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막번역의 이론과 실제

        윤학로(Yoon, Hak-ro),김남연(Kim, Nam-yo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8

        본고의 목적은 자막번역의 이론과 실제 예를 통해, 자막번역의 일반 이론을 점검하고, 자막 번역의 문제점 및 중요성의 일단을 드러내려고 한다. 그것은 현금에 진행되고 있는 자막번역, 특히 예술영화와 수없이 쏟아지는 미국 드라마 또는 P2P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외국 영화에 대한 번역의 중요함, 다시 말해 영상 수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서 이다. 번역의 기술적인 측면을 제외하면, 자막은 외국어를 직접 접할 수 없는 관객이 영상을 접하고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다. 그러나 영상 텍스트(영화와 tv 프로그램)의 번역은 텍스트 번역의 담론 생산과 비교해볼 때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지하다시피 영상 번역(traduction audiovisuelle)은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하나는 자막이고, 다른 하나는 더빙이다. 자막과 더빙은 기술적인 처리과정 때문에 본래의 영상을 일정 부분 손실시킬 수밖에 없다. 더빙이 청각 언어의 일부를 훼손한다면, 자막은 이미지의 일부를 훼손한다. 자막은 목소리, 리듬, 인토네이션을 살리지만 이미지의 표면을 파괴한다. 영상의 손실률에 대해서는 학자에 따라 견해가 다르지만 자막처리의 경우 30% 내외, 더빙의 경우 10% 가량의 손실률이 있다는 것이 정설이다. 본고에서는 영상 텍스트 번역의 두 가지 방법 중 자막번역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그것은 현재 사회 문화적 환경의 변화와 영상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 영상 텍스트 번역의 경우 더빙 보다는 자막 처리가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제는 프랑스 누벨바그의 기수로 손꼽히는 고다르의 <미치광이 피에로>의 첫 시퀀스 분석에서 살펴보았듯이 자막이 심각하게 오역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전문가 집단이 영상 텍스트의 번역을 재검토하고 아울러 영상 텍스트 번역을 학문적 영역으로 끌어들이는 일이 시급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heories and practices by contemplating various examples of caption translation and through this find the problems and the importance of caption translation. This research is to shed new light to the captioning problems that has surfaced today, especially in the domain of artistic films and the american home dramas which have widely taken over the television screens and finally also in the domain of P2P where caption translation has become a major factor, in other words the paper will try to develop the importance of reception of images and the effects of translation. Disregarding the techniques incorporated in translation, the translated captions are the only means for audiences to understand the images on screen. The translation of audiovisual images can be separated into two distinct domains. First there is the caption translation which is seen on screen and secondly there is the dubbing system where the language itself is changed. The caption translation and the dubbing system due to technical defect cannot deliver the full message of the image in question. While dubbing damages the sound factor that is important in a film, caption translation damages the image on screen. The caption translation while delivering the sound of the film in its original form it however damages the images captured on screen. In the two said process researchers hav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damages to the original film, the average data that has been widely accepted is that about 30% of the original film and its image is lost or damaged while the 10% of the original film is lost in the dubbing method. The importance of translation of image texts(films or tv drama) is growing everyday, but compared to the production side it is still treated as being non essential factor today. The paper wishes to point out the fact that the translation has become a major factor in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cultures and therefore should be looked upon with a new perspective today.

      • A Study on Audiovisual Translation : Focus on Subtitling

        Lee Eun Sook(이은숙) 새한영어영문학회 2010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0 No.5

