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의 분석심리학에 의한 인물 분석과 역할 창조 - 안톤 체홉 희곡의 등장인물에 대한 심리분석을 중심으로 -

        이기호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1 No.3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의 행동과 성격 표현은 마음, 즉 심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물의 성 격과 행동을 분석하고 창조하기 위해서는 인물의 심리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해야만 한다. 융이 의식을 섬에 비유하고 무의식을 바다에 비유한 것은 그만큼 무의식의 영역이 광범위함을 지적하는 것으로 인간 의 행동 기반이 되는 심리를 분석한다는 것은 눈에 보이는 섬만이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광활한 바다 를 대상으로 삼는 것이므로 심리학을 적용하여 희곡이라는 텍스트를 분석하면 인물 창조를 위한 배우와 연출자에게 매우 유용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우의 대사 분석에 대하여 심리분석을 적용하여 행동과 성격을 분석하고 실제 공연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심리분석이 대사 분석과 성격분석에 끼치 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융 분석심리학의 핵심 내용인 콤플렉스론과 인격 이론을 바탕으로 안톤 체홉의 희곡에 등장하는 인물의 심리와 심리적 행동을 분석하여 희곡의 공연화 과정에서 배우의 연기와 연출의 블로킹에 적용함으로써, 인물의 행동과 성격을 창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인물 분 석 및 인물 창조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 도구로 활용한 것은 융의 분석심리학은 의식과 무의식에 두루 포진된 콤플렉스와 인격 이론으로서의 자아와 그림자, 외적 인격인 페르소나와 내 적 인격인 아니마와 아니무스, 그리고 자기 원형과 개성화 이론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배우의 대사 분석에 대하여 심리분석을 적용하여 행동과 성격을 분석하고 실제 공연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심리 분석이 대사 분석과 성격분석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Since the behavior and personality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is based on the mind, or psychology, the analysis and creation of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behavior must b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s psychology. Jung's analogy of consciousness as an island and the unconscious as an ocean indicates the vastness of the unconscious, and analyzing the psychology underlying human behavior is not only targeting the visible island, but also the vast invisible ocean, so applying psychology to analyze the text of a play is very useful for actors and directors for character crea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sychoanalysis on actors' dialogue analysis by applying psychoanalysis to analyze their behavior and personality and applying it to actual performances. For this study, based on the complex theory and personality theory, which are the core contents of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the psychology and psychological behavior of the characters in Anton Chekhov's play were analyzed and applied to the actor's performance and blocking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play, in order to derive a character analysis and character creation method that helps to create the character's behavior and personality. The analytical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Jung's theory of complexes and personalities, both conscious and unconscious, the ego and the shadow, the persona, the outer personality, and the anima and animus, the inner personality, and the self archetype and individuation theor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ehavior and personality by applying psychological analysis to actors' metabolic analysis, and to find out the effect of psychological analysis on metabolic analysis and personality analysis through the process of applying it to actual performances.

      • 〈여름과 연기〉의 등장인물 중 ‘존’의 인물 분석 방식 연구 -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중심으로

