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션디자인의 윤리적 지향 가치의 범주화

        안민희,주보림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2

        최근 들어 미닝아웃의 소비문화가 풍요로운 삶에 윤리적 가치의 중요성을 가져오면서 새로운 소비의식이 대두되고 있다. 패션계 역시 현대 윤리와 지속가능성을 바탕으로 하는 윤리적 패션디자인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특징 및 사례를 분석하고 지향 가치별 범주를 제시하 는데 목적을 두었다. 윤리적 패션디자인에 의해 변화를 겪고 있는 패션 분야를 사례 중심으로 관찰하면서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특징을 기업윤리, 디자인 윤리, 소비 윤리 등 세 차원에서 도출하였다. 그리고 현시점에 필요한 패션디자인의 윤리적 지향 가치를 사회 중심적 가치, 환경 중심적 가치, 문화 중심적 가치 등 세 가지 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의 심미적 가치 전달에서 사회적 가치 영역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패션계의 윤리적 디자인 방향성이 지속가능성과 깊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윤리적 패션의 기준에 의거하여 기업, 디자인, 소비 등 세 가지 윤리의 사례를 통해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된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특징들 및 지향 가치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책임감 있는 공급과 소비 양 측면의 조화를 유도하는 범주화가 구축되는 것이 시급하다. 범주화는 지속 가능한 우리의 행보를 점검하고 정하는 일이다. 본 연구는 지난 몇 년간 윤리적 패션디자인에 의해 변화를 겪고 있는 패션 분야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지향 가치 범주화를 통해 윤리적 패션디자 인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a new sense of consumption has emerged as Minning Out’s consumer culture has brought importance of ethical value to a rich life. The fashion industry is also emphasizing ethical fashion design based on modern ethics and sustainability.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examples of sustainable ethical fashion design and presenting categories by directional value. By observing the changing fashion sector by ethical fashion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ethical fashion design were derived from three levels: business ethics, design ethics, and consumer ethics. And the ethic-oriented value of fashion design needed at this time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ocial-centered value, environmental-centered value, and cultural-centric valu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 of ethical design in the fashion industry, where the importance of social value area is emphasized in the aesthetic value transfer of design, is deeply related to sustainability. Second, based on ethical fashion standards, the three ethical cases of ethics - business, design and consumption - were deriv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thical fashion design and its orientation value derived were identified as correlated. Fourth, it is urgent to construct the categorization with a view to harmonization in terms of responsible supply and consumption. Categorization is what checks and determines our sustainable course of action. This study has deep understanding on the fashion sector that has been undergoing changes due to ethical fashion design over the past few years,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thical fashion design. The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basic dta on the direction of ethical fashion design through the categorization of oriented vaalues.

      • KCI등재

        국내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업종 네트워크의 성장을 위한 정책과제 수립

        장남경,이미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윤리적 패션의 지속가능성 정착과 성장을 위하여 정책 방향을 수립하고 전략과제를 도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1) 이론적 고찰로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의 역사와 정의를 살펴보고, (2)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 가치사슬의 단계별로 제기되는 지속가능 윤리적 이슈와 해결 방안을 분석하고, (3) 유럽과 미국의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 단체의 활동과 운영, 정책에 대해 사례분석을 실시한 후, (4) 국내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의 정책 방향을 수립하고 전략과제를 도출하였다. 사례분석을 위해서는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 관련 기사에 자주 언급되고 대표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해외 플랫폼 8곳을 선정하여, 웹 사이트, 기사,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로 도출된 전략과제는 3C 전략과제로 Connect, Collaborate, Create를 포함한다. Connect 전략과제는 윤리적 패션 소재, 생산자, 판매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온라인/오프라인 네트워킹과 공유 공간 활성화, 연구과제 발굴, 국내외 판로 개척, 그리고 윤리적 패션 국가 또는 도시 브랜드 구축이다. Collaborate 전략과제는 생산자 일감연계 프로젝트, 대기업ㆍ중소기업 상생, 대규모 생산/폐기 의류의 지속가능 윤리성 의무 도입, 그리고 산학 또는 관학 협업이다. Create 전략과제는 윤리적 패션 콘텐츠 제작 및 관리,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의 이미지 형성, 지속가능성 인증 및 리포트 발간, 윤리적 패션 소비자 캠페인, 그리고 윤리적 패션 소비자 멤버십 운영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의 정책 개발과 제도 개선은 물론 국내 지속가능 윤리적 패션 가치사슬 구조에 존재하는 다양한 제조 및 판매업자 간의 파트너쉽으로 윤리적 패션 생태계 조성과 소비문화 견인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윤리적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한 패션 런웨이 연구 - 2017 S/S 서울 컬렉션 ‘지속가능한 패션 그리고 디자인’ 런웨이를 중심으로 -

