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자기개시의 남녀차 ー회화 데이터 분석으로부터ー

        오현영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2 日本語敎育 Vol.- No.99

        본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남녀를 대상으로 자기개시의 발화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여성은 남성보다 자기개시를 하는 겨향이 보였고, 여성도 남성도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개시하는 경향이 보였다. 또한 자기개시의 내용은 평가적 자기개시 보다 기술적자기개시 출현 수가 많았다. 장면의 차를 보면 여성은 접촉장명에서 많고 한국인 남성은 접촉장면, 일본인 남성은 모어장면에서 자기개시 출현 수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남녀의 출현 수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도 일본어 모어화자도 여성의 출현 수가 많았지만 한국인 남성은 경우는 기술적 자기개시만 유의차가 보였다. 일본어 모어화자의 경우 여성의 출현 수가 많았지만 모어장면에서는 기술적 자기개시도 평가적 자기개시도 남성의 출현 수가 많은 결과였다. 이처럼 양국의 차가 보이며 이문화 사람과의 대화에서 서로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初対面会話にみられる自己開示の日韓対照研究 -自発度による自己開示の出現を中心に-

        全鍾美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일본학연구 Vol.33 No.-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대학생 16쌍의 초면회화에 보이는 자기개시에 주목하여, 자발도에 의한 자기개시의 출현에 보이는 특징을 검토한 것이다. 자발도에 의한 자기개시를 5 타입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어 모어화자는 일본어 모어화자에 비해, 초면의 상대에게 자기개시 하는 빈도가 높다. 2. 자발도에 의한 자기개시의 5타입 모두, 한국어 모어화자의 자기개시가 일본어 모어화자의 자기개시보다 출현 빈도가 높다. 3. 일본어 모어화자에게는 「상대방의 질문에 대답하는 자기개시」가, 한국어 모어화자에게는 「자기개시에 설명을 덧붙이는 자기개시」가 가장 많이 출현했다. 4. 이러한 결과는 한일 양국의 자기개시 행위에 대한 의식의 차이에서 비롯되었음이 증명 되었다. Contrastive study in Japanese and Korean of self-disclosure on first-acquaintance with strangers : the feature of self-disclosure by appearance of spontaneousness This study examines self-disclosure on first-acquaintance conversation with strangers by comparing the data of 8 pairs of Japanese students and 8 pairs of Korean students. Self disclosure is classified as 5 typ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Korean students tend to do more self-disclosure than Japanese students to strangers. 2. Self disclosure of 5 type is appeared more in Korean students than Japanese students. 3. The self disclosure of the type of responding to the other person is appeared the most highly in Japanese students. And the self disclosure of the type of adding explanation to self disclosure is appeared the most highly in Korean students. 4. It is prov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and Korean students’ self-disclosure is due to the difference of consciousness about self disclosure of the two countries.

