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생활습관자세 및 자기신체인식이 자세조절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지숙,박장근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생활습관자세 및 자기신체인식이 자세조절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경기도 S시의 C고등학교 1~2학년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 유형의 45문항으로써, 먼저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된 생활습관 자세 평가표는 생활습관 자세를 5가지 변인 즉, 책상자세, 휴식자세, 수면자세, 운동습관, 보행자세로 나누고 각각의 하위 요인으로 25문항을 분류하였고 자기신체인식 문진표는 6점 Likert 10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자세조절 효능감 척도는 5점 Likert 척도의 10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중 회수 못한 인원과 불성실한 인원 8명을 제외한 총 92명의 설문 내용을 토대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활습관자세가 자세조절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책상자세, 휴식자세, 보행자세 순으로 자세조절효능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고 자기신체인식총점으로 자세조절효능감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자기신체인식은 유의수준 .05에서 자세조절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생활습관자세 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학교와 가정에서 꾸준히 생활습관자세를 체크하도록 지도하여 청소년 스스로 의식적 자세조절 훈련을 통해 자세의 안정과 건강한 발육발달을 이루도록 돕고자 한다.

      • KCI등재

        과제지향적 자세조절 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자세조절 및 균형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태우,김태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과제지향적 자세조절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자세조절 및 균형과 일상 생활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 30명을 무작위로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실시한 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병행한 과제지향적 자세조절훈련을 실시한 군으로 각각 15명씩 배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일반 적인 물리치료를 시행하였고, 실험군에는 추가적으로 과제지향적 자세조절 훈련을 30분 간 시행하였다.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자세조절 평가(Postural Assessment Scal for Stroke Patients, PASS)를 통해 자세조절 능력을 평가하였고, 버그 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통해 환자의 균형능력을 평가하였으며, 수정된 바델지수(Modified Barthel Index, MBI)를 통하여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 모든 군에서 치료 후의 PASS, BBS, MBI의 결과값이 치료전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5), PASS, BBS, MBI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병행한 과제지향적 자세조절 훈련이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자세조절, 균형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를 가져다 준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이동운동기술 수준에 따른 자세안정성의 발달적 변화

