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소년자원봉사활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 연구

        박정희,김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4 No.1

        Purpose of this study actual conditions and service activity of teenagers volunteerism activity really diagnose current teenagers volunteerism activity system because searches individual fantast affecting for degree and it is presents registration point hereafter. Used “Korean Youth Panel Research (KYPS: 2003-2005 year)” data enforcing in Korean Youth Development circle to achieve purpose of study. Study finding, first, service activity participation availability of middle Second-year class in middle school, number of times, time were the highest on service activity participation actual conditions by class, and I appeared participate most to helping hands among service activity type. Second, among service activity participation reason, “because is reflected in results” by each class appeared highest. Third, service activity really correlation analysis result about fantast who is a dog affecting for degree, sex fantast appeared statistically inanely in all of the volunteerism activity 7 area. Also, results fantast appeared senior who is meaning helping hands participation time and community development activity participation number of times among volunteerism activity 7 area. Furniture month income fantast appeared senior circumscriptively community development activity participation number of times among volunteerism activity 7 area. Fourth, 6 areas except helping hands appeared statistically nonmean even if is it kicks volunteerism activity by service activity participation reason. helping hands is misgovernment miracle than other area because can participate easily shortly really that difference that is meaning only definitely statistically to helping hands because degree is high appeared see can. That is, because everybody should takes part in volunteerism activity if is a studies youth compulsorily that our country youth do not participate to various volunteerism activity territory according to special quality that is a dog, is volunteerism activity participation relationship is high but very individual fantast who affect for degree that is uncommon be. These results look like do gong is not reaching greatly to pure meaning and original concept of ‘Volunteerism activity’ coinciding in purpose of volunteerism activity itself far from being today our teenagers volunteerism activity spot expects volunteerism activity as ‘Service learning’ as new paradigm.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실태와 봉사활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을 탐색하여 현재의 청소년자원봉사활동제도를 진단하고 향후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2003년-2005년)”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의 학년별 봉사활동 참여실태에서 중1의 봉사활동 참여여부, 횟수, 시간이 가장 높았고, 봉사활동 유형 중 일손돕기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봉사활동 참여이유 중 각 학년별로 “성적에 반영되기 때문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봉사활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에 대한 분석 결과, 성별변인은 지역사회개발 활동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성적변인은 자원봉사활동 참여시간 및 횟수와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구 월평균 소득변인은 지역사회개발활동 참여횟수만 낮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봉사활동 참여이유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참여도는 일손돕기 참여시간 및 회수, 위문활동 참여시간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개인특성에 따라 다양한 자원봉사활동 영역에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학업청소년이라면 의무적으로 누구나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원봉사활동 참여의지는 높으나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변인은 드물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오늘날 우리의 청소년자원봉사활동 현장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봉사학습’으로써의 자원봉사활동을 기대하기는커녕 자원봉사활동 자체의 순수한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는 ‘자원봉사활동’의 원래 개념에도 크게 못 미치고 있음을 명징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자원봉사 만족도와 지속성에 관한 연구

        양미애 ( Mi Ae Y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2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지속의향을 파악하고, 자원봉사 만족도 수준에 따라 지속의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들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았고, 앞으로도 자원봉사를 지속할 의향이 있었으며, 자원봉사활동을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었다. 또한 대학생들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수준이 높을수록 자원봉사를 지속할 의향과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의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자원봉사활동 지속의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자원봉사자들의 불만족 요인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의 지속성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대한 기대감 충족과 흥미도를 진작시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ith volunteer work, their intention of keeping doing 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university students who did volunteer work in the 2015 Gwangju Summer Universiad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The university students expressed a lot of satisfaction with their volunteer activities and intended to keeping doing volunteer work. Also, they had an intention to recommend it to others. The students who were more satisfied had a stronger intention to keep doing it and recommend it to other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satisfaction with volunteerism is closely bound up with an intention to keep doing it, and what makes volunteers dissatisfied should accurately be grasped to ensure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volunteers. In order to further lasting volunteer work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y should be motivated to expect much from it with interest so that they could be more satisfied with it.

