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기 일본 “중세(中世)문학”의 형상 창출 연구 -“일본문학사”와 “일본사”의 대조를 통해-

        엄인경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0

        본고는 ‘중세’나 ‘중세문학’을 둘러싸고 근대 국민국가 형성기부터 제국주의 시대에 이르기까지 ‘암흑’의 시대에서 ‘풍윤’의 시대로 가치가 전도되는 현상을 고찰한 것이다. 다시 말해 중세라는 시대나 중세문학에 대한 이미지 변화 사이에 내재된 문학사적, 시대적 배경이 무엇인지를 찾아 이러한 논리 파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일본문학사 기술과 일본문학의 정전(正典) 연구와 관련이 깊지만 이러한 연구는 문학사의 총론을 근대국민국가 비판이라는 문맥에 환원시키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논의의 시기도 1890년에서 1900년대 초로 한정되어 있다. 또한 각론의 경우에는 현재 일반화된 일본 고전의 대표작들을 근대의 시대적 문맥 속에서 정전으로 인식하게 된 과정을 추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본문학사’나 ‘정전’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다음 시대적 편중 현상을 뛰어 넘어 근대국민국가 형성기에서 패전에 이르기까지 대량으로 간행되었던 ‘일본문학사’와 ‘일본사’를 통해 ‘중세’와 ‘중세문학’의 형상이 어떻게 창출되고 변용되었는지를 파악했다. 이를 통해 ‘중세’및 ‘중세문학’ 이미지가 근대국민국가 형성기에 부정적이고 가치폄하적인 평가에서 1930,40년대 긍정적 인 입장으로 전환된 논리를 시대적 콘텍스트 속에서 도출함으로써 일본문학사의 논리 파탄과 그 요인을 규명해 보았다. ‘중세’, ‘중세문학’의 이미지의 변용에는 문학성 자체의 문제 보다는 1890년대와 1900년대 초 국민국가 형성기의 천황제 가족주의국가와 연동된 근대국민국가 이데올로기에서 오히려 일본이 동양의 전통문화의 계승자로서 일본문학의 연속성을 강조해야 하는 제국일본 문학의 재구축이라는 시대적 요청 때문이었고, 이로 인해 ‘일본문학사’가 가지고 있는 논리의 파탄과 근대국민국가의 모순을 내재한 일본의 중세문학사를 파악할 수 있었다. In the west, where the modern academic studies began, ``The Middle Ages`` has the opposite images of the brilliant and positive images. The Middle Ages, between the glorious ancient civilization and the Renaissance, has the images of the darkness, so the Middle Ages could be called the Dark Ages, and it could be also ``the Death`` Ages because the Renaissance means a revival. Under the influence of this western perception, the early publications of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which was published briskly since the 1890s in Japan, shows that the Japanese middle ages also has the negative images as the Dark Ages in the history, academy, and literature. This negative and self-depreciative images of ``the Middle Ages`` and ``the Middle Ages Literature``, built in the formative period of the nation-state, however, are not consistent up to now. The shift of the perception of the Middle Ages was made not after war (after 1945) but from 1930s to 1940s when Japan`s militarism reached its climax and Japan was at the 15-year war. By this time, the images of ``The Middle Ages`` and ``The Middle Ages Literature`` was changed to the fairly positive viewpoint. In this thesis, to go over the existing disproportionate studies on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and ``The Armistice``, I grasped how the images of ``The Middle Ages`` and ‘The Middle Ages Literature`` had created and changed through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and ``The Japanese History`` published from the formative period of the nation-state to the defeat, and through this study, by understanding the logic of shifting the images of ``The Middle Ages`` and ``The Middle Ages Literature`` in the periodical context, I grasped how the logic of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went into the rupture and what the causes were.

