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환국의 홍익인간 경영사상과 천부경의 새로운 이해

        이강식(Kang Sik Lee) 세계환단학회 2022 세계환단학회지 Vol.9 No.1

        홍익인간의 경영사상은 환국에서 신시, 조선을 거쳐 현금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1만년 내려오는 유구한 건국사상이자 경영사상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환국의 홍익인간경영사상을 신본주의와 인본주의의 합1사상으로 새로이 이해하고 『환국신시조선경』(『고기』), 『포념표경』, 『천부경』(『81자경』), 『31신고』(『366자경』), 『신사기』 등등 여러 고대경전의 현대경영학적 분석을 통해 환국의 홍익인간경영사상의 이상국가를 구축하고 현재와 미래의 이상한국에서 실천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 『환국신시조선경』에서 나오는 창조를 새로이 연구하였다. 홍익인간경영사상은 인간세계를 이익되게 한다는 뜻만이 아니고, 그것을 넘어, 인간과 우주만물의 구극적인 완전한 이상세계인 이화세계의 진리세계를 구현하여 홍익인간한다는 뜻이다. 이 연구에서는 『천부경』이 환국의 홍익인간경영사상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면서 새로운 내용을 연구하여 인도 브라만교, 부처 중도사상, 맑스헤겔의 유물변증법의 시원사상임을 새로이 밝혔다. 결론적으로 나의 이상국가는 생업연금자본주의다. The Managerial Thought of HongIkInGan in HwanKuk is the one of the founding thought of HwanKuk and the Managerial Thought continued through Shinshi and JoSeon to the Republic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Managerial Thought of HongIkInGan in HwanKuk as united thought of the God-oriented and Humanism newly, and to analyze the thought of 『HwanGukShinSiJoSeonKyeong』(『GoGi』), 『PyoNyemPyoKyong』, 『 CheonBuKyeong』(the Eighty-one Letters Kyeong), 『31ShinGo』(the Three Hundred Sixty-six Letters Kyeong), 『ShinSaGi』 etc, and to build Ideal State of HongIkInGan Thought in HwanKuk, and to practice it in Ideal Korea. Especially I study the Creation of 『HwanGukShinSiJoSeonKyeong』(『GoGi』) newly. The Managerial Thought of HongIkInGan aims to give many profits to all Human being, and to realize the perfect World of Truth. Conclusively, my Ideal State is the State of the Occupation and Pension Capitalism.