        이경재,김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2

        국내 처음 시도된 윤리적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한 패션 런웨이 연구를 통해 윤리적 패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넓히고자 새로운 마케팅 방식을 제안하고 지속가능한 패션 런웨이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외 지속가능한 패션 런웨이 관련 사례 조사를 통해 런웨이 기획의 구성요소를 구분하고 각 요소를 적용한 진행 과정을 소개하였다. 2017 S/S 서울 패션위크의 ‘지속가능한 패션 그리고 디자인 런웨이’를 중심으로 윤리적 패션 브랜드의 공동 브랜딩 기획의도, 과정, 결과 등을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패션 런웨이의 기준을 정립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참여 브랜드의 미션을 유형별로 구분하고 공동 브랜딩을 통한 런웨이를 진행하였다. 산업과 문화를 포괄하는 윤리적 패션의 개념을 확산하기 위해 참관객과의 사전 소통과 참여로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윤리적 패션 철학 기반의 브랜드 간 협업과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패션 런웨이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윤리적 패션의 디자인 철학과 지속가능한 패션에 대한 기준을 재정립 할 수 있었다. 지속가능한 패션의 확산을 위해 브랜드 철학과 소비자 인식이 확장되어야 한다. 또한 패션산업 발전이 가져올 미래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 책임 있는 개발과 소비가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urports to enhance consumer awareness of ethical fashion and propose positive aspects of fashion runway, with a case study on first-ever sustainable fashion runway of ethical fashion brands in Korea. By examining overseas sustainable fashion runway cases, this study identified components of runway planning and explained each component’s application process. Intent, process and result of co-branding of ethical fashion brands were analyzed based on case studies including ‘Sustainable Fashion and Design Runway’ of 2017 S/S Seoul Fashion Week. Standards of sustainable fashion runway were established by analyzing overseas cases. Missions of each participating brands were categorized and runway was planned through co-branding process. To spread ethical fashion concepts embracing various industries and culture, a consensus was formed among spectators through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Future of sustainable fashion runway of ethical fashion and design, including zero-design, fair trade, and eco-friendly design, was suggested. Consumer awareness and brand philosophy need to be strengthened to spread concepts of sustainable fashion. Responsible approach to fashion development and consumption shall also be required to prepare future changes in fashion industry.

