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실재론 미학의 쟁점 2: 마르쿠스 가브리엘의 신실재론 예술론

        김남시 한국미학예술학회 2024 美學·藝術學硏究 Vol.71 No.-

        본 논문의 목표는 마르쿠스 가브리엘 신실재론의 핵심 테제와 그를 체계화한 의미장존재론(SFO)의 문제의식을 살펴보고, 거기서 도출되는 예술이론을 고찰하는 것이다. 가브리엘의 신실재론은 인식주체와 ‘외부세계’를 구분하던 근거로써 ‘모든 것을 포괄하는 무제약적 총체성’으로서의 ‘세계’개념을 폐기(형이상학적 니힐리즘)하고 지각이 실재의 장 속에서 우리와 대상이 접촉함으로써 생겨나는 관계(지각의 유출모델)로 이해한다. 이 두 전환에 기반해 세워진 의미장존재론은 존재를 ‘의미장에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하는데, 이는 모든 것이 그로부터 자신을 전경화하는 배경과 맥락을 갖는다는 걸 의미한다. 이러한 존재론적 관계주의는 모든 것은 특정 의미장에 나타나는 방식에 의해 개별화된다는 존재론적 기술주의와 연결된다. 이로써 의미장에 나타남의 구조를 통해 물리적 대상 뿐 아니라 규범, 법, 허구적 사건 등의 비물질적 대상들도 그에 대해 진리능력 있는 진술로 묘사할 수 있는 실재가 된다. 감각은 의미장에 나타나는 실재를 직접 포착하는데 이는 지각의 사실 구조에서 확인된다. 의미장존재론은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형식주의 이론의 한계를 극복한다.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OOO)이 예술의 자율성을 위해 예술작품을 그 다양한 의미장들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했다면, 의미장 존재론(SFO)은 예술작품이 결합하고 있는 의미장들이야말로 창작자는 물론 감상자로부터도 자율적인, 예술의 절대적 힘의 원천임을 주장한다. 예술의 자율성은 작품의 제작이나 감상에서 특정 의미장을 배제해야한다는 외적 제약을 통해 확보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무수한 의미들에 입각한 예술자체가 이미 자율적인 것이다.

      • KCI등재

        한중 ‘sharp-blunt’ 의미장 대조 분석 ― 모스크바 어휘유형론(MLexT)의 관점에서

        고은미 한국중어중문학회 2023 中語中文學 Vol.- No.91

        본고는 어휘유형론 연구방법론을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휘 의미의 대조 연구에 응용한 것으로, 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sharp-blunt’류 의미장의 개념화와 파생 의미를 대조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개념화 양상을 살펴보면, 한국어 ‘sharp’의미장은 ‘기능’프레임과 ‘점’프레임의 대립이 뚜렷한 반면에 중국어 ‘sharp’의미장은 ‘기능’프레임이 뚜렷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선’과 ‘점’의 대립이 뚜렷한데, ‘선’류는 ‘快’, ‘尖’로 점류는 ‘尖利, 锐利’로 나타낸다. 한국어 ‘blunt’의미장은 ‘뭉뚝하다’가 ‘기능’프레임과 ‘형상’프레임을 포괄적으로 묘사하며, ‘무디다’가 기능 프레임 전부를 묘사한다. 반면, 중국어 ‘blunt’의미장은 ‘형상’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으며, [기능+선], [기능+점]프레임을 하나의 단어 ‘钝’이 나타낸다. 파생의미를 살펴보면, 한국어와 중국어의 ‘sharp’의미장은 도구 사용자 측면에서의 긍정의미와 도구에 다친 수동자 측면에서의 부정의미를 모두 가진다. 한국어 ‘sharp’의미장은 부정의미에서 청각, 후각상 불쾌한 감각을, 중국어의 ‘sharp’의미장은 청각상 불쾌한 감각만을 나타낸다. 영상도식 관련 의미는 중국어에만 있는데, ‘锐’가 ‘급속’의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blunt’의미장은 모두 동작, 반응, 인지가 느리다는 파생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신어 의미장의 형성과 확장

        남경완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3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3