        김영환 ( Gim Yeong-hwan ) 한양대학교 공연예술연구소 2016 공연예술연구 Vol.2 No.-

        이 연구는 인물 분석 방식의 다양한 방법을 위한 것이다. 텍스트를 통해 인물의 목적을 파악하는 고전적인 방법은 여전히 주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현대에 집필되는 회곡에는 단순히 목적만으로 파악하기 힘든 인물들이 등장하고 있다. 등장인물들의 갈등은 복잡해졌고 인물 개인의 성격 역시 단순하게 파악되기 힘들다. 따라서 고전적인 방법으로는 이 시대가 요구하는 분석에 이를 수 없게 되었다. 텍스트에 드러나는 정보만이 아닌 텍스트 사이에 감춰진 의미들을 찾아내어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작업은 분석의 단순함을 막고 동시에 연기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될것이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여름과 연기>의 ‘존’을 선택했다. 그를 위에서 언급한 복잡한 인물이라고 정한 것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정신분석한 중에서도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선택했다. 존이 알마에게 사랑을 느끼면서도 그녀와의 관계가 진지해 지는 것을 두려워했다는 지점을 발견하고 그의 어머니의 이른 죽음, 그리고 어머니 같은 여자로 판단되는 알마와의 관계를 오치디푸스 콤플렉스를 가지고 분석해 볼 것이다. 정신분석학을 실제 그대로 희곡에 적용할 수는 없기 때문에 그것이 문하적 변형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존에게 의미를 지니는 세 가지 대상을 정하여 연구할 것이다. 첫 번째는 애착의 대상인 ‘알마’이다. 그는 첫애착의 대상인 어머니를 일찍 잃었기에 어머니 같은 여자인 알마를 사랑하지만 그에게 그녀는 어머니와 같기 때문에 연애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두 번째는 자기 형벌의 대상인 ‘로자’이다. 자신의 어머지 같은 알마를 사랑한 존은 이에 대한 죄책감으로 어머니 같지 않은 여자인 ‘로자 곤잘레스’와 육체적 관계를 가진다. 이것은 일종의 자기 파괴 행위로 보여 진다. 마지막 세 번째로 경쟁과 동일시의 대상인 아버지이다. 아버지는 작품 속에서 많은 분량을 차지하지는 않지만 존과 아버지의 직업이 같은 의사라는 점, 존은 처음에는 아버지를 좋아하지 않고 의사가 되길 싫어했지만 결국엔 아버지의 뒤를 잇게 되었다는 점에서 경쟁과 동일시의 대상으로 판단하였다. 텍스트에 드러나지 않는 인물의 성격 형성 원인을 분석한다고 해서 텍스트에 드러나는 사실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방식의 인물 분석이 무용하다고 여겨질 수도 있다. 연기의 결과가 크게 달라지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인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드러난 사실, 즉 텍스트에서 드러나지 않은 성격의 원인 까지 넓힌다면 연기자는 겉으로 보기에 복잡한 성격의 인물을 안정적으로 연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성격의 원인인 무의식은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통해 인물 분석의 다양한 틀이 더 활발히 논의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ariation in the ways of analyze character in the play. The classical way is still important way that finding the ``object`` of the character by reading text. Out modern or contemporary plays. it is hard to analyze its characters by using a classical way simply. The conflict of characters is more complex and also the individual character. So. the classical way expose limit to analyze characters in modern or contemporary plays. We have to get a way to analyze the hidden meanings that under the text. Only exposed information by reading the text is inadequate. The hidden meanings are supposed to prevent the naive expression to actors and director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John`` in < Summer & Smoke > by Tennessee Williams. He is the man who has a complex matters and character. The way of this study is the ``Oedipus Complex`` of Sigmund Freud``s psychoanalysis. John loves Alma but he feels fear about serious relationship with her. I analyze his character by using ``Oedipus Complex`` on the basis of his mother``s premature death,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Alma who likes mother. First of all, we have to consider about a literary transform of the psychoanalysis. It is hard to apply the psychoanalysis as it is. And we apply ``Oedipus Complex`` by researching about three most meaningful persons to John. The first is Alma who is the subject of attachment. He lose his mother who prematurely. So he loves Alma who likes his mother. But he can``t love her fleshly, because Alma is a mother to John``s unconsciousness. The second is Rosa who is the subject of self-punishment. He feels guilty about loving woman who likes his mother. So he has sexual relationship with Rosa, It seems like a kind of self-destruction. The last is his father who is the subject of competition and identification. His father does not have many amount in < Summer & Smoke >, but on the basis of information through the text, John and his father have a same job. doctor. And he hate his job and his father in youth, but later, he walk``s his father``s way. The doctor``s way, So his father can be the subject of competition and identification. It cannot change the information in the text although we analyze the hidden meanings under the text. So it feels unnecessary to analyze character. In addition, it even cannot change the quality of act. But extending a range about analyzing character is give much comfortable conviction to actors who facing complex character, Because the unconsciousness that cause character is not change. Through this study. R hope much more ways of analyze character can be developed.

      • KCI등재

        연기자의 효율적 인물형상화 작업을 위한 대본분석과 적용 체계에 관한 연구

        이은지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연기자의 인물형상화 작업에 활용되는 사실주의 기반 연기법의 활용과 효율적 인물형상화를 위한 작품분석의 적용 및 응용방안에 대한 고찰이다. 20세기 이후 사실주의 연극의 대두와 함께 러시아의 교육자이자 연출가인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에 의해 개발된 사실주의 기반의 연기법은 미국으로 전파되어 미카엘 체홉, 리 스트라스버그, 스텔라 애들러, 샌포드 마이즈너 등 많은 연기 예술가, 교육가, 그리고 연출가 들에 의해 활용 및 응용되고 있다. 사실주의 기반 연기법은 연기자의 인물형상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행동과 감정의 진실탐구에 기반을 두고 있다. 연기자의 진실과 인물의 정서를 동일화하여 인물형상화에 필요한 유기적 감정을 도출하기 위해 ‘정서적 기억’ 등의 개인화 훈련이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정서 훈련과정에서 의 지속적 감각 확장과 증폭으로 인해 연기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개인화 과정에 치우친 인물형상화 작업은 대본분석에 근거한 응용과 창작의 중요성이 간과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인물구현의 정당성 부여와 객관화 작업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본분석의 적용과 응용 방식의 구체화를 통해 연기자의 인물형상화과정에 명확성과 구체성을 부여할 수 있는 근거와 체계를 마련하고 연기자의 효율적 인물형상화 방안을 단계별로 나누어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첫 번째 단계는 연기예술의 발전배경과 연기자에게 요구되는 작업의 진실성에 대한 검토이고, 두 번째 단계는 사실주 의 기반 연기법의 주요 교육자들의 이론과 실습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효율적 활용방안 도출의 기반을 도출이 며, 세 번째 단계는 연기자를 위한 대본분석의 단계별 적용방식으로 작가의 작품세계와 가치관의 이해에서 출발하여 대본분석의 응용단계로서의 주제와 세계관 도출, 극의 구조와 중추행동의 분석과 적용, 인물 유형과 등장인물 간의 관계에 따른 행동찾기를 통한 개인화 작업을 다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체계의 적용으로 인물형상화 작업에 객관성과 정당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행동찾기를 통한 개인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로서의 감정이 창작범위 내에서 활용되어 효율적이고 건설적인 창작과정에 활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discuss and suggest effective ways to apply script analysis for actors’ characterization work in Realism based contents. The realistic acting technique founded by Konstantin Stanislavski has been interpreted and utilized by many such as Michael Chekhov, Lee Strasberg, Stella Adler, and Sanford Meisner. The purpose of this realistic acting technique is to help actors get closer to a character’s assumed emotions and expressions by using personal experiences and imaginations. ‘Sense Memory’ exercise and its variations are practiced in synchronization of emotions between a character and actor. However, repetitive and prolonged expansion of emotional personalization could break boundaries between creative work and actual life that could cause mental health issues for actors. This technique can also overdraw emotional truth of an actor without a proper application of script analysis and miss objectification and justification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is to suggest a system to apply script analysis for effective and specific characterization work for actors. The first step is to examine the role of an actor to clarify the meaning of acting, and the second step is to look into each of the above educators’ traing methods to find commonality and differences in order to establish an effective way to build a character, and the third step is the progressive application of understanding the world of play, character’s outlook on the world, the plot and main action of a play, character archetypes and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super-objective and objectives to prompt actions and appropriate behaviors which would raise natural emotions. This study encourages actors’ constructive characterization work by focusing on realistic acting technique based on appropriate application of script analysis and truthful emotions aroused naturally during the course of action and further used in the realm of creativity.