      • 日本 文學에 있어서의 中世硏究 : 中世 武士와 禪宗의 關係를 中心으로

        김종택,이용현 공주영상정보대학 2001 논문집 Vol.8 No.-

        禪宗은 어려운 敎理 學習이나 번거로운 修行 단계를 거치지 않고, 坐禪에 집중해서 雜念을 없애고, 단번에 해탈(깨달음)에 이르고, 眞理를 분명히 파악하려고 하는 宗敎로 武士나 民衆 사이에 잘 퍼져 갔다. 이러한 禪宗은 그 당시에 정권을 잡고 있었던 武士 階級의 保護를 받고, 日本人의 思想뿐만 아니라 日本人의 一般 生活이나 文化에까지 큰 영향을 끼쳤다. 封建 時代 日本의 武士들은 항상 죽음을 마음에 새기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다 「깨끗하게 죽는」다는 것은, 日本人의 마음에 가장 친숙한 思想 중에 하나이다. 「깨끗하게」라는 것은 「후회를 남기지 않고」, 「분명한 양심을 가지고」, 「용사답게」, 「주저함 없이」등등의 意味이다. 日本人은 단념하기 나쁘게 우물쭈물하면서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혐오한다. 바람에 흔들리는 벚꽃과 같이 떨어져가고 싶어한다. 확실히 日本人의 이 죽음에 대한 태도는, 禪의 가르침과 분명히 일치한다. 日本人은 生에 대한 哲學은 가지고 있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확실히 죽음의 哲學은 가지고 있다. 禪을 깊게 받아들이고 있는 武士 精神은 그 哲學을 또한 庶民 사미에까지도 넓혀간다. 庶民은 자신들이 특히 武士들의 방식에 鍛鍊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도 그 情神을 받아 들여 옳다고 생각되는 어떠한 이유를 위해서도, 자신의 목숨을 犧牲할 覺悟를 하고 있다. 이것은 종래 日本이 무언가의 이유로 뛰어들지 않으면 안 되는 모든 戰爭에서 證明되어 온 것이다. 이렇듯 禪宗에 의해 지탱되어 온 日本의 中世 武士들은 그들의 죽음을 항상 肯定的으로 받아들이고, 죽음을 克服하게 되어 이 세상을 無常하다고 보게 된 것이다. 無常을 「죽음의 自覺」을 기점으로 「죽음의 覺悟」로 연결되어, 「身心脫落=자신을 버린다=脫我」→「죽음의 克服」이라는 論理로 전개한 것이었다. 다시 말하면 中世的인 것이라는 죽음을 지향하는 武士的인 모습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中世 武士들의 「肯定的 無常觀」은 幽玄을 基調로 하는 「 無의 文學」으로 나타났고, 能藝나 茶道 등은 물론, 庭園이나 水墨畵를 비롯한 藝術 活動의 軸이 되어 日本의 思想, 文化나 生活 全般에 커다란 영향을 남겼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것은 近世에 접어들어 그 時代 文化의 主 담당자였던 町人들의 가지고 있었던 「죽음에 대한 망각」, 즉 「죽음에 대해 등을 지고, 現實의 享樂 속에 자신을 沒入시키는 沒我主義」에까지 이어진다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日本神話硏究史の 一考察

        權東祐(권동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6 No.-

        근대일본에 있어서 신화연구는「국민국가( )」라고 하는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단일민족의 신성한 기원을 이야기하는 신화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른바 일본제국의 식민지건설을 위한 사상적 근거로서 신화학은 전개되었던 것이다.<br/> 하지만 아시아?태평양전쟁이 끝난 후, 일본 내에서는 천황(天皇)이데올로기로서 활약하고 있던 신화연구로부터 그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배제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어왔다. 이와 같이 근대의 논리로부터 벗어나 신화를 읽어가려는 노력은 특히 최근에 이르러 놀라울 만한 발전을 맞이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근대신화연구의 대표적인 표현으로 인식 되어온「기기신화론(記紀神話論)」을 부정하는「작품론(作品論)」의 대두가 주목되어진다. 또 근대의 원전주의(原典主義)에 의해 위서(僞書)로 분류되어 연구조차 되지 못했던 일본 중세의 텍스트세계가, 실은 중세의 지적인 영위(營爲)였다고 하는 시점으로부터 새롭게「중세신화 (中世神話)」연구가 주목되고 있는 것이 그 변화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br/> 이와 같이 일본에 있어서 신화연구는 탈근대를 지향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그렇다면 일본에 있어서의 신화연구의 흐름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본 논문은 그 역사를 조명해 보았다. 특히, 본 논문에서 일본신화를 논함에 있어 중심에 둔 것은「스사노오(スサノ)」이다. 스사노오는 일본에서 근대적인 신화연구가 시작되었을 때, 최초의 주제로서 연구되어진 신의 이름이며, 항상 천황가(天皇家)의 시조신(始祖神)인 아마테라스(天照大神)에 대항하면서 신화연구상에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당연히 이 신격에 대한 인식변화의 분석은 일본신화연구사의 변화에 대한 설명과 상응한다. 뿐만 아니라, 스사노오는 중세신화 연구에 있어서도 기존의 연구보다 한 걸음 나아가, 일본신화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스사노오를 통한 일본신화연구사의 변화를 재검토하면서, 나아가 향후 일본신화연구에 있어서의 새로운 방향까지 구상해 보았다. In modern Japan, the research on mythology that narrates of the sacred origins of a single race has flourished based on the ideology of“ nation-state”, and the study of mythology has worked as ideological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colonies of what is known as Imperial Japan. However, after the Pacific War, an attempt within Japan to eliminate this ideology from the study of mythology, which had started as support for the ideology of the Emperor, was pursued. Particularly, an effort in recent years to read mythology separated from modern logic has brought remarkable discoveries. A good example is the elimination in modern times of the“ Sakuhinron”that denies the traditional“ Kiki shinwaron”and the new focus on the research on “Medieval mythology”that looks at the previously ignored medieval textual world which actually was the intellectual workings of medieval times. <br/> Thus, the research on mythology in Japan is oriented towards postmodernity and is reaching a new phase.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shed some light on the history of the changes in the research on mythology in Japan. Particularly, when discussing the study of Japanese mythology, I have focused on “Susanowo”. When modern research on mythology began in Japan, Susanowo was the first divinity to be picked up and it always appears in the research on mythology in opposition to Amaterasu. Therefore, the analysis of how the consciousness towards this divinity has changed not only explains how the research on Japanese mythology has changed, but it also reveals how Susanowo can offer a step forward in a new direction from the existing research on medieval mythology. Consequently,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reexamine the changes in the study of Japanese mythology through the point of view of Susanowo and also design a new direction for the research on Japanese mythology.