      •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들의 자원봉사 직무능력 및 자질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충청남도 시·군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를 중심으로

        박성순(Park Seong-Soon),손석현(Son Suk-Hyun)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2020 지역복지정책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outcome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the volunteer center, and ultimately to find ways to revitalize volunteer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job competence, qualities, and expertise required by volunteer managers at the Chungcheongnam-do, and to find out how job abilities and qualities affect expertis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elevance of volunteer education. To summarizes, first, volunteer managers competence, qualities, and job expertise for volunteering are generally average, but in the social science sense, they are usually close to negative evaluation. Second, the voluntary skills and qualities of volunteer managers affect job expertise. Third,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to strengthen job expertise. However, education satisfaction is low. From the perspective of regular and contract workers,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they are participating is not high. Due to the lack of work (regular workers) and unaware of information (contract workers), participation in training is not smooth.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job expertise through more diverse training. 이 연구는 자원봉사센터 별 조직적 요인에 따라 나타나는 자원봉사 성과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궁극적으로는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는 충청남도 시·군 자원봉사센터의 관리자들이 필요한 직무능력 및 자질, 직무에 대한 전문성의 상호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능력 및 자질이 자원봉사 직무 전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원봉사 교육와의 관련성도 살펴보고자 한다. 요약하면, 첫째,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능력과 자질, 직무 전문성은 대체로 보통에 해당하지만, 사회과학적인 의미에서 보통은 부정적 평가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능력과 자질은 그들의 직무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그러나 직무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으나,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지 않다. 이는 업무에 밀려(정규직), 정보를 알지 못해서(계약직) 교육 참여가 원활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보다 다양한 교육을 통해 그들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적 영향력평가’를 위한 모델 구축

        이란희,최병대 한국지방자치학회 2014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6 No.4

        오늘날 자원봉사활동은 보편적인 현상이지만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논의는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회적 영향력 평가를 위한 모델구축에 초점을 두고 있다.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적 영향력평가를 위한 요소로는 ‘자원봉사자’ 영역(V), ‘조직’ 영역(O), ‘사회’ 영역(S)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요소별로 세부지표를 구성하였다.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회적 영향력 평가 모델(VOC모델)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이 분야에 종사하는 포커스그룹 및 전문가집단을 활용하였다. 전문가집단과 포커스그룹을 통해 모델의 정교화의 과정을 거쳤으며, 이를 통해 평가영역 및 평가항목의 큰 틀은 유지되었지만, 일부 용어가 수정되었다. 최종 확정된 지표에 대해 타당도 및 가중치 조사결과에 따라 평균값과 그 값이 지니는 의미를 해석하였다. 또한, 전문가집단과 포커스그룹을 대상으로 차이검증(t-TEST)을 실시하였고, 포커스그룹 내 자원봉사자, 풀뿌리단체(NPO), 자원봉사센터를 대상으로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경우 집단 간 유사한 태도를 보였으며, 이는 모델을 바라보는 관점이 그들이 놓여있는 위치가 달라도 크게 차이가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적 영향력을 바라보는 시각이 유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자원봉사활동을 둘러싼 평가요소에 갈등적 요소가 적음을 의미한다. 이는 향후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적 영향력평가 결과의 수용성 제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ssesment model of social impact of volunteer work. The assessment model is as follows; The dimensions of SIA of volunteer work are consisted of 3 categories; Volunteer(V), Organization(O), Society(S). To verify the validity of model, focus group and expert group were adopted. Through this process, assessment dimension and assessment sub-dimension were maintained, but in more words than one were modified. And then The dimension and sub-dimension finalized were analysed the validity and weight. Especially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are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 means(The former is focus group and expert group, the latter is volunteers, NPO, and voluneer center).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In mose cases, similar attitude were found. This means little difference among their viewpoints. That is, the consensus. Also, it is similar to share the social impact of volunteer work. Therefore as above. the evaluation of SIA of volunteer work is little conflict. The compliance of the consequences of SIA of volunteer work will be raised.

      • KCI등재

        자원봉사 인정과 보상이 청소년의 지역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자원봉사 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우정자 ( Woo Jung-j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2