        본고의 목적은 신어 의미장의 형성과 확장 양상을 신어들 사이의 의미관계와 의미의 파생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신어의 경우 처음 생겨난 단어로부터 형태적, 의미적 파생이 거듭되어 하나의 어휘 의미장을 형성하기에 이르는 경우가 흔히 나타나는데, 이러한 신어들의 형태적, 의미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형태적 측면에서 하나의 의미장에 속한 신어들은 대치의 방식으로 파생된다. 가령, ‘혼밥’, ‘혼술’, ‘혼캠’에서 ‘혼-’은 고정항, ‘밥, 술, 캠’이 대치항이라 할 수 있는데, 고정항이 나타나는 위치와 생성 방식에 따라 의미장을 형성하는 신어의 형식적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미적 측면에서 신어 의미장의 확장 양상은 신어들 사이의 의미관계와 의미 파생에 따라 나타난다. 하나의 의미장을 형성하는 신어들에서도 일반적인 유의, 반의, 상하관계가 모두 나타나며, 주로 대치항의 분포와 의미 범주가 어떻게 확장되는가에 따라 의미적 파생이 나타난다. 이는 <X+○○>의 형식에서 X위치에 대치되고 있는 단어들의 의미 범주에 따른 것이며, 이후 필연적으로 사회언어학적 분석으로 확장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the semantic field of neologisms in terms of the semantic relation and derivations between neologisms. In the case of neologisms, it is common for them to derive morphologically and semantically from the first word,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a lexical semantic field. Accordingly,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se neologisms were examined. First of all, morphologically, neologisms belonging to a semantic field are derived from a method of substitution. For example, in 'honbap', 'honsul', and 'honcam', 'hon-' is a fixed term, and 'bap, sul, cam' can be said to be a substitute term, and depending on where the fixed term appears and how it is created,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formal types of neologisms that form a semantic field. Next, semantically, the expansion of the semantic field is manifested according to the semantic relations and semantic derivations between the neologisms. Even in neologisms that form a semantic field, synonymy, antonymy, and hyponymy are all usually present and semantic derivations appear mainly depending on how the distribution of the substitution and the semantic category are expanded. In other words, it is according to the semantic category of the words that are being replaced by the X position in the form of <X+○○>, which inevitably extends to any pertaining sociolinguistic analysis.

      • Сопоставительный анализ семантического поля глаголов чувств и восприятия в русском и корейском языках

        강정호 충북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4 러시아학 Vol.- No.10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언어현상에 대한 단어연구는 현대 언어학에 있어서 가장 실제적인 문제들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의미장의 구조를 비롯하여 의미장이 어휘의 단위임과 의미장 내에서의 가능한 의미관계의 형태, 한국어와 러시아어에 있어 감각 지각 동사의 의미장 분리 등에 대해 비교분석하고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감각 지각 동사의 의미장은 한국어와 러시아어 모두에 있어서 많은 동질성과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두 언어가 다른 언어 족에 속해 있기 때문에 동사의 의미 변형은 합성이라는 같은 방식으로, 그리고 두 언어 간 장의 구성은 서로 상이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러시아가 감각 지각동사의 어휘 의미장이 동의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음에 반해, 한국어는 동의성 뿐 아니라 다의성에 의해서도 이루어진다. 두 언어 모두 결합성에 일치한다. 한국어에서와 마찬가지로, 러시아어에서도 지각동사는 타동사이거나 자동사로 구성되어 있다.