      • KCI등재

        상호문화접근법 측면에서 바라본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 분석 연구 - 대학 교육 기관 중급 교재를 중심으로

        차준우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3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2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s in language textbooks of Korean universities regarding intercultural approaches. To this end, the characters of intermediate-level textbooks published by five universities were first organized by nationality, gender, occupation, and age, while their characteristics in each textbook were also analyzed. Characters' dialogues and the number of intercultural elements express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19 textbooks in five intermediate-level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104 characters appeared in the textbooks, with 42 Korean nationals, followed by those from Japa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By age, the characters were mainly in their 20s and 30s, and by occupation most were portrayed as students or office worke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ialogues of characters from the five universities' textbooks, it was concluded that the characters are generally realistic. However, the dialogues are somewhat less realistic regarding age and occupation. In addition, most of the language and cultural goals were explicitly presented in the dialogue, but some textbooks lacked instruction on language skills and attitudes for communication with Koreans. A more sophisticated relationship between main characters and supporting characters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tercultural ability of Korean learners in the future. Such character analysis should precede the development of further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문화접근법 측면에서 대학 교육 기관 한국어 교재의 등장인물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5개 대학 교육 기관에서 출판한 중급 교재의 등장인물을 국적, 성별, 직업, 나이별로 우선 정리하고 교재별 등장인물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등장인물의 대화문을 분석하여 상호문화적 요소가 얼마나 나타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 기관 중급 교재 5종 총 19권을 분석한 결과 교재에 등장한 등장인물은 총 104명이었고, 국적별로는 한국 국적이 42명으로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는 일본, 중국, 미국 순이었다. 등장인물의 연령대는 주로 20~30대가 많았으며, 직업으로 학생이거나 회사원으로 설정된 것이 가장 많았다. 상호문화적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5개 대학의 교재의 등장인물의 대화문을 분석한 결과 등장인물들은 대체로 실제성이 있으나 대화문에서 나이나 직업 등에 관한 부분에서 실제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화문에서 언어 목표와 문화 목표는 대부분 명시적으로 제시되었으나 한국인과의 소통을 위한 언어 기술과 태도가 다소 부족한 교재도 있었다. 앞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문화 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주요 등장인물과 보조 인물과의 관계 설정을 더욱 정교한 설정이 필요하고 교재 개발에 앞서 이런 등장인물 분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민수기 제 1 대단락에서의 인물 연구