        자막번역은 영화나 다큐멘터리 같은 영상물을 우리말로 번역함에 있어 우리말 대사를 일정한 규격의 자막으로 처리하여, 실제 원음(Original Sound)을 들으면서 우리말로 된 대사를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해주는 번역 작업이다. 또한 시각적 매체를 통하여 말을 글자의 형식으로 전달해야 하는 다매체적 언어활동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전문 영상번역가의 관점에서 자막번역의 주요 현상을 영화와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전문 영상 번역가의 관점에서 자막번역은 통역활동의 하나로서 즉각적인 이해와 번역의 가독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자막번역의 주요한 제한으로서 읽기속도, 공간적 제약 그리고 각주나 주해와 같은 일반 출판 번역에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의 부재를 들 수 있다. 또 다른 주요 제약으로 화면과 자막의 동시성으로서 정확한 타이밍이다. 영상에서 카메라의 이동과 장면 전환이 자막과 일치해야 하는 점이다. 또한 영어와 한국어의 언어적 차이점 또한 자막번역의 어려움 중의 하나이다. 목표어인 한국어 자막에서 많이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영상 정보와 맥락으로 유추되는 주어, 접속사 그리고 조사의 생략 및 대사의 축약과 존칭어의 발달을 살펴볼 수 있었다. 한자 사자성어와 능동문 중심의 언어표현은 자막을 더욱 간결하게 해주는 긍정적 측면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자막번역의 주요한 작용원리로서 축약, 생략, 문화적 적합성 그리고 자막(TT) 양적 축소를 제시하였다. 축약기술은 영상물의 이해와 가독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원리이다. 즉, 자막 읽기가 영상읽기를 방해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이 부분은 바로 번역가의 창조성이 요구되는 대목이기도 하다. 자막의 양적 축소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 영화와 다큐멘터리 양 장르에서 모두 단어 수와 글자 수 두 가지 측정단위에서 자막의 축소현상이 보편적으로 확인되었다. 영화와 다큐멘터리의 각각 단어 수 기준 축소율 평균은 65%와 60%이며 글자 수 기준 각각의 축소율 평균은 32%와 47%로 나타났다. 글자 수 기준 자막 축소율이 영화에 비해 다큐물이 다소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각각 50분 분량으로 제작된 영화와 다큐멘터리의 ST의 양을 단어수 기준으로 볼 때 다큐멘터리 ST가 영화 ST보다 최대 수치로는 3374개가 많으며 총합으로는 5997개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것은 다큐멘터리 장르가 사건 중심의 영화에 비하여 정보 중심적이며 따라서 보다 많은 양의 ST를 요구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상이 메시지 전달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ST뿐 아니라 TT의 장르별 양적변화를 통하여 확인함으로서 번역교육에서 영상을 활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다시 한번 제기되었다. 번역은 의사소통행위로서 메시지를 옮기는 작업이기에 이에 따른 기술이 요구된다. 즉 교육적으로 학습되어야 하며 특히 영상번역은 시각적 매체와 의미전달의 언어활동이 복합적 양식을 지니고 있어서 끊임없는 훈련과 지도가 이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영상번역의 주요한 제약과 현상을 토대로 영상 번역의 다양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범위가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영화와 다큐멘터리 자막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던져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傳播學視角下的韓國綜藝節目字幕飜譯硏究 ― 以≪尋笑人≫爲例

        왕보하,두김몽 한국중국언어학회 2018 중국언어연구 Vol.0 No.74

        本文從傳播學的角度,以優酷平台提供的韓國語言類?笑綜藝節目≪尋笑人≫爲例,根据可譯性障碍和時間空間限制理論,從字幕飜譯的角度探討了其在中國收視狀況不佳的原因。 綜藝節目包含各種本國文化因素,字幕如何淺顯易?地傳遞文化內容,引起觀衆的共鳴與關注,是字幕飜譯硏究領域的重要課題。本文第二部分重点論述了綜藝節目的域外傳播和字幕飜譯之間的關系,發現綜藝節目的對外輸出與傳播同字幕飜譯的質量有着不可分割的關系,同時也發現由于可譯性限制以及時空限制的存在,在進行字幕飜譯時,會遇到諸多障碍。本文第三部分以韓國?笑綜藝節目≪尋笑人≫爲例,從可譯性障碍和時空限制兩個角度,對其字幕飜譯進行了分析。指出由于語言結構文字障碍、慣用法障碍、表達法障碍及文化障碍的存在,在進行字幕飜譯時,衆多韓國語式幽默難以得到有效轉換,再加之時空限制對字幕飜譯簡潔凝練的要求,最終影響了綜藝節目的域外傳播。 希望本論文能勾爲今后字幕飜譯工作者提供一定的理論依据和借鑒,能勾爲字幕飜譯相關硏究的發展貢獻一定力量的同時,對韓國綜藝節目的對外輸出和其?國家綜藝節目的引進提供一定的參考。 This paper explores the impact of subtitle translation of Korean variety shows on dissemination abroad, takes the humorous Korean variety show ‘People Looking for a Laugh’ as an example, and probes the reasons for its the poor viewing in China in the perspective of subtitle translation based on the theories of translatable obstructions and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The introduction part of the paper teases out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variety shows in China and documents related to the Korean variety shows and finds out that few scholars discuss and study the dissemination abroad of variety shows in the perspective of subtitle translation. Therefore,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semination abroad and subtitle translation of variety shows and discovers that the exports of variety shows is inextricably linked with the quality of subtitle translation and meanwhile due to translatable obstructions and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there will be many obstacles in subtitle translation, In consequence, the third part of the paper takes the humorous Korean variety show ‘People Looking for a Laugh’ as an example and analyses subtitle translation in the perspective of translatable obstructions and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Through analysis, it is found that many Korean-style humour cannot be effectively converted during subtitle translation due to formal-structural obstruction, usage obstruction, presentation obstruction and cultural obstruction. Besides,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restricts the conciseness of subtitle translation, which ultimately influences the dissemination abroad of the variety shows. Through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title translation and dissemination abroad of variety shows, it is hoped that this paper can provide some theoretical basis and reference for future subtitle translators and that while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research on subtitle translation, this paper will provide reference for the export of Korean variety shows and the introduction of variety shows in other countries.