      • KCI등재후보

        일본신화연구사의 일고찰 -스사노오 연구를 중심으로- 日本神話研究史の一考察 ―スサノヲ研究を中心として―

        권동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6 No.-

        In modern Japan, the research on mythology that narrates of the sacred origins of a single race has flourished based on the ideology of“ nation-state”, and the study of mythology has worked as ideological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colonies of what is known as Imperial Japan. However, after the Pacific War, an attempt within Japan to eliminate this ideology from the study of mythology, which had started as support for the ideology of the Emperor, was pursued. Particularly, an effort in recent years to read mythology separated from modern logic has brought remarkable discoveries. A good example is the elimination in modern times of the“ Sakuhinron”that denies the traditional“ Kiki shinwaron”and the new focus on the research on “Medieval mythology”that looks at the previously ignored medieval textual world which actually was the intellectual workings of medieval times. Thus, the research on mythology in Japan is oriented towards postmodernity and is reaching a new phase.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shed some light on the history of the changes in the research on mythology in Japan. Particularly, when discussing the study of Japanese mythology, I have focused on “Susanowo”. When modern research on mythology began in Japan, Susanowo was the first divinity to be picked up and it always appears in the research on mythology in opposition to Amaterasu. Therefore, the analysis of how the consciousness towards this divinity has changed not only explains how the research on Japanese mythology has changed, but it also reveals how Susanowo can offer a step forward in a new direction from the existing research on medieval mythology. Consequently,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reexamine the changes in the study of Japanese mythology through the point of view of Susanowo and also design a new direction for the research on Japanese mythology. 근대일본에 있어서 신화연구는「국민국가( )」라고 하는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단일민족의 신성한 기원을 이야기하는 신화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른바 일본제국의 식민지건설을 위한 사상적 근거로서 신화학은 전개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아시아·태평양전쟁이 끝난 후, 일본 내에서는 천황(天皇)이데올로기로서 활약하고 있던 신화연구로부터 그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배제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어왔다. 이와 같이 근대의 논리로부터 벗어나 신화를 읽어가려는 노력은 특히 최근에 이르러 놀라울 만한 발전을 맞이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근대신화연구의 대표적인 표현으로 인식 되어온「기기신화론(記紀神話論)」을 부정하는「작품론(作品論)」의 대두가 주목되어진다. 또 근대의 원전주의(原典主義)에 의해 위서(僞書)로 분류되어 연구조차 되지 못했던 일본 중세의 텍스트세계가, 실은 중세의 지적인 영위(營爲)였다고 하는 시점으로부터 새롭게「중세신화(中世神話)」연구가 주목되고 있는 것이 그 변화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본에 있어서 신화연구는 탈근대를 지향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그렇다면 일본에 있어서의 신화연구의 흐름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 본 논문은 그 역사를 조명해 보았다. 특히, 본 논문에서 일본신화를 논함에 있어 중심에 둔 것은「스사노오(スサノヲ)」이다. 스사노오는 일본에서 근대적인 신화연구가 시작되었을 때, 최초의 주제로서 연구되어진 신의 이름이며, 항상 천황가(天皇家)의 시조신(始祖神)인 아마테라스(天照大神)에 대항하면서 신화연구상에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당연히 이 신격에 대한 인식변화의 분석은 일본신화연구사의 변화에 대한 설명과 상응한다. 뿐만 아니라, 스사노오는 중세신화 연구에 있어서도 기존의 연구보다 한 걸음 나아가, 일본신화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스사노오를 통한 일본신화연구사의 변화를 재검토하면서, 나아가 향후 일본신화연구에 있어서의 새로운 방향까지 구상해 보았다.