        진규상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2 구약논집 Vol.22 No.-

        많은 학자들은 민수기의 구조와 구획에 대해서 다양한 제안들을 해왔다. 그들의 제안이 다양한 이유들 중에서 하나는 그들이 시간, 장소, 주제와 같은 다양한 카테고리들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구문 위계 구조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래서 구문 (syntax)에 우선순위를 두고, 두번째 우선순위를 인물 (participants)에 둔다. 나는 탈스트라에 의해서 개발된 컴퓨터를 사용한 본문의 위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그리고 탈스트라의 성경과 컴퓨터 연구소의 히브리어 성경 본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했다. 그러나 두가지 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첫째, 기존의 연구가 하나의 장 단위로 이루어졌거나, 하나의 장 내에 나타난 이야기에 대해서 이루어졌던데 비해서 본 연구는 장의 범위를 넘어서 민수기를 책 단위로 연구했다. 둘째, 구문 구조의 구획의 정당함은 인물 분석에 의해서 부연된다. 민수기 본문에 대한 구문 분석이 민수기를 두개의 대 단락들과 여섯 개의 소 단락들로 구획한 반면에, 인물 분석은 그 두개의 대 단락들과 여섯 개의 소 단락들로 구획한 결과의 정당함을 후원한다. 이 논문은 민수기의 1대단락 내의 두개의 소 단락들, 민1:1-3:13, 3:14-8:26, 의 관계를 관찰하고, 레25:1-27:34과 민1:1-3:13의 관계를 관찰하고, 마지막으로 민3:14-8:26과 민9:1-20:22의 관계를 관찰한다. 나는 독특 인물들 (앞 단락에는 나오지 않지만 뒷 단락에는 나오는 인물들)과 공통 인물들 (두 인접한 단락에 공통으로 나오는 인물들)을 보여준다. 인물 연구는 하나의 단락이 그것과 인접한 단락들 사이에서 보여주는 구별성이 강하고, 연결성이 약함을 보여준다. 그 과정은 구획의 정당함을 후원하고, 석의적 의미를 상술한다. 마지막으로 위의 네 개의 소 단락들 내에서 발견한 인물 근거들에 의해서, 타 학자들에 의해서 제안되었던 구획들을 토론한다. 나의 인물 정보와 대조해서 그들의 구획의 근거들이 정당한지를 살펴본다. 만약 그들의 정의가 언어적 근거에 맞지 않다면, 수정을 제안한다. 그들의 구획은 귀중하고 민수기의 1대단락 내의 단락들에 대한 다양한 해석들을 보여준다. 그 다양한 해석들 내에서, 나는 본문 단위를 구획하기 위해서 구문을 사용하는데 우선순위를 두고, 다음 우선 순위를 인물 관찰에 두고, 그 다음으로 수사적 근거에 무게를 둔다. 구문 분석에 의한 민수기 1대단락과 소 단락들의 구획이 설득력이 있고, 본문 중심적이며, 민수기의 1대단락 내의 소 단락들의 신학적 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배우의 인물구축 과정에서의 문제들과 해결법 연구

        김동완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4 No.4

        본 연구자는 배우들이 인물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인물이라는 가면을 지나치게 무겁게 인식하여 그 무 게에 짓눌린 상태로 연기하거나, 혹은 그와는 반대로 인물 구축의 과정을 피하거나 혹은 불필요하게 인 식하여 배우 자신으로서만 연기하는 경우를 문제점으로 바라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 다. 인물 구축의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점들의 원인으로는 인물을 유형적으로 인식하는 사고, 모델을 상 정해놓고 그 인물로부터 출발해서 극중 인물을 창조하려는 태도 그리고 인물의 가면 뒤에 숨고자 하는 배우들의 심리로 보았다.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먼저 인물이 가면을 뚫고 나오기 위한 방법, 그리고 신체적 가면과 음성적 가면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연구하였다. 인물이라는 가면 을 뚫고 나오기 위해서 스타니슬랍스키의 역동적 분석(active analysis)과 스탤라 애들러의 ‘내 말로 바꾸 어 말하기(paraphrasing)’를 효과적인 연습법이라고 분석하였다. 인물의 음성적 가면을 사용하기 위해서 신체와 음성을 분리하여 사고해야 할 필요성을 논하였고, 인물의 이미지와 태도를 배우의 것으로 신체화 하여 대사할 때 음성기관이 이완된 상태애서 음성적인 가면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음색을 바꾸는 방식은 지양하되 음역을 바꾸는 방식은 권장되어진다는 점과, 말투를 유형화시키는 방식 은 피해야 하지만 인물의 대사의 목적과 태도에 따라서 억양이 세세하게 달라지는 방식은 효과적이라는 점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배우가 인물과 갖게 되는 가상의 관계를 가면이라는 상징으로 개념화하여 배우가 가면을 뚫고 나올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과 가면 자체를 자유로이 사용해야한다는 점으로 인물 구축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구체화한 것이 가치가 있다고 본다. 향후에 각각의 훈련법과 연습법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인 사용법과 교육방법 등을 연구하는 것도 또한 의미 있다고 본다. 더불어 본 연구는 인물이 라는 가면을 뚫고 나오는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즉흥감각의 중요성을 고찰하고, 배우의 즉흥감각을 살아있게 만들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들을 연구한다. 두 번째로는 주로 신체가면을 통해 인물을 구축하는 가능성, 세 번째로는 음성적 가면을 통해 인물을 구축하는 방법론을 고찰한다. This study examines problems and solutions in process of building a character. Some actors tend to act with he/she is overwhelmed by his/her character mask or conversely, some actors tend to ignore or avoid the characterization and act as only him/herself. Both problems comes from the concept in which they consider the character as one of type, the concept that they start with a model for characterization and the psychological intention to hide inside of the character mask. To go through the mask, we can apply the “active analysis” designed by Stanislavski and “paraphrasing” exercise designed by Stella Adler. To use character’s physical mask effectively, we can consider “higher ego” of Michael Chekhov and Bertolt Brecht’s “gestus”. And to use vocal mask of character, we need to think body and voice separately. When we embody character’s imagery and attitude as actor’s imagery and attitude, our vocal organizations can stay in relaxation and utilize our vocal mask effectively. we need to avoid to change vocal quality aggressively but we can change vocal range for characterization. we need to avoid to create certain accent for characterizing but it is efficient to change vocal mask according to the objectives(active verbs) and attitudes of character for characterization. This study is worthy that it concretize uncertain concep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tor and character. In the future, it would be worthier to study these exercises more specifically and deepl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various ways that actors can consider to create characters more effectively. Research various approaches to make the actor's sense of improvisation alive. The second is the possibility of building characters mainly through body masks, and the third is the methodology of building characters through voice masks.