        이 연구는 자원봉사 인정 및 보상과 청소년의 지역 사회자본과의 관계를 밝히고, 이 관계에서 자원봉사 만족이 조절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조사대상자는 자원 봉사 인정과 보상이 진행되고 있는 유스센터와 종합사회복지관의 청소년 자원봉사자 156명이었고, 기술통계, 위계적 회귀분석, 일반선형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자원봉사 만족이 청소년의 지역 사회자본 요소 중에서 규범과 사회적 연계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원봉사 인정과 보상이 지역 사회자본 요소 중 에서 사회적 연계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원봉사 인정보상과 사회적 연계망과의 관계에서 청소년 자원봉사자가 느끼는 만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이 낮은 집단 보다는 높은 집단에서 인정과 보상이 사회적 연계망에 미 치는 영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자원봉사 만족이 높지 않으면, 인정 및 보상이 청소년의 지역 사회자본에 미치는 효과가 극대화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원봉사 만족을 낮게 느끼는 청소년 자원봉사자에게 인정과 보상을 주어야 하며, 자원 봉사 만족을 높게 느끼는 청소년 자원봉사자에게는 더욱 격려하고 그 활동과 정신을 높이 인정 보상해주어 지역 사회자본을 확대하는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he recognition and reward for youth volunteers relates to the norm, trust, and network of community, and whether or not the volunteer satisfac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56 youth volunteers belonging to youth centers and social welfare agencies with a system of recognition and reward for their services. This research utilizes descriptiv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general linear model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recognition and reward for youth volunteer affects the norm and the network. It is found that the volunteer satisfaction plays a moderating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and reward for volunteer and the norm and the network. In volunteers with a high level of volunteer satisfaction, the recognition and reward for volunteer affects relatively greater the social capital of community when compared to volunteers with a low level of volunteer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recognition and reward of youth volunteer to make the social capital maximum, if the volunteer satisfaction of youth is not high.

      • KCI등재

        자원봉사 비참여자의 참여 의지 제고 요인 연구 -경상남도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한송이,조병우,이용모 한국지방자치학회 2023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35 No.4

        To solve the increasing wicked problems, the government is actively requesting the participation of volunteers. To generate policy synergy in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use of volunteers, it is crucial not only to ensure the continued participation of active citizens but also to encourage non-participating citizens to engage in volunteer activities. This study utilized the Gyeongsangnam-do Volunteer Status Survey to analyze factors that can enhance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of non-volunteers. The respondents, who had no experience in volunteer activities in the past year,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with no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and those with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A probit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volunteer activities, awareness of policies related to volunteer activities, preference for rewards that satisfy the need for recognition, and the perception of the potential for community developme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alternatives were proposed to enhance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among non-volunteers in Gyeongsangnam-do. 늘어나는 사회적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적극적으로 자원봉사자들의 참여를 요청하고 있다.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지역사회에서의 정책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참여하는 시민들의 지속적 참여를 담보하는 것은 물론 참여하지 않는 시민들로 하여금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자원봉사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자원봉사 비참여자들로 하여금 자원봉사활동 참여 의지를 가질 수 있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지난 1년간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없었던 응답자들을 앞으로도 참여할 의지가 없는 그룹과 앞으로 참여할 의지가 있는 그룹으로 나눈 뒤 프로빗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자원봉사활동 관련 정책에 대한 인지도, 인정욕구를 충족시키는 보상에 대한 선호, 지역사회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자원봉사 참여에의 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경상남도 자원봉사 비참여자들의 참여 의지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시민의 자원봉사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자원봉사자와 잠재적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

        이경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1 No.1

        본 연구는 서울시민의 자원봉사 선택에 있어서 참여행동과 참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16년에 실시된 서울서베이 자료 중 만 20세 이상 만 90세 미만 41,900명의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원봉사 참여경험과 참여의향 관련 응답을 토대로 종속변수는 서울시민 중 자원봉사에 실제 참여한 경험이 있는 자원봉사자, 참여경험은 없으나 자원봉사 참여의향이 있는 잠재적 자원봉사자, 참여하지 않고 참여의향도 없는 미참여자의 세 범주로 정의하였다. 세 범주 중 미참여자를 준거집단으로 하여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 모형(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활용하여 실제 경험한 자원봉사자와 참여의향이 있는 잠재적 자원봉사자에 대하여 각각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자원봉사에 대한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합하여 개인의 인적 자본 요인, 주관적 성향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포괄적인 영향요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자원봉사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여성), 연령(-), 교육수준(+), 경제활동 유형(무직), 종교(유), 기부경험(유), 개인적 만족감(+), 전반적인 만족감(+), 서울거주기간(+), 문화행사 참여(+), 사회적 요인 중 집안일 부탁할 사람(유)이나 돈을 빌릴 사람(유)의 사회적 관계망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적 자원봉사자에는 성별(여성), 연령(-), 개인소득수준(+), 사회경제적 계층인식(+), 종교(유), 기부경험(유), 개인적 만족감(+), 전반적인 만족감(+), 집안일 부탁할 사람(유)이나 돈을 빌릴 사람(유)의 사회적 관계망 변수가 준거집단인 미참여자와 차이를 만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원봉사자뿐만 아니라 참여의향이 있는 잠재적 자원봉사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 자원, 주관적 성향, 사회적 요인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넓혀준다. 자원봉사자를 동질적 집단으로 가정한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지금까지 논의된 적이 없었던 서울시민의 잠재적 자원봉사 참여가능집단에 대한 이해를 도와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자원봉사 참여를 촉진하는 데 좋은 정보를 제공하여 자원봉사 참여 확대를 위한 방향성 및 대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자원봉사 참여에 대한 새로운 지식기반 구축과 자원봉사 관련 연구들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함의를 갖는다.