      • KCI등재

        재산명시제도의 실효성 확보방안: 영국의 재산동결명령과 재산개시명령을 중심으로

        김종호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경희법학 Vol.47 No.4

        The Mareva injunction (also known as the freezing order, Mareva order, or the Mareva regime), in Commonwealth jurisdictions, is a court order which freezes assets so that a defendant of an action cannot dissipate his or her assets from beyond the jurisdiction of a court so as to frustrate a judgment. It was named after Mareva Compania Naviera SA v. International Bulkcarriers SA [1975] 2 Lloyd’s Rep. 509, decided in 1975, although the first recorded instance of such an order in English jurisprudence was Nippon Yusen Kaisha v. Karageorgis in 1975, decided very shortly before the Mareva decision; however, in the United Kingdom, the Civil Procedure Rules 1998 now define the Mareva order as a “freezing” order. It is widely recognized in other common law jurisdictions, and such orders can be made to have a world-wide effect. It is variously construed as part of a court’s inherent jurisdiction to restrain breaches of its process. It is not a security, nor a means to pressure a judgment debtor, nor does it confer a proprietary interest in the assets of the judgment debtor. However, some authorities have treated the Mareva injunction as an order to stop a judgment debtor from dissipating his assets so as to have the effect of frustrating judgment, rather than the more strenuous test of requiring an intent to abuse court procedure. An example of the former would be paying off a legitimate debt, whereas an example of the latter would be hiding the assets in overseas banks on receiving notice of the action. It is recognized as being quite harsh on defendants because the order is often granted at the pre-trial stage in ex-parte hearings, based on the affidavit alone. A Mareva injunction is often combined with an Anton Piller order in these circumstances. This process can be disastrous for a defendant as the cumulative effect of these orders can lead to destroying the whole of a business’ custom by freezing most of its assets and revealing important information to its competitors. I introduce the asset freezing injunctions and disclosure orders in the United Kingdom. A freezing order will usually only be made where the claimant can show that there was at least a good arguable case that he or she would succeed at trial and that the refusal of an injunction would involve a real risk that a judgment or award in his or her favor would remain unsatisfied. Similar provisions are now required to be available in the rest of Europe, under Article 9(2) of the European Union Directive on the enforc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pproved in April 2004. This article may bring the big arguments into Korean academic society as well as the judicial and legislative branches. The effectiveness of asset disclosure system securing plan in Korea may also be expected because it is a totally different system, but it may make up for the weak points of the Korean system if we closely examine it. I also look forward to a more critical research publishing in near future based upon my contribution. 영국의 재산동결명령은 신청인에게 우선변제권을 주지 않는 단지 금전채권의 보전명령이다. 우리나라의 가압류명령과 같은 제도상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압류명령과는 법적 성격이 달라 피신청인의 재산을 압류할 수는 없고, 피신청인에 대하여 대인적으로 작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대인명령(order in personam)으로 불린다. 재산동결ㆍ개시명령은 밀행성의 요청 때문에 통상은 소제기 전에 신청되어 비대심절차(ex-parte hearing)로 발령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재산동결명령 및 재산개시명령을 중심으로 영국의 재산명시제도를 설명하였다. 이 제도는 거액의 국제적 사기 사건과 같은 위법성이 대단히 높은 사건에 대하여는 진가를 발휘해 피해자에게 강력한 구제책을 제공할 수 있다. 환율규제가 완화되어 즉시 국가간 송금수단이 확보되어 있는 금융시장이 발달한 오늘날 어느 나라도 국제적인 재산의 은닉ㆍ산일 사례와 연관이 없는 나라는 없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러한 때에 재산동결ㆍ개시명령은 아주 효과적인 집행확보 수단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제 조직적 사기사건, 부당권유 사건, 특별배임 사건 등이 빈발하고 있고 악질적인 채무자가 국제적으로 재산을 은닉ㆍ산일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피해자가 민사소송에서 승소판결을 얻어도 채권회수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도 재산동결ㆍ개시명령은 좋은 구제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재산동결ㆍ개시명령은 여러 가지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의 가압류 명령과는 대조적으로 영국의 재산동결명령은 우선은 피신청인의 재산일반에 넓게 그물을 친후 신청인(피신청인)의 취소ㆍ변경에 의해서 개시되는 정보에 의해 그때그때의 사정에 맞추어 범위와 내용이 조정되어 간다. 재산동결명령에 부수하는 재산개시명령은 책임재산의 개시를 명하는 것이고 증거개시와 다른 절차이지만 책임재산의 개시에 의해서 결과적으로 형사소송에서 이용 가능한 증거가 개시될 가능성도 있다. 재산개시는 선서진술서(affidavit)에 의해서 명시되어야 하지만, 피신청인이 진실하지 않은 것을 알면서 또는 진실하다고 믿지 않으면서 개시를 하면 위증죄가 성립한다. 재산개시명령의 위반에 대해서는 본안심리에 있어서의 방어권박탈(debarment)의 제재와 법정모욕죄가 부과될 가능성도 있고 피신청인에 대하여 심문절차에 출석할 것을 명할 수 있다. 영국법원은 채무자가 수익자가 되고 있는 재산을 채무자와 밀접한 관계에서는 제3자(채무자의 지배회사나 배우자 등)가 점유 또는 지배하고 있다고 신뢰할 근거가 있을 경우에는 그러한 사람을 피신청인으로 하는 재산동결ㆍ개시명령을 발할 수 있다. 피신청인의 변호사도 의뢰인(피신청인)의 재산상황에 대해 개시의무를 지게 할 가능성이 있지만 변호사ㆍ의뢰인 사이의 특권이 있어 개시에 일정한 장해가 된다. 본고는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가진 영국의 재산동결ㆍ개시명령에 대하여 상세한 논의를 하였으므로 우리나라 재산명시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비교법적 정보를 얻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 이사의 자기거래와 그 추인