      • KCI등재

        성경에 나타나는 리더십유형을 통한 인간존중경영에 관한 연구

        전영수(Young Soo Chun),안동규(Dong Gyu Ahn)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6 로고스경영연구 Vol.14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성경을 통해서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어떻게 존중(尊重)히 여기셨는가를 논(論)한 것이다. 산업 혁명 이후 약 200년간, 경영의 지나온 발자취의 역사를 훑어보게 되면, 초기의 경영은 `대량 생산`에 중점을 두었으나 오늘날 현대경영에서는 `사람경영`을 소홀히 하게 되면 기업이나 조직의 존폐가 좌우 되고 있다. 성경에서의 `인간학(Anthrpologie)`은 창조주 하나님께서 최초의 인간 `아담(Adam)`에게, “아담아! 네가 어디 있느냐?” (창3:9)라고 인간이 무엇인가를 찾으시는 데서부터 출발하고 있다. 즉, 인간을 찾으시는 하나님의 부르심이 바로 인간존중 경영이요, `성경의 인간학`의 출발점이다. 그러므로 성경은 자기신분을 상실한 인간이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 이 땅에서 유리방황하며 살아가고 있는 인간의 삶에 대하여 말씀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잃어버린 양을 찾아 나선 목자처럼, 자기 자리를 떠난 인간을 찾아 이 땅에 인간의 모습을 입고 오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말씀이다. 인간은 전지전능하신 하나님으로부터 사랑받고 소중하게 여김을 받고 있는 존엄한 피조물이다. 본 논문을 요약하면, 제1장에서는 인간존중의 문제 제기와 연구의 필요성을 논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구약성경에 나타난 인간존중경영을 논하였고, 제3장에서는 신약성경에 나타난 인간존중경영을 논하였다. 제4장에서는 인간존중경영과 성경에 등장하는 신앙으로 살았던 선조들의 고유한 `리더십` 에 관하여 논하였다. 제5장에서는 결론으로서, 성경을 배경으로 하는 인간존중의 리더십과 직장 동료들을 배려하는 경영인의 리더십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God respects the human being through the Bible. Following the footstep of the history during 200 years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whereas the early days of management focused on “mass production”, it is a survival matter of organization and enterprise in the modern management when neglecting the “Human Management”. `Anthropology` in the Bible starts from a question to find What Is The Human such as ”Adam! Where are you?”(Gen.3:9). In other words, the callings of God that find a human is the ”Human Management” and it is a starting point of the ”Bible of anthropology”. On the other hand, It is the words about Jesus Christ in the similitude of the human who came to this earth to find the a human who left the his seat like the shepherd looking for the lost sheep. Human is a dignity of creation who beloved and cherished from the almighty. To summarize this study, in the first chapter it was discussed the need for research and raised issues of human respect. In Chapter 2, it was discussed the human respect management that has been shown in the Old Testament. In Chapter 3, it was discussed the management of human respect that has been indicated in the New Testament. In the fourth chapter, it was discussed ”the leadership” inherent to ancestors who lived in faith in the Bible and the human respect management. In the fifth chapter, as a conclusion, it was discussed the humanity leadership set in the Bible and leadership of the executive who gives consideration to work colleagues.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과신성향이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신보선,우용상 한국회계정책학회 2018 회계와 정책연구 Vol.23 No.3

        [Purpose]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additional empirical evidence on the effect of CEO’s overconfidence on financial reporting decisions. [Methodology]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1,127 firm-year which disclosed pre-audit earnings in listed companies from 2013 to 2015. Auditor-client disagreement is measured by the difference between pre-audit earnings and post-audit earnings divided by beginning balance of total assets, and it i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n OLS regression analysis. [Findings]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CEO’s overconfidence and auditor-client disagreement. This finding indicates that overconfident CEOs are likely to be more aggressive in their financial reporting, which leads to more strict monitoring by auditors and higher level of auditor-client disagreement. Second, auditor-client positive disagreement grows as CEO’s overconfidence is escalating. This result suggests that overconfident CEO tries to disclose higher income. [Implications]Personal characteristics of CEOs can directly influence the corporate decisions in that CEOs play a dominant role in decision-making process in general. In particular, prior studies on the effect of CEO’s overconfidence which is a tendency to overestimate their abilities have shown conflict.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CEO’s overconfidence and auditor-client disagreement. Auditor-client disagreement is measu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unaudited)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actual earnings reported in financial statements. Although some previous studies presented that overconfident CEO tended to make an aggressive accounting report decision(Ahmed and Duellman, 2013, Yoo and Kim, 2015;Ra and Park, 2016), this study presents the additional evidence of the effect of CEO’s overconfidence on accounting report decision using auditor-client disagreement which is not us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lso proves robustly the relation between CEO’s overconfidence and accounting report decision. [연구목적]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과신성향이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여, 최고경영자의 과신성향이 회계보고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본 연구의 표본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 중 손익구조변경공시를 통해 감사 전 이익을 공시한 1,127개 기업-연도이며, 감사 전 이익과 감사 후 이익의 차이를 기초총자산으로 나눈 값을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로 정의하고 이를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했다. [연구결과]첫째, 최고경영자의 과신성향이 높아질수록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도 심화된다. 이는 최고경영자의 과신성향이 높아질수록 공격적인 회계보고 의사결정을 하기 때문에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가 심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최고경영자의 과신성향이 높아질수록 경영자-감사인간 양(+)의 의견불일치가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신성향이 높은 최고경영자일수록 이익을 높게 보고하려고 시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의 시사점]최고경영자가 경영의사 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최고경영자의 성향이 경영의사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비록 선행연구에서 최고경영자의 과신성향이 높을수록 공격적인 회계보고 의사결정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분석결과가 제시된 바 있으나(Ahmed and Duellman, 2013;유혜영과 김새로나, 2015;라기례와 박상봉, 2016),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를 이용하여 최고경영자의 과신성향이 회계보고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하고 최고경영자의 과신성향과 회계보고 의사결정간의 상관관계를 보다 강건하게 증명했다.

