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여성의 ‘인적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수미(Su Mi Park) 한국인구학회 2002 한국인구학 Vol.25 No.1

        이 연구는 개인들의 노동공급행위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 중 하나인 ‘인적 자본론’이 여성들의 취업특성을 설명하는 데에 여전히 유효한지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여성들이 지닌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결정과 취업직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가설은 크게 두 가지로서, 첫째는 여성들의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이며, 둘째는 여성들의 인적 자본이 여성들의 취업직종에는 어떤 영항을 미치는지이다. 한국사회 고학력 여성들의 경제활동참여율이 매우 저조하다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여성들이 지닌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률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점이 이 연구의 주된 가설이다. 하지만 일단 취업을 한 여성들의 경우에는 그들이 갖고 있는 인적자본이 취업직종에서는 상당한 설명력을 지닐 것으로 여겨져 이러한 내용으로 두 번째 가설이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가설에서 설정한 대로 인적자본론의 이론적 예측과 달리, 여성들의 취업결정에 인적자본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혹은 정반대로 부(-)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중요한 인적자본 중의 하나인 ‘학력’의 효과를 살펴보면, 학력이 높을수록 뚜렷하게 일률적으로 취업률이 낮아짐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그밖에, 여성들이 지닌 자격증이나 취업훈련 여부, 또 건강 상태 등과 같은 인적자본 요소도 여성들의 취업결정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적자본은 여성들의 취업직종에는 상당한 정도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분석결과도 실질적인 내용을 따져보니 그다지 유효한 영향 효과라고 보기 어려웠다. 취업직종과 연령 및 학력과의 회귀분석결과 여성 취업직종의 열악한 상황을 재확인해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사회 여성들의 인적자본은 여성들의 취업 결정 및 취업유형에 의미있는 변수가 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Korean women's human capital on their employment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ich Korean women's human capital increase the rate of women's employment. And the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which Korean women's human capital affect the kind of women's job. In general, women's representative human capital indicates the educational attainment, the training of job skill, the certificate of job, and the their health. Human capital theoriests insist that individual's human capital determines the participation into the labor market, the type of job and wage. But in Korea it is well known that highly educated women's rate of employment is very low. The method of this research is logi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cross-sectional data. We find in this research that women's human capital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women's employment rate. The longer women's schooling period is, the less women's participation rates into the labor market are. Women's training of job skill, certificate of job and health does not also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ir employment rate. Besides women's human capital does not affect the kind of job. So human capital theory is very limited explanation on Korean women's economic activities.

      • KCI등재

        물질의 가치론 관점에서 본 건축의 사회적 표현 양상

        문정필(Moon, Jung-Pil) 대한건축학회 201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1 No.3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aspects for architecture consisting of material to reflect the modern capitalistic society through immateriality that spreads through utility of functions, creation of time and spac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The architectural aspects of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re as the following in terms of the axiology of material based on the <Das Kapital> of Marks and <Essai sur le don> of Mauss. First, as for the use value of projection, architecture that expresses substance straightforwardly works as the visual media which will be expressed as the context or concept to be reflected to the urban context. Therefore, the eye itself that can penetrate into the real human society can be reverted to an artistic sense. Second, regarding the exchange value of the conversion, the material composing architecture changes and becomes conscious as dematerialized information of time and space. Therefore, an architect needs a conscious opportunity so that he/she can interpret architectural materiality in more various ways and reorganize time and space with diverse information by encouraging observers to participate as well. Third, the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hypothetical symbolic values becomes rich by memory or imagination through the forms of architecture. In this background, an architect helps remember the information of social events through architecture and extends the meanings to result in inspiring communication with observers with forms and space through symbolized emotions.