        韓愛羅 민사판례연구회 2008 民事判例硏究 Vol.- No.30

        The Supreme Court of Korea, in its decision, 2005da4284 delivered on May. 10, 2007, held that in applying the Article 389 of the Commercial Code regarding the director's self-dealing and its approval by the board of directors, the board may ratify as well as approve the transaction, and the director should disclose his interest in the transaction and other material facts to the board. It is the first decision on these issues of this kind made by the Supreme Court. A majority of the Korean scholars have asserted that approval by the board should be made prior to the transaction, in order to restrict the director's self-dealing, to protect the third parties, or to facilitate compensation from the director. Whereas, minority opinions supporting the ratification have been based on the agent and ratification theory, protection of corporate autonomy and interest, or necessity of ratification in practice under the fast-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From the comparative perspective, the United States, Germany, France and Japan have endorsed ratification, either in their codified laws or court rulings, as an effective mean to fully validate the director's self-dealing.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Commercial Cod Article 398, self-dealing not approved by the board of directors should be regulated by the Civil Code Article 130 on unauthorized agent, which stipulates ex post ratification of the unauthorized agent's act. It is also practically needed, in an actual business environment, to ratify the transaction once it has been made. Therefore, the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 is regarded as appropriate. However, the requirements for ratification should be strictly construed in order to prevent its abuse. Hence, the interested director should fully disclose circumstances as to why the prior approval could not be sought. Moreover, review by the board and the court on the fairness of the transaction should also be made more thoroughly. All the prerequisites of approval should be fulfilled also in ratification, i.e., the board meeting should be hel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al requirements; the interested director should disclose information regarding the transaction; only the directors without interest should be eligible to vote; and the transcript of the meeting should be made and kept. When the ratification of the self-dealing becomes available based on the unauthorized agent analogy, it should also be discussed whether or not the other party's right to give peremptory notice or to withdraw is allowed. In case the other party of the transaction is a third person acting in good faith, the transaction would be valid to him, and therefore, it would not be needed to give him the right to withdraw. However, to prevent instability of transaction, the right of peremptory notice should be given even to the other party who is the interested director or a knowing or grossly negligent third person. 대법원 2007. 5. 10. 선고 2005다4284 판결은 상법 제389조에 기한 이사의 자기거래의 유효 요건인 ‘이사회의 승인’과 관련하여, 이사회가 자기거래를 사후적으로 추인할 수 있으며, 이사회 승인에 앞서 이사회에 그 거래에 관한 자기의 이해관계 및 그 거래에 관한 중요한 사실들을 개시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긍정한 최초의 판결이다. 한국의 다수설은 이사회의 승인이 사전에 행해져야 한다고 보며, 그 근거로는 자기거래의 제한, 거래상대방인 제3자의 보호, 이사에 대한 책임 추궁 등을 들고 있다. 한편 사후 추인을 인정하는 소수설은 무권대리인의 추인 법리, 회사의 결정권 및 이익 보호, 급변하는 경영 현실 하에서 사후 추인의 필요성 등을 근거로 들고 있다. 살피건대, 비교법적으로도 미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주요 국가의 회사법 및 판례는 사후 추인을 배제하지 않고 있고, 자기거래에 관한 상법 제398조의 문언 해석상 이사회 승인 없는 자기거래에 대하여는 무권대리인에 관한 민법 제130조가 적용된다 할 것인데, 무권대리인의 행위는 소급하여 추인할 수 있으며, 실제 거래상황에서 자기거래를 사후적으로 추인할 필요성도 크므로, 사후 추인을 인정한 위 대법원 판결의 결론은 타당하다 할 것이다. 다만 사후 추인의 남용을 막기 위해서는, 사전 승인에서 요구되는 절차에 따른 이사회 소집, 개시의무, 이해관계 없는 이사의 승인 결의, 의사록 작성 등의 요건을 충족함은 물론, 사전 승인을 받지 못한 이유의 추가 개시, 이사회의 심사의 강화, 법원의 공정성 심사의 강화 등 사전 승인에 비하여 추인 요건의 강화가 요구된다. 나아가 자기거래의 사후 추인이 무권대리인 법리에 기하여 인정된다고 볼 경우, 무권대리인의 행위에 대해 민법상 인정되는 철회권 및 최고권 또한 인정되는지가 문제되는데, 선의·무과실의 제3자에 대해서는 자기거래가 유효하므로 철회권의 인정 필요는 크지 않겠으나, 거래의 불확정을 막기 위해 이사 또는 악의·중과실의 제3자에게도 최고권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일 이성 간 첫 대면 대화의 화제에 관한 연구 -화제제시방법 및 화제도입의 사회적요소를 중심으로-