      • 새로운 리얼리즘의 철학적 인간학

        유헌식 ( Yoo Heon-sik ) 단국대학교 철학연구소 2023 哲學論考(철학논고) Vol.7 No.0

        이 글은 새로운 리얼리즘(der neue Realismus), 특히 가브리엘(M. Gabriel)이 제시하는 새로운 리얼리즘의 관점에서 전통적인 철학적 인간학의 토대를 반성하여 새로운 철학적 인간학의 단초를 마련하려는 시도이다. 철학적 인간학은 기본적으로 동물과 인간의 경계는 어떻게 설정되며, 그 결과에 따라 인간은 자연(환경)과 어떤 관계를 맺으며 문화를 창출해 왔는지를 탐구한다. 셸러의 점진적인 단계론과 정신의 초월성, 겔렌의 단계론 부정과 인간 문화의 조건독립적인 환경적응력, 플레스너의 인간 도구사용론과 도구의 자연친화성 그리고 카시러의 문화 주관주의와 상징주의 등은 인간이 자연에 속해 있으면서도 어떻게 자연의 물리주의에서 벗어나 인간 고유의 문화를 생산하여 인간과 자연 그리고 인간과 인간이 소통해 왔는지 살핀다. 가브리엘이 인간을 ‘동물이 되고 싶어하지 않는 동물’이라고 정의할 때 그는 겔렌과 플레스너의 철학적 인간학과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가브리엘은 새로운 리얼리즘의 존재론을 통하여 그들이 제시하는 인간학적 틀에서 벗어나 인간과 자연환경이 하나의 존재론적 지평 안에서 상호 의존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그는 무엇보다 전통적인 형이상학이 실재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존재’를 거부하고, 존재에 대한 셸링적이고 하이데거적인 실존철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존재는 의미장에서만 나타난다’는 새로운 주장을 펼친다. 그의 의미장 이론은 인간의 사유(생각) 능력을 인간의 자연성과 결부시킨 ‘생각감각(Denksinn)’ 개념과 맞물려, 생각감각이 새로운 의미장을 발견하고 생산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보인다. 존재는 인간에 무관심한 자연의 물리적인 의미장들을 비롯하여 인간이 사유와 상상으로 구성한 인위적인 의미 장들이 상호 교차하고 중첩된 무수히 많은 의미장들로 이루어져 있다. 인간(인간의 생각)은 다른 생명체와 마찬가지로 자연의 소산이기는 하지만 인간은 ‘자기를 이해하고 규정하는 능력’인 ‘정신’을 지닌 존재로서 ‘자유로운 정신적 생물’이다. 가브리엘의 의미장 이론에 따라 존재 일반을 총괄 지도하는 자가 존재하지 않는 세계에서 인간은 ‘자유’로서 자신에게 주어진 ‘생각감각’을 부단히 일깨워 현재 인류가 처한 다양한 위기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요구되는 새로운 의미장을 창출해야 하는 막중한 책무를 지고 있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nstruct a new philosophical anthropology by the means of rethinking the foundations of its traditional form from the standpoint of M. Gabriel’s “der neue Realismus”. Philosophical anthropology studies what kind of relationships human beings establish with nature (or its environment) and give rise to culture by determining differences between human and animal. Scheler’s notion of gradual transition and transcendence of spirit, Gehlen’s denial of transition theory and advocacy for the human culture’s conditionally-independent ability of adaptation to environment, Plessner’s theory on the tool-using ability of humans and natural affinity, and Cassirer’s notion of cultural subject and symbolic forms all strove to understand how humans could overcome their physical limitations in relation to nature to produce cultural phenomena proper and how they communicate with nature as well as between themselves, despite being within nature. Gabriel’s view is in line with that of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of Gehlen and Plessner in defining human being as “animal that does not want to be one”. In the meantime, he distances himself from this anthropological framework and seeks, through his new realism, ways in which humans and natural environment can communicate with and rely on each other in conformity with one and the same ontology. He above all rejects the notion of ‘being’ understood by the traditional metaphysics as existent in favour of the new Schellingian-Heideggerian theory according to which being can only be within the field of sense. This theory, in conjunction with the concept of Denksinn (thought-sense) that couples human thinking with the naturality proper to humans, purports to open up ways in which new fields of sense can be created. The Being consists of numerous and criss-crossing layers of sense constituted by human thinking and imagination as well as physical sense fields of the natural things which are oblivious of humans. These latter (human thinking) are the product of nature as is all living organisms, but are also those of ‘liberal spirit’, in other words, spiritual beings that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determine themselves. In the light of Gabriel’s theory of sense field that does not allow for the all-encompassing generalized being, human beings have the tremendous responsibility of creating new fields of sense required to overcome various crises by awakening their Denksinn endowed as ‘freedom’.

      • 한국어 고유어 낱말의 발생원리

        김구룡 한국어정보학회 2018 한국어정보학 Vol.20 No.2

        한국어 순수 고유어 낱말들을 모두 모아놓고, 먼저, 고유어 낱말 각각의 의미장을 분석해 뜻이 반대 되는 것끼리 짝을 지어 분류해보면, 거기서 어떤 원리로 순수 고유어 낱말이 발생하게 됐는지를 어느 정도는 분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서, 인간의 생존방식인 최소노력 최대효율이라는 원리, 자연계의 운행원리 등을 도입해보면, 고유어 낱말의 발생원리가 좀더 뚜렷해질 것이다. 그와 같은 최소노력 최대효율 원리, 자연계의 운행원리, 그리고 현상계를 음성/양성 2분법으로 인식 하려는 본성 등을 도입해, 한국어 고유어 낱말을 분석-정리하는 연구를 진행했고, 그 결과 한국어 고유어 낱 말들이 양성계과 음성계가 상반의미쌍을 이루고 있고, 자연계의 운행원리를 담았으며, 현상계를 인식하려는 인간의 본성에 부합하도록 낱말이 발생했음을 논증했다.