      • KCI등재

        섬유패션에 나타난 윤리적 디자인 연구

        양진숙(Jin Sook Yang),박효은(Hyo Eun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현대 사회는 산업혁명 이후 고도의 산업발전과 경제적 풍요로움을 얻었지만 지구환경의 훼손과 자원고갈, 폐기물 처리 등의 심각한 문제까지 얻었다. 이에 따라 환경문제가 크게 대두되면서 여러 분야에서 환경을 살리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특히 섬유패션 분야에서도 환경과 자원고갈, 폐기물 처리 등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그린 섬유패션, 친환경 섬유패션 등 다양한 윤리적 디자인의 필요성이 촉구되고 있다. 윤리적 디자인은 환경과 인간뿐만 아니라 사회전체를 위한 사회적·환경적 책임이며 실천이다. 본 연구는 윤리적 디자인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섬유패션에서 나타난 윤리적 디자인 사례를 연구하여 앞으로 섬유패션 분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섬유패션에서 윤리적 디자인은 1960년대 자연과 인간애를 중요시한 히피문화에서 시작되어 개성중심의 펑크 패션을 거쳐 환경 친화적 에콜로지 패션으로 발전되어 지금의 윤리적 디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섬유패션 사례에서 나타난 윤리적 디자인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단순히 자원을 재활용 하는 것뿐 아니라 본래의 제품보다더 가치 있게 만드는 업-사이클링 디자인을 통해 섬유패션이 환경을 보호하고 자원을 재활용함으로써 본래의 것보다 더 가치 있게 만들고 있다. 둘째, 친환경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인간이 자연과 함께 상생함을 보여주면서 급진적인 산업화와 가시적트렌드를 추구하지 않고 편안함과 친근함 등을 보여주고 있다. 윤리적 디자인은 가치관과 문화, 경제, 사회적 현상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도 소비자들에게 자원고갈과 환경문제를 지구촌 전체의 문제로 인식시키는 계기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 소비자들은 업-사이클링과 친환경 소재로 이루어진 윤리적 디자인의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섬유패션에서는 향후 윤리적 디자인을 고취시킬 제품을 개발 하는데 주력해야 하며, 이에 대한 인식을 더 높이기 위하여 사회 책임 마케팅. 윤리적 마케팅 연구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odern society has obtained high-level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richnes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al development led to damage to environment, exhaustion of resources and increased waste. Accordingly, environmental problems came to the fore and ways to revive environment have been presented in almost all fields. Textile fashion field also recognizes problems of environment, exhaustion of resources and waste disposal and the need of ethical design such as green textile fash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textile fashion has been demanded. Ethical design is social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practice for environment, humans an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direction that textile fashion field aims to textile fashion field by studying cases of ethical design and giving an overall consideration of ethical design . Ethical design in textile fashion started from hippie culture that regarded nature and philanthropy in 1960`s and evolved into environmentally friendly ecology fashion after going through individuality oriented punk fashion. The characteristics of ethical design that has been shown in the cases of textile fashion are as follows. First is public welfare ethical design that shows textile fashion protects environment and recycles resources through up-cycling which makes resources more valuable beyond simple recycling of resources. Seco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ethical design that aims at coexistence of humans and nature by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Ethical design gives an opportunity through which consumers recognize ethical design as global issue in a situation in which value, culture, economy and society changes rapidly. As a result, consumers tends to purchase products with ethical desig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developing products that can enhance ethical design in the field of textile fashion. Research on social responsible marketing and ethical marketing is needed to raise awareness of it.

      • KCI등재

        윤리성을 기반으로 해체의 방법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허진영,김혜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In modern society, an interest in environment got to increase on the whole, and the importanc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ethics is brought to the fore. Hence,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ossibility of practicing people- and environment-oriented ethical fashion design through establishing ethical deconstruction design procedure and embodying this in fashion design b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recycling a vast amount of fashion waste to be dumped and the importance and value of ethical fashion design brought to the fore in society at large. With regard to major methods of this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ethics and deconstruction was defined. And based on investigation and case study of deconstructionism applied to ethical fashion design and fashion, the characteristics were deduc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this theoretical study and empirical study, the principle and procedure of ethical fashion design deconstruction was established. As a result, through the concept of ethical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and the principle of external forms in deconstructionist fashion, a visual external form was investigated. It was deduced that this was resource reuse, escape from fixed idea and disjunction, the principle of ethical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Based on this, ethical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procedure was established with mix and match, avant-garde, layering, zero waste and transfer of function, and was embodied in work. Therefore, it is intended to hope that various studies on pro-environment-oriented ethical fashion design will continue to be carried out through studying fashion design from which a product can be manufactur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practical value of design and establishing the procedure of ethical deconstruction fashion design. 현대 사회는 전반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고, 생산 및 소비 윤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윤리의 개념은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디자인과 관련하여 강조되고 있으며, 브랜드 철학에서 더 이상 윤리의 개념을 간과 할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버려지는 방대한 양의 패션 폐기물들의 재활용 필요성을 인식하고 사회 전반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중요성과 가치에 주목하여 윤리적 해체의 디자인 방법을 구축하고 이를 패션디자인으로 구현함으로서 인간과 환경 중심의 윤리적 패션 디자인 실천의 가능성을 제안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윤리와 해체의 개념을 정의하고, 윤리적 패션디자인 및 패션에 적용된 해체주의에 관한 고찰과 사례 조사를 바탕으로 그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연구와 실증연구에 의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윤리적 패션 디자인 해체 원리와 방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윤리적 해체의 패션디자인 개념과 해체주의 패션의 외적 형식 원리를 통해서 시각적인 외적 형식을 고찰하였으며 윤리적 해체의 패션디자인 원리인 이접, 고정관념의 탈피, 자원의 재사용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믹스 앤 매치, 전위, 레이어링, 제로 웨이스트, 기능의 전환으로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 방법을 구축하고 작품으로 구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의 실천적 가치로 윤리성을 주목하고 윤리적 해체 패션디자인 방법을 구축하여 제품으로 제작 가능한 패션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친환경 중심의 윤리적 패션디자인의 다양한 연구들이 지속되길 기대하고자 한다.