      • KCI등재

        감사인의 규모와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경영자-감사인간의 의견불일치간의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

        신보선,우용상 한국회계정보학회 2020 회계정보연구 Vol.38 No.2

        [Purpose]This study aims to provide additional empirical evidence on the effect of external auditors on financial reporting quality by examining the role of auditors in monitoring CEO’s discretionary reporting. [Methodology]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2,437 firm-year which is listed in KSE from 2013 to 2017. Our measure of CEO’s Overconfidence is developed by Schrand and Zechman(2012). [Findings]Ou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no evidence that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CEO’s overconfidence and auditor-client disagreement is more pronounced for firms audited by BIG4 auditors and for firms with higher abnormal audit hours and fees. Second, We divide the full sample into two subsamples of firm-years that have either a positive sign of a proxy for auditor-client disagreement (earnings-overstated) or a negative sign (earnings-understated). We again find no evidence on the more pronounced effect when firms are audited by BIG4 auditors in both subsamples. In contrast, we find that the effect of CEO’s overconfidence on auditor-client disagreement is more pronounced at firms with abnormally high audit hours or fees only in the earnings-overstated subsample. Third, we find that the impact of CEO’s overconfidence on auditor-client disagreement is more strengthened at firms audited by BIG4 auditors who have spent abnormally high audit hours, or at firms audited by BIG4 auditors who are paid abnormally high audit fees. [Implications]Shin and Woo(2018) foun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CEO’s overconfidence and auditor-client disagreement, where the latter could be affected by both auditor-specific and manager(client)-specific factors. This study expects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CEO’s overconfidence and auditor-client disagreement also depends on these two factors, particularly auditor-specific factor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factors specific to the auditor impact the association, indicating whether the negative effect of CEO’s overconfidence on financial reporting decisions is effectively mitigated by the external auditors. [연구목적]신보선과 우용상(2018)은 경영자 과신성향이 높을수록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는 경영자 및 감사인 측면의 요소에 모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경영자의 과신성향이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은 두 요소에 의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감사인 측면의 요소가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 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경영자의 과신성향이 회계보고의사결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사인이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2013년부터 2017년까지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경영자의 과신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Schrand and Zechman(2012)가 제시한 과대투자금액의 크기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분석 결과, 감사인의 규모와 비정상 감사시간 및 비정상 감사보수가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 간의 양(+)의 상관관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표본기업-연도를 이익과대계상집단과 이익과소계상집단으로 구분하여 재분석한 결과, 감사인의 규모는 두 집단 모두에서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 간의 양(+)의 상관관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반면 이익과대계상집단에서는 비정상감사시간 또는 비정상감사보수가 높을수록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 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감사인의 규모가 크면서 동시에 비정상감사시간이 많은 경우 및 감사인의 규모가 크면서 동시에 비정상감사보수가 높은 경우 경영자 과신성향과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결과는 감사인이 회계정보의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결과를 통해, 회계정보에 대한 감사인의 역할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정의내릴수 있는 증거를 제시한다.