      • KCI등재

        The Income Inequality of Wage Earners during 1993-98 in Korea

        이장영(Lee Jang-Young),Michael Toney 한국인구학회 2005 한국인구학 Vol.28 No.2

        이 논문은 1993년에서 1998년까지 임금 노동자들의 소득을 분석하였다. 한국의 경제와 그에 따른 노동자들의 소득은 1997년 말에 시작된 경제위기와 IMF 경제하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소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교육, 성, 연령을 중요한 변수로 여기는 인적 자본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1993년에서 1998년까지 소득변화에 미치는 성 효과는 어떤 유형을 찾기 어렵지만 교육 효과는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연령 효과는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소득변화에 미치는 세변수의 누적 효과는 증가하다가 감소하고 다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파도와 같은 모양을 보이지만 전체적으로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 논문은 패널조사로 구성된 원자료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조사가 어려운 저소득층이 점차 줄어드는 제한점이 있다. The income of wage earners and the transition of the inequality of their income from 1993 through 1998 have been analyzed. Korea's economy went through an epochal change since the beginning of the IMF economy and the inequality of income, which is part of the change incurred by this situation, has been studied in this thesis. The 'human capital theory' has been chosen as the basis of study. Also,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age, which are the key variables of the 'human capital theory', have been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o compare each variable's influence in the distribution of income. From 1993 to 1998, the effect of gender has shown a fluctuating pattern whereas the effect of education declined slowly and the effect of age rapidly. The accumulative effect of the three variables show a fluctuating pattern, but at a declining mode. Though discrimination against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age, in terms of income, is at a declining mode, it is apparent that it still exists. Especially, discrimination against gender is continuing at a fluctuating pattern.

      • KCI등재

        옛 마을에서 새 마을로 - 대구시의 한 도시재개발지역의 문화사 -

        이창언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硏究 Vol.- No.65

        Urban redevelopment project should be designed for improving residents’quality of life. But most preceding projects aimed at securing developer’s profit rather than achievement of residents’ interest. As a result, the quality of life in redevelopment area deteriorate because of insufficient public service. Established social relationship among residents were disorganized because most poor residents could not have a chance to resettle after projects. We can both inspect these problems and evaluate the relevance of alternative ways through scrutinizing an urban redevelopment area in Daegu metropolitan city. Focusing on the spatial change and the change of social relationship among residents during the last two decades, we can discern merits and demerits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 Finally, social capital theory and ‘community business’ discussion are applicable for groping desirable alternative urban redevelopment project. 도시재개발사업은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지역민의 삶의 질의 향상을 지향해야 한다. 그러나 그간의 도시재개발사업은 지역민의 이해 관철이 아닌 개발주체의 이윤확보에 우선하였다. 그 결과 재개발지역의 공공서비스 시설의 미비에 따른 삶의 질의 저하와 기존 지역민의 재정착 기회의 배제에 따른 사회관계 해체의 문제를 초래하였다. 대구시의 한 도시재개발지역은 이러한 문제를 재조명하고 학계에서 제시된 대안적 방식의 적합성을 점검하기에 좋은 사례지역이다. 재개발사업 시행된 지 20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주거공간과 지역민 사회관계에서 나타난 변화를 통해 재개발사업의 공과를 점검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공공성에 기초하여 공동이익을 구현하는 사회적 자본론의 논의와 사회적 취약층의 자활에 기여하는 여러 가지 실천적 논의로부터 대안적 방식의 실현 가능성을 살피고 있다.