      • KCI등재

        자막용 연극번역의 이론과 실제

        김현지 ( Hyunji Kim ),조성원 ( Sung-won Cho ) 한국비교문학회 2017 比較文學 Vol.0 No.72

        이 글은 우리나라의 `연극자막`과 관련해 관객들이 겪는 불편함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 원인들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분석을 통해 문제해결의 방안을 모색하며,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자막용 연극번역의 실천적 전략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논문이다. 자막이 필요한 해외연극의 공연현장에서 자막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원인은 장치, 기술, 번역의 세 가지 측면에서 모두 논의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특히 오퍼레이팅과 관련된 기술적인 요인과 `연극적` 요소와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많이 받는 자막번역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여러 번역의 난제들과 더욱 밀접히 연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막용 연극번역 시 고려해야 할 여러 사항들을 연극 및 자막의 특질과 관련하여 논의한 후, 이를 바탕으로 관객의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자막용 연극번역의 실천적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막용 연극번역 시 고려해야할 연극적 요소로는 `공연성,` `현장성,` `구어체적 문체` 등의 문제를 논의하며, 자막의 특질과 관련해서는 `스파팅,` `발화적 동시성,` `축역`등의 문제에 대하여 살펴본다. This is a study of theatre translation, which deals with the surtitles and surtitling for foreign play performances in Korea: it discusses the theoretical issues related to the work of surtitling for play performance as well as its practical applications. In particular, by examining the problems the Korean audiences frequently encounter with the surtitles given to help their understanding, this study not only explores the causes and effects of those problems, but further searches for the ways to reduce the uncomfortableness the audiences feel because of the problems. For that purpose, the discussion is approached from three different points of related areas: translation, theatre, and subtitling. As it calls for a serious attention to the studies in theatre surtitles, the study then identifies the three principal factors of surtitling for play performance that affect its communicative functions, such as synchronization, readability, and spotting. Of these, spotting is the most important because it is the key technique which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synchronization and readability.

      • KCI등재

        자막번역에 나타난 우리말 피동 번역의 사용실태 고찰 - 일본 드라마 수동표현 회화문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정의상,정일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8 No.-

        본 논문은 일본 드라마 회화문에 사용된 수동표현 중 우리말 자막에서 피동으로 번역된 다양한 사례를 분석해 실제 언어생활에 사용되는 광의적 의미에서의 우리말 피동의 사용실태 및 특징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하였다. 948개의 우리말 자막 피동 번역의 사례에 사용된 피동표현을 유형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어휘적 피동’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다음으로는 ‘접미 피동’, ‘구문적 피동’, ‘피동관련 술어에 의한 피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4가지 피동표현 각각의 세부 유형별 사용빈도를 나타내면, ‘접미 피동’의 경우는 ‘리’에 의한 피동이, ‘어휘적 피동’의 경우는 ‘되다’에 의한 피동이, ‘구문적 피동’의 경우는 ‘어 지다’에 의한 피동이 각각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우리말 피동표현의 사용빈도에 대한 본 논문의 분석한 결과와 기존의 이론적인 면에서의 논의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어 수동의 하위 유형별 피동 번역의 사용실태를 보면 ‘직접수동’은 전체 수동의 90% 이상을 차지하므로, 수동 전체를 대상으로 할 때와 피동 유형별 사용빈도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소유자수동’의 경우는 자막 번역의 피동 유형별 사용빈도가 동일하지 않았고, ‘사역수동’의자막 번역에서는 ‘직접수동’의 피동 번역에서 사용 빈도수가 낮았던 ‘게 되다’나 ‘당하다’가 가장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논문의 피동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피동관련 논의에서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 즉 ‘소유자피동’ 형성의 제약에 관한 문제, 우리말 ‘자동사’와 ‘피동사’의 구분처리 문제, ‘피동관련 술어에 의한 피동’의 우리말 피동의 하위범주 인정여부 문제 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ality of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assive in broad sense meaning to be used in real language life as analysis of the passive translation’s various cases from Korean subtitles in the passive expressions used in the Japanese drama’s colloquial expression. To list the 948 passive expressions used the Korean subtitle translation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type, there are a lot of ‘lexical passivity’ overwhelmingly, followed by ‘suffix passivity’, ‘syntactical passivity’ and ‘passivity of the predicate related passive’. It indicated that these 4 passive expressions’ each frequency in use of a type, each passive expressions has been used most often them in the case of ‘suffix passivity’ is the passive of ‘Lee’, for ‘lexical passivity’ is by ‘duida’ and the case of ‘passivity of the predicate related passive’ is ‘uh jida’. This study can identify the similarity between the analysis result of passive expressions’ frequency of their use and an existing theory. To identify the subordinate type’s passive translation usage of Japanese passivity, ‘directly passivity’ accounts for more than 90 percent of all passive expressions so its almost the same when it targets the entire passive and subordinate type’s passive translation usage. However in the case of the ‘owner passivity’ its does not same as the translation subtitle’s passive expressions’ frequency of usage and in ‘causative passivity’ translation subtitle, it is used the most ‘ge duida’ or ‘danghada’ even of its have low percent in directly passive’s passive translation.