      • 자원봉사자의 사회적·경제적 가치분석 - 사회서비스 산업을 중심으로

        이철선,이연희,남상호,김진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고에서는 소득 양극화와 고령화 및 저출산 현상으로 가중되고 있는 복지예산 절감과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사회서비스 인력의 보완 요인으로서 자원봉사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선, 개인과 기업으로 나누어 한국의 자원봉사 연혁과 현황, 그리고 특징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자원봉사활동이 가지는 막연한 의미를 산업연관분석과 인터넷 설문조사를 통해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산정하였다. 세 번째로 자원봉사의 재확산을 위한 선결과제인 7가지 주요 이슈를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자원봉사활동이 성장기로 재진입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방향과 세부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 주요 연구 결과 우선, 한국의 자원봉사 역사를 살펴보면 현재 도입기를 거쳐 재정립기에 도달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의 자원봉사 역사는 지역 주민들이 관혼상제 의식을 상부상조로 해결했던 삼한시대의 `계`와 `두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일제 강점기 시절 YMCA와 YWCA 등 서양의 기독교 기반관련 단체 주도로 민족계몽운동으로 이어지다가 광복 후 1960~70년대에 들어서는 자원봉사가 적십자운동 및 새마을운동과 연결되면서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확립기를 맞이한다. 이후 1978년부터 1990년까지는 사회복지협의회·자원봉사센터와 같은 자원봉사활동 관련 조직이 설립되고, 올림픽 등 정부 행사에 자원봉사자로 일반인이 참여하면서 확대기를 맞이한다. 1990년 후반부터는 지방자치단체의 출범에 따른 정부 참여와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등 제도적 장치, 그리고 관련 부처의 자원봉사 전담부서 설립 등으로 정부 주도의 재정립기를 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한국의 자원봉사 현황을 살펴보면 우선 질적으로 4가지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첫째는 자원봉사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는 것으로 과거의 단순 노동력 제공에서 전문기술이 적용된 재능기부·전문봉사, 그리고 근래에는 금품 등 물적나눔과 생명나눔(헌혈, 장기기증)으로 확대되고 있다. 둘째는 자원봉사 제공 형식이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의 자원봉사는 활동처 방문이 필수적이나 최근에는 인터넷, 모바일폰, 태블릿PC 등을 이용한 온라인 자원봉사가 등장하고 있다. 셋째는 자원봉사 주체 측면에서 영리법인인 기업과 정부가 자원봉사 정책에 관여하면서 협회나 정부 산하 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넷째는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관리가 정부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으로 대표적인 것이 자원봉사시간 인증제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질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양적인 측면에서 한국의 자원봉사는 다소 침체기에 직면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개인의 경우 자원봉사 참여율이 2009년 19.3%에서 2015년 16.3%로 감소하고 있다. 또한 1인당 자원봉사 횟수와 자원봉사 시간도 과거에 비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자원봉사의 감소 추세는 기업의 경우에서도 동일한 것으로 파악된다. 매출액 기준 1~500위 대기업들의 자원봉사 참여율은 2012년 77.8%에서 2014년 55.8%, 매출액 501~1000위인 중소·중견기업들은 2012년 48.5%에서 2015년 41.4%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감소 추세는 평균 자원봉사 비용과 사회공헌 전담 부서 존재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셋째, 자원봉사의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수요처는 양극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사회복지시설 중심의 보건복지부 자원봉사 수요처는 2010년 7,391개였으나 2015년 총 12,142개로 연평균 10.4%씩 증가한 반면, 기타 공공부문 자원봉사 수요처가 많은 행정자치부 수요처는 2010년 69,681개에서 2015년 41,173개로 감소하였다. 한편 개인과 기업 모두 자원봉사활동이 감소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첫째, 자원봉사활동이 전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최소 1조 9,641억 원에서 최대 3조 2,924억 원으로 추정된다. 이 중 생산유발액은 최소 1조 1,008억 원에서 최대 1조 8,447억 원이고, 부가가치 유발액은 최소 863.3억 원에서 최대 1조 4,477억 원으로 추정된다. 또한 재정지원사회서비스 사업에 대한 자원봉사활동의 재정 파급효과는 최소 3조 4,007억 원에서 최대 5조 6,989억 원으로 추정되며, 이 중 생산유발액은 최소 1조 8,447억 원에서 최대 3조 1,983억 원, 부가가치 유발액은 최소 1조 4,921억 원에서 최대 2조 55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자원봉사활동이 재정지원 사회서비스 사업을 보완하는 인력은 54,021명~90,528명으로 추정되었다. 결국 정부는 최소 1조 1,359억 원에서 최대 1조 9,035억 원의 인건비 예산을 절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자원봉사를 통해 얻게 되는 사회적 이해도 등 사회적 편익은 자원봉사자 717만명을 기준으로 할 때, 1년간 최소 4,189억 원에서 최대 1조 3,644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원봉사자 1인당 사회적 편익 8,854~28,814원에 1년간 평균 자원봉사 횟수를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즉 자원봉사를 통해 사회적 갈등 해소를 위한 사회적 이해도가 증가된다는 것이다. 