        이선옥 ( Lee Seon-ok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7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8

        본고는 한일 이성 간 모어화자 끼리의 첫 대면 대화를 비교 분석한 것이다. 분석항목은 `화제제시방법`과 `화제 도입과 사회적요소와의 관련성`이다. 우선 `화제제시방법`은 크게 `질문`과 `자기개시(자기노출)`로 나누어 분석했다. `질문`은 구체적으로 `직접형, 말끝흐림(중도종료형), 서술형, 동의요구형, 명사종료형`으로 나누어 분석했고, `자기개시(자기노출)`는 구체적으로 `의견, 경험, 능력, 상황설명, 개인정보` 등 10개항목으로 나누어 조사했다. 분석의 결과, 일본인남녀는 한국인남녀보다 `질문`으로 화제를 제시하는 비율이 많았으며, `자기개시`방식의 화제 제시는 한국인 남녀가 많았다. 한일 이성간의 첫 대면 대화에서는 한국인은 자기개시로, 일본인은 질문으로 화제를 도입하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질문`의 구체적 분류에서 `저~, 출신은 어디....?`와 같은 말끝흐림(중도종료형) 질문이 일본인 대화에서 한국인대화의 2배정도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자기개시`의 구체적 분류에서 `의견(생각)`으로 화제를 제시하는 방법은 한국인 대화에서 많이 관찰되었으며, `경험`을 말하며 화제를 제시하는 경우는 일본인 대화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이성간의 첫 대면대화에서 남성이 화제를 도입하는 경향이 많았기 때문에 화제도입에 성차 이외의 요소가 작용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성간의 첫 대면 대화에서는 연령과 같은 사회적 요소는 화제도입에 관여하지 않았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화제를 많이 도입한다는 성차요소만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이성간의 첫 대면 대화만의 특징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initial conversation between opposite gender native speakers from Korea and Japan. The analysis items were `the way of introducing a topic` and `the relevance to introduction of topic and social elements`. First, `the way of introducing a topic` was largely divided into `question` and `self-presentation (self-disclosure)`. `Question` was classified into `direct type`, `terminal blur` (mid-end type), narrative type, consent type, and noun-end type. `Self-presentation (self-disclosure) was classified into `opinion, experience, capability, situation explanation, personal information, feeling (emotion), preference, personality, memory, distr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atio of the Japanese males and females who started dialogue with `ques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Korean males and females, while the ratio of the Korean males and females who presented a topic with `self-presentation` were higher. Initial conversation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opposite genders we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Koreans usually presented a topic with a self-presentation, while the Japanese usually presented a topic with a ques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classification of `question`, it was found that the questions of terminal blur (mid-end type) from the dialogues of Japanese speakers. For instance, questions like “Uhmm… Where are you from…?” were twice as many as those from the dialogues of Korean speakers. Moreover, among the specific classification of `self-presentation`, the way of presenting a topic with `opinion (idea)` was frequently observed in the dialogues of Korean speakers. The case of presenting a topic with `experience` was frequently observed in the dialogues of Japanese speakers. Second, because males tended to introduce a topic in initial conversation between opposite gender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actors other than gender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presenting a topic. In initial conversation between opposite genders, social factors such as age were not involved in the presentation of topics, and only gender factors such as males usually initiating topics in conversations than females were significant. This tendency seems to be the exclusive characteristic of the initial conversation between the opposite genders.