      • KCI등재

        『계람습엽집(渓嵐拾葉集)』에 나타난 일본 중세 천태(天台)의 정토관(淨土觀)

        박연주(Park, Yeon-Jo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8

        일본 천태(天台)의 총본산인 히에잔(比叡山) 엔랴쿠지(延暦寺)는 일본의 중세시기를 통틀어 불교를 비롯한 학문과 문화의 중심지였다. 일본 역사상 가장 유명한 승려들을 무수히 배출한 도량인 이곳에서 태동하고 꽃을 피운 것은 비단 천태 고유의 교학이나 의례, 수행뿐이 아니었다. 히에잔 천태사상을 발전적으로 계승하거나, 혹은 지나치게 관념적이고 복잡한 천태교관을 비판하면서 점차 독립적으로 발전한 사상들이 일본불교사에 있어 획을 긋는 혁신적인 불교전통들을 이루어갔고, 이를 대표하는 것 중 하나가 일본의 정토종이었다. 일본의 정토종은 히에잔 천태 승려였던 호넨(法然, 1133-1212)으로부터 시작된 것인데, 호넨의 정토사상의 골격을 이루는 아미타 신앙, 서방극락정토사상, 왕생사상, 염불의 수행 등은 일본의 제 종파들이 겸수(兼修)의 대상으로 받아들인 아미타-정토 계열의 경전과 문헌들을 통해 이미 수세기 전부터 전파되어 왔던 내용이었다. 그리고 호넨 이전부터 이러한 정토사상의 내용과 그 실천을 가장 활발히 전수하고 발전시켰던 곳이 바로 중세 지성의 중심이었던 천태의 본거지, 히에잔이었다. 정토종 수행의 핵심인 염불 또한 이미 천태의 수행법 내에 교학과 일치되어 실천되고 있었던 것이었으며 정토종의 독립과 상관없이 천태의 아미타·정토관이 반영된 염불의 수행은 천태 내에서도 계속 중요한 수행 중 하나로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세 천태 정토사상과 수행의 핵심적 내용을 고찰한다. 특히 중세히에잔 천태의 교학, 밀교적 전통, 의례, 수행법, 계율, 더불어 히에잔의 문화유산에 관한 종합적인 기록을 담고 있는 『계람습엽집(渓嵐拾葉集)』을 소개하고, 이 기록이 전하는 천태의 염불수행과 정토관을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중세 일본의 다양한 불교전통 아래 수용·실천되고 있던 염불 수행에 대한 내용을 알아봄과 동시에, 히에잔 천태가 각각 다른 종파나 전통마다 염불을 둘러싼 정토관의 차이를 논하는 한편 천태의 관점과 해석을 우위에 두고 다양한 정토관에 관한 일종의 교판적 평가를 하고 있는 것도 확인한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계람습엽집』에서 당대의 대표적인 종파별 염불수행을 4종으로 구분하고 논한 것을 먼저 살펴보고, 이 중에서 중심이 되는 천태의 염불과 그 교관상의 의미, 그리고 중세 천태의 정토사상의 핵심, 특히 아미타에 관한 교판적 해석을 알아본다. 『계람습엽집』에 나타난 천태의 정토관을 통해 우리는 중세 히에잔 천태의 교관이 심식의 작용에 바탕을 둔 마음으로부터의 이해와 수행을 중시함을 간취할 수 있다. The Tendai (天台) temple complex on Mt. Hiei (比叡山) was the home of various Buddhist traditions and a center for academic study in medieval Japan. A number of innovative and prominent schools in the history of Japanese Buddhism were born or took shape there under the undeniable influence—both positive and negative—of Tendai doctrine and praxis. Among them was Japanese Pure Land Buddhism, which emerged out of the early medieval Tendai culture on Mt. Hiei. The Japanese Pure Land School (淨土宗) was established and developed by Hōnen (法然, 1133-1212), who was originally a Tendai monk on Mt. Hiei. That said, all the major concepts, beliefs, and rituals central to Hōnens Pure Land teachings—among them, the worship of the Buddha Amida, the ideal of the posthumous rebirth in the Pure Land of the West, and the repeated recitation of Amidas name, i.e., nenbutsu (念佛)—were already widespread throughout numerous Buddhist schools and traditions in Japan through Pure Land sutras and Amitābha-related scriptures that had circulated from centuries before. Pure Land teachings and practices were actively being transmitted within the Tendai scholastic and religious circles on Mt. Hiei even before Hōnens time. Nenbutsu practice had also been integrated into Tendai doctrine and ritual, and it continued to hold a central place in medieval Tendai despite the independence of the Pure Land School. The present essay explores the main content of medieval Tendai’s Pure Land thought and practice as recorded in Keiran shūyōshū (渓嵐拾葉集, ca.1318-1348), a Japanese text compiled by the Tendai monk-scholar Kōshū (光宗, 1276-1350) of Mt. Hiei. Often labeled “encyclopedic” because of its all-inclusive content, this multi-volume work deals with a wide variety of questions related to the Tendai tradition on Mt. Hiei. Keiran also contains important discussions about Pure Land teachings and practices supported by medieval Tendai and other Buddhist traditions in medieval Japan. The essay also attempts to demonstrate Tendais prioritization of Tendais view of the Pure Land through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teachings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Buddha Amida. Keirans treatment of central Pure Land concepts and practices highlights the medieval Tendai emphasis on ultimate awakening based on the mental discipline of mind contemplation (kanjin 観心).