      • KCI등재

        문학작품 속의 어휘들:“ 해리 포터” 시리즈 등장인물 이름의 분류와 분석 - Birus의 유형론 기반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최명원,나경희 한국독어학회 2018 독어학 Vol.38 No.-

        In dieser Arbeit wurden “Wörter in literarischen Werken”, besonders die Namen der Figuren analysiert. Dabei haben wir die “Harry Potter” Serien ausgewählt, die in vielen Sprachen übersetzt und verfilmt wurden. Nach Birus (1987) werden die Namen in vier Kategorien klassifiziert: “verkörperte Namen”, “sprechende Namen” “klassifizierende Namen” und “klangsymbolische Namen”. "Verkörperte Namen" sind Namen von bereits (z. B. in der Geschichte) bestehenden Personen. In dieser Arbeit haben wir diese Einordnung in drei Unterklassen unterteilt: Namen von Personen, die in tatsächlichen historischen Ereignissen existierten, als "historische Namen"; Namen, die in Mythen oder Legenden erscheinen, als "mythische Namen"; und Namen, die in fiktiven Werken erscheinen, als "fiktive Namen". Namen fallen unter "Sprechende Namen", wenn der Charakter oder die Rolle der Person durch ihren Namen offenbart wird. Diese wurden auch in drei Unterkategorien eingeordnet, je nachdem, wie deutlich erklärend die Namen der Personen sind: "Eindeutig spechende Namen"; "leicht veränderte, aber immer noch deutlich sprechende Namen"; und "Durch ihre Etymologie sprechende Namen". "Klassifizierende Namen" aktivierten eine Art normativer Bedeutung für eine Klasse oder Gruppe einer bestimmten Kultur oder Geschichte. "Klangsymbolische Namen" sagen etwas über den Charakter der Personen durch die Lautfarbe ihrer Namen. Zusätzlich wurde eine Kategorie hinzugefügt, unter der Bezeichnung "Namen ohne Relevanz zu den Charakteren". Diese Namen können die Eigenschaften oder Charaktere der Namenträger durch ihre Etymologie nicht erklären. In dieser Arbeit basiert die Analyse auf den oben genannten Klassifizierungen, die in einer Tabelle zusammengefasst sind. Außerdem werden die Probleme und Einschränkungen beschrieben, die während des Klassifizierungsprozesses auftreten. 본 논문에서는 문학작품 속의 어휘들 중 등장인물들의 이름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 때 문학작품으로는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분량이 방대하여 분석할 대상이 많고 작품 장르의 특성상 인물들의 특징이 그들의 이름에 잘 드러나는 조안 롤링 Joan Rowling의 작품 “ 해리포터 시리즈”를 선정했다. 분석을 위해 Birus가 제시하는 네 가지의 분류들을 기본적인 틀로 사용했다. 네 가지의 분류들은 각각“ 특정 인물을 구현하는 이름 verkörperte Namen”“, 드러내 보이는 이름 sprechende Namen”“, 범주적 이름 klassifizierende Namen”“, 음색으로 상징되는 이름 klangsymbolische Namen” 이다. 특정 인물을 구현하는 이름은 주로 실존했던 사람의 이름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분류를 다시 세 가지의 하위분류로 즉, 실제 역사적 사건 속에 존재한 것으로 인식되는 인물의 이름인 역사적 이름, 신화나 전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로 잘 알려진 이름인 신화적 이름, 그리고 소설이나 영화 등 허구적 이야기로 만들어진 작품 속에서 등장하는 이름인 허구적 이름으로 세분화했다. 드러내 보이는 이름은 이름을 통해서 그 인물의 특징이나 역할이 드러나게 되는 경우이다. 이 또한 이름들이 어느 정도로 개연성을 가지고 해당 인물을 드러내 보여주는 지에 따라 명백히 드러나는 이름, 약간 변형됐지만 명백히 드러내는 이름, 그리고 어원을 통해 드러나는 이름이라는 세 가지의 하위 범주로 세분화했다. 음색으로 상징되는 이름은 문화적 혹은 역사적으로 작동하는 계층이나 집단 혹은 소속에 대한 일종의 규범적 의미를 활성화한다. 음색 상징적 이름은 이들 이름이 가지는 음색의 어감을 통해서 인물들의 특징이나 성격을 말해주는 경우이다. 이 외에도 필자는 등장인물의 특징과 무관한 이름이라는 분류를 추가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분류들에 따라 분석한 내용을 표로 정리했으며 이에 따라오는 한계점들도 기술했다.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인물 내용 분석