        김민주 ( Min Joo Kim ),김선진 ( Seon Jin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이동운동기술 수준에 따라 변화하는 자세조절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제자리 서기와 앞, 뒤, 왼쪽, 오른쪽으로 버티는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의 자세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첫째, 좌우 방향에서의 자세 안정성은 앞으로 버티기를 제외한 모든 과제에서 점핑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전후 방향에서의 자세안정성은 뒤로 버티기와 오른쪽으로 버티기 과제에서만 점핑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핑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자세안정성이 낮았으며, 호핑, 갤로핑, 스키핑과 같은 응용이동운동기술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이동운동기술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자세안정성은 증가하며, 복잡한 협응구조가 요구되는 응용이동운동기술 간에는 자세안정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근신경학적의 발달 기전에 의한 것으로 이동운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근육 수축의 형태가 보다 정교해지고 효율적으로 변화하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Sundermier et al, 2001; Roncesvalles et al. 2001). 선행연구에 따르면 서기부터 스키핑까지의 발달적 단계에 따른 자세조절의 차이를 압력중심의 이동거리 측면에서 고려한 결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막 걷기 시작한 영아보다 갤로핑과 스키핑집단의 아동이 발생한 압력중심의 이동거리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외부로부터 발생한 요동으로부터 다시 압력중심을 안정화시키는데 걸린 시간도 갤로핑과 스키핑 집단에서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본 연구에서는 점핑부터 스키핑까지 보다 역동적인 협응패턴이 요구되는 이동운동기술의 발달 수준에 따라 자세안정성 측면에서의 자세조절이 변화하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이동운동기술의 변화에 따른 자세조절의 변화라는 발달적 특징을 지지하나 구체적인 결과는 선행연구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점핑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자세안정성을 보였다. 과제의 종류와 자세안정성의 방향에 따른 일관적인 결과가 도출되지는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점핑집단이 낮은 자세안정성을 보이는 특징을 보였다. 호핑, 갤로핑, 스키핑 집단은 점핑 기술이 선행되어야 나타나는 복잡한 이동운동기술들이며(Payne & Issacs, 2011; Haubenstracker, 1990), 이동운동기술 수준이 높은 아동일수록 신전근의 토크(extensor torque)를 보다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양만큼 발생시킬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정교한 자세조절이 가능하다(Roncesvalles et al, 2001). 호핑은 전신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충분한 근력과, 균형, 그리고 리드믹한 움직임을 생성할 수 있는 협응이 요구되는 복잡한 동작으로 (Gabbard, 1996a), 점핑에 비해 한발로 이루어진 좁은 기저면을 지닌다(Haywood & Getchell, 2005). 따라서 점핑이 가능한 아동보다 호핑 등과 같이 복잡한 이동운동기술 수행이 가능한 아동의 자세조절 능력이 보다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점핑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약 12개월 정도 낮은 연령대인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약 1년여의 시간은 근력(Tveter & Holm, 2010)과 주변시(Assaiante & Amblard, 1992), 감각통합(Barela, Jeka, & Clark, 2003; Bair, Kiemel, Jeka, & Clark, 2007) 등과 같이 자세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기관의 성숙 정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발달적 차이는 과제 전반에 걸쳐서 점핑집단이 자세안정성이 낮은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또한 과제의 특성에 따라 자세안정성의 차이가 전후 또는 좌우 방향에서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앞으로 버티기 과제에서는 다른 과제와 달리 아무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압력중심의 위치가 이동운동기술에 따라 변화하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해석해볼 수 있다(Sundermier et al., 2001). 발바닥의 압력중심의 위치에 관한 결과에 따르면 점핑, 호핑, 갤로핑, 스키핑집단 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서기, 걷기, 달리기와 같이 발달이 미숙한 집단은 발가락 앞쪽에 압력중심이 쏠려있는 반면에 점핑, 호핑, 갤로핑, 스키핑집단의 압력중심은 발뒤꿈치를 향해 위치하였다. 이는 직립자세를 유지하는 데 보다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Sundermier et al., 2001). 따라서 앞으로 버티는 동작을 할 때, 발뒤꿈치에 있던 압력 중심이 발바닥의 가운데나 발가락 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정도(margin)가 더 미숙한 발달단계의 아동보다 더 많았을 것이다. 직립자세 유지가 이미 충분히 발달된 점핑, 호핑, 갤로핑, 스키핑집단의 아동에게 앞으로 기울이기 과제는 그 차이를 살피기에 충분한 변별력 있는 난이도가 아닌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반면에 왼쪽으로 버티기와 오른쪽으로 버티기에서 좌우방향의 자세안정성은 점핑집단이 가장 낮은 결과가 나타났으나, 전후방향의 자세안정성은 오직 오른쪽으로 버티기에서만 점핑집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피험자는 오른발이 우세한 특징을 지녔으며, 이는 공을 차는 등의 수행을 할 때, 왼발로 전신의 무게를 지탱하고 오른발로 물체를 조작하는 것을 의미한다(Coren, 1993; Peters, 1988). 따라서 발의 우세성(foot dominance)에 의한 현상으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발의 우세성이 있을지라도 한발로 균형을 유지하는 데 있어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Tsai, Wu, & Huang, 2008), 발의 선호도가 수행하고자 하는 과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Gabbard, 1996b)는 선행연구의 결과로 미루어볼 때, 왼쪽으로 버티기와 오른쪽으로 버티기에 대한 논의는 추후 연구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Postural stability has an important role for developing locomotion skills, especially in child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change of postural stability with respect to locomotor skills. Methods: Thirty-five participants aged between five to seven year-old whom differentiated by pre examination were divided into Jumping, Hopping, Galloping and Skipping group, respectively. They were asked to perform quiet standing and leaning voluntarily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s far as possible on a force plate. A vector of center of pressure was measured to calculate postural stability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Results: Jumping group showed significant low postural stability than the others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Hopping, Galloping, and Skipping group who can perform advanced locomotor skills. Conclusion: Postural stability seems to increase when children acquire advance locomotor skills and this result might reflect nonlinear characteristic of human motor development.