      • KCI등재

        문화공연 청중의 문화적 취향에 관한 연구

        서문식(Suh, Mun-Shik),이샛별(Lee, Sae-Beul),엄성원(Eum, Seong-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ultural performance audiences’ cultural tastes are differentiated and how they appear, and to present a cultural taste scale. As a scholarly predecessor, Bourdieu’s cultural capitalism, which argued for the existence of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taste and class,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a new perspective on cultural tastes and their classification criteria that would be applicable to modern-day Korean society. In order to facilitate a concrete discussion on that subject, an audience that watched a cultural performance within the last 6 months was surveyed, and an interview with the audience (cultural experts and the general audience) was conducte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revised, and then used. The SPSS 23.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to conduct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es, including a frequency analysis. The study’s demographic and viewing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There were 88 women (57.1%) and 66 men (42.9%). Respondents’ ages ranged from 20 to 29 years old, with 66 people (42.9%) in their twenties, and from 30 to 39 years old, with 39 people (25.3%) in their thirties. The respondents with the most advance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131 students (85.1%) who had either graduated from or were attending university at the time of the study. With regard to average monthly income, there were 44 people (28.6%) who made less than 3~5 million won. For occupation, the highest result was 58 students (37.7%). Meanwhile, with regard to marital status, there were 102 single people (66.2%) and 52 married people (33.8%). For favorite genre, the highest result was 39 people (25.3%) who reported plays as their favorite genre. Moreover, companions had the highest response rate, with 69 lovers (44.8%). With regard to the ticket collection method, there were 134 people (87.0%), most of whom paid a fee. Finally, visit frequency was the highest among 82 people (53.2%) who visited more than 6 times. The cultural taste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1) palatable, 2) sensitive, 3) nostalgic, 4) fusion/complexity, 5) essential, 6) pleasure, 7) educational, and 8) popular. Thus, cultural preference was found to be composed of these eight element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cultural taste scale that is applicable to modern-day Korean society. The study also indica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management as well as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이 연구는 문화공연 청중의 문화적 취향은 어떻게 분화(구성)될 수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선행으로 문화적 취향과 계급 간의 유의미한 관계를 주장한 Bourdieu의 문화 자본론을 논의하며, 오늘날 새로운 관점에서 문화적 취향 분류 기준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최근 6개월 이내에 문화공연을 관람한 청중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는 문화적 취향과 분류에 관한 논의들이 매우 부족하여, 선행연구 및 사전 조사(인터뷰)를 진행하여 수정 및 개발된 설문 문항을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SPSS 23.0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된 문화공연 청중의 문화적 취향은 1)기호성 취향, 2)감수성 취향, 3)향수성 취향, 4)융·복합성 취향, 5)본질성 취향, 6)쾌락성 취향, 7)교육성 취향, 8)대중성 취향의 8가지 요인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오늘날, 문화공연에 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업계에서는 추상적인 만족도 조사보다는 관객 성향, 공연 취향 등 구체적인 조사를 통한 공연제작과 기획이 필요하다. 감정을 공유하고, 감정을 전이하며, 스토리에 공감할 수 있는 공연 개발과 관람 환경 조성이 필요하며, 문화공연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술가나 행정가의 역할이 예술성이나 상품성에, 그리고 수익성에 편향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또한, 현대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게 지친 마음과 고갈된 감정을 치유하기 위한 공연 개발이 필요하다. 공연 업계에서는 급변하는 콘텐츠의 특성을 이해하고, 장르 간 융·복합, 기술과 융·복합 공연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많은 것들이 융·복합되고 창작문화공연들이 증가한다고 할지라도, 과하지 않은, 기본기에 충실한, 작가의 의도가 왜곡되지 않은, 원작과 크게 변형되지 않은 공연 개발이 필요하다. 문화라는 정형적인 틀과 관점에서 벗어나 예술가를 포함한 매개자의 노력과 참신한 아이디어, 표현력, 일상의 재미와 즐거움,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는 공연이 필요하다. 문화공연은 그 특성상 ‘문화’라는 요소의 이해를 필요토록 하기에 학습과 기량에 도움을 주는 교육적 콘텐츠 개발과 공연에 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마케팅을 해야 하며, 전문적인 작품해설, 공연 및 배우의 특징 설명, 공연 관련 자료, 배우와 관객의 소통 시간 등을 제공하여, 수동적 관람이 아니라 적극적이며 양방향의 공연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상품적으로 장르적으로 문화적으로 접근이 쉬운 공연이 제작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푸코(M. Foucault)의 신자유주의적 통치성 개념과그 교육학적 수용에 대한 검토