        윤옥한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reconstruct ethics textbooks for 3rd to 6th elementary grades by analyzing the content concerning figures introduced to the pupil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ll four types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textbook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number of figures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textbooks was 52. Second, out of all figures who were introduced, 24 figures (46.1%) were introduced in a simple form, and 28 of them (53.9%) were introduced by using specific details.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number of figures which were introduced simply and those introduced by using specific content. Third, responsibility, which was classified within a system of content areas and which is the core value of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transcendence, was introduced the most often through 23 figures (44.2%). Fourth, in some areas no moral figuresrs were introduced in connection to the core values of each content area. The cases of justice, which is a core community value, and of sincerity, which is a core value in relation to oneself, were not introduced.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figures in all areas and core values requires further discussion, but the phenomenon of bias in introducing figures needs to be resolved.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3, 4, 5, 6학년) 도덕 교과서에 소개된 인물의 내용 분석을 통하여 추후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재구성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4종 모두를 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수록된 전체 인물 수는 52명이다. 둘째, 소개된 전체 인물 중 단순 형식으로 소개된 인물은 24명(46.1%), 구체적인 내용으로 소개된 인물은 28명(53.9%)이다. 단순 소개된 인물과 구체적인 내용으로 소개된 인물의 수가 큰 차이가 없었다. 셋째, 내용 체계 영역별로 보면 자연⸱초월과의 관계 영역의 핵심 가치인 책임이 23명(44.2%)으로 가장 많이 소개되었다. 넷째, 내용 체계 영역별 핵심 가치에 한 명도 소개되지 않는 영역이 있다. 사회 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에서 핵심 가치인 정의, 자신과의 관계 영역에서 핵심 가치인 성실은 한 명의 인물도 소개되지 않고 있다. 모든 영역, 모든 핵심 가치 부분에 인물이 다 소개될 필요성은 논의해 보아야 할 문제이지만 인물 소개의 편중 현상은 해소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봉산탈춤 미얄과장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신체표현과 공간관계