      • KCI등재

        한국학계의 일본불교연구 동향

        원영상 한국불교학회 2013 韓國佛敎學 Vol.68 No.-

        This paper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modern trend ofJapanese Buddhism research in the academic world of Korea. First ofall, we can see that the research result on the Japanese Buddhism inKorea for nearly a century are just the beginning. The JapaneseBuddhism did not receive attention from academia until a recent date,although many of the researchers feel superiority to the JapaneseBuddhism because Buddhism was spread to Japan from the KoreanPeninsula by Koreans in ancient era. Nevertheless, it is encouraging thatresearches in various fields of the Japanese Buddhism are proceedingbriskly. Thus, the trend of research in this paper is divided into 7 parts. The first, it is a field of study on the history of communicationin Buddhism between Korea and Japan. This field which continues tobe study recently, is researched on ancient Buddhism based on thehistorical fact that Buddhism was introduced into Japan from theBaekje Kingdom. The Second, the fields of study on the ancient,medieval, and modern Buddhism which had its beginning at the startof the 80`s, are the studies of Japanese Buddhism itself. The third, itis studies on the Buddhism in modern and present age. Many researchresults of this field sparked by studies on modern history in theacademic circles of history, are being achieved from the early 2000s. The fourth, it is the fields of comparative study and literature research. Researchers in this field view the Japanese Buddhism objectively. Thesefields are set in a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 like in Korea. Thefive, it is the study on Buddhist literature which is focused on classic works of literature in Japan. The six, it is the studies of Buddhist artand Buddhism culture. The seven, it is the studies on life and death,funeral, and other related fields in Japanese Buddhism which is calledFuneral Buddhism. Lastly, it is the forecast and task on the study of JapaneseBuddhism. This part is treated with holistic assessment of 7 parts inwhich was divided by the volume of research. We need to studyJapanese Buddhism from objective point of view. The study also shouldbe based on the principle of reciprocality between Japan and Korea. The bibliography of last part is a list of research papers and booksquoted in this paper. 본 연구는 근ㆍ현대 한국학계에서 행해진 일본불교에 대한 연구동향을 총괄적으로 살펴 본 것이다. 먼저 한 세기 동안의 일본불교에 대한 한국학계의 연구 성과는 걸음마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일본열도에 대한 불교전파자로서의 우월감은 있으나 일본불교사연구소와 같은 일본불교의 전문 연구기관을 제외한다면 일본불교에 대한 본격적인 학계의 조명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최근 일본불교에 대한 각 분야의 연구가 활성화되는 현상은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구 동향을 7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한일 불교교류사 연구로써 백제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한 역사적 사실을 기점으로 고대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 분야로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본격적인 일본불교연구라고 할 수 있는 일본 고대ㆍ중세ㆍ근세불교에 대한 연구 분야로 80년대부터 태동되었다. 셋째, 일본 근ㆍ현대불교의 연구로써 최근 역사학계의 근대사 연구에 의해 촉발되어 2000년대부터 왕성한 연구 활동을 보이고 있다. 넷째, 한일불교 비교 및 문헌연구로 전자와 같은 연구 선상에서 한자문화권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일본불교를 객관적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일본 불교문학연구로써 풍부한 일본불교의 고전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여섯째의 일본 불교미술 및 기타 문화연구와 더불어 불교에서 파생된 다양한 문화를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생사ㆍ장례 및 기타분야 연구는 소위 장례불교로 일컬어지는 일본불교의 특성에 대한 연구 분야와 함께 불교와 관련된 기타 분야의 연구 현황을 다루었다. 그리고 일본불교연구의 전망과 과제에서는 연구동향을 양적으로 나눈 일곱 분야의 연구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를 다루었다. 일본불교 연구는 토착화된 지역불교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 시야를 확보해야 함은 물론 상호 호혜적인 입장에 입각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은 본 논문에 인용된 논문과 저술의 전체 목록을 정리한 것이다.