또한 한국의 자원봉사활동이 재확산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7가지 이슈에 대한 선행 해결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 첫째는 입시·취업·기업 업무 차원에서 실시되는 비자발적 자원봉사를 계속 자원봉사에 포함해야 하는가에 관한 문제이다. 둘째는 일부 지자체에서 자원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해 도입하고 있는 할인카드, 마일리지 제도, 경비 제공, 기업의 인사고과 적용 등 대가성의 문제를 어느 정도까지 인정해야 하는가와 관련된 문제이다. 셋째는 자원봉사 인증제와 관리시스템의 비효율성에 관한 문제로 현재, 인증관리시스템들이 범부처와 관련 기관별로 산재해 있고, 시스템 간 연동도 완벽하지 않으며, 연동이 된다 하더라도 측정변수가 시스템 간 상이해 통계 작성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넷째는 자원봉사 수요처와 자원봉사자 간의 욕구 미스매치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수요처는 평일 중심의 자원봉사자가 필요하지만 자원봉사자는 주말 봉사를 선호하고, 기업 등 자원봉사자는 개별·전문화된 자원봉사를 선호하지만 수요처는 봉사자의 질 관리에 대한 어려움으로 단순 봉사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다섯째는 기부가 함께 이루어지는 패키지형, 자원봉사 미경험자의 유인, 그리고 업종별 특화 형태의 자원봉사가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기업 자원봉사의 사회적 자본 축적 가능성이 큼에도 불구하고 자원봉사 수요처에 대한 정확한 정보 부족 등으로 수요처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발생하는 등 기업 자원봉사에 비효율성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여섯째는 최근의 자원봉사 감소가 정부의 재정지원 사회서비스 사업의 확대 때문이라는 논쟁이다. 장기요양보험 등 일부 경력단절 여성을 고용하는 재정지원 사회서비스 사업이 확대되면서 독거노인 대상의 돌봄 자원봉사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일곱째는 복지부가 국회에 새롭게 발의한 나눔기본법안과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의 상충 가능성이다. 나눔기본법안에 자원봉사활동이 포함되어 있어 법체계상 나눔기본법안의 국회 통과와 상위법 여부, 그리고 주무부처의 상이성으로 인해 부처 간 시너지효과 발생이 의문시되기 때문이다. 3. 결론 및 시사점 우선, 정책 방향에서 정부는 한국의 자원봉사활동이 성장기에 재진입 할 수 있도록 기업 등 초기 다수자들이 자원봉사에 대해 가지고 있는 정보 리스크를 감소시키고, 자원봉사 시장 규모 확대를 위하여 나눔문화와 사회적 경제조직 등을 수요처로 포괄하는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세부적으로는 촉진제도 도입과 시스템 및 제도의 정비,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세부 과제 추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첫째, 촉진제도에서는 기업과 개인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나눔기본법에서 추진하고 있는 세제 혜택과 더불어 자원봉사 대가를 할인 등 금전적 보상이 아닌 헌혈과 같은 재정지원 사회서비스로 보상하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마을기업, 사회적 기업 등 사회적 경제조직을 자원봉사 활동처로 등록시켜 현재 감소하는 수요처를 보완하는 과제도 요구된다. 둘째, 자원봉사활동의 시스템 정비 차원에서는 우선 기업 자원봉사활동 관련 포털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업이 원하는 자원봉사 활동처의 투명성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해 회계 등 자원봉사 활동처에 대한 정보 정비와 범부처 인증관리시스템 간의 지표 통일 및 연계 등이 필요하다. 셋째, 제도 정비 차원에서는 입시제도 내 자원봉사 시간의 축소와 기업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시간등록제 허용, 그리고 기업 대상 자원봉사교육 파견제도입과 자원봉사 활동처의 회계자료 공시 등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구축 차원에서는 정책의 실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행자부의 자원봉사진흥위원회 내 사무국 설치와 자원봉사 관련 정부 산하 기관 및 자원봉사센터들로 구성된 범부처 자원봉사 네트워크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volunteering as a potential source for reducing the financial burden of welfare spending that has been growing with increasing income disparities and advancing population aging. Volunteering is considered in this study also as a supplement to the social service workforce employed in government-subsidized work programs. This study first briefs the history and features of volunteering in Korea on the individual and corporate levels. Secondly, we estimate the socioeconomic value of volunteering based on our internet survey and our analysis of the potential of volunteering in the industrial context. Thirdly, we identify priority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in the effort to promote volunteering. Lastly, this study presents policy recommendations, and further discusses what should be done, to promote the voluntary sector. Our conclusion points to the need to reduce the risk of information on volunteering that the early majority (including enterprise entities) encounters. Increased policy attention is needed to foster a culture of sharing. Some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cluding social enterprises) need to be recognized as “organizations in need of volunteers.” In addition, policy measures should be redesigned to better incentivize volunteering.

