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방촬영검사에서 선량지표분석에 대한 모니터링

        조지환(Ji Hwan Cho),이효영(Hyo Yeong Lee),임인철(In Chul Im) 한국방사선학회 2016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0 No.7

        유방촬영검사(Mammography)에서 선량지표를 분석하여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Korea Food & Drug Administ ration)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과 비교분석하여 의료방사선의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으로는 유방촬영검사를 시행한 후 의료영상저장정보시스템(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PACS)으로 전송되어진 선량 보고서(dose report)와 의료전자차트(Electronic Medical Record, EMR)를 참고하여 양쪽 유방 상하방향촬영(cranio-caudal, CC), 내외 사방향 촬영(medio-lateral oblique, MLO)검사에서 관전압(kVp), 조사시간(exposure time), 관전류량(mAs), 유방압박두께(compressed breast thickness), 평균유선선량(average glandular dose),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연령별에 따른 검사부위 CC, MLO에서 유방압박두께는 50-59세에서 45.6 mm, 49.6 mm로 가장 두껍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평균유방압박두께는 CC에서 44.2 mm, MLO 48.9 mm로 MLO가 4.7 mm 더 두껍게 나타났다. 평균유선선량은 CC에서 1.05 mGy, MLO에서 1.14 mGy로 CC보다 MLO에서 0.09 mGy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유방압박두께가 10 mm 증가할수록 CC와 MLO에서는 0.15 mGy, 0.17 mGy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시하는 유방 CC에서 1매 촬영 시 환자가 받는 평균유선선량 1.16 mGy 평가와 비교했을 시 1.05 mGy로 나타났으나 60 mm이상에서는 1.30 mGy로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방압박두께가 높을수록 체질량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기준 25이상인 경우는 유방압박두께가 50 mm 이상일 경우에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ried to determine whether the management of medical radiation is well handled by comparison the guidelines of KFDA(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with analysis of dose indicator in mammography. As a method, it is analysed that kVp, exposure time, mAs, compressed breast thickness, average glandular dose and body mass index that were classified in the examination of both breasts by CC(cranio-caudal) and MLO(medio-lateral oblique) with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and dose report that were sent to the PACS(picture archiving communication system). As a result, in the site inspection according to the age, Compressed breast thickness in CC and MLO were the thickest of 45.6 mm and 49.6 mm in the 50-59 year old respectively. In the overall average compressed breast thickness, CC were 44.2 mm and MLO were 48.9 mm. MLO has more thick by 4.7 mm. In average glandular dose, CC were 1.05 mGy and MLO were 1.14 mGy. MLO has higher by 0.09 mGy than CC. As the compressed breast thickness increases 10mm, CC and MLO increases 0.15 mGy and 0.17 mGy respectively. When it was compared with the average glandular dose of 1.16 mGy per 1 film presented by KFDA, CC was showed 1.05 mGy. However, the 60 mm or more was found to exceed a 1.30 mGy. Also, As the compressed breast thickness was higher, body mass index showed high score. And in the case of 25 or more in the obese body index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t was showed obesity in case of the compressed breast thickness was more than 50mm.

      • KCI등재후보

        A Survey on the Radiation Exposure Doses Reduction Plan through Dose Index Analysis in the Pediatric Brain Computed Tomography

        김현진(Hyeon Jin Kim),이효영(Hyo Yeong Lee),임인철(In Chul Im),유윤식(Yun Sik Yu) 한국방사선학회 2016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소아 두부 CT 검사에 있어서 피폭 방사선량을 경감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부산지역 병원들에서 시행된 년 간 소아 두부 CT 검사에 대한 CT 선량지표(CTDI)를 국내 진단참고준위와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제안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병원별 분류에서는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순으로 권고량이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분류에서는 2-5세 이하, 1개월-1세 이하, 6-10세 이하 순으로 권고량이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캔방식별 분류에서는 Helical, Axial, Volume방식 순으로 권고량이 초과하고 있었으며 스캔범위를 진단참고준위에 맞게 재설정한 결과 상급종합병원에서 재설정으로 인한 감소율은 11.68%, 종합병원에서 15.79%, 병원에서 20.66%로 초과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환자선량 권고량 가이드라인을 벗어나지 않는 환자의 평균 스캔범위의 분석결과 1개월-1세 이하에서 103.2±11.8 mm, 2-5세 이하에서 110.5±14.5 mm, 6-10세 이하에서는 117.8±17.2 mm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proposal to seek ways to reduce the amount of radiation is drawn by comparing and analyzing CT Dose Index(CTDI) on the pediatric head CT which was performed at the busan regional hospitals, to the national diagnostic reference levels. As a result, it was appeared to exceed the amount of the dose recommendation in order of hospital, general hospital and senior general hospital in the hospital-specific classification and from 2 to 5 year, from 1 month to 1 year and from 6 to 10 year in the age-specific classification. In addition, the amount of the dose recommendation was exceed in order of helical, axial and volume in the scan-specific classification. As the results of the scan range reset to match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 the dose reduction showed 11.68%, 15.79% and 20.66% in senior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and hospital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analysing patient average scan ranges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guideline of patient dose recommendation, there was age of 1 month to 1 year, 2 to 5 year and 6 to 10 year of 03.2±11.8 mm, 110.5±14.5 mm, and 117.8±17.2 mm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소아 두부 컴퓨터단층촬영검사에서 선량지표 분석을 통한 방사선 피폭선량 감소 방안에 대한 연구