      • KCI등재

        오시마 나기사(大島渚)의 ‘조선인위안부’ 표상 - 전후일본영화 속 ‘위안부’와 영화 『일본춘가고(日本春歌考)』 -

        최은주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2 No.-

        본고에서는 전후일본영화 속 ‘위안부’ 표상의 흐름 속에서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영화 『일본춘가고』에 주목하여, 기존 영화 속에 드러나는 표상의 한계와 더불어 비평의 지평으로서 ‘조선인위안부’ 표상이 가지는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후영화 속에서 ‘일본군위안부’는 소설 「춘부전」과 영화 『새벽녘의 탈주』 속 하루미나, 영화 『피와 모래』 속 오하루와 같이 구종주국 남성주체의 시점에서 주로 조선인여성의 신체를 차용하여 에로티시즘화된 ‘맨살의 천사’로 표상되어 왔다. 이러한 표상체계 안에서 리메이크작 『춘부전』의 감독 스즈키 세이준은 전혀 다른 타자인 조선인위안부 쓰유코를 등장시켜 작품 전체에 대한 비판적 시좌를 제시한다. 오시마 나기사의 『일본춘가고』는 비평의 지평으로서 ‘조선인위안부’ 표상을 설정하여 일본제국주의의 여성/식민지에 대한 폭력과 청산되지 못한 전쟁책임 문제, 나아가 이로 인해 야기되는 재일조선인 문제를 드러내며 일본의 현재를 고발하고 있다. 이처럼 영화 속에서 ‘조선인위안부’ 표상은 남성의 여성에 대한 폭력과 제국의 식민지에 대한 폭력을 고발하는 장치이자, 일본사회의 재일조선인 문제, 나아가 공허한 울림으로 소비/전유되는 관념주의적 사상을 비판하는 매체로서 기능한다. 오시마의 ‘조선인위안부’ 표상을 매개로 하는 문제제기로부터 우리는 전후일본의 대중문화의 장에서 ‘조선인위안부’ 표상이 가질 수 있는 의의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examine Nagisa Oshima's film “Nihon syunka-ko” to determine how Korean comfort women are represented in postwar Japanese cinema. Thus,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comfort women enables us to consider various implications and allows us to see the possible significance of the way in which the Korean comfort women are represented in the movie. After the defeat, the presence of a “Korean comfort woman”, Harumi, is found in the novel “Syunpuden” and the movie “Escape at Dawn”, as in the Oharu representation of the movie “Blood and Sand”, in which the male subject of the old colonial powers is eroticism, represented as the “angel of the skin”. Among these representational systems, the director Seijun Suzuki, who offers the possibility of criticism, and who is quite authoritative on Korean comfort women, is to direct another Tuyuko remake album “Syunpuden”. Nagisa Oshima “Nihon shunka-ko” is, to mediate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comfort women as a horizon of criticism, women / colonial war as being responsible for problems that have not been solved and violenc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is further caused by the fact that it represents a problem of the Korean people, with the principle idea that the Japanese have been accused of the time that has been spent. Thus,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comfort women, the horrors of colonial violence and the empire of men against women, at the time of the Japanese society, became the problem of Japanese Koreans, even ideally speaking without the problem of “Korean comfort women” have a variety of hidden meanings and potential as a medium to criticize the attitude that the consumer / proprietary owner is representational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comfort women” of Oshima raised issues that mediate, and that enable us to discover the meaning and possibilities with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comfort women” at the high end and low end of society.