      • KCI등재

        특수교육 현장에서 중도 뇌성마비 학생 자세조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경임,김은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postural control of students with severe cerebral palsy in educational field. Method: This study used a focus group interview. The participants were 1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Busan and Gyeongnam. Their career was from three years to 23 years. seven teachers worked in elementary special schools and the other seven teachers worked in secondary special schools. Result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lots of difficulties in postural control of students with severe cerebral palsy. They recognized postural control of students was related to learning, visual perception, attention, interaction with peers and self-esteem. But they had no idea how to control the postures of students with severe cerebral palsy. They helped the students stretch or used customized chairs or wheelchairs.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eds of postural control of students with severe cerebral palsy. They required regular training by physical therapists about postural control and a manual or guideline for postural control of students with severe cerebral palsy in school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lots of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a manual or guideline for postural control of students with severe cerebral palsy in schools.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현장에서 중도 뇌성마비 학생의 자세조절을 위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육 경력 3년-23년, 중도 뇌성마비 학생 지도 2년-20년의 경력을 가진 특수교사 14명이었다. 특수교사는 초등교사 7명, 중등교사 7명이었으며, 현재 특수학급 근무 교사 5명, 특수학교 근무 교사 8명,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 1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중도 뇌성마비 학생의 자세조절에 대해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었다. 교사들은 중도 뇌성마비 학생의 자세조절은 학습, 시지각, 주의집중, 친구 형성, 사회적 관계 맺기, 자존감과 관련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들은 중도 뇌성마비 학생들의 자세조절 방법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학교에서 자세조절은 기껏해야 학생을 스트레칭 해주거나, 맞춤형 보조기기를 사용하여 앉혀두거나 세워두기 정도라고 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중도 뇌성마비 학생 자세조절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물리치료나 보조공학 전문가들의 정기적인 연수교육을 요구하였고, 학교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자세조절 매뉴얼 개발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중도 뇌성마비 학생의 자세조절을 위한 매뉴얼이나 지침서 개발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대퇴사두근 피로가 자세 조절의 복잡성에 미치는 영향

        이유성 ( You-sung Lee ),고지현 ( Ji-hyun Ko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4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퇴사두근의 피로가 자세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10명의 건강한 성인 남성들로 구성하였다. 실험 과제는 우세측 하지에 근 피로를 유발하지 않은 조건(normal)과 근 피로를 유발한 조건(fatigue)에서 외발서기 자세로 30초간 최대한 정적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근 피로 유발 운동은 fatigue 조건의 매 수행마다 진행되었으며 실험 과제는 3회 반복 측정하였다. 근 피로 유발 운동 후, 좌-우(ML) 방향의 압력 중심(COP)의 표준편차(SD)와 속도(VEL)가 증가함에 따라 자세 조절의 가변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 피로 유발 운동 후 ML 방향의 COP의 멀티-스케일 엔트로피 영역(MSE Area)이 감소하고 ML 방향의 COP 탈경향변동분석-지수(DFA(α))가 증가함에 따라 자세 조절의 복잡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 피로에 따른 압력 중심의 복잡성 결과는 자세 조절의 가변성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며 기존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단순한 움직임의 선형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자세 조절 시스템의 움직임 구조 등 비선형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근 피로와 자세 조절의 복잡성에 관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quadriceps femoris fatigue on postural control.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10 healthy adult males. The experimental task involved maintaining a one-leg stance as statically as possible for 30 seconds on the dominant leg under conditions that did not induce quadriceps femoris fatigue (normal) and conditions that did induce quadriceps femoris fatigue (fatigue). Quadriceps femoris fatigue-inducing exercises were performed for each repetition under the fatigue condition, and the experimental task was measured three times. Following quadriceps femoris fatigue-inducing exercises, it was observed that the variability of postural control increased as the standard deviation (SD) and velocity (VEL) of the center of pressure (COP) in the medial-lateral (ML) direction increased.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complexity of postural control decreased as the multi-scale entropy area (MSE Area) of COP in the ML direction decreased and as the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DFA(α)) index of COP in the ML direction increased. The results regarding the complexity of the center of pressure following quadriceps femoris fatigue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beyond the variability of postural control, including non-linear information such as the movement structure of the postural control system, rather than simply linear information about simple movements a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ubsequen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driceps femoris fatigue and postural control complexity.