        신상미 한국무용기록학회 2003 무용역사기록학 Vol.5 No.-

        이 연구의 목적은 LMA(라반 움직임 분석법)를 통해서 봉산탈춤의 미얄과장의 인물성격과 공간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봉산탈춤의 신체표현과 공간적 상호관계가 한국인의 문화에서 형성되는 기본적인 삶의 표현이라는 전제하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봉산탈춤의 미얄과장에서 세 인물이 움직일 때 각기 개별적으로 특징이 있는 움직임을 수행하고 있다. 미얄은 탄력적이고/빠르고/강한(Bound/Quick/Strong) 엉덩이 움직임과 앞뒤로 두 팔을 흩뿌리고 모으는 동작 그리고 부채를 든 손의 가볍게 튀기기(Flicking)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움직임들은 미얄의 열정적이고 활동적인 성격을 보여준다. 영감은 어깨와 가슴을 꼬면서 빠르고/탄력적(Quick/Bound)으로 움직이는 것과 유동적 상태(Mobile State)로 자유롭고/지속적(Free/Sustain)으로 팔을 움직이는 것이 두드러진다. 이것은 활동적이고 여유 있는 영감의 성격을 보여준다. 첩의 두드러진 움직임은 팔을 양쪽으로 넓게 펴고 어깨를 들썩이며 상체를 꼬면서 빠르고/자유롭게(Quick/Free) 흔든다. 이것은 자신을 드러내고 뻔뻔스러운 인물 성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움직임 특성은 한국의 유교사회에서 나타나는 남성과 여성들의 삶에서 표현되는 상황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미얄과장의 세 인물 사이의 운동공간분석은 서로간의 관계를 알려주는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영감과 미얄 간 관계에서 나타나는 운동공간은 서로 얘기할 때 양 옆으로 나란히 앉아 수평적(Horizontal)으로 이야기 할 때를 제외하고는 주로 시상적 차원(Sagittal Dimension)으로 나타난다. 그들이 처음으로 만날 때, 서로 팔을 붙잡고 춤을 출 때 그리고 서로 쳐다보고 싸울 때 등 모두 언제나 시상적 차원(Sagittal Dimension)으로 서있다. 이 시상적 차원이 장애를 표현함에도 불구하고 시상적 차원에서 그들이 싸우는 것 그리고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를 밀고 당길 때 나타나는 공간감은 그들이 갈등하고 서로를 증오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때로는 영감과 미얄이 아주 가까운 관계로 보이기도 한다. 이때는 원그리기로 양팔을 시상적 차원(Sagittal Dimension)으로 돌며 걸을 때, 옆으로 나란히 앉아 수평적으로 서로 얘기할 때 그리고 상대방이나 청중을 향해 부채를 든 손으로 지시할 때 등 서로 간의 기쁨을 나타내고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내기도 한다. 일반공간 안의 운동공간기록을 통해서 보이는 것과 같이 미얄과장 전체에서 이 두 인물은 상대방과 청중과의 대화하는 상황과 다른 극한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무대 공간 전체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이 둘 사이의 관계는 서로에게 거리낌 없이 대할 수 있는 노골적인 관계로 볼 수 있다. 영감과 첩 사이의 공간 관계는 미얄과 영감의 관계와는 사뭇 다르게 나타난다. 첩이 들어오자마자 영감이 발견하고 바로 첩에게 걸어간다. 그리고 오른팔로 첩의 어깨를 부드럽게 감싸 안고 수평면(Horizontal Plane)으로 옆으로 나란히 서서 원그리기로 돌면서 걷는다. 영감과 첩 사이의 가까운 거리 운동공간(Near-Reach Kinesphere)은 서로 일치하는 리듬뿐 아니라 영감이 첩을 보호하는 애정 넘치는 관계로 보인다. 영감이 미얄의 죽음에 애통해하는 장면에서까지 첩은 영감과의 사이에 시선을 마주침에도 불구하고 시상적 차원(Sagittal Dimension) 보다는 영감과 수평적으로 서서 몸을 꼬면서 교태를 부린다. 그들이 미얄을 떠날 때에도 옆으로 나란히 서서 퇴장한다. 하지만 그들은 항상 먼 거리(Far-Reach)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첩은 영감에게 다가가지 않고 영감이 자신에게 올 때까지 기다린다. 이러한 공간관계에서 볼 수 있는 것은 그들이 적절한 관계가 아님을 보여준다. 더욱이 미얄과장에서 보이는 공간 관계의 중요한 관점은 등장인물과 청중간의 상호작용이다. 인물들이 상체의 움직임을 통해서 앞으로 그리고 앞 옆 사선으로 청중에게 보내는 메시지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있어서 서술적 구조의 극단적인 예이다. 직접적이고/탄력적인(Direct/Bound) 손 제스처와 가슴을 낮추고 머리를 끄덕이는 시상적(Sagittal) 그리고 수평적 차원(Horizontal Dimension) 강조는 모두 청중에게 자연스럽게 현재의 상황을 설명하는 움직임 들이다. 이러한 서술적 구조(Narrative Structure)를 통해서 공연자가 청중에게 방해 받지 않고 쉽게 이야기를 전달하도록 허용한다. 등장인물들의 신체움직임의 에포트와 쉐입 그리고 인물 간 공간적 상호관계는 미얄과장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즉 삶 속에서의 문제 상황을 적나라하게 표현한다. 이 연구에서 나타나는 움직임 특성들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으로서 그리고 문화적으로 습득된 행동으로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무엇이 표현되고 있는지를 쉽게 이해하도록 만든다. 결론적으로, 봉산탈춤의 신체표현과 공간관계는 한국인의 일상적 삶과 문화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것으로서 한국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쉽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 표현체계라고 생각된다. 이 분석을 통해 나타난 특성은 한국 탈춤의 정체성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문화적 유산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특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vement of the Pongsan mask dance drama, a representative folk dance of Korea, through LMA. I hoped to find an answer to why the audience specifically enjoyed this dance. This question was approached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Pongsan mask dance drama conveys body expression of the basic life formed inside Korean cultur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When the three people move in the seventh scene of the Pongsan mask dance drama, there is a unique individual distinction. The characteristics of Miyal's dance most identifiable to Miyal are the Bound/Quick/Strong hip movement and Scattering and Gathering arms to front and back with fanned hand Flicking movement. These seem to show Miyal's character as passionate and active. Younggam distinguishes himself through the Quick/Bound shoulders and chest twist movements, and the Free/Sustain arm movement in Mobile State. These movements seem to show his active and indulgent character. The Concubine's movement of distinction is her winding body pulsating with arms wide open to the side movements and the Free/Quick vibrating twist of her upper body. These movements seem to express a showing off and impudent self. The Kinesphere of Younggam and Miyal's relationship is in Sagittal Dimension except when they sit side by side Horizontally as to talk. Even though this Sagittal Dimension expresses their obstacles, the kinesphere happens in their fighting, and the pushing and pulling each other in a Near-Reach Sagittal Dimension show their conflict and hatred, the kinesphere between Younggam and Miyal seems much more intimate. The Relationship Kinesphere between Younggam and the Concubin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iyal and Younggam. Right after the Concubine enters, Younggam finds her. He immediately walks to the Concubine. Then, he walks in a circle with her side by side on a Horizontal Plane with his right arm tenderly wrapped around her shoulders. This Near-Reach Kinesphere of the Concubine and Younggam seems to not only show synchronized rhythm but also an affectionate relationship in which he takes care of her. Even in the scene of Younggam lamenting over Miyal's death, the Concubine behaves coquettishly in a Horizontal line of the Kinesphere rather than in Sagittal Dimensions with the Younggam, even though there is eye contact between the two. When they leave Miyal, they walk side by side, but they always stand far from each other. The Concubine does not go to Younggam until he comes. In a relationship of this Kinesphere, it seems to show that she does not have a proper relationship with Younggam. Moreover, an important aspect of the Kinesphere of the characters is their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The delivery of their message to the audience through their upper body and the forward arm and forward-side diagonal movements is a supreme example of the narrative structure in nonverbal communication. The emphasis of Sagittal and Vertical Dimension with Direct/Bound hand gestures, and the chest lowering and the nodding of the head are all narrative movements that deliver the current situation effortlessly to the audience. Through this narrative structure, the interaction allows for an uninterrupted delivery of the storyline from the performer to the audience. The effort and shape of the body movements of the three charact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clearly show the personality of each character in the seventh scene. It provides an illustration of their troubled situation in life. It enables the viewer to understand what is being expressed with ease. Hence, I believe it easily grabs the attention and interest of students. In conclusion, the body expressions of the Pongsan mask dance drama are naturally acquired through everyday Korean life and culture and are therefore easily understood and appreciated by Koreans. These body expressions identify Korean dance and are valuable cultural inheritance worthy of preservation.