      • KCI등재

        "신국 일본"의 이미지 변천사 -중세 일본의 국토 표상과 관련하여-

        배관문 ( Kwan Mun Ba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3 No.-

        본고는 일본의 대명사로서 널리 쓰여 온 ``신국(神?)``이라는 표상이 고대부터 연원을 가지며 특히 중세의 몽고 침입을 계기로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후 ``신국`` 사상은 끊임없는 해석과 변용을 거쳐 근대 이후가 되면 국가신도에 의해 천황제와 결부되고, 태평양 전쟁 당시에는 가미카제(神風) 특공대와 같은 극단적인 예가보여주듯이 살아있는 신화로서 기능하는 모습까지 보인다. 흔히 생각하는 ``신국 일본``역시 근대 이후에 재생산되어 이런 식으로 고정화된 이미지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본고는 ``신국 일본``이라는 관념이나 이미지 자체가 결코 자연발생적이고 자명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으로 13∼14세기의 중세일본에서 ``신국`` 사상이 형성될 무렵 다양하게 전개되는 이미지 중에서도 주로 그것이 국토 표상과 관련하여 발전해가는 모습에 주목했다. 그것은 당시 ``신국``에 대해 언급한 문헌자료들의 언설이 무엇보다 세계인식, 타자인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로 중세에 유통되었던 일본지도 및 세계지도를 살펴본 결과, 경계에 대한관심, 불교적 세계관에 입각한 국토 이해, 그리고 국토 주변을 용으로 대표되는 신들이 수호하고 있다는 의식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국토라는 경계를 발견함과 동시에 외부를 강하게 의식하는 계기가 만들어짐에 따라, ``신국``은 단지 일본의 자국 이미지에 그치지 않고 동아시아의 문제로서 부각될 수밖에 없는 가능성을 내포하게 되었다. 이러한 것들이 사실 근대 이후까지 계속되는 가미카제와 ``신국 일본``론의 기반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단 유의할 것은 중세라는 시대적 특징과 그 안에서 ``신국 일본``론을 고수하며 발전시킬 수 있었던 내부적 요인 등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무비판적으로 사상의 일면만이 대외전쟁의 문맥에서 이용되어왔다는 점이다. This is a study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emblem of ``the country of god``, a widely-used emblem as a pronoun of Japan, has its roots in ancient times, and especially, it has formed itself after the Mongolian invasions in the medieval Japan. Since then, the idea of ``the country of god`` has gone through incessant interpretations and metamorphoses so that it came to be associated with the emperor system by Shinto, the national religion of Japan, and in the middle of the Pacific War, functioned as a living myth as shown in the extreme example of the Kamikaze suicide pilots. Actually, up to the defeat in the war, the government-designated textbooks of Japan specified Japan as ``the country of god`` as if it were natural. As for the reason why it deserved to be called ``the country of god``, they backed up their claim by explaining that the territory of Japan is protected by gods including Amaterasu, the sun-god; as a descendant of the god of heaven, the Japanese emperor himself is a god; and related to Shintoism, there exist shrines throughout Japan. The much popularized notion of ``Japan as the country of god`` should not be much different from this stereotyped image which has been reproduced since the modern era. But the present study aims to elucidate that the idea and image of ``Japan as the country of god`` are never a spontaneous nor self-evident phenomenon. Among a variety of images unfolded at the time when the idea of ``the country of god`` was being shaped in the medieval Japan of the 13th to 14th century,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phases of its development in association with the emblem of national territory. As the discovery of the national territory served as a momentum to have a strong sense of awareness of the outside, ``the country of god`` not only signified Japan`s own image but inevitably came to imply a potential to emerge as an East Asian issue.

      • KCI등재

        왜구론의 행방 : ‘바다의 역사’와 일본 중세 대외관계사

        이수열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9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21

        The Maritime History of East Asia is a methodology submitted to correct the conventional perception of history. The reason for its attention to the sea was to reflect on the nation-centered view of history so far and pursue a new history beyond the borders and ethnic frameworks. Today, however, researches by Japanese academia is ironically being reintroduced by the country it is trying to overcome. One example is that we can no longer find Waegu/Wakou as an aggressor in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or that Waegu/Wakou is evaluated as a ‘merchant’ in the Asian regional market. The footprints of the Waegu/Wakou image in modern and contemporary Japan have been in line with the Japanese nation's foreign policy. There is a sense of conflict in East Asia today. In order to prevent history from pandering to the state again and to revive itself with critical reason, we must confront the nation more thoroughly and go beyond it. In this regard, Waegu/Wakou is the subject of the present progressive academic thema, which still offers many implications when taking history as a mirror. 1945년 이후 일본의 왜구 연구는 몇 차례의 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먼저 중국사 연구자와 일본 대외관계사 연구자에 의해 ‘16-17세기 왜구 중국인 주체설’과 삼도 해민설이 제기되었다. 이후 논의는 확대되어 14-15세기 왜구에 대해서도 일본인 주체설을 부정하고 일본인과 고려인·조선인 연합설이 출현했다. 왜구가 동원한 대규모 병력의 현실적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다민족 연합설을 주창했던 것이다. 연합설의 근거로 제시된 것은 한반도 출신의 천민 계급이나 농민층이 왜구로 위장해 침구한 사례였는데, 일본의 왜구 연구는 그 요인을 고려왕조의 정치적 무능에서 찾았다. 그 뒤 왜구 다민족 연합설을 비판적으로 계승한 경계인설이 출현했다. 그것에 의하면 ‘왜’는 결코 ‘일본’과 등치할 수 있는 말이 아니며, 당시 동아시아해역은 국가적, 민족적 귀속이 애매한 경계인들의 활동 무대였다. 최근 한국에도 널리 소개되고 있는 일본 학계의 ‘바다의 역사’나 동아시아 해역사 연구의 왜구 서술은 일본 대외관계사 연구 성과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바다의 역사’는 본래 육지 중심의 역사관을 바로잡기 위해 제출된 방법론이었다. 바다에 주목하는 이유는 종래의 역사학에 보이는 국가중심사관을 반성하고 국경과 민족의 틀을 넘어 새로운 역사를 지향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오늘날 일본 학계의 동아시아 해역사 연구는 역설적이게도 그것이 비판・극복하려는 국가에 의해 다시 포섭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현행 역사교과서에 묘사된 왜구에서 더 이상 침략자의 모습을 발견할 수 없다거나, 왜구를 아시아 역내 시장의 ‘교역자’로 평가하는 것 등은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근현대 일본에서 왜구 이미지가 걸어온 발자취는 그대로 일본 국가의 대외정책과 궤를 같이해 왔다. 이러한 점에서 왜구는 역사를 거울삼을 때 여전히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는 현재진행형의 주제이다.