      • KCI등재

        홍익인간, 지구시민, 그리고 지구경영

        김광린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선도문화 Vol.23 No.-

        현재 인류가 겪고 있는 환경위기는, 인류문명은 물론 지구 자체의 존재까지 위협할 수 있는 문제라는 점에서 역사 이래 인류에게 닥쳐 왔던 문제들 중 가장 심각한 문제이다. 지구온난화로 상징되는 지구환경 위기는, 기존의 패러다임이 입각한 단순한 환경보전 운동 차원에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문명의 패러다임 자체의 근본적 전환을 요하는 긴급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지구는 현재까지 아무도 소유하려 하지 않았고 당연하게도 아무도 관리하려 하지 않았다. 지구는 공용물건과도 같이 누구나 함부로 사용하는 가운데 방치되어 왔으나 이제부터는 관리되고 경영되어야 하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이 지구경영의 문제의식이다. 이러한 문명사적 상황에서 제시된 지구경영은, 인간의 의식진화를 핵심수단으로 지구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함은 물론 정신과 물질이 조화롭게 결합된 차원으로 인류문명을 진화시켜 홍익인간 이화세계를 실현하기 위한 경영이다. 경영이라는 점에서 지구경영도 목표의 달성을 지향하지만, 기업경영 등과는 달리 이윤을 목표로 하는 경영이 아니라 진정한 공익적 비전을 실현하고 달성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통상의 경영과는 다르다. 물론 기업들의 다수가 사회적 공헌에 관심을 확대해 나가는 흐름을 목도할 수 있지만, 기업의 주된 목표는 어디까지나 이윤의 추구에 있다. 그리고 국가경영이라는 용어도 존재하고 국가 들이 인류평화에 대한 공헌을 천명하고 있지만 현재의 국제사회적 현실에서 국가이기주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홍익인간은 의식의 차원에서 진정한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를 깨친 사람, 곧 진리와의 합일 혹은 신인합일을 이룬 존재를 말하며, 이화세계란 우주운행의 근본질서가 보편적으로 관철된 세상, 그리하여 인류문명과 자연질서가 상호보완하며 조화롭게 작동하는 평화로운 세상을 말한다. 전 지구적으로 일일생활권화 된 현재의 지구촌 시대에 이화세계란 사실상 조화롭고 평화로운 지구촌의 실현을 의미한다. 홍익인간사상의 문헌적 토대인 「천부경」에 의하면, 우주운행의 근본원리이자 생명의 근원인 ‘하나(一)’로부터 천지인(天地人), 곧 우주만물이 갈라져(석, 析) 나오는데, 이 갈라져 나온다는 용어는 매우 중대한 의미를 내포한다. 즉 ‘하나’로부터 갈라져 나왔다는 것은 우주만물이 절대적이고 시원적 존재인 ‘하나’의 속성을 공유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점에서 우주만물은 ‘하나’의 현신이자 전개 그 자체이고 ‘하나’ 그 자체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우주만물은 ‘하나’의 속성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대등한 위격을 지닌 우주의 필수적 구성원이라는 의미를 함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홍익인간사상은 우주공동체 사상이라 불리우기도 한다. 이러한 점에서 홍익인간사상의 공간적 범위는 전 우주이지만, 현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가 지구온난화로 상징되는 지구환경의 문제로서, 이를 해소하는 것이 지구촌 최대의 현안과제로 대두 되었고, 이러한 지구촌 과제와 관련하여 지구경영의 개념이 제시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홍익인간의 공간적 범위를 편의상 지구로 축소하는 동시에, 신인합일의 경지에서 지구와 자기자신 간 동일성 의식하에 지구의 안녕을 가치판단의 중심척도로 삼는 사람을 현대판 홍익인간으로서의 지구시민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천(天)과 지(地)와 인(人)으로 표기되는 우주만물이 공히 ‘하나’의 속성을 공유한 존재이지만 그 중에서도 사람은 ‘하나’를 온전히 소유한 소우주로서의 존재라는 점에서 지구공동체를 조화와 상생의 관계로 이끌어 나가야 할 책임과 도덕성을 지닌 존재가 되어야 한다. 지구공동체를 구성하는 모든 존재 중에서 지구생태계를 망칠 수 있는 것도, 그리고 실제로 지구환경을 훼손시키고 있는 것도 사람이며, 또 크게 손상된 지구환경을 원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것도 사람이다. 즉 사람이 어떤 의식을 가지는가 하는 것에 따라 지구공동체가 상생과 조화의 공동체가 될 수도 파멸의 길로 나아가게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자신에 ‘하나’를 온전히 내재한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자각, 곧 신인합일의 의식수준에 도달하여(성통), 홍익에 기반한 가치관을 삶의 기준으로 삼아 지구공동체를 상생과 조화의 공동체로 이끄는(공완) 역할을 수행할 때, 그리하여 이러한 사람들이 연대하고 그 숫자가 임계질량 이상의 상태에 도달할 때 이화세계의 실현이 가능하다는 것이 지구경영의 관점이다.