      • KCI등재

        자막 제작 영상번역 규칙과 해석이론에 기반한 축역

        심재환(Shim, Jae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0 중남미연구 Vol.39 No.3

        본 연구는 중남미와 스페인에서 국내로 수입되는 영화와 드라마에 들어가는 자막의 제작과 관련해 국내 방송업계에서 준수하는 자막 제작 규칙을 국내 번역가와 영상번역 연구자들에게 설명하고 해당 규범과 규칙으로 인한 제한 속에서 발화되는 대사 내용의 의도와 의미를 효과적으로 살리며 축약하는 번역전략을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미디어 산업의 발달과 함께 우리는 기존의 방송 업계는 물론 1인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콘텐츠 제작자와 소비자가 직접적으로 만나고 교류하는 시대로 접어들었으며, 수많은 문화콘텐츠가 세계적으로 공유되는 현실에서 살고 있다. 이런 과정 속에서 예나 지금이나 대중이 가장 많이 접하는 번역은 영상번역이며 그 중에서도 제작 속도와 가성비를 이유로 선호되는 것이 바로 자막이다. 영상번역은 제도적인 특성을 가진 제도 번역의 일종으로 업계에서 관례적으로 굳어진 규범과 규칙을 따르는데, 통번역 학계는 물론 많은 번역가들이 이에 대해 전혀 모르거나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알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막 제작을 위한 BA영상번역 규칙을 설명하며 기존 영상번역 연구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 효과적으로 축역된 자막의 제작을 위해 일반 번역가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해석이론에 기반한 재필(rewriting) 전략을 소개한다. This study aim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audiovisual translation with the purpose of contributing to the education and analysis of audiovisual translation by listing and explaining existing conventions for subtitling in audiovisual translation. These are products of conventional ways and methods of translating, styling, structuring and laying out subtitles on screen, which have come to take root as a set of rules that audiovisual translators must know and follow. Such conventions were formed due to the inherent spacial and temporal limitation in audiovisual translation for subtitling in order to facilitate viewer reading and comprehension hindering the transmission of non-linguistic information on screen. These rules have undergone several changes until becoming the set of concrete conventions that is used today for audiovisual translation. It has been adjusted to fit the target language and its display on screen, as well a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reading subtitles. Precedent research and studies in Korea have yet to list and explain these rules, as most related research focus on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linguistic aspects and equivalence of the end product based on the source text. However, it must be understood that this is a unique type of translation that is closer to institutional translation, which conventions have spread throughout the audiovisual field and industry. These conventions affect the translation and the translator"s translation tactics and must be considered prior to any linguistic analysis or evaluation. The study lists and explains said conventions for Korean subtitling. It also introduces a method for creating condensed translations for subtitling that satisfy given conventions, a rewriting strategy based on the interpretation theory.