      • KCI등재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自己開示の研究

        吳晛榮(오현영) 한국일본어학회 2016 日本語學硏究 Vol.0 No.49

        본 연구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와 일본어모어화자를 대상으로 실제 회화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기개시의 출현빈도 및 그 내용을 분류하여 출현빈도를 고찰하였다. 또한 자기개시 내용에 보이는 한국인일본어 학습자의 특징을 보았다. 그 결과 ①자기개시 발화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일본인 모어화자 보다 1.3배 많게 나타났다. ②양국 다 기술적 자기개시는 모어장면에서 많게 나타나며 평가적 자기개시는 접촉 장면에서 많이 출현 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용에 보이는 특징으로는 자신의 평가에 대해 솔직히 말하고, 감정과 생각을 구체적으로 말하며, 직접적이고 감정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평가적인 자기개시를 하는 특징이 보였다. This study analyzed self-disclosure in first meeting contact meeting situations by comparing the data of Korean Japanese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of Japanese. It indicated characteristics observed in contents of Korean Japanese learner"s self-disclosu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With regard to utterances of self-disclosure , those of Korean Japanese learners were 1.3 times higher than than those of Japanese speakers: and (ⅱ)Descriptive self-disclosure occurred more frequently in mother tongue scenes in both countries. On the other hand, evaluative self-disclosure appeared incontact scenes . Finally, Korean Japanese learners were speaking frankly about their evaluation. They specifically mentioned their feelings and thoughts, which was characterized byself-disclosure using many direct expressions of their emotions.

      • KCI등재

        初対面場面における自己開示に関する意識調査 -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と日本語母語話者を対象に -

        오현영 한국일어일문학회 2020 日語日文學硏究 Vol.112 No.-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what kind of rituals the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nd the native speaker of Japanese are making conversation with first-timers while giving consideration to first-timers. Until now, prior research has focused only on language and nonverbal elements. In addition, the focus is on the ignition itself, such as the consideration needed to actively carry out the dialogue and the consideration needed to make the other party understand more deeply, but the specific method is not studied until further. There, the main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self-initiated fires. The questionnaire prepared 21 items on self-initiated and 10 items on self-initiated recipients. The assessment was assessed in Step 7 to the extent of relevance for 31 items. In order to avoid the learning effects that can be done while answering questions, we prepared a reversal from the first half of the question. The survey collaborators targeted 70 Japanese students enrolled in Japanese universities (one in Ibaraki Prefecture), 15 of them male, 55 female, 70 Japanese language students enrolled in Korean universities, 20 of them male, 50 female, and those who have no experience studying abroad. The average age of a Japanese student (J) is 20 years old. What was revealed in the survey was a marked difference in consideration of ignition rather than as a listener. Specifically, compared to J, who cares about the other person, it is either an interest in the opponent or an activism that serves as a consideration for K. However, the question remains whether it will appear in the conversation as it is a survey of consciousness, not a real conversat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need to conduct both dialogue and questionnaires investigation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국어 화자를 자기개시 발화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어떤 의식을 바탕으로 초면인 사람과 배려를 하면서 대화를 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언어, 비언어적 요소에만 집중되어왔다. 또한, 대화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배려와, 상대방에게 자신을 보다 깊게 이해시키는 배려 등 발화 자체에 집중되어있는 것도 있지만,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까지는 연구되어 있지않다. 거기서, 본연구에서는 자기개시의 발화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했다. 질문지는 자기개시에 관한 항목 21개, 자기개시의 받는이에 관한 항목 10개를 준비했다. 평가는 31개 항목에 대해서 어느 정도 적합한지를 7단계에서 평가받았다. 질문에 답하는 동안 할 수 있는 학습효과를 피하기 위해 문항의 전반과 역전시킨 것을 준비했다. 조사 협력자는 일본 대학(이바라키 현 1개)에 재적하는 일본인 70명, 그 중 남자 15명, 여성 55명, 한국 대학에 재적하는 일본어 전공 학생(이하 K)70명, 그 중 남자 20명, 여성 50명, 유학 경험은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했다. 평균 연령은 일본인 학생(이하 J)20.5살 한국 학생은 20세이다. 이번 조사에서 밝혀진 것은 초면에 상대에게 듣는 사람으로서의 배려보다 발화에 관한 배려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상대를 배려하는 J에 비해, 상대에게 흥미를 나타내는 것이나 적극성이 K에게는 배려로 작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의 대화가 아니라 의식에 대해 조사한 것이기 때문에 그대로 회화에도 나타날지 의문이 남는다. 따라서 대화와 질문지 조사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이사의 자기거래와 사후승인 - 대법원 2023. 6. 29. 선고 2021다291712 판결을 중심으로 -

