of need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is influenced by the level of public social service, and the probability of establishment of disability identity and disability pride will be strengthened. Moreover, reflexive modernity theory can be a theory which is able to investigate the new social risks theory more deeply, and presents that social economy organization is important as a alternative social service provision.

      • KCI등재

        특수교육에 적용된 장애학의 연구 경향 고찰: 2000~2010년 외국 논문들을 중심으로

        강종구 ( Jong Gu Kang ),김건희 ( Keon Hee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는 다소 새로운 학문인 장애학이 특수교육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장애학을 주로 다루고 있는 외국 학술지들과 장애학을 제목이나 주제어로 사용하는 외국 논문들에 대한 문헌 검토를 하였다. 문헌 검토는 2000년에서 2010년까지 발표된 논문들 가운데 장애학생의 교육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111편의 논문들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특수교육 분야에서 장애학은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특수교육에 적용된 장애학은 통합교육, 지도전략, 평가, 교육환경, 법률 및 정책, 가족참여 및 가족태도, 특수교육 경향, 장애태도, 전환교육과 같이 9개 주제들을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9가지 주제들 가운데 통합교육에 관련한 연구들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disability studies applied in special education that is a relatively new scholarship, and attempted to apply disability studies into South Korean special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study, we did literature review on foreign studies from four journals that mostly discuss disability studies and foreign articles that use disability study/ies as a title or a subject term.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111 articles that was directly related to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rticles reviewed were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0.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shows that the studies on disability studies applied in special education were conducted not only from the United States but also from internationally including Europe. In addition, the studies on disability studies applied in special education discuss ten topics such as inclusive education, instruction strategies, assessment, educational environment, law and policy, family participation and family attitude, the trend of special education, the application of disability studies, attitudes on disability and transition. The studies on inclusion were the most frequently explored topic among ten topics.

      • KCI등재

        장애학의 관점에서 사회과에서의 장애인 인권교육

        박남수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2015 법과인권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의 관점에서 사회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인 인권교육을 비판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 인권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장애에 대한 관점은 전통적인 의료모델 또는 개인모델에서 사회모델로 변화해 왔다. 장애학은 장애인이 직면하는 곤란을 사회시스템에서 찾고자 하는 사회모델을 기본 개념으로 하는 것으로, 기존의 의료, 재활, 사회복지, 특수교육의 대상과 같은 틀에서 벗어나 사회와 문화의 시점에서 장애인의 해방을 지향하는 대안적인 관점이다. 사회인식을 통해 시민적 자질을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과는 인권교육에 중추적 역할을 해 왔지만, 사회과에서의 장애인 인권교육은 장애인의 인권문제를 배려나 시혜의 차원에서 접근하거나 장애인 인권의 중요성과 더불어 인권존중의 가치를 주입시키려는 방향에서 이루어져 왔다는 한계점이 지적된다. 이러한 비판적 성찰을 바탕으로 장애학의 관점에 입각한 사회과에서의 장애인 인권교육은 첫째, 사회모델에 입각한 문제 설정, 둘째, 비장애인 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능력의 육성, 셋째, 소수 문화로서 장애문화를 인정하고, 장애인의 삶과 실제를 존중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 KCI등재

        장애학의 다중 패러다임에 따른 한국 장애인 운동의 성격 분석

        이동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4 재활복지 Vol.8 No.1

        본 연구는 장애학 다중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장애인 운동의 변천을 살펴봄으로서 한국 장애인 운동의 성격을 분석하고 장애학 자둥 해러다임의 유용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운동에서의 패러다임 변화는 명확하여 개별적 유물론 입장에서 사회적 생성주의 입장으로의 변환이 1980년대 말에 이루어졌으며, 사회적 생성주의 입장은 점점 강화되고 있다. 또한 인권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타 영역의 사회운동과 결합함에 따라 장애인 등 소수그룹의 차별을 정당화하는 사회적 문화 또는 사회적 정체성을 거부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한 입장이 사라지고 다른 입장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입장들이 공존하고 있음도 알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ansition of paradigm on movement in the area of disability from 1960 s. The simple paradigm transition is too short to explain the comprehensive social phenomenon such as disability. In this reason. this study made use of multiple paradigm. A proper understanding of disability theory requires more than a distinction between individual and social model approaches. It is also helpful to distinguish between materialist and idealist explanations. These two dimensions are used to generate a fourfold typology - Individual materialist position, Individual idealist position, Social creationist position, Social constructionist position. In this study, movement of the disabled have changed from individual material position and individual idealist position to social creationist position. Until 1986, position of movement was individual material position. From 1987 to 1989, people with disability asked the rights So survive and welfare services. At this time, individual idealist position was dominated. In 1990's, social creationist position have prevailed. There were lots of struggles to change the social environments. Since 2001, social creationist position has been intensified. Struggles for Mobility rights and anti-discrimination have increased.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is inferred that multiple paradigm is very useful to explain the social disability phenomenon. It is also possible to classify the periods of the movement transition through the transition of paradig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