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교과에서의 융복합교육 실행 방안 탐색

        주미경(Mi-Kyung Ju),송륜진(Ryoon-Jin Song),문종은(Jong-Eun M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수학교과와 관련하여 융복합교육을 실행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실행한 Focus Group Interview 자료를 분석하여 수학교과에 적용 가능한 융복합교육 실천 방법을 융복합교육의 목표,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 지원체제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면담 참여 교사들에게 융복합교육은 학문적 정체성 구현과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지향함으로써 경쟁 중심의 학교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실천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면담 참여 교사들은 학생들의 자율성과 능동성, 다양성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수업에 적용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면담에 참여한 수학교사들은 융복합교육이 이전의 교육과 차별화되는 교육목표와 접근법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교사의 전문성이 가지는 중요성과 더불어 교사의 실천을 지원하기 위한 학교 행 · 재정 체계의 변화, 그리고 융복합교육에 대한 비젼의 공유 및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수학교과의 성격을 고려하면 융복합교육의 적용이 가능하고 융복합교육이 수학교육개선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과학 및 기술 교과에 비하면 현재는 학교 현장에서 융복합교육의 실행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수학교과의 특성이 적용된 융복합교육의 특징을 파악하여 융복합교육을 실천하고자 하는 현장 수학교사들에게 실행적 측면에서의 지침을 제공한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Yungbokhap education has been one of the key policies for school reform driven by the Korean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participation of mathematics teachers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subjects such as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research, we interviewed school mathematics teachers to investigate how they conceptualize Yungbokhap education, particularly, educational goals,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 required administrative system. The mathematics teachers considered that Yungbokhap education has a great potential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mathematics and introduced teaching practice to facilitate students’ active agenc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we discussed implications to improve Yungbokhap education in school mathematics.

      • KCI등재

        융복합 수학수업의 실행 방향 탐색

        문종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4

        창의-융합, 태도 및 실천을 포함하는 수학교과 역량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 2018년부터 초등학교 1,2학년 그리고 중고등학교 1학년을 시작으로 매년 순차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의 개념과 원리를 수용함으로써 융복합 수학수업이 수학교육개선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학생들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융복합적 역량을 개발 할 수 있다는 관점을 가지고 중등학교 수학교실 현장에서 실천 가능한 융복합교육의 실행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융복합과 관련된 용어, 융복합교육과 관련된 담론,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와 국내외 수학수업의 문헌을 통한 사례를 융복합교육의 원리 측면에서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범교과적인 융복합교육에 대한 담론을 수학교과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융복합 수학수업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였으며, 그 실천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융복합 수학수업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교사의 역량 측면에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stated integrated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fostering competences like creativity, convergence, attitude and action. From 2018, every secondary school will sequentially implement this each year.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ion how to practice integrated mathematics instruction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and it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Yungbokhap education in mathematics can facilitate students’ integrative ability to solve diverse tasks and social issues creatively as members of world civil socie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preceding research on theories of integrated education,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grams of integrated education to deduct constituting implementation plan. As a result, this study discussed how to practice teaching plans for Yungbokhap education in mathematics and how important is the competence of the teach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mathematics class.