      • 논문 : 국어학 ; 한국어 중급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중급 학습자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엄소연 ( So Youn Eo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3 한국어와 문화 Vol.13 No.-

        본 논문은 중급 어휘 학습 교재 개발을 위해 기초 연구를 한 것인데 이를 위해 중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자 요구조사를 하였다.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여러 벽에 부딪히기 마련인데 이 중에서도 어휘 학습은 학습자에게 매우 필요하면서도 학습 현장에서 시간·장소 등의 제약으로 인해서 소홀히 다루어지는 부분이기도 하다. 보통 언어기관에서 학습자들은 1주일에 20시간 정도를 할애해서 학습하지만 이 시간 안에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통합한 교육을 받다 보면 구체적으로 어휘의 활용이라든가 유의어의 의미 차이 등을 학습받기 힘들기 마련이다. 학습자들이 어휘 학습으로 인해서 어려움을 겪는 시기는 주로 중급에서부터라고 생각되는데 그 이유는 중급에서부터 기하 급수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어휘들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필요를 토대로 중급학습자들의 어휘 교재에 대한 요구를 조사·분석하였는데 중급 학습자들은 중급을 위한 어휘 학습서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으며 그 구성은 의미장을 토대로 한 주제별 학습서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급별로 어휘가 잘 정리되어 있는 국외의 어휘 학습 교재를 참고로 하여 중급 의미장 항목을 정리한 후 이에 대한 중급 학습자들의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반 언어기관의 중급 학습자들과 학부의 중급 학습자들은 같은 중급이어도 항목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차이를 보였는데 일반 언어기관 학습자들은 일을 위해서 오거나, 결혼, 여행 등 여러 목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기 때문에 실생활과 관련이 많은 표현들을 중요하게 생각해서 이와 관련된 목록들을 좀 더 심도 있게 학습하고 싶어 한 반면 학부에서 학문을 목적인 중급 학습자들은 자신의 느낌 등을 좀 더 세분하게 표현하고 싶어 했고, 전쟁 등의 사회적 이슈에 관심이 있었으며 편지 쓰기, 보고서 쓰기 등의 학문에 필요한 항목들을 더 깊이 있게 학습하길원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바탕으로 중급 학습자들의 의미장을 이용한 어휘 학습 시 필요한 필수항목을 설정하는 데 참고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중급에서 더 상세히 다루어야하는 항목의 순위 결과를 반영하여 깊이 있게 다루어야 하는 부분을 짚어 볼 수 있었다. 이는 학습 목적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고 어휘 교재 개발 시 이를 참고로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특히 상세 항목은 어휘 교재를 의미·주제별 낱권교재를 만들 때 참고하기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 of the intermediate level Korean leaners and suggest the specified vocabulary learning method by using a semantic network. A semantic network is a network that represent relations between the concepts and this represent knowledge, logical descriptions, and pattern recognition. There are plenty of research findings in Korean semantics and these resources can be greatly useful tools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in daily classes, because semantic networks provide various linguistic information. Although there is a great demand for Korean education for foreigners, little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on the Korean lexic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needs analysis has been under taken in such areas as follows: 1) Learners`` needs according to hours of study and vocabulary learning materials 2) Learners`` needs according to essential semantic network area 3) Learners`` needs according to essential semantic network area which learners want to study in detail. This paper attempts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vocabulary learning textbooks focused on intermediate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eed analysis. First, the future-developed vocabulary learning textbooks focused on intermediate level should provide the material based on the semantic network. Second, these vocabulary learning textbooks should include the semantic network which they want to learn. Third, Learners want to study in detail about some special area so vocabulary textbooks should supply the saemantic network area which learners want to study in detail but leaners have various goals and needs so the textbooks can be published as textbooks with a novel in a serial form.