      • KCI등재

        윤리적 패션 인증제의 현황, 과제와 전망

        이준옥,장남경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윤리적 패션과 관련된 여러 종류의 인증제도들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문적으로는 윤리적 패션 인증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패션기업에게는 윤리적 패션을 실천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안하고, 소비자에게는 윤리적 기업과 브랜드, 제품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관련문헌, 정기간행물, 인터넷 등을 통해 윤리적 패션과 관련된 인증사례를 종합하여 인증의 주체와 회원, 기준, 심사 및 실행절차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인증들은 친환경 소재 사용, 폐기물 감소, 에너지 관리, 유해 화학물질 관리, 건강한 노동환경, 윤리적 생산, 사회적 책임, 윤리적 소비 지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슈들은 크게 환경, 사람, 협력이라는 세 가지 틀로 분류되었다. 또한 섬유, 직물 및 의류 생산, 유통, 사용, 폐기에 이르는 패션 파이프라인의 모든 단계에 인증제가 관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기초로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윤리적 패션 인증제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윤리적 패션을 실천하는 기업 담당자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과 케이스 스터디 등을 포함한 실증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a) to examine various accreditation systems regarding ethical fashion, (b)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ethical fashion accreditation system. This study was also intended to provide theoretical background of ethical fashion accreditation system to academic field, promote practice and evaluation method for ethical fashion to fashion industry, and help to increase consumers’ trust toward ethical fashion industry, brand, and product. Accreditation systems regarding ethical fashion were gathered through literature, trade publications, and internet, and then analyzed on main agent, membership, standards, examination, and process. Findings were as follows. This study identified three frameworks for ethical fashion accreditation system; environment, people and cooperation that include the use of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waste reduction, energy usage management, harmful chemical control, healthy working condition, ethical production, social responsibility, and support for ethical consumption. All of these were interconnected within fashion pipeline which is from fiber, textile and apparel production, retail, use, through discharge. Based on this study, the accurate and concrete ethical fashion accreditation system which is suitable to Korean fashion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For this, future studies will be continued conducting positive research, including case-study and in-depth interview with staffs in ethical fashion companies as well as consumers.

      • KCI등재

        윤리적 패션으로서 국내 업사이클링 브랜드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김미현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6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sustainability of up-cycling fashion brands as ethical fashion, and research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fashion industr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his study understands theoretical background of domestic up-cycling fashion brands that are attracting public attention as an alternativ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fashion industry as ethical fashion by reflecting the trend that interest i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 increasing. Second, this study examines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up-cycling fashion brand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s ethical fashion. Third, this study seeks for a solu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domestic up-cycling fashion brands as ethical fashion by selecting 5 domestic up-cycling fashion brands. Sustainability of domestic up-cycling fashion as ethical fashion is First, domestic up-cycling fashion brands seek social values encouraging social responsibility by providing information of up-cycling through offering of education, training or service related to sustainability. They are increasing public values of sustainability, realizing community interest and fulfilling social sustainability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Second, economic sustainability is shown as creation of economic profits by securing market competitiveness through offering of job opportunities at domestic up-cycling fashion brands or fair and joint economic activities with cooperative firms. Thir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s shown as suggestion of creative design of up-cycling brands, improved quality, interest in future environment about material and usability for high-functionality, and they emphasize significance of future environment for sustainable fashion industry through environmental campaign and by suggesting use of natural and functional materials. 본 연구는 윤리적 패션으로서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성을 살펴보고 패션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가능성을 모 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관심에 따라 윤리적 패션, 국내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에 대한 개념과 특성을 이해한다. 둘째, 윤리적 패션으로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내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의 현황과 사례를 살펴본다. 셋째, 국내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 5곳을 선정하여 윤리적 패션으로서 국내 업사이클링 패션 브 랜드의 지속가능한 발전 특성을 도출 한다. 윤리적 패션으로서 국내 업사이클링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성은 첫째, 사회적 지속가능성에서 패션 취업 교육 및 훈련이나 교육서비스 제공을 통해 업사이클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회적 책임을 독려하는 사회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속가능성이라는 공공의 가치를 높이며 사회적 공동체의 이익 실현하여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것이다. 둘째, 경제적 지속가능성은 국내 업사이 클링 패션 브랜드의 일자리 제공이나 협력 업체와의 공정 및 공동 경제 활동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여 경제적 이익 창출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적 지속가능성은 업사이클링 브랜드의 창의적인 패션디자인 제안, 개선된 품질, 친환경 및 고 기능성 소재 사용에 대한 미래 환경 관심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환경보호 운동 같은 캠페인과 천연소재 및 기능성 소재를 활용을 제시하여 지속가능한 패션 산업을 위한 미래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 KCI등재