      • KCI등재

        이름의 착시효과를 통해 본 하인리히 만의 장편소설 『충복』에 나타난 작중인물이름 분석

        이재호 ( Zae Ho Li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4 獨逸文學 Vol.131 No.-

        본 논문은 하인리히 만(1871-1950)의 장편소설 『충복 Der Untertan』(1918)에 등장하고 있는 작중 인물들의 이름이 작품형성에 어떤 기능을 하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동생인 토마스 만으로부터 “문명에 집착한 작가 Zivilisationsliterat” 라는 비판을 받을 정도로 하인리히 만의 문학은 치열한 사회비판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의 이 같은 비판적 태도는 소위 “빌헬름 황제시대의 3부작” 으로 불리는 『충복』을 포함한 『가난한 사람들』(1917)과 『머리』(1925)에서 특히 잘 나타나 있다. 『충복』은 ‘위대한 풍자작가 großartiger Satiriker’로서의 하인리히 만의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는데, 그는 이 작품의 부제가 나타내고 있듯이 “빌헬름 2세 치하의 대중심리 역사 Geschichte der offentlichen Seele unter Wilhelm II.”를 날카롭게 분석하면서 당시 빌헬름 황제 시대의 관료주의와 국민들을 신민(臣民)으로 강요하는 국가정책 등을 풍자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필자가 이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작중인물들의 이름에 주목하는 이유는 매우 간단하다. 그것은 문학작품 속에 등장하는 작중인물들의 이름이 아무런 뜻없이 자의적으로 붙여진 것이 아니라 작가의 특정한 의도 속에서 설정되었기 때문이고 따라서 작품해석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문학적 명칭학 literarische Onomastik, 즉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작중인물들의 이름은 여러 기능을 가지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기능들 중의 하나인 문학의 허구적 세계를 마치 현실세계인 것처럼 보이게 하는 기능을 유발하는 착시효과화 Illusionierung의 시각에서 그리고 이와 관련된 몇몇의 예들을 통하여 작중인물들의 이름이 가지는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일차적으로 문학적 명칭학에 관한 주요 연구들을 일별한 후에 착시효과화의 개념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착시효과화의 형태들을 고찰하게 되는데, 먼저 실제로 존재했던 당시의 이름들과 작중인물들 이름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 작품에 나타나는 이름의 분류적 기능을 살펴보면서 작가에 의해 창작된 허구적 이름인 콘 Cohn과 야다스존 Jadassohn의 예를 가지고 분석해 봄으로써 이름이 가지는 착시효과화의 기능에 관하여 논구하였다. 작중 인물들의 이름을 통하여 누가 어떤 종교(기독교인가 유대교인가)를 가지는 지에 대한 구분과 이와 결부된 반유대주의가 선명하게 드러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하인리히 만은 작중 인물들의 이름 설정에 있어서 유대인배척주의와 당시 고조되고 있었던 편협한 민족주의를 매우 예리하게 비판하고 있는데, 이는 작중 인물들의 이름이 풍자적 기능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이해 할 수 있는 대목이다. 또한 부정적 인물들로 묘사되고 있는 사람들의 입을 통하여 나타나고 있는 유대인 이름들에 대한 논쟁은 단순한 말싸움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작가인 하인리히 만이 당시 독일에 팽배하고 있었던 반유대주의적 사상과 단호하게 거리를 취하고 있다는 태도로 이해되어야할 것이다. 이런 부정적 인물군에 속하는 대표적 인물이 이 작품의 주인공 디데리히 헤슬링 Diederich Heßling이다. 그는 야비한 권력 지향적 인물이다. 윗사람에게는 철저하게 허리를 굽히고 약자라고 생각되는 사람들은 가차 없이 짓밟아 버리는 인간으로서, 하인리히 만은 이런 디데리히 부류의 인물 설정을 통하여 훗날 나치 시기의 심리적 제반조건들을 이 소설에서 독문학사상 처음으로 주제화하고 있다. 아우슈비츠를 가능하게 만든 대표적 인간유형으로 설정된 디데리히는 자신을 국가의 업무를 집행하는 충복으로 행동하고 있는데, 하인리히 만은 이런 유형의 인간들이 훗날 “히틀러의 자발적인 조력자 Hitlers willige Helfer”가 된다는 예리한 통찰을 이 작품을 통하여 선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