      • KCI등재후보

        뇌졸중 환자의 자세 조절이 일상생활동작과 근 긴장도 및 상지기능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창식,안승헌 대한작업치료학회 200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세 조절이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근 긴장도 변화 및 상지기 능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하여 국립재활원에 입원한 41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모든 환자들은 자세조절 평가 척도(Postural Assessment Scale stroke, PASS),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측정 도구(Modified Barthel Index, MBI), 긴장도 사정 척도(Tone Assessment scale, TAS), Fugl-Meyer 평가 척도(Fugl-Meyer Assessment scale-upper extremity) 등을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alpha Coefficient를 구하였다. 결과 : PASS항목에서 가장 기능이 좋은 것은 지지하여 서기로 나타났으며,가장 기능이 낮은 것은 환측으로 서기였고,MBI항목에서 가장 기능이 좋은 것은 의자/침상 이동이며, 가장 기능이 낮은 것은 목욕하기로 나타났다.PASS의 모든 항목은 MBI, FM-UE, TAS와 유의한 상관관계(r=-33~91, p<.05~01)가 있으며,FM-U/E와 MBI(r=.35, p<.05), TAS- 안정(r=.-40, p,<.0.1), 연합항목(r=-.39,p<.05)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내적 일치도는 Cronbach's a=.86로 높게 나타났으며,PASS의 합과 자세유지 항목 (r=.90 p<.01)의 합,자세변화 항목(r=.93,p<.01)의 합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자세유지 항목의 합과 자세변화 항목의 합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r=.69,p<.01)가 있었다.PASS 항목 중 누운자세에서 건측으로 돌기와 바닥에서 볼펜집어 올리기가 각각 ADL과 상지 기능을 예견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R2=.95, R2=.56)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PASS는 일상생활동작 수행 능력과 근 긴장도 및 상지기능수행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독립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correlations among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MBI, Tone Assessment Scale, FM-U/E, and to predict MBI, FM-U/E: from subscales of Postural Assessment Scale Stroke. Methods : The subjects were 41 stoke patients of the Korea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All patients were assessed on Postural control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Stroke, ADL(by the Modified Barthel Index), Tone(by the Tone Assessment Scale), performance function of U/E(by the Fugl-Meyer assessmen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product correlation.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PASS)scale between other clinical and instrumental index,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for ADL inclin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o identify Internal Consistency on PASS scale. Results : The highest level was standng with support, the lowest level was standing on paretic leg on PASS scale. The highest level was chair/bed transfer, the lowest level was bathing on MBI. All items of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BI, FM-U/E, TAS(r=-.33~.91 p<.05~,0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BI-U/E and MBI(r=.35, p<.05), TAS-rest(r=-.40, p<.01), TAS-asso(r=-.39, p<.05).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a=0.86) was very high, indicating that the PASS is homogeneous and is likely to produce consistent response. Furthermore, the sums of maintaining position items and of changing-position items were strongly correlated(r=.69, p<.01)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ums of PASS and sums of maintaining position items(r=.90, p<.01), changing-position items(r=.93, p<.01). The Supine to nonaffected side lateral and Standng picking up a pencil from the floor of PASS items was the strongest variance(R2=.95, R2=.56) of the predicting ADL function, performance of function U/E. Conclusion : The PASS is suited to the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abilities, it demonstrated an acceptable for the evaluation of functional recovery of stroke patients in clinical practices.