      • KCI등재

        ‘융복합교육’ 기반 수업 설계 사례 연구 : 예비 교사를 중심으로

        심수진,박재현,최수빈,안성호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4

        본 사례 연구는 융복합교육의 현장 실천과 적용가능성 및 교사의 융복합교육 전문성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 중학교 현장에서 교생실습의 일환으로 자생적으로 행해진 예비교사들의 융복합교육 기반 수업 설계 프로젝트를 분석한 것이다. 한 교사의 주도 하에 21명의 예비교사들이 다섯 개 모둠으로 나누어 협업함으로써 융복합수업을 설계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 교사의 서면 인터뷰와 예비교사들의 수업지도안, 발표, 전문가 컨설팅, 성찰지를 자료로 취합하여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융복합수업 지도안에 대해서는 이전에 체계화되어 있는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구성 틀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지도안은 각각 창의적으로 다양하게 융복합교육적 목표와 방식 및 맥락을 충분히 잘 반영하였으며 주제, 내용, 활동요소 등도 융복합에 부합하게 유기적으로 연결된 것이 발견되었다. 단, 자율적 실천 역량을 더욱 촉진하고 개인에서 세계로까지 맥락을 확대하며 이를 다채로운 활동들을 혼합하여 구성할 것이 요구되었다. 한편, 성찰지에 의하면, 이번 사례에 대해 예비교사들은 1) 융복합교육을 ‘과목 간 연계성’, ‘수업의 맥락화’, ‘학습자 중심’으로 차별화하였으며, 2) 융복합수업 설계를 하면서 얻은 ‘새로운 경험’을 통해 자기 과목에 대한 새로운 측면, 학생의 관점, 동료의 전문성, 그리고 협업을 가치 있는 것으로 성찰하였다. 3) 또한, 융복합교육의 절대적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사 전문성 신장과 연구자 자세 함양을 되새기며 향후 융복합교육을 실천하겠다고 진술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장의 교육 개선을 위해 교사의 재량권 보장과 행정적 지원이 필요함과 융복합교육과 관련하여 (예비)교사교육의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o explore the implementability of, and the teacher expertise in “Yungbokhap education”, which embraces “consilient”, “convergent”, “integrative”,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curricular integration, this case study analyzed a self-motivated project for pre-service teachers that was initiated as part of a practicum by a middle-school teacher who supervised the practicum. In the project, the pre-service teachers formed five groups and collaborated to create five integrative instructional unit plans based on Yungbokhap education. Their products positively impressed the school principal, mentor teachers, and other experts. They wrapped up their projects by answering reflective questions. This study analyzed their instructional unit designs and reflections qualitatively, in light of the instruction design framework of Yungbokhap educ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unit plans sufficiently reflect the goals, approaches and contexts of Yungbokhap education with appropriate creativity and variety, and tightly connect lesson themes, contents and activities, except for the fact that they could have further promoted the competency for autonomous action and expanded the context from an individual context to a local/global one employing more vari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ir reflective responses, 1) they seem to characterize Yungbokhap education with features like “inter-subject connectivity”, “contextualization” and “learner-centeredness”, 2) their novel experiences in the lesson planning have led them to discover fresh values in their own subjects, students’ perspectives, peers’ expertises, and fruitful collaboration, and 3) their realization of the necessity of Yungbokhap education has positively challenged them to be more firmly oriented toward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researcher attitude. These results imply that for autonomous and creative improvement of education, in-service teachers’ initiatives should be carefully respected and administratively supported, and that teacher preparation courses should provide pre-service teachers with more empirical chances to deal with curriculum integration.

      • KCI등재

        대학 이러닝 팀티칭 융․복합 교양 교과목 학습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이해듬(Haedeum Lee),남민우(Minwoo Na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융․복합 교양과목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만족을 주는 교수설계 측면의 영향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164명의 학생들이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정보, 스킬,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융․복합적 수업내용을 한 학기동안 이러닝 팀티칭 방법으로 학습하였고, 이러닝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수설계 전략에 대한 수업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요인들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설계 측면에서 학습만족도 영향요인으로 강의내용, 상호작용, 학습편리성, 자기주도성, 학습성취감이 도출되었다. 둘째, 대학 이러닝 팀티칭 융복합 교양과목의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강의내용, 학습편리성, 학습성취감, 자기주도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4개의 변인이 학습만족도를 설명하는 정도는 61.2%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대학 이러닝 융․복합 교양과목의 학습만족도의 중요 영향요인은 강의내용이나 학습편리성인 것으로 귀결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learners’ course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instructions design strategy in college liberal arts e-learning team teaching convergence course. This study analyzed 164 questionnaires about learner motivational factors and instructional design aspects of lesson and activity design in e-learning team teaching ‘Smart college life’ course. The followings were the major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the learners’ course satisfaction consisted of 5 sub constructs such as content design, interaction, user`s conveniency, self-directedness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it was revealed that content design, user`s conveniency,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irectedness affect course satisfaction with convergence liberal arts e-learning course students.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impact on the learners’ course satisfaction,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equation R²=.612. Finally in terms of magnitude of the effect, content design and user`s conveniency were identified having greater influence on the learners’ cours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현장 교육에서 미적분학 극한 개념에 대한 역사적 발전과정을 통한 융·복합적 교수‧학습 방법과 교과개편 제언