        섬유패션디자인 제품의 윤리적 소비에 관한 사례 분석

        과효원(Hyo Won Kwak),양진숙(Jin Sook Y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급격한 경제발전과 소비의 증대는 환경오염과 다양한 사회 문제를 발생시켜 인간의 생존까지 위협하는 상황에 이르면서 오늘날의 생태적 위기에 처한 현상으로 기존의 개발, 과학, 기술 중심적인 사고의 한계가 드러났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미래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킨다는 의미의 개념이 생겨났다. 이어 최근에는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적 영향까지 고려하는 착한소비, 이른바 윤리적 소비가 대두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소비의 개념과 등장 배경 및 역사를 알아보고,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섬유 패션디자인 제품에 나타난 윤리적 소비 사례 분석을 함으로써 섬유패션디자인산업의 윤리성이 한 차원 발전되기 위하여 기초 자료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문헌을 통한 이론적 배경연구와 브랜드 사례연구를 병행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해 본 결과, 섬유패션디자인 제품의 윤리적 소비는 크게 두 가지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윤리적으로 생산된 제품을 소비하는 방법으로, 전세계적으로 미치는 환경적, 사회적 영향을고려하면서 섬유, 패션 제품을 창조, 제작된 제품을 소비하여 경제적 수익과 환경보호, 사회성을 동시에 실현시키는 활동이며, 두 번째로는 제품을 윤리적인 방식으로 소비하는 방식이다. 환경 보호나 불우이웃 돕기 등을 주제로 한 캠페인을 벌이는 브랜드의 제품을 구입한다거나, 수익의 일부분을 윤리적으로 기부하는 제품을 구입하는 등 섬유패션제품을 소비함으로써 윤리적 소비가 실현되는 방법이 있다. 첫 번째 접근은 생산자 측면에서, 두 번째 접근은 소비자의 측면에서 행해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사례 분석 결과, 전세계적으로 보여 지고 있는 2000년대 이후 제품의 디자인 중 타이포그래피 디자인과 친환경 그래픽으로 자원절약, 환경보호의 메시지를 전달 받는가 하면, 기계 생산을 하지 않고 수공예 디자인 생산으로 탄소 배출을 절감하는 등 여러 유형의 디자인이 있었고, 소재로는 친환경 소재 제품, 유기농 소재 제품, 재활용 소재 제품을 통해 친환경적 소비를 유도하고 있었다. 또한 공정무역 제품을 통해 인권 보호, 정당한 임금 대우, 고용 창출, 지역 경제 활성화를 꾀하였고 제품을 소비함으로써 사회 기부가 이루어지고 캠페인 및 프로모션을 통해 각종 사회 활동을 펼쳐 사회적인 윤리적 소비를 유도하기도 하였다. 섬유패션산업에서 지속가능성과 윤리가 성숙된 문화로 정착될 수 있기를 희망하며, 실천성과 진정성을 갖춰나가기를 기대한다. 윤리적 소비가 일정기간이 지나면 사라져버리는 트렌드가 아닌 성숙된 문화로 정착될 수 있고, 이 연구가 섬유패션디자인의 윤리적 소비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하며,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가 계속 이어지기를 바란다. As radical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consumption caused not only environmental pollution but also a diversity of social problems which even threatened the human survival, the limitation of existing ideology centered on development, science, and technology came to the fore. In line with the foresaid problems, a concept which meets the needs of current generation while protecting the capacity to meet the needs of future generation was created. Recently, ethical consumption the concept of which is to consider social influence as well as environment has been on the rise. This study inquires into the concept, background and history of Ethical consumption. Bringing forward a series of suggestions through case analysis on the basis of such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sets forth the direction to which the ethics of textile fashion design industry should advance. The result shows that the true meaning of ethical consumption shall be implicated by producer manufacturing the products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s over the world, and by consumer purchasing such products. It was also found that the said products are generally categorized into eco-friendly products, recycled products, organic products, handcraft products and animal welfare products. The ethical way of consumption shall be attained through social contribution, campaign, promotion and consumption of fair trade products. The results of case analysis demonstrate that there have existed multitudinous product designs since 2000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ones which save resources through typographic design along with eco-friendly design, which deliver the messag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which reduce carbon emission through handcraft production without using any machinery. Also did the products made of eco-friendly materials, organic materials and recycled materials induce eco-friendly consumption from consumers. The fair trade products contributed to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realization of fair wages, creation of jobs and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The consumption of such products substantially promoted social contribution, and various social activities such as campaign and promotion led to the socially ethical consumption. The study of this class should proceed for hopeful future where all life on earth could coexist and harmonize along with the research on how to solve the problems occurring from double-sidedness. Lastly, I wish that the ethics in textile fashion industry could settle down as a part of mature culture along with practicability and authenticity.