        김경일 대한변호사협회 202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23

        상법 개정 전 판례는 자기거래의 사후승인이 가능하다고 보았으나, 2011년 개정 상법은 ‘미리 …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여, 개정 상법하에서도 사후승인이 가능한지 여부가 문제되었고, 상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이러한 와중에 대법원 2023. 6. 29 선고 2021다291712 판결(이하 ‘대상판결’이라고 한다)은 “상법 제398조의 문언 내용을 입법 취지와 개정 연혁 등에 비추어 보면, … 사전에 상법 제398조에서 정한 이사회 승인을 받지 않았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거래는 무효라고 보아야 하고, 사후에 그 거래행위에 대하여 이사회 승인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무효인 거래행위가 유효로 되는 것은 아니다.”고 판시하여, 사후승인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이 글에서는 먼저, 대상판결의 사실관계와 판결요지를 살펴보고, 미국, 영국, 독일, 일본의 자기거래에 대한 입법례를 사후승인 가부를 중심으로 살펴본 후, 상법 제398조의 개정 연혁과 대상판결이 설시한 중요사실의 개시의무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고, 자기거래에 대한 사후승인 가부에 대하여 검토해보았다. 생각건대, ① 입법 취지, ② 무권대리 추인 법리의 원용, ③ 이사 등에 대한 행위규범, ④ 무효 주장의 한정 및 법률관계 안정화, ⑤ 사후통제, ⑥ 비교법적 논의, ⑦ 유연한 해석 등을 고려할 때, 사후승인, 즉 추인을 일률적으로 불허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해당 거래에 관한 중요사실이 개시되고, 이해관계 있는 이사가 사전승인을 받지 못함에 있어서 불합리하게 행위하지 않았으며, 해당 거래가 회사에 대하여 공정한 경우’ 등에는 사후승인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Before the amendment of the Commercial Act, the Supreme Court held that an ex post facto approval, that is, the ratification is permitted, but the amended Article 398 requires prior approval of the board of directors for the self-dealing transactions. So it matters whether or not the ratification could be permitted under the amended Commercial Act, and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that. In the meanwhile, the Supreme Court’s ruling in case 2021da291712 on June 29, 2023 (hereafter, ‘the ruling’) held that “When looking at the text of Article 398 of the Commercial Act in light of the legislative purpose and revision history, … If the approval of the board of directors under Article 398 of the Commercial Act has not been obtained in advance, the transaction shall be considered invalid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Even if the transaction has been approved by the board of directors after the fact, the invalid transaction shall not be considered valid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This article first looked at the facts and summary of the judgment of the ruling, and then looked at the legislative examples of self-dealing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Germany, and Japan, focusing on whether or not the ratification is permitted. Then this article briefly looked at the history of the revision of Article 398 of the Commercial Act and the duty to disclose important facts on which the ruling commented. And this article reviewed whether or not the ratification of the self-dealing transactions could be permitted. Considering ① legislative purpose, ② application of the law on ratification of unauthorized representation, ③ code of conduct for directors, ④ the limitation on persons who can claim invalidity and stabilization of legal relationships, ⑤ ex post control, ⑥ comparative legal discussions, ⑦ flexible interpretation, it could be thought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uniformly disallow the ratification. The ratification may be permitted in cases where ‘important facts regarding the transaction are disclosed, the interested directors did not act unreasonably in failing to seek advance authorizations, and the transaction is fair to the company.’