        김권욱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현장수업연구 Vol.4 No.1

        In the 21st century,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nd knowledge is exploding due to the unthinkabl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sidering this, it is only natural that there should be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in the existing second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university liberal arts mathema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sion and complex elements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xtreme concepts in the Greek, Middle, Modern, and 17th and 19th centuries, and to suggest the convergence and learning methods and curriculum that can be presented to students when teaching calculus in field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we find that the limit concepts currently dealt with in the secondary education field are historical products created by convergence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according to the learning goal of the limit concep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project-based learning (PBL), creative problem-solving learning, heuristic learning, mathematicaliation inquiry learning using ICT, and question-and-answer and discussion classes were proposed. In addition, this study only discussed limit concepts, but suggests that other problems such as number concepts, equation and function concepts, geometric problems, probability and statistics problems in secondary school content are long-standing historical products. And it suggests the need to reflect this when reorganizing the subject. 21세기 지식정보사회는 이전에는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과학 기술 발달로 정보 미디어, 인공지능(AI) 등과 같은 지식 전달 매체에 의해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지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중등수학 교과서, 대학 교양 수학 등에 교과 내적‧ 외적 변화가 있어야 하는 것은 너무 당연하다. 이 연구는 융·복합 교육적 관점에서 극한 개념의 교수‧학습 방법 제언을 위해서 먼저 그리스 시대, 중세시대, 근대시대, 17세기 ~ 19세기 각 시대에 극한 개념의 역사적 발전과정에 어떤 융·복합적인 요소가 있는지 고찰해 보고, 이를 통해 현장 교육에서 미적분학의 극한 개념을 가르칠 때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융·복합적 교수‧학습 방법과 교과개편에 대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현재 중등교육 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극한 개념은 오랜 시간에 걸쳐 융·복합적으로 만들어진 역사적 산물이고, 극한 개념의 학습 목표에 따라 역사적 발전과정에 따른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발견적 학습, ICT를 활용한 수학화 탐구 학습, 문답 및 토론식 수업 등의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극한 개념만을 가지고 논의하였지만, 중등교과 내용에 나오는 수의 개념, 방정식과 함수 개념, 기하 문제, 확률 및 통계 문제 등의 다른 문제도 오랜 역사적 산물임을 시사하고, 현 중등교과 많은 내용에 이 연구 결과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교과개편 시에 이를 반영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을 위한 융복합 교수-학습 방안 연구 -국어와 도덕 교과의 "배려"를 중심으로

        고희성 ( Heesung Ko ) 국어교육학회 2016 國語敎育學硏究 Vol.51 No.2

        이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국어교육의 핵심역량으로 설정한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를 밝히고, 이를 위한 교과 간의 융복합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은 복합적인 채널을 통해 수많은 지식과 가치들을 공유하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들과 활발히 교류하는 다문화 사회의 학습자들이 그들을 둘러싼 다양한 문화들의 상호성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은 국어과의 핵심역량으로서, ``지식, 기능, 태도``에 해당하는 구성 요소들의 결합을 토대로 구축된다. 이때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는 ``지식, 기능 태도``의 범주에 따라 각각 ``다양한 언어문화에 대한 지식``과 ``호혜적 문제해결에 대한 지식``, ``적확한 언어 사용 능력``과 ``협력적 관계 형성 능력``, ``다양성 존중의 태도``와 ``배려의 태도``로 구분된다. 이러한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은 지금여기, 그리고 미래 사회를 살아가야 하는 학습자들이 길러야 하는 목표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실천 양식으로서 교과 간 통합을 지향하는 융복합 교육의 교수-학습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어과와 도덕과의 통합을 실현한 ``공유모형``을 기반으로 ``상호문화적 소통 능력``의 구성 요소 중 ``배려의 태도``를 위한 융복합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담화 상황에 따른 ``배려``의 가치를 탐구하여 그들의 삶 속에서 ``배려의 태도``를 실천할 수 있도록 ``가치 탐구 학습법``과 ``역할놀이 학습법``이 결합된 복합 모형을 적용해 ``배려``의 교수-학습 과정을 마련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established as key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uited 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suggest a convergence teaching-learning plan between subjects for the forego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refers to the ability that learners in multicultural society sharing various knowledge and values and exchanging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with members actively through a complex channel understand, respect and communicate reciprocality of various cultures encircling them.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as key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subject, is construct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components corresponding to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are classified as ``knowledge of various linguistic cultures``, ``knowledge of reciprocal problem-solving``, ``ability to use accurate language``, ``ability to form a cooperative relation, ``attitude respecting diversity`` and ``c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corresponds to the objective that learners living here now and will live in the future society should develop, so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plan for increa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should be prepared. For the objective, teaching-learning in convergence education aiming at the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as a practical mode can be actively utilized. Of the compon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this study suggested a convergence teaching-learning plan for ``caring attitude`` based on the ``Shared Model`` that realized integration between Korean language and Moral subjects. This means that this study prepared a teaching-learning course for ``caring`` by applying a complex model that ``value inquiring learning method`` and ``role playing learning method`` are integrated for enabling learners to fulfill ``caring attitude`` in their life by seeking the value of ``caring``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conversation.