      • KCI등재

        기업가 정신, 경영활동, 조직문화와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정영민,김현정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5 창조와 혁신 Vol.8 No.1

        지금까지 기업가 정신과 기업성과, 조직문화와의 각각의 관계는 여러 연구자에 의해서 규명되었지만 기업가정신이 경영활동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며 어떤 과정 또 는 매개를 통해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가 정신의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의 개념을 사용하여 Pfeffer 의 인간중심경영과 조직문화, 경영성과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Pfeffer(1998)의 7가지 인간중심경영의 실천활동(practices) 지표항목을 사용 하여 한국에서의 인간중심경영과 기업의 경영성과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 였으며, 조직문화 변수로는 Denison의 조직문화의 적응성을 사용하였다. 결과변 수로는 지속가능 경쟁우위를 파악할 수 있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구조방정식을 이용해 기업가 정신, 인간중심경영, 조직문화 및 기업의 경영성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 련변수 간에는 상당히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둘째, 인간중심경영은 기 업가정신의 재무적 성과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feffer의 인 간중심경영 활동이 기업의 지속가능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기업가정신과 인간중심경영은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긍정적 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조직문화의 적응성은 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유용성은 기업가정신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인간중심경영의 매개역할 을 확인하였고, 기업의 재무성과와의 영향관계를 규명한 것에 있다. 따라서 인간중 심경영을 실천한다면 기업가 정신을 활성화하여 기업의 경쟁우위 확보에 기여할 것 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인간중심경영의 실천수준이 산업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가를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향후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보다 산업별 특성에 부합하는 인간중심경영의 실천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primarily the correlation of entrepreneurship, human-oriented management, organization culture and perceived financial performance. By focusing Pfeffer’s seven HRM practices for human-oriented management, this paper develops dynamic model of specialized resources for competitive advantage, and uses together th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nd adaptive organization culture trait proposed by Denison. The entrepreneurship consists of innovation,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entrepreneurship and human-oriented management affect to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positively, and identify that human-oriented management plays mediating role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i.e., sales, profit, market share, ROI). However, the corporate adaptive culture does not show direct impact to the corporate financial performance. Significantly, it is further no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seven HRM practices proposed by Pfeffer empirically are validated in Korea. This paper provides new direc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 to HRM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formulating company strategy to achiev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n market place.