      • KCI등재

        일본 중세 가나(仮名) 법어의 문학성

        엄인경(Um, In-kyung)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8 No.-

        본고에서는 14세기 전반에 ‘칠조의 제사(七朝の帝師)’로 일컬어진 중세 최고의 선승 무소 소세키(夢窓疎石)의 생전에 출판된 선문답의 형태를 한 가나(?名) 법어집 『몽중문답』의 문학성에 관해 고찰했다. 중세 혼란기에 정치권력의 정점에 있던 아시카가 다다요시(足利直義)의 질문에 대한 무소의 답변에서, 종교성 외에도 숱한 예화와 비유표현을 통해 당시의 문학들과 상통하는 문예사상을 읽어낼 수 있었다. 고대부터 문학 활동을 정통화하는 개념이던 광언기어관은 『몽중문답』에서 불도와 세속적 문예를 적극적으로 관련짓는 면모로 드러났다. 또한 무소는 ‘꿈’의 세계라는 비유를 지속적으로 언급하였는데, ‘꿈’이 이전 문학의 전통에서 신불과 교류하는 타계의 신호였던점을 계승하면서 현실에 필적하고 이를 비추는 독특한 일본의 이계관으로 발전시키는 중대한 인식 변환을 드러냈다. 나아가 『몽중문답』과 거의 동시대에 창작된 일본 굴지의 문학 『쓰레즈레구사』와 대비하여 소재와 관심사의 공통점, 상통하는 중세의 글쓰기 방식과 화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일본문학에서 소설, 수필, 법어 등의 구분이 가해진 것은 사실상 근대 이후의 일로, 메이지 30년경부터 ‘일본문학사’가 본격적으로 기술되면서 문학 대 비문학이라는 인위적 장르규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19세기말 ‘문학’ 개념은 아직 이행중인 모호한 것이었고 그 영향 하에 20세기에 들어 순문학 중심의 협의적 문학개념이 문학사 기술의 일반적 형태가 됨으로써 이후 주요 장르를 중심으로 문학사가 기술되었다. 따라서 문학사의 장르 구분은 기술되는 시점의 ‘문학’이라는 개념의 영향을 받으면서 기술된 것이었다. 그러나 본고의 고찰을 통해 보았듯 오늘날 명백한 종교적 문장이라고 규정받는『몽중문답』의 경우에도 중세시대의 문학관이 투영되어 있고, 그 기술방법과 테마의식, 나아가 기술 대상이라는 면에 있어서 중세의 ‘문학’ 영역으로 간주하는 기법과 내용이 상통하고 있었다. 이 점을 통해 『몽중문답』이 중세의 일반적인 문학적 글쓰기와 그 경계를 공유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treatise investigates about the literariness of Kana-hogo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dreams” published in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This text is Kana Hogo of Zen monk Muso Soseki in the form of Zen riddles. Many parables and anecdotes contain the situation and ideas of Muromachi shogunate era, can be read from Muso"s answers to the questions of Ashikaga Tadayoshi. Furthermore, by contrast with the most famous classic essay "Tsurezuregusa" was written almost at the same time, I found common Japanese medieval topics, themes, and ways of representation from these two texts. ‘The History of Japanese Literature’ is written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he artificial division is made to the literary genre, such as therefore now. Until the 20th century, the distinction between this kind of genre, was plac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ncept of "literature" of time to literary history was written.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dreams” addressed to the Buddhist books until now. However, this text and Japan"s medieval literatures are common in terms of content, and subject of consciousness. In this point, the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dreams” is to determine the Japan"s medieval literary Ecri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