      • KCI등재

        자원봉사자의 기능적 동기 및 자원봉사센터의 관리관행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인덕(Induk Suh),김준목(Jun-Mok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경영연구 Vol.27 No.1

        사회적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고 비영리 조직의 운영이 자원봉사자의 활동에 의존하고 있기때문에 자원봉사자들을 활용하는 기관의 입장에서는 동기가 유발된 자원봉사자들을 모집하고 이들이 지속적으로 활동하도록 할 방안을 모색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였다. 이제까지 자원봉사자들의 이탈을 막고 자원봉사자로서 오래 체류하도록 할 방안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효과적인 요인을 찾아내는 데 미비하였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지속과 친사회적 행위를 강화할 방안의 마련이 학계에서나 실무계에서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려는 자원봉사자들의 기능적 동기수준과 자원봉사 센터의 관리관행이 자원봉사자들의 활동지속의지와 친사회적 행위를 하위요인으로 한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만족이 이들 사이에 매개역할을 하는 지를 검증하는 일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이 연구는 기능적 접근(functional approach)에 근거하여 자원봉사자들의 행위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들로부터 회수한 유효 설문지 1,227 개를 분석한 결과 발견한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자들의 기능적 동기 수준 및 자원봉사센터의 관리관행에서 자원봉사자 지원적 경향이 자원봉사자들의 조직성과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위와 같은 영향에 자원봉사자들의 활동만족이 유의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의 함축적 의미와 연구의 한계점이 제시되었다. As the needs for social service are increasing and nonprofit organizations depend on volunteers, it becomes very important to prepare some ways to recruit the well motivated volunteers and to enhance their intentions to remain and their prosocial behaviors. Particularly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concerning volunteer retention and many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However, literature survey indicates that many of these earlier studies did not explain sustained volunteerism, which means there must be other factors important in influencing the prediction of durability as a volunteer and the level of pro-social behavior toward other volunteers and their organizations. From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explore more effective factors in the prediction of volunteers’s retentions and their pro-social behaviors. Another purpose is to analyse the effect of volunteers’s satisfaction as medi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volunteers’s functional motivation and managerial practices of volunteer center) and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is based on a functional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motivations that prompt people to become volunteers and that sustain their efforts overtime and pro-social behaviors toward other volunteers. In order to address the hypotheses and research question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effective 1,227 cases responded by volunteers from diverse regions in South Korea were us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functional motivator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mprised of volunteers’ intention to remain as volunteers and on volunteers’s pro-social behaviors. The supportive managerial practices of volunteers administration centers influenced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volunteers’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the levels of functional motivators. Third, volunteers’ satisfaction affected directly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functional motivators and supportive managerial practices) and dependent variabl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