      • KCI우수등재

        방탄소년단 콘텐츠 팬자막의 번역 전략

        장혜선(Jang, Hye-Sun) 인문콘텐츠학회 2021 인문콘텐츠 Vol.- No.63

        번역은 ‘문화 간 이동’을 전제한다. 이동의 방향은 권력의 방향과 일치한다. 문화간 이동에 대한 학문적 접근은 전 세계로 뻗어나가는 K-POP의 영향력으로 인해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다. 한국어로 된 영상이 업로드되는 순간 팬번역자들은 자발적으로 번역 작업에 돌입하며, 팬덤 내에서 자막 번역을 필요로 하는 동료 팬들이 함께 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자막을 추가한 영상들을 재생산해낸다. 팬번역자는 문화를 전달해주는 매개자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며 번역이 불가능한 요소 중 시청자 층에게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정보를 인지하고 적극적 개입을 마다하지 않는다. 본고는 방탄소년단 팬덤 자막 번역이 기존에 제시된 영상 번역에 사용된 전력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을 증명하고 그 번역 전략의 특수성을 유형화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한국어가 링구아 프랑카인 K-POP 그룹의 해외 팬덤 내에서 원천어인 한국어가 도착어 문화에 자리잡은 현상을 실제 팬자막 번역 콘텐츠를 통해 증명하고자 한다. 유튜브 등에서 공유되는 영상의 팬자막을 분석하여 그 번역 전략을 유형화하고 그러한 전략이 나타난 배경을 분석하여 번역과 한류 관련 콘텐츠의 번역과 관련 현상을 연구하는 데 유용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ranslation implies "intercultural movement."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power. Because of the global influence of K-pop, the academic approach to intercultural movement is entering a new era. As soon as the video in Korean is uploaded, fan translators volunteer to begin the translation work, quenching the thirst of fellow fans within the fandom for translated subtitles. Fan translators reveal their identity as cultural mediators, recognizing information that cannot be translated and judging it to be important to the audience, and not being afraid to actively intervene. This study aims to show that BTS fandom subtitle translation follows a distinct pattern from previously published video translation power, as well as to classify the uniqueness of its translation strategy. In other words, through actual fan subtitle translation content, this study intends to demonstrate that Korean, the source language, is established in the foreign language culture within the overseas fandom of the K-pop group that shares Korean as lingua franca. Subtitle data generated by the BTS fandom is analyzed to this end. We would like to suggest useful directions for studying translation and related phenomena of Korean Wave-related content by analyzing fan subtitles of videos shared on YouTube, categorizing their translation strategies, and analyzing the background of such strategies.

      • KCI등재

        팬자막과 공식자막 번역 양상의 비교 연구 -드라마 <태양의 후예>를 중심으로

        원림림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1 No.-

        본 연구는 한국 드라마의 중국어 팬자막과 공식자막을 비교, 분석하며, 번역기법을 기준으 로 한국 드라마의 중국어 팬자막과 공식자막이 어떠한 면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드러나는지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15년 1월 21일에 중국 미디어 검열을 담당하는 국가광전총 국에서 외화 영상물 검열 정책을 정식으로 시행한 뒤 중국 시청자들은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 과 같은 과거의 한국 드라마 시청 매개체에서 벗어나 비공식 사이트 등에서 팬자막을 통하여 한국 드라마를 접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팬자막은 인터넷 상에서 폭넓게 소비되었다. 외화 검열 정책으로 인하여 한국 드라마의 정식 수입이 어려운 현 시국에서 팬자막이 널리 소비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중 번역에 대한 사례분석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사실 을 감안하여 팬자막의 기술적 향상을 위한 공식자막과의 비교 분석은 매우 필요한 연구라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2015년 1월 21일에 외화 검열 정책이 정식으로 시행된 이후 수입된 최 고 시청률을 기록한 마지막 드라마인 <태양의 후예>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비네와 다블네 (Vinay,J.P. and J.Darbelnet)가 제시한 7가지 번역 절차를 사례분석에 적용하여 팬자막과 공 식자막의 번역 양상을 살펴보며, 번역 원인과 효과를 분석한다. 팬자막과 공식자막 비교 연구 분야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은 한-중 번역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 관련 분야 연구의 단 초를 제공하고 팬자막의 기술적 향상을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fansubs and official subtitles of K-drama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based on translation techniques. On January 21, 2015, the National Radio and Television Administration, which is in charge of media censorship in China, implemented censorship on foreign movies and TV dramas. Since then, Chinese audiences have moved away from the past K-drama watching media, such as online video platforms, to watch the K-dramas through fansubs on unofficial sites or mobile applications. Therefore, fansubs are widely consumed on the Internet. In this period, when it is difficult to import K-dramas due to foreign video censorship policies, a case analysis study on Korean-Chinese translation has not been conducted even though fansubs are widely consumed. So this kind of study is essential. So, the paper takes “Descendants of the Sun”, the last drama that recorded the highest ratings imported after the censorship policy was implemented, as the object of analysis, and Vinay and Darbelnet’s 7 translation procedures are applied to case analysis to compare the translation patterns and analyze the causes and effects of translation in fansubs and official subtitles. The study itself is the first research on Korean-Chinese translation that has not been done so far in comparison of fansubs and official subtitles and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research in related field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fansubs.