      • KCI등재

        내/외부 감시비용과 경영자와 감사인간 의견불일치

        이명곤,인창열,최지환 한국회계학회 2020 회계저널 Vol.29 No.1

        Financial statements prepared by management may be distorted by various motivations of management. To curb the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companies spend money on internal and external monitoring. If internal monitoring is efficient enough, the quality of the financial statements prepared by the management will be high and the level of a revision made by the auditor will be low. In other words, auditor-client disagreement will decrease. In addition, if external monitoring is efficient enough, it is likely that the auditor will discover and correct any distortions contained in the financial statements prepared by the management. Therefore, the extent to which the auditor revises will increase. We find that the internal monitoring cost measured by the compensation of outside directors, audit committee or internal auditor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auditor-client disagreement. However, we find that the external monitoring cost measured by external audit fee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auditor-client disagreement.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as the higher the monitoring costs, the more efficient monitoring are, thus suppressing the opportunistic behavior of managers. Existing previous studies tested the effect of the human resources in internal control, the introduction of the audit committee on the auditor-client disagreement. However, this study tests the effect of the compensations of outside directors, the audit committee or internal auditors that company is actually bearing, on the auditor-client disagreement. Furthermore,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external monitoring costs and the auditor-client disagreement. 경영자가 작성하는 재무제표는 경영자의 다양한 동기로 인해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억제하고 높은 수준의 재무보고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기업은 내부감시 및 외부감시에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내부감시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경영자가 작성한 재무제표의 품질이 높을 것이므로 감사인이 수정하는 정도가 낮을것이다. 즉, 경영자와 감사인간 의견불일치가 감소할 것이다. 또한 외부감시가 효율적으로이루어진다면 감사인이 경영자가 작성한 재무제표에 포함된 왜곡을 발견하여 수정할 가능성이 커진다. 그러므로 감사인이 수정하는 정도가 증가할 것이며, 경영자와 감사인간 의견불일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 결과, 사외이사 보수, 감사위원회 또는 감사 보수로 측정된 내부감시비용이 높을수록 경영자와 감사인간 의견불일치 정도는 낮아지고, 외부감사보수로 측정된 외부감시비용이 높을수록 경영자와 감사인간 의견불일치 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내부감시비용과 외부감시비용이 높을수록 내부감시 및외부감시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경영자의 기회주의적인 행동을 억제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실제 내부감시와 외부감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기존 선행연구들은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인적자원 특성, 감사위원회 도입 여부, 경영자의 능력 등이 경영자와 감사인간의견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지만, 내부감시와 외부감시를 동시에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내부감시와 외부감시를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된다. 그리고 내부감시비용 및 외부감시비용이 재무보고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내부감시비용 또는 외부감시비용이 낮은 수준일 경우 재무보고의 품질이 훼손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재무보고품질의 대용치로 경영자와감사인간 의견불일치를 사용함으로써 추정오류가 존재하는 재량적 발생액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 깨달음의 경영철학 새로운 과학적 학문분야를 창시 소개함: 깨달음경영학의 5차원 인간의식(영성)의 자원 자산화를 통한 현대 경영철학들의 통섭을 위한 고찰(3회)-마이클 포터의 공유가치론(CSV)과 게리 함멜의 전략적 의도(S I)와 브라이언 아서의 복잡계 경제연구(CE)

        이재윤(Jaeyoon Rhee) 글로벌경영학회 2018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2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은 이윤의 극대화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인간을 하나의 자원으로 간주하여 도구화 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인간소외(alienation) 및 부의 양극화 현상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 오늘날 경제성장에 따른 물질적 풍요와 번영이 인류사회에 행복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통념은 ‘물질적 풍요 속의 정신적 빈곤’이라는 문제제기에 의해 그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자본주의가 인류사회의 행복과 공동번영에 기여하는 경제체제로서 역할을 다하려면, 자본주의 역시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진화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 시대에 걸 맞는 자본주의의 대안을 논의하고자, 저자 이재윤이 창시한 깨달음경영학(MOSEE;Management Of allSelves’ Enlightenment and Empowerment)의 새로운 과학적 학문연구를 통해 새로운 실현성 영역을 추구 하는 동시에, 깨달음경영의 새로운 5차원 요소인 의식(영성) 자원 및 자산(SRA:Spirit Resource and Asset)과 본질적으로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진성 창조경영(MOC:Management Of Creation)의 연구 및 인간의식 성장 방법론에 대하여 발표 하고자 한다. 이로써 현대의 주요한 여러 경영철학들 예컨대 CSV(마이클 포터) SI(개리 함멜) 복잡계 철학 美德경영 등의 내재된 구조적 제약들을 분석 평가하고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써 21세기 우주 인류 신문명 창달을 위한 5차원의 깨달음경영 혁명을 성취 하고자 한다. 즉 2040년 전에 지구 인류의 고도 영성 초 과학기술 문명을 넘어서 우주 인류의 초 영성 초 과학기술 문명 창달을 선도하는 학문연구 교육 인류 사회활동을 지속적으로 해갈 것이다. 위와 같이 21세기 우주 인류의 영원한 평화 자유 지속적 번영을 이루고자 한다. 본 연구는 통섭 고찰 제2회로 미국의 마이클 포토와 막 클램머의 공유가치(CSV)와 영국의 게리 함멜과 프라할라드의 전략적 의도와 브라이언 아서의 복잡계 경영경제 이론을 통섭을 고찰한다.