        이주호 한국교육철학학회 2023 교육철학연구 Vol.45 No.2

        최근 들어 푸코의 신자유주의적 통치성 개념이 국내 교육학 내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철학 분야 내에서는 현재까지 제대로 논의되지 않고 있다. 특히 신자유주의적 통치성 개념은 교육학의 기본 개념인 주체화 개념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인간 형성의 문제를 주요 탐구 주제로 삼고 있는 교육철학 분야 내에서 반드시 심도 있게 논의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토대로 본 연구는 먼저 푸코의 통치, 자기의 인도·타인의 인도·인도의 인도 및 자기의 기술·지배의 기술 개념을 각각 살펴보면서, 푸코가 제시한 통치성 개념의 핵심적 의미, 즉 통치행위는 자기의 인도를 위한 자기의 기술과 타인의 인도를 위한 지배의 기술이 서로 결합하면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드러냈다. 또한, 푸코가 분석한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의 사례로서의 인적 자본론과 기업가적 자아 개념을 토대로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의 사회문화적 조건 내에서 존재하는 지배의 기술과 자기의 기술이 서로 결합하면서 기업가적 자아가 형성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마지 막으로 한국과 독일 교육학 내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적 통치성 개념이 교육학 내에서 어떻게 수용될 수 있을지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신자유주의적 통치성 개념이 현재 교육 분야에서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 기업가적 주체 형성을 위한 자기의 기술과 지배의 기술의 구체적인 사례를 밝혀내기 위한 이론적 틀로써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육학적 시사점이라고 볼 수 있다. Although Foucault’s concept of neoliberal governmentality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in Korean pedagogy in recent years, it has not been properly discussed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hilosophy. In particular, since this concept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at of subjectification, which is a fundamental concept in pedagogy, it should be discussed in depth with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 which focuses on the problem of human formation. Based on this need, this study first examines Foucault’s concept of government, conduct of self, conduct of others, conduct of conduct, technologies of self, and technologies of power. Then it clearly reveals the core meaning of Foucaults concept of neoliberal governmentality, by which the act of ruling consists of the combination of technologies of self for the conduct of self and technologies of power for the conduct of others. Furthermore, based on human capital theory and the concept of entrepreneurial self as an example of neoliberal governmentality, which was analyzed by Foucault,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entrepreneurial self is formed by combining the technologies of power and technologies of self within the socio-cultural conditions of neoliberalism. Finally, based on previous studies of Korean and German pedagogy, this study draws implications for how the concept of neoliberal governmentality can be received in pedagogy. In conclusion, the pedagog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concept of neoliberal governmentality can be utiliz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reveal specific examples of technologies of self and technologies of power for the formation of entrepreneurial subjects exist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천리교의 조직과 제도 -현재적 관점에서 본 한계와 가능성-