      • KCI등재

        상법 제398조 자기거래제한 규정의 쟁점 및 개선방안

        김효신(Kim, Hyo Shin)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법과기업연구 Vol.10 No.1

        상법 제398조는 이사 및 주요주주 등 특수관계인이 회사와 거래하는 경우 이익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기거래를 제한하고 있다. 동규정은 2011년 상법개정시 대폭 개정하였으나 실제 적용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대한 해석론과 입법적 개선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거래제한의 적용대상에 비상장회사의 주요주주도 포함하고 제398조 제3호에 직계존비속의 배우자를 포함시키는 것으로 개정해야 한다. 둘째 자본거래에 대하여 자기거래제한이 적용되는지 문제된다. 회사가 발행하는 신주를 이사 등이 제3자배정방식으로 인수하거나 실권주를 인수하는 것은 이해충돌의 우려가 있으므로 자기거래제한에 포함된다고 본다. 합병은 합병비율의 결정이나 소액주주 축출 등 공정성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으므로 합병규제에 더하여 자기거래제한이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정관에서 자기거래승인을 주주총회권한으로 정할 수 있는가, 그리고 주주전원에 의한 동의로 승인이 가능한지가 문제된다. 주주와 경영진의 이해상충 국면에서는 이사회가 열리지 않은 경우 주총특별결의로써 이사회승인에 갈음할 수 있으며 주주전원의 동의로 이사회에 갈음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넷째 공정성 요건은 입법론적으로 이사회의 승인과 실질적 공정성을 선택적 요건으로 두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제398조에서 공정성을 필수적 요건으로 규정함에 따라 사후에 사법심사에 의해 거래의 효력이 좌우되어 거래의 안전을 해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공정성 요건을 필수적 요건으로 규정한 경우에는, 보완적 방법으로 그 증명책임을 자기거래의 효력을 다투는 자에게 전환되도록 법률상 추정 규정을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rticle 398 of Commercial Act restricts self-dealing like transactions between specially related persons such as directors, major shareholders and their company in order to prevent the conflict of interest between them. Amended on a large scale in 2011, it has still had several issues in practical application. So the following interpretations and legislative improvements need to be introduced. First, with respect to the subject of application, it should be amended to include major shareholders of an unlisted company in addition to the shareholders under Article 542-8 (2) 6. It should also be done to include the spouse of lineal ascendants and descendants under the subparagraph 2 of article 398. Second, whether it is applicable to capital transactions, the case where directors, etc. subscribe to new shares issued by their company in a way of allotting the shares to other persons rather than its shareholders should be interpreted to fall in the scope of self-dealing. The case that directors, etc. subscribe to forfeited stock should also be treated as such. It is because these cases have a potential risk of conflict of interest. As the merger of companies inherently has fairness issues like determining the merger ratio, or squeezing minority shareholders out, the self dealing restriction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requirements on fairness as well as specific merger regulations. Third, with regard to the authority of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are the articles entitled to delegate the right to permit the self-dealing to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In the situation where there are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shareholders and management, unless a meeting of board of directors is held, the special resolution of the general shareholders meeting can be treated as the approval of director board if there is unanimous consent. Finally, with regard to the fairness requirement, either the approval of director board or the fairness requirement should, de lege ferenda, be an optional requirement. The article 398 which requires the fairness requirement to be mandatory can make the legal effect of transactions unstable depending on judicial decisions. If the current mandatory requirement could not be removed, we need to introduce a legal presumption to shift the burden of proof to the claimant seeking to hold the directors, etc. liable in order to make up for the fault.