      • 새로운 과학적 학문분야를 창시 소개함: 깨달음경영경제학(MOSEEE)의 5차원 인간의식(영성)의 자원 자산화를 통한 현대 경영철학들의 통섭을 위한 고찰(5회)-미국의 마이클 포터 박사와 막 클레이머 박사의 공유가치론(CSV)

        이재윤(Jae Yoon Rhee),이재호(Jae Ho Rhee) 한국경영학회 2022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8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은 이윤의 극대화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인간을 하나의 자원으로 간주하여 도구화 하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인간소외(alienation) 및 부의 양극화 현상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거론되고 있다. 오늘날 경제성장에 따른 물질적 풍요와 번영이 인류사회에 행복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통념은 ‘물질적 풍요 속의 정신적 빈곤’이라는 문제제기에 의해 그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자본주의가 인류사회의 행복과 공동번영에 기여하는 경제체제로서 역할을 다하려면, 자본주의 역시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진화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 시대에 걸 맞는 자본주의의 대안을 논의하고자, 저자 이재윤이 창시한 깨달음 경영학(MOSEE;Management Of allSelves’ Enlightenment and Empowerment)의 새로운 과학적 학문연구를 통해 새로운 실현성 영역을 추구하는 동시에, 깨달음경영의 새로운 5차원 요소인 의식(영성) 자원 및 자산(SRA:Spirit Resource and Asset)과 본질적으로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진성 창조경영(MOC:Management Of Creation)의 연구 및 인간의식 성장 방법론에 대하여 발표 하고자 한다. 이로써 현대의 주요한 여러 경영철학들 예컨대 CSV(마이클 포터) 등의 내재된 구조적 제약들을 분석 평가하고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써 21세기 우주 인류 신문명 창달을 위한 5차원의 깨달음경영 혁명을 성취 하고자 한다. 즉 2040년 전에 지구 인류의 고도 영성 초 과학기술 문명을 넘어서 우주 인류의 초 영성 초과학기술 문명 창달을 선도하는 학문연구 교육 인류 사회활동을 지속적으로 해갈 것이다. 위와 같이 21세기 우주 인류의 영원한 평화 자유 지속적 번영을 이루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학회측의 요청에 따라서 본 논문의 쪽수를 제한하였으므로 한가지 이론만 통섭하였고 나머지들은 후일 다른 기회에 발표할 수 있을 것을 소망 합니다.따라서 본 논문에는 미국의 마이클 포토와 막 클램머의 공유가치(CSV) 하나만 발표합니다. 나머지 영국의 게리 함멜과 프라할라드의 전략적 의도(SI)와 미국의 브라이언 아서의 복잡계 경제학(CE)과 일본의 노나가이쿠지로와 곤노 노부르의 미덕의 경영(VBM) 등 여러 이론들의 통섭은 후일 다른 기회에 발표할 수 있음을 소망합니다. (*주: 고도 의식과 영성을 High level of Human Consciousness 또는 High level of Spirit 라고 해도 좋으나 영어로는 Spirit 이라고 하는 것이 더 보편타당하므로 이 논문에서는 Spirit 이라고 한다)