        김태훈 한국신종교학회 2019 신종교연구 Vol.41 No.-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대지진 이후 현재까지 일본사회를 관통하고 있는 키워드는 ‘재해와 복구’라고 할 수 있다. 종교계에서도 재해지역과 피해 지역민들에 대한 각종 지원사업들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왔으며 학계에서는 이른바 사회적자본이라는 측면에서 종교의 사회공헌에 깊은 관심을 가져왔다. 이 논문은 이러한사회적 자본론에 입각한 현대 일본종교연구의 한 흐름을 참조하면서 천리교의 조직과 제도를 살펴보고 그것이 사회적 자본으로서 가지는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서 검토한다. 천리교는 포교자 양성 교육제도를 통해 매년 100명이 넘는 새로운 포교요원을 배출하고 있고 학교교육법에 따른 일반학교로서 천리대학과 천리고등학교, 천리중학교, 천리소학교의 교육을 통해서도 사회적 교육에 공헌하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의측면에서도 사회복지재단천리를 중심으로 아동보호시설의 운영, 가정위탁제도의 실시, 장애인포교와 보호에 관한 연구, 인권교육활동 등 사회 여러 문제에 대한 연구와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 역사도 길다. 그리고 천리교의 신앙치유와 현대의학을 접목하여 운영되는 천리요로즈상담소는 지역 거점 종합병원으로서 전문적 의료서비스와 신앙치유의 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천리교재해구원히노키싱대는 대원 6,000명 규모의 일본 최대 민간구원단체로서 재해구원의 전문성과 재해시 사회적기능을 인정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신자 수의 감소는 자연적으로 천리교가 가지는 인적물적 자원의 감소를 의미하며 그것은 사회적 공헌의 능력 감소로 이어질 것이다. 천리교의 조직과 제도를 통한 사회적 공헌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서는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지적이 가능할 것이다. 천리교의 활발한 사회적 공헌이 공동체와개인을 연결하고 개인의 사회적 생존을 유지하는 사회적 자본으로서 기능하고 있는가, 또한 개인에 대한 신앙적 구제가 개인의 사회적 활동으로 연결되고 있는가, 천리교의 조직적 또는 신자 개인에 의한 사회적 공헌 활동이 신앙적 신념을 드러내는천리교적 실천에만 그치는 ‘부가적 활동’으로 비치는 측면은 없는가, 천리교의 계통적 수직적 교회조직이 지역 교회와 신자의 지역공동체 활동을 저해하는 측면은 없는가, 교구제도는 교회본부와 지역교회를 연결하는 기능에서만 벗어나 계통을 초월한 지역 내 교회들의 연계활동을 통하여 신자들의 지역공동체 활동을 지원하는 제도로서 기능할 수 있는가, 교회본부의 여러 사회적 공헌 활동은 교회본부의 활동에만 그치지 않고 지역 교회의 연대적 지역활동을 지원하고 있는가 등 신자들의 사회적 관계성에 입각한 포교와 구제의 모델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들은 본론에서 살펴 본 천리교의 조직과 제도가 가지는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한계임과 동시에신자들 개인과 지역 사회를 연결시켜 나가기 위한 미래적 가능성이기도 할 것이다. Af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which occurred on March 11, 2011, the keyword that has lain in Japanese society so far is “Disaster and Recovery”. In the field of religion, various support projects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for the disaster areas and people there, in the field of academy, they have been deeply interested in the social contribution of religion in terms of so-called social capital.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organization and systems of Tenrikyo as social capital by referring to the flow of present Japanese religious studi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Tenrikyo has nurtured more than 100 new missionaries every year through the education systems and has contributed to social education through the education of Tenri University, Tenri High School, Tenri Middle School, and Tenri Elementary School. Also, in terms of social welfare,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Tenri conducts research and support projects on various social issues, including the operation of child protection facilities, the implementation of family foster care, the mission to the Impaired, and human rights education activities and their history is also very long. Tenri Yorozu-sodansho which combines the Tenrikyo faith healing and modern medicine provides professional medical services and faith healing experience as a regional general hospital, and Tenrikyo Disaster Relief Hinokishin Corps as Japan’s largest private salvation organization with 6,000 members is recognized for its professionalism and social func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Nevertheless, the drastic reduction in the number of believers will naturally mean the reduction of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enrikyo, which will lead to a decrease in the capacity of social contribution. The following points can be pointed out about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social contribution through the organization and systems of Tenrikyo. Is Tenrikyo’s active social contribution functioning as a social capital that connects communities and individuals and maintains their social survival? Are religious salvation for individuals linked to individual social activities? Isn’t there any limited aspect that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by Tenrikyo’s organized or individual believers as “additional activities” that are merely reveling their faith practices? These points are not only the limits as social capital of Tenrikyo’s organization and systems, but also the future possibilities for connecting believers with their communities.