      • KCI등재

        상법상 자기거래 규제제도에 관한 판례상 주요 쟁점의 분석 및 향후 전망

        박세화 한국경영법률학회 2017 經營法律 Vol.27 No.2

        The Commercial Act §398 says that when a director or a major shareholder etc. intends to engage in a transaction with the company for his own account or for the account of a third party, he shall in advance disclose material facts of the relevant transaction at the board of directors and shall obtain approval therefrom. In such cases, the approval of the board of directors shall be granted with two thirds or more of the total number of the directors, and the relevant transaction shall be fair in terms of its particulars and procedures. And § 542-9 (3) says that where a listed company determined by Presidential Decree based on the scale of assets, intends to engage in transactions that fall under any of a legal certain scale with or for the largest shareholder, his specially related persons, and such listed company's specially related person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the company shall obtain approval thereof from the board of directors. This paper contains arrangement and analyses of issues of case law regarding the transaction with the company, Commercial Act §398․§542-9(3). Commercial Act § 398 has many legal issues, regulatory target list and transaction types of § 398 regulatory system, approval in advance or ratification of self dealing transaction, fairness test of self dealing, authorization by disinterested directors or disinterested shareholders, disclosure obligations, etc. And we need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problem that there is an area that is subject to Commercial Act § 398 and § 542-9(3) at the same time. This paper proposes improvement plan for legislation to reform Commercial Act § 542-9(3). This thesis asserts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onflict-of- interests of each transaction, relating to transactions between directors․major shareholders and the corporation. And it is important to apply Commercial Act §398․§542-9(3) effectively on the suitable time, overcoming the abstraction and ambiguity of application requirements on Commercial Act §398․§542-9(3). 상법 제398조는 회사에 영향력을 가진 이사․집행임원이나 주요주주 등이 회사와 관련된 거래를 통하여 부당하게 사익을 추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고안된 대표적인 충실의무 구현 규정이다. 상법 제542조의9 제3항도 대규모상장회사의 경영진에게 자기거래성 대규모 거래를 할 때 이사회의 승인과 주주총회에 대한 보고를 통하여 회사의 이익보호에 만전을 기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같은 맥락에서 평가할 수 있는 규정이다. 상법 제398조는 오래전 부터 해석상 쟁점이 적지 않았으나 2011년 상법 개정으로 규제의 폭이 확대되면서 많은 사항들이 새롭게 법적 검토대상에 올랐다. 규제 대상 거래상대방과 거래형태의 확정, 주주의 대체 승인 인정, 추인 인정, 공정성 요건의 해석 등이 지금까지 명확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논의 진행 중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필자는 이 시점에서 그 동안 판례가 다루어온 제398조의 쟁점들을 선별하고 그 판단근거와 결론을 분석하여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판례상 쟁점을 분석함에는 기존 학계의 다양한 견해를 비교․검토하는 것은 물론이고, 미국과 일본의 관련 법제를 살피고 필요한 경우 필자의 사견을 적극적으로 동원하여 판시내용을 평가하기도 하였다. 이 같이 기존 판례를 체계적으로 선별하여 판시내용을 살피는 것은 향후 진일보된 판결의 바탕이 되고 새로운 연구대상을 찾는데도 중요한 초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상법 제542조의9 제3항은 상법 제398조와 중첩 적용될 수 있어 자기거래 규제에 있어 혼선과 충돌이 잠재되어 있는 규정인데, 현행 규정에 적용되는 법리에 대한 검토 뿐만 아니라 규제상 갈등 해결을 위한 합리적 입법적 개선안을 구제척으로 제시하는 작업도 함께 수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