      • KCI등재

        12주간의 평형성 트레이닝이 태권도 선수의 자세조절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정원 ( Kim Jeong-won ),남상석 ( Nam Sang-seok ) 국기원 2021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2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12주간의 평형성 트레이닝이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자세조절 기능과 근활성도의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20대의 남자 태권도 선수 30명이었다. 30명의 연구 대상자를 무작위로 15명씩 분할하여 한 집단에게는 12주간의 태권도 트레이닝과 평형성 트레이닝을 적용(실험집단)하고 다른 집단에게는 12주간의 태권도 트레이닝만 적용(대조 집단)하였다. 실험진행 중에 3명이 탈락하여 우리는 최종적으로 실험집단 14명과 대조집단 13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모든 연구 대상자들에게는 트레이닝 전ㆍ후에 정적 및 동적 자세조절능력을 측정하였다. 정적 및 동적 자세조절능력을 측정할 때에 발목관절과 무릎관절(4부위)의 주요근육(4부위)의 근전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정적 및 동적 자세조절 능력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p<.05) 개선되었다. 정적 및 동적 자세조절 중 근활성도 개선은 평형성 트레이닝에 의해서 주로 좌측 근육들에 집중되었으며, 무릎보다는 발목 근육 위주로 개선되었다. 결론 평형성 트레이닝이 태권도 선수들의 왼쪽 지지발과 그 발목의 근육 활성도를 집중적으로 개선시켜서 자세조절능력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태권도 선수의 자세조절 향상을 위해서는 그 선수의 지지발과 발목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12 weeks of balance training on posture control function and muscle activity of Taekwondo gyeorugi athlete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male Taekwondo athletes in their 20s. We randomly divided 30 study subjects into 15 people. We applied 12 weeks of taekwondo training and balance training to one group (experimental group) and only 12 weeks of taekwondo training to the other group (control group). Results In both groups, static and dynamic postural control abilities significantly improved. The improvement of muscle activity during static and dynamic posture control by balance training was mainly focused on the left muscles and improved primarily on the ankle muscles rather than the knees. Conclusion We found that balance training can improve posture control ability by intensively improving the left supporting foot and ankle muscle activity of Taekwondo players. Therefore, to improve the posture control of a Taekwondo athlete, exercises to strengthen the athlete's supporting foot and ankle muscles will be required.

      • KCI등재

        게임기반의 시각 피드백 훈련이 자세균형 조절에 미치는 영향

        이정원(Jeong-Won Yi),유미(Mi Yu),정구영(Gu-Young Jeong),이낙범(Nak-Bum Lee),권대규(Tae-Kyu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자세균형 훈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게임 콘텐츠를 적용한 시각 피드백 자세균형 훈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상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자세균형 조절 능력의 향상에 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힘판 기반 자세균형 훈련 장치를 이용하여 23명의 피험자들이 일주일에 3일, 하루에 15분씩 4주간의 자세균형 훈련을 받았다. 게임기반의 시각 피드백 자세균형 훈련에 대한 평가는 Balance SD(Biodex, medicalscience Inc., USA)의 자세 균형 평가를 통하여 자세안정성과 자세한계성을 분석하였으며, 실험자의 자세균형 능력의 증진을 통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자세안정성과 자세한계성 모두 훈련 전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p<0.05). 이번 연구 결과는 게임기반의 시각 피드백 자세균형 훈련이 자세균형 능력 향상을 위한 운동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향후 다양한 자세균형 훈련의 프로그램 종류, 강도 및 각 질환별 최적 콘텐츠 개발에 대한 정량적인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game-based visual feedback training on postural balance control in young adults. We provided postural balance training for four weeks in fifth minute a day and three days a week using training system of postural balance based forceplate. We evaluated the ability of postural balance using balance SD(Biodex, medicalscience Inc., USA) for the validation of game contents based visual feedback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postural stability and limits of stability were improv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p<0.05). Our study indicates that postural balance training of visual feedback based game could be adapted for improving postural balance. Also, for application of this game-based visual feedback training in older adults, we could develope of various game contents for disease types and conduct quantitative analysis and data collection of postural balance in the aged.