      • KCI등재

        감사인 특성이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조은정,정주렴 한국공인회계사회 2021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3 No.4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auditors reported in the accounting firm’s annual report on the audit quality measured by disagreement between management and auditors. Recently, regulato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ccounting firms’ annual reports and have required the disclosure of them to the electronic disclosure system (DART) to facilitate access to relevant information, and expanded the scope of disclosure through law amendments. Based on these accounting firms’ annual reports, this study considers audit firm characteristics that could affect audit quality, which are classified into variables related to auditor’s ability(expertise) and auditor independence. We use partner ratio, auditor experience, and number of clients per partner as variables related to auditor’s ability. Then we use audit fee per partner, accounting firm debt ratio, and reserve for compensation ratio as variables related to auditor’s independence. In previous studies, audit quality was often measured by discretionary accrual, financial statement error correction or audit opinion, which uses financial statements, the output of external audits. However by the conceptual definition, audit quality should be the corrected earning during the audit process. In this study, we use more direct measure to measure audit quality, which is management-auditor disagreement. In Korea, it is mandated to disclosure the earning before external audit process if the firm expects the sales, operating income or net income to change more than 30% compared to previous year (15% if large firms). We use this earning before external audits as preliminary earning, and calculate the management-audit disagreement by deducting it from reported earning after external audits. Using the KOSPI listed firm-years from 2011-2017,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various characteristics of auditors and management-auditor disagreement. As a result of analysis, we find that audit quality as measured by management- auditor disagreemen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tner ratio. accountant experience is partially related, and the number of clients per partner is negatively associated. This implies that audit quality enhances as auditors’ ability increase. In addition, the higher audit fee per partner, the less management-auditor disagreement is. This results may indicates that the higher audit fee, which could lead auditors more economically subordinate to the client, makes independent audits difficult. Another measures related to the auditor's independence, the liability ratio and the liability reserve ratio,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audit quality.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on the validity of the regulators' policy to expand the disclosure of recent annual reports by showing that the information in the accounting firm's annual report is related to actual audit quality, using more direct measure. Also,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investors by enhancing the users’ understanding on the various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accounting firms’ annual report and providing criteria for the investors’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audit quality. This study has some caveats. First, the results may be biased because the sample is limited to the firms which disclosure the preliminary earning. Second, we acknowledge that each firms’ specific auditor characteristic could be better proxy than current audit firms’ average characteristics, which we could not perform due to data unavailability. Future studies could extend the study if the disclosure of auditor information is extended. 본 연구는 회계법인의 사업보고서에 보고되는 다양한 감사인의 특성이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로 측정한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규제당국에서는 회계법인의 사업보고서에 대한중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정보의 접근가능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이를 공시하도록 하였고, 법 개정을 통해 정보의 공시범위도 확장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회계법인의 사업보고서를 바탕으로 감사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성을 고려하였는데, 크게 감사인의 능력(전문성) 과 관련된 변수(파트너비율, 회계사 경력, 파트너 1인당 감사기업 수)와 감사인의 독립성과 관련된 변수(파트너 1인당 감사보수, 회계법인 부채비율, 손해배상준비금율)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주로 감사의 결과물인 재무제표의 품질을 통해 감사품질을 간접적으로 측정한 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감사품질의 개념적 정의에 보다 가까운 측정치인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를 이용하여 감사품질을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법인 내 파트너 비율이 증가할수록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로 측정한 감사품질은 증가하였으며, 파트너 1인당 감사기업 수는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와 음(-)의 관계가 있었다. 이는감사인의 능력(전문성)이 증가할수록 감사품질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또한, 파트너 1인당 감사보수가증가할수록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감사보수가 클수록 감사인이 피감사인에게 경제적으로 종속되어 독립적인 감사가 어려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외에 감사인의 독립성과 관련된 측정치인 회계법인 부채비율 및 손해배상준비금율은 감사품질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본 연구는 정보이용자로 하여금 회계법인의 사업보고서상 공시되는 다양한 정보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키고 해당 감사인의 감사품질의 사전적 판단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였으며, 회계법인 사업보고서상정보가 실제 감사품질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 최근 사업보고서 공시를 확대하도록 한 규제당국의 정책이 타당함을 뒷받침 하였다는 공헌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