      • 일상 개념 연구 - 이론 및 방법론의 정립을 위한 소론 -

        고지현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0 개념과 소통 Vol.- No.5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the concept of everyday life finds its way onthe major issues and prospects of historical semantics, which was developedafter Reinhart Koselleck’s History of Concepts. Rolf Reichardt’s social historicalSemantics extended a theoretical category of historical semantics into a history ofmentality, and raised the possibility of the scientific and methodical study of themassive data in the texts of everyday life by combining lexical statistics with thestructural semantic field. But lexical statistics has a weakness which involvesquantitative methodology, in the way that lexical statistics can solidly unite withqualitative research. In this respect, intertextuality, which intensifies and deepenshistorical semantics into discourse analysis,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forbuilding up qualitative research. Meanwhile, one can find a unifying structure ofmeaning simply by reading the changes in meaning in the semantic field basedon lexical statistics. At this point, one can have doubts about the historicity ofmeaning: when, and in which conditions, do new meanings occur? Reflectionon this question, consequently, suggests an understanding of the semantic fieldas an open structure rather than as a closed structure. 일상 개념 연구의 이론 및 방법론은 코젤렉(Koselleck, Reinhart)의 개념사 이후에 전개된 역사적 의미론의 쟁점과 그 향후 전망 속에서 모색될 수 있다. 라이하르트(Reichardt, Rolf)의 사회사적 의미론은 역사적 의미론의 이론적 지평을 심성사로 확장하는 한편, 어휘통계학과 구조적 의미장을 결합함으로써 일상 텍스트의방대한 자료를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그러나 어휘통계학은 질적 연구와의 견실한 융합을 조건으로 한다는 점에서 계량적방법이 지닌 취약성을 노출하기도 한다. 역사적 의미론을 담론 분석으로 확장∙심화하려는 상호 텍스트론이 바로 질적 연구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될 수있다. 한편 어휘통계학에 기반을 둔 의미장에서는 의미의 변천을 읽어낼 수 있다기보다는 의미의 통일적인 구조를 보게 된다. 그러한 점에서 의미의 역사성, 곧언제, 어떤 조건 하에 새로운 의미가 발생하는가라는 물음이 제기된다. 이에 대한성찰은 결국 의미장의 닫힌 구조를 열린 구조로 볼 것을 제안하고 있다.

      • 한국어 상(喪), 장례(葬禮) 언어의 의미장과 화행

        방영심 ( Bang Young-sim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9 지역문화연구 Vol.18 No.1

        이 논문은 한국어 상(喪), 장례(葬禮) 언어의 의미장의 체계와 화행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상(喪), 장례(葬禮) 언어의 의미장은 어종(語種)에 따라 분류하면 대부분이 한자어임을 알 수 있었다. 상(喪), 장례(葬禮)가 누구나 겪는 보편적인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고유어가 아니라 한자어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은 의례 자체가 중국의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그 행사가 가지는 매우 높은 의례성 때문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의미에 따라서는 [장례 거행성], [임종 전 의식 거행성], [초상 공지성], [울음 소리], [상주 위로성]과 [애도성] 등의 의미성분에 따라 체계화할 수 있었다. [장래 거행성]은 다시 주체에 따라, 시신의 유무에 따라, 시신의 이동성에 따라, 간소성에 따라 분류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 ‘치르다’와 연어구성을 이루었다. [임종 전 의식거행성]은 종교에 따라 다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초상 공지성]은 불특정인에게 공지하느냐 특정인에게 공지하느냐에 따라 분류할 수 있었다. [울음소리]는 상(喪), 장례(葬禮) 당사자의 울음이냐 조문자의 울음이냐로 나눌 수 있었고, 슬픔을 극대화하는 표현들과 결합관계를 이루는 특징이 있었다. 한국어 상(喪), 장례(葬禮) 화행의 특징으로는. 대화의 쌍에서 시작 화행이 언어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비언어적으로 나타난다는 특징을 가장 먼저 들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대응 화행으로 이루어지는 위로 화행이 상(喪), 장례(葬禮) 화행에서는 언어적으로 가장 먼저 나타나는 빈도가 높다는 특징이 있었다. 상주의 화행에서는 ‘한탄 화행’, ‘원망 화행’으로 슬픔을 대신하는 것도 특징적이었다. 또한 ‘슬프다, 힘들다’와 같은 명시적 감정형용사가 발화되지 않는다는 특징도 있었다. 조문객의 대응 화행은 ‘공감하기’, ‘안심시키기’, ‘의례적인 표현’, ‘격려하기’ 등 특징적인 전략을 통한 위로 화행이 이루어진다. 특히 ‘뭐라 위로의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어떡하냐’, ‘어쩌냐’와 같은 표현이 의례적으로 관용표현처럼 사용되고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system of the semantic field and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acts in the mourning and funeral language of Korean. When the mourning and funeral language of Korea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word types for the semantic field, it falls into the category of Sino-Korean words in most cases. Even though mourning and funerals are universal events to everyone, the mourning and funeral language is comprised of Sino-Korean words instead of native ones, which indicates that the ceremonies were not only influenced by China, but also hold very significant formality as events. As for their meanings, they can be systemized according to the semantic components including "holding a funeral," "holding a ritual before death," "announcement of mourning," "sound of cries," "consolation for the chief mourner," and "condolences." The semantic components of "holding a funeral" can further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ject, the presence of the body, the travel of the body, and simplicity. Most of them are in collocation with "holding." Those of "holding a ritual before death" can further be classified according to religion. Those of "announcement of mourning" can further be classified according to announcement to unspecific people or certain people. Those of "sound of cries" can further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es of the persons directly involved in the mourning or funeral or those of mourners.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xpressions to maximize grief.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mourning and funeral speech acts in Korean, the starting speech acts in dialog pairs are non-verbal instead of verbal. Condolence speech acts as corresponding ones thus record the highest frequency of coming first verbally in mourning and funeral speech acts. In the chief mourner's speech acts, "speech acts of lamentation and resentment" replace grief. There are no speech acts for expressive emotional adjectives such as "sad" and "hard." Mourners' corresponding speech acts are usually comprised of condolence ones based on a characteristic strategy including "sympathy," "reassurance," "ceremonial expression," and "encouragement." Such expressions as "I don't know how to express my condolence," "What are you going to do?" and "How come this happened?" are used ceremonially as idiomatic expressions.