      • KCI등재

        국악 교수학습법 관련한 국내 연구의 융·복합적 연구 동향 분석 - 2000~2010년대를 중심으로 -

        허문정(Hur, Moon J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2

        일반적으로 국악은 전통음악을 의미하며, 사람들은 흔히 양악과 구분하여 인식한다. 이러한 국악에 대한 교육은 양악과는 다른 한국 문화예술의 전통을 승계하고, 창조적 발전을 위한 활동을 의미하며, 최근에는 기존 전통적인 방식의 교육에서 탈피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국악을 전승하는 것이 아니라 융·복합적인 측면에서 국악 교수학습법이 현대적으로 변화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국악 교수학습법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악 교수학습법 주제 논문의 최근 연구 동향을 메타정보로부터 개략적으로 고찰하여 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00년대부터 2018년 말까지 간행된 국악교육 분야 박사학위논문 및 학술지 게재 논문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려 한다. 분석을 위하여 동 기간동안 실제 지도 방안 및 적용 효과 등에 관해 연구를 수행한 선행연구는 워크숍 간행 논문, 학위논문의 게재 논문 및 기타 중복 논문을 제거하고,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상에 공개되지 않은 채 서지정보만 공개된 논문을 배제한 결과 총 286편의 선행연구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분석결과,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에 집중되어 있으며, 지도방안, 교육과정 순으로 연구주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연도별로는 2000년대 전반기에는 초등학생 대상의 지도방안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2000년대 후반기에는 전반기에 비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2010년대 전반기에는 음악교과서 관련 연구가 증가하였으며, 2010년 후반기에는 다시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악교수학습법 관련 연구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국악 교수학습법의 연구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후속 연구에서는 국악 교수학습법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미진했던 연구 분야, 자주 채택되지 않았던 연구방법론 및 연구대상으로 잘 다뤄지지 않았던 교육 편제를 파악하고, 이로부터 새로운 연구의 방향을 찾는 작업이 수월해질 것을 기대한다. In general, korean traditional music refers to traditional music, and people often recognize it separately from wester music. This education on korean traditional music refers to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 of Korean culture and art,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both musical instruments, and the activities for creative development, and has recently been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way of education. These changes mean that the method of lear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is not merely a transf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ut a modern change in the method of learn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erms of convergence and synthesis. Despite the changes, research on the method of teaching Korean classical music is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recent research trends in the thesis on the subject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method by overviewing them from meta-inform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s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published papers in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the 2000s to the end of 2018, will be reviewed. A leading study that conducted research on actual guidance methods and application effects during the same period for analysis removes workshop publications, academic papers, and other duplicate papers, a total of 286 pre-research studies will be studied as a result of excluding papers that were not released on the online database but only bibli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concentra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high in the order of teaching methods and curricula. By year, in the first half of the 2000s, the study on teaching method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mainly conducted, and in the latter half of the 2000s, the study on the curriculum increased compared to the first half. Next, in the first half of the 2010s, the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music textbooks increased, and in the latter half of 2010, the number of studies on the curriculum increased agai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 aims to prepare a more systematic research foundation for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rofessors learning act by examining the flow of research related to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method. Further, we hope that the follow-up research will make it easier to identify the areas of research that were not developed in prior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subjects that were not well dealt with as subjects of research.

      • KCI등재후보

        한국대학의 교양교과목 개발의 실태와 방향성 고찰

        이희용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4

        This article aim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convergent subject in General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y and its development direction. For this study, first, has this article examined the development necessity of the Liberal Arts for the convergent knowledge education and the convergent trend which has been spreaded in almost korean university. Then, have we examined lists of the convergent subject in General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y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are developing in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up to date. And lastly, have we grasped the pros and cons of the developed convergent subjects in General Education and tried to propose its development principle and direction. This article focused on that we consider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developed convergent subjects in General Education then checked the present status of the convergent knowledge education which has become a indispensable task in university today. The convergent subjects in General Education have several characters and merits that will bring the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in basic general education dimension. Firstly, have The convergent subjects in General Education provide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several and balanced learning experience in order to train the talented person whom our society require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Secondly, can the convergent subjects in General Education carry faithfully out a role of basic and rational liberal arts course. Thirdly, have the convergent subjects in General Education he teaching-learning modelof experience-discussion-introspection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ability. There, on the other hand, are demerits and difficulty to develop the convergent subjects in General Education in spite of that to study and development of them take a great deal of time. In order to develop the proper Convergent Liberal Arts must there be the right development principles and direction. Above all, must the convergent knowledge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t subjects in General Education focus on the building up of students’s basic cap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ir’s real ability. I think that participation of student as the educational subject is what will make or break the convergent knowledge education. 본 연구는 2012년 11월 현재까지 국·내외 대학들에서 개발된 또는 추진되고 있는 융복합 교양 교과목들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교과목들의 장단점을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앞으로 융복합 교양 교과목들을 좀 더 바람직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개발원칙을 제시하는 것이다. 개발된 융복합 교양교과목들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지식융합 교육의 현주소를 점검하려는 것은 융복합 교육을 위한 선결조건이 아닐 수 없다. 융복합 교양 교과목의 개발 현황은 교양차원에서 융복합 지식교육의 수준과 지식산업 사회에서 교양교육의 역할을 점검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바로메타가 될 것이다. 융복합 교양교과목들은 지식산업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을 스스로 창출하고 활용해야 하는 비판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능력과 창의적인 상호 소통능력의 배양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