      • KCI등재

        사회적 신뢰의 결정요인에 관한 비교역사적 연구

        김승현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6 국제지역연구 Vol.15 No.4

        Social trust has been regarded as the product of voluntary associations. Since many empirical studies have not shown strong support for this cultural explanation, other theoretical arguments emphasizing the role of political or legal institutions have emerged. This research evaluates two arguments by analyzing Western historical experiences. Cautioning against the possible methodological fallacy in existing individual-level research, Anglo-American experiences are contrasted with those of Germany in terms of culture and institutions. This comparative historical analysis concludes that the social effects of associational activities were positive in countries where political institutions developed in tandem. This result implies that social capital increases only when associational activities are supported by political institutions. 사회적 신뢰는 주로 자발적 조직들의 사회적 효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적 설명을 뒷받침할만한 일관된 경험적 증거를 찾지 못하자, 비판적 시각에서 제시된 이론적 정향이 제도를 중시하는 사회적 자본론이다. 본 연구는 서구의 역사적 경험에 비추어 이런 상반된 시각의 타당성을 살펴본다. 기존 연구가 방법론적인 오류의 여지가 있고 개념적으로 일관적이지 않음을 지적하면서, 제도와 문화의 측면에서 영, 미의 역사적 경험과 독일의 경험을 비교한다. 역사적 비교분석을 통해서 조직활동과 정치제도의 상호작용에 의해 사회적 변화가 이루어지는 국가에서 조직활동의 사회적 효과도 긍정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정치적 제도와 자발적 조직활동이 보완적으로 발전하는 사회에서 사회적 신뢰가 신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우자와 히로후미의 사회적 공통자본론과 미완의 제도주의 - 유산과 과제

        이병천(Lee, Byeongcheon) 참여연대 참여사회연구소 2019 시민과세계 Vol.- No.34

        이 글은 일본이 낳은 세계적인 경제학자 우자와 히로후미가 제창한 사회적 공통자본론의 내용을 검토하고 그 기여와 새로운 연구과제를 제시한다. 제도주의와 시민의 기본적 권리론에 입각한 사회적 공통자본론은 초기에 일종의 진보적 공공경제학으로부터 후기에 관리방식과 스케일 측면에서 다원적인 사회공통자본론으로 진화했다. 이 이론은 오늘날 공공사로 구성되는 다원적 사회경제론의 흐름과도 궤를 같이하면서 여전히 생명력을 갖고 있다. 그러나 몇 가지 중요한 대목에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를 갖고 있다. The article examines the content of theory of the social common capital, which was suggested by the world-renowned economist Uzawa Hirofumi, and presents its contribution and new research tasks. The study shows that the theory of the social common capital based on institutionalism and citizen"s basic right theory has evolved from some progressive variant of public economics in the early stage to the theory of plural social common capitals in terms of the governance regime and the scale. And while this theory still has the vitality as a specific theory of plural socio-economic theory, it shows that there are some challenges that need to be solved.

      • KCI등재

        김수행의『자본론』번역: 의의와 개역 과정상의 특징

        김공회(Gimm Gong Hoe) 한국사회경제학회 2017 사회경제평론 Vol.30 No.2

        이 글은 김수행의『자본론』 번역이 갖는 의의와 개역 과정상의 특징들을 분석한다. 먼저 이 글은, 전문 학자에 의한 최초의 책임 번역이라는 점과 최초출간 이후 꾸준히 개역되었다는 것을 김수행 『자본론』의 핵심적인 의의로 본다. 또한 보다 쉽게 마르크스의 생각을 가능한 많은 독자에게 전하겠다는 옮긴이의 의지가 두 차례에 걸친 고된 전면개역을 가능케 했다고 주장한다. 이 과정에서 노출된 한계와 향후 『자본론』 번역이 지향할 바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This paper analyses the significance of Soohaeng Kim’s translation of Marx’s Das Kapital, and some characteristics observed in the process of his repeated retranslation. Firstly, this paper establishes that his translation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of Das Kapital whose translator bears academic credential and responsibility; and that it was repeatedly modified since the initial publication. Kim always wanted to make Marx’s thought available through his translation as easily as possible, and to as many people as possible, which we would argue was the main reason he embarked upon the hard work of complete retranslation twice in 25 years. Comments are also to be made with regard to some limitations of his translation, and possible future trans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