      • KCI등재

        개항기 신문매체를 통해 본 19세기 말의 ‘의리(義理)’ 개념

        문경득(Mun Gyeong-Deu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의리 개념은 조선시대의 지배 이데올로기였던 성리학의 핵심 개념이었지만, 현대 한국사회에서는 부정적이거나 희화화되어 통용된다. 이러한 의미 사이의 간극은 근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의리 개념 또한 변화를 겪었음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개념사 방법론을 적용해 개항기 신문 매체에 나오는 의리 개념의 분석을 시도해보았다. 이를 통해 먼저 19세기 말에 유교적 의리 개념이 확장되고 변용되는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조선후기의 정치적 사건으로 충역시비가 일어나자 이를 봉합하고 왕위계승의 정통성을 세우기 위해 ‘정치의리’가 세워지면서 일종의 ‘정치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조선의 유일한 가치체계를 대표하는 의리 개념이 서구의 ‘신학문’과 비교되는 ‘상대화’ 경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군주에 대한 충성을 확장시켜 국가에 대한 충성을 지향하거나, 춘추대의에 입각하여 의리 개념을 근대국제관계에 적용시키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의리 개념의 의미장 내에서 유교적 지향이 사라진 사례도 확인할 수 있었다. 개화를 정당화하기 위해 도리나 정의처럼 보편적인 가치를 끌어오고 있었다. 기독교와 관련된 기사에서는 유교적 의리 개념과 다른 맥락으로 재구성된 의리 개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의리 개념 분석을 통해 19세기 말 의리 개념의 의미장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의리라는 언표는 성리학을 대표하는 핵심 가치였지만, 개항기에는 더 이상 유교적이지만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oncept of “Uiri (義理)” was a key concept in Neo-Confucianism, which was the ruling ideology of the Joseon Dynasty, but it is used in modern Korean society negatively or as comedy. The gap between these meanings shows that the concept of Uiri has also changed in the process of modern transition. This paper applied conceptual history methodology to analyze the concept of Uiri in the newspaper media during the open port period.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Confucian concept of Uiri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In other words, a kind of “politicalization” occurred when a political dispute arose over the political incident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 “political doctrine” was established to seal it and establish the legitimacy o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In addition, the concept of Uiri representing the only value system of Joseon was compared to the “new studies” of the West, and the “relative” tendency was also confirmed. Furthermore, the concept of Uiri expanded to include loyalty to the monarch and even to the nation, and extended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春秋大義)” to apply it to modern international relations. Second, we were able to identify cases in which Confucian values disappeared within the semantic field of the concept of Uiri. It was bringing about universal values, such as rights and justice, to justify enlightenment. In articles related to Christianity, the concept of Uiri, which was reconstructed in a different context from the concept of Confucian Uiri, could be identified. This analysis confirmed that the semantic field of the concept of Uiri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as changing in its forms. In particular, the declaration of Uiri was a key value representing Neo-Confucianism, bu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 longer Confucian during the Open Port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