      • KCI등재

        확률공명을 활용한 진동자극이 노인의 정적 자세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동열 ( Dong-yeal Yoo ),이승민 ( Seung-min Lee ),안종성 ( Jong-seong A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적으로 건강한 8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확률공명을 활용한 진동자극이 정적자세 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피험자들은 두 가지 정적자세조절 과제에 참여하였다. 과제1은 양발을 지면에 붙인 안정적인 정적 자세조절 과제이며, 과제 2는 주로사용하지 않는 한쪽 발을 들고 자세를 유지하는 불안정적인 정적 자세조절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때 발바닥에 제공되는 진동자극은 역치이하 80%, 90%, 역치강도, 역치이상 110%, 120%의 자극을 제공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 1에서는 진동자극 강도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자세조절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제 2에서 진동자극 강도에 따라 자세조절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역치 이하의 80%와 90% 자극강도에서 자세조절의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후 방향 안정성에 대한 결과에서도 자극강도에 따라 안정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진동자극을 활용한 확률공명 기법은 양발서기 과제 보다는 외발서기 과제에서 더욱 효과적이다. 더불어, 좌우 방향 안정성은 역치 이하 강도(80%, 90%)에서 다른 자극 강도(100%, 110%, 120%)보다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bratory stimulus on the static postural control of 8 healty senior adults.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two different kinds of static postural control tasks. Task 1 was a static postural control task, where both-legs stand on the ground. Second task was an unstable static postural control task using only single leg stance. As they maintain their balance, 6 different vibratory stimulus were provided on the sole of their feet(personal threshold 0%, 80%, 90%, 100%, 110%, 120%).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ural control ability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vibrator intensi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ingle-leg postural control ability according to vibrator intensity.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erio-posterior stability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vibrator intensity. [Conclusion] Stochastic resonance using vibratory stimulus was more effective in the single leg stance task, rather than the double leg stance task. Moreover, sub-threshold vibratory stimulus(80%, 90%) intensity were more effective than higher vibratory stimulus(100%, 110%, 120%).

      • KCI등재

        노인 자세조절능력 검사를 위한 이동운동과제 항목 선정 및 평가도구 초안 개발

        신진이,홍성봉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osture control ability draft assessment tool to evaluate the locomotor skill related to falls that the elderly experience while performing their daily lives. This study was development of postural control ability assessment tool. Specific details on development of postural control ability assessment tool from study were: (1) Four stages (Preparation of research selection criteria, literature search, literature selection & classification, and data extraction) of the seven stages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ere applied to examine posture control evaluation tools related to falls of the elderly. After conducting the 1st round Delphi survey, 'supine position to erect stance' and 'walking obstacle' were selected as the final task items as locomotor skill tasks to evaluate posture control ability, (2) It was composed of a seven-point scale for each assessment item of the finally selected locomotor skill task. The contents of the scale were constructed by applying VanSant's criteria (body characteristics, body segment classification criteria and symmetrical movement), (3) 2nd rou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tent and the assessment tool was revised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experts, and (4) The final assessment tool was developed by 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agreement of the assessment tool. 본 연구는 노인들이 일상생활을 수행하면서 겪는 낙상과 관련된 이동운동과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자세조절능력을 알아볼 수 있는 평가도구 초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인들의 낙상관련 자세조절능력을 검사하는 이동운동과제 항목을 선정하여 평가도구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첫째,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한 지침 7단계 중 ‘1단계 연구 선정기준 작성, 2단계 문헌 검색, 3단계 문헌 선택과 분류, 4단계 자료 추출’ 단계를 거쳐 문헌고찰을 하였으며, 고찰된 평가도구를 바탕으로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후 자세조절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이동운동과제 항목으로 ‘누운자세에서 일어서기’, ‘장애물 걷기’ 가 최종 과제 항목으로 선정되었다. 둘째, 최종 선정된 이동운동과제의 평가 항목별 점수를 7점 척도로 구성하고 각 항목의 점수 척도내용은 움직임의 수준을 고려하기 위해 VanSant (1988a, 1988b)의 신체특성과 신체분절 분류 기준, 대칭적 움직임을 기준으로 적용하여 자세조절능력 평가도구 초안을 개발하였다. 셋째, 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후, 개발된 초안 평가도구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발한 평가도구 초안을 수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용어의 통일과 일관성 있는 문항 내용으로 문장을 간결하게 수정하여 재구성하였다. 넷째, 수정된 자세조절 평가도구에 대한 평가의 객관성을 알아보고자 재검사 신뢰도, 평가자내 신뢰도, 평가자간 동의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정된 자세조절 능력 평가도구 초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정 개발된 평가도구는 추후 유용성 및 다양한 변인과의 연계 가능성 등의 검증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