        김현진,이효영,임인철,유윤식 한국방사선학회 2016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소아 두부 CT 검사에 있어서 피폭 방사선량을 경감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부산지역 병원들에서 시행된 년 간 소아 두부 CT 검사에 대한 CT 선량지표(CTDI)를 국내 진단참고준위와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제안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병원별 분류에서는 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 원 순으로 권고량이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분류에서는 2-5세 이하, 1개월-1세 이하, 6-10세 이하 순으로 권고량이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캔방식별 분류에서는 Helical, Axial, Volume방식 순으로 권고량이 초과하고 있었으며 스캔범위를 진단참고준위에 맞게 재설정한 결과 상급종합병원에서 재설정 으로 인한 감소율은 11.68%, 종합병원에서 15.79%, 병원에서 20.66%로 초과율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환자선량 권고량 가이드라인을 벗어나지 않는 환자의 평균 스캔범위의 분석결과 1개월-1세 이하에서 103.2± 11.8 mm, 2-5세 이하에서 110.5±14.5 mm, 6-10세 이하에서는 117.8±17.2 mm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proposal to seek ways to reduce the amount of radiation is drawn by comparing and analyzing CT Dose Index(CTDI) on the pediatric head CT which was performed at the busan regional hospitals, to the national diagnostic reference levels. As a result, it was appeared to exceed the amount of the dose recommendation in order of hospital, general hospital and senior general hospital in the hospital-specific classification and from 2 to 5 year, from 1 month to 1 year and from 6 to 10 year in the age-specific classification. In addition, the amount of the dose recommendation was exceed in order of helical, axial and volume in the scan-specific classification. As the results of the scan range reset to match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 the dose reduction showed 11.68%, 15.79% and 20.66% in senior general hospital, general hospital and hospital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analysing patient average scan ranges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guideline of patient dose recommendation, there was age of 1 month to 1 year, 2 to 5 year and 6 to 10 year of 03.2±11.8 mm, 110.5±14.5 mm, and 117.8±17.2 mm respectively.

      • KCI등재

        소아 두부 전산화단층촬영 선량지표 분석을 통한 피폭선량 모니터링

        이재승(Jae-Seung Lee),김현진(Hyun-Jin Kim),임인철(In-Chul 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6

        본 연구는 일개병원에서 시행된 년간 소아 두부 CT 검사에 대한 CT 선량지표(CTDI)를 국내 진단참고 준위와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제안점을 도출하고 피폭 방사선량 저감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4년 1월부터 12월까지 두부 손상으로 소아 두부 CT 검사를 의뢰 받은 10세 미만의 소아 231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방법은 선량 보고서와 의료전자차트를 참조하여 일반적 특성, 관전압(kVp), 관전류(mA), 검사 범위, CTDIvol, DLP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CTDIvol은 전체 연구대상자의 7.4%(17명)가 국내 진단참고준위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DLP의 경우 41.6%(96명)가 초과 되어 CTDIvol 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DLP는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시한 CT 선량 지표보다 대부분 약 60% 이상 초과되었으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시한 기준 검사 범위보다 약 30%이상 증가된 검사 범위가 DLP가 높게 나타난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임상에서 CT 검사 시 건강보험심사 평가원에서 제시하는 소아 두부 CT 검사의 기준 검사 범위를 준수하여 검사하고 프로토콜을 적절히 조절한다면 피폭선량을 상당히 낮출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proposals and to suggest the exposure dose reduction scheme on pediatric head CT scan by analyzing and comparing CT dose index (CTDI) and the national diagnostic reference levels.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31 children under 10years who were requested a pediatric head CT scan with head injury were examined. Research methods were to research and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kVp, mA test coverage CTDIvol and DLP referring to dose reports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As a result, 7.4%(17 patients) of the total subjects in CTDIvol showed a national diagnostic reference levels exceeding. For DLP 41.6%(96 patients) in excess was relatively higher than CTDIvol. DLP was exceeded more than about 60% that is higher than the CT dose index presented by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it is cause of high DLP that scan range increased more than about 30% wider than the standard test coverage presented in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In conclusion, it is able to significantly lower the dose if it is complied with checking the baseline scan range of pediatric head CT scan and appropriately adjusting the protoc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