      • KCI등재

        자막번역 현장의 변화: 공간의 제약을 어긴 자막의 수용 사례 분석

        최수연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This study aims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bout the space constraint of subtitling and analyze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o explain this phenomenon. Analysis by Gideon Toury’s Descriptive Translation Studies approach (DT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In the case of Sherlock, subtitles that do not follow the space constraint are found only on DVD, not on IPTV and Netflix.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four reasons: First, subtitles do not follow the space constraint share translation with dubbing. Second, as the level of technology is developed, technological restrictions are gradually diminishing. Third, the reading speed of viewers is increased. Fourth, the education level of translators about audiovisual translation is changed. 본 연구는 자막번역의 제약 중 하나인 공간의 제약을 어긴 자막이 영상번역 현장에서 수용되는 사례와 원인을 분석하여, 자막번역의 이론과 실제의 차이를 탐구한다. 이를 위하여 『셜록』의 네 가지(DVD, Netflix, BTV, Olleh TV) 한국어 번역 자막을 기디언 투리(Gideon Toury)의 기술번역학적 접근법(descriptive translation studies approach: DTS)으로 분석하고, 공간의 제약을 어긴 자막이 수용된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세운다. 자막 분석 결과, DVD의 자막에서만 공간의 제약을 어긴 자막을 찾을 수 있었다. 제약을 어긴 자막이 클라이언트와 시청자에게 수용되는 원인에 대한 가설은 네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더빙과 자막의 번역 공유, 둘째, 기술의 발전, 셋째, 시청자의 변화, 넷째, 번역가의 변화이다.

      • KCI등재

        번역불가능성의 관점에서 본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의 문화 관련 어휘 번역에 관한 고찰

        안희연(Ann Heeyeun),김보영(Kim, Boyoung) 한국아랍어아랍문학회 2021 아랍어와 아랍문학 Vol.25 No.3

        K콘텐츠는 근래에 전세계 트렌드로 자리매김하였다. 그 중 최근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은 전세계 90여개국에서 1위를 차지하는 흥행 돌풍을 일으켰다. 한편, 오징어게임의 흥행과 더불어, 해외 시청자들의 컨텐츠 소비에 큰 역할을 하는 이 드라마의 자막 번역도 주목받았다. 하지만 드라마 전반에 등장하는 여러 한국적 요소는 번역으로 맥락을 전달하기 어렵기에, 자막의 일부에 오역과 손실이 발견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는 자막이 오징어 게임 내 문화 관련 어휘를 어떻게 번역하였고, 그 중 번역 불가능한 요소가 무엇인지와, 그 요소들과 영상번역의 특성이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아랍어 자막이 영어 자막에서 중역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 문화 고유어의 번역 양상을 분석한 결과, 넷플릭스는 자체 자막 번역 지침에 따라 문화 관련 어휘는 지나친 현지화와 변형 대신 원문을 충실히 유지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고는 그 중 한국 사회에서 인물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호칭어와 사회∙문화적 맥락을 내포하는 놀이명, 인명 등은 자막 번역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 및 추가적 설명 제시 불가성으로 인해 번역이 불가능한 요소임을 확인했다. Recently, K-content has established itself as a global trend. Among them, Netflix s original Korean drama Squid Game , which was recently released, created a box office hit, ranking first in more than 90 countries around the world. Meanwhile, along with the success of Squid Game, subtitle translation, which plays a major role in content consumption by overseas viewers, also drew attention. The point is that some translations of Korean elements appearing in Squid Game have been missing or lost, and there are many contexts that there are difficult to convey through transl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culture-bound terms in the Squid Game was translated, what are the untranslatable elements, and how it relates to the characteristics of image transl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anslation aspects of each culture s native language considering that the Arabic subtitles were translated from the English subtitles, culture-bound terms were not localized, but foreignization was maintained according to Netflix s subtitle translation guidelines, It was found that the honorific term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and the game names, human names, and place names that conta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were untranslatable elements due to the nature of the subtit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