      • KCI등재

        패션영상에 나타난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조윤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3

        패션계의 지속가능성을 표현하는 패션영상이 늘고 있다. 지속가능성은 우리 사회에 필요한 개념이자 이슈이며 변화를 거듭하는 패션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패션영상의 개념 및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지속가능성이 표현된 패션영상 사례를 분석하여 그 유형별 특성을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패션영상에 표현된 지속가능성의 사례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은 첫째, 패션영상의 개념 및 발달과정을 문헌과 사례연구를 통해 추출한다. 둘째, 지속가능성의 개념 및 지속가능한 패션의 범주를 선행연구 분석으로 정립한다. 셋째, 지속가능성이 표현된 패션영상을 사례 분석하여 유형별 특징을 정립한다. 패션영상의 사례는 패션전문채널과 패션플랫폼을 통해 분석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영상은 패션에 대한 생각과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패션그래픽에 움직임, 텍스트, 사운드를 더한 창작물이며, 패션관련 동영상, 영화, 애니메이션, 광고, 사진 등을 포함한다. 둘째, 지속가능성은 미래를 위해 인류의 존재 방식을 구축하는 새로운 비전이며, 지속가능한 패션의 범주는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윤리적 측면이 있다. 셋째, 패션영상에 표현된 지속가능성의 유형은 환경적 실천가치, 사회적 문화창출, 경제적 경영관리, 윤리적 소비지향형으로 나눌 수 있다. 환경적 실천가치형은 리사이클링 실천을 강조하며 광고·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사회적 문화창출형은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연극·쇼트필름 형식이 많았다. 넷째, 경제적 경영관리형은 지속가능한 소재를 테마로 한 쇼트필름·다큐멘터리 형식이다. 윤리적 소비지향형은 기업윤리를 강조하며, 캠페인·다큐멘터리 형식이 다수이다. 본 연구는 패션영상에 나타난 지속가능성에 대한 구체적 연구 선례로서 패션영상에 표현된 지속가능성의 유형별 특성을 정립하고 표현방식을 분석한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사회적 주제를 다루는 패션영상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다양한 디자인이 계획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현대 패션의 동물 보호 프로젝트 동향과 시사점

        위보람,김선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동물과 환경에 대한 책임 있는 의식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현대 패션의 동물 보호 프로젝트 동향을 고찰하여 그 유형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 패션이 지향해나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동물 보호 기반의 각종 사회적 프로젝트가 등장하게 된 배경을 탐색하였고, 사례 연구는 동물 보호에 대한 인식이 대중적으로 확산하고 패션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체화하여 전개되고 있는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 전반에 걸쳐 동물 보호 프로젝트가 가시화되고 있는 요인은 반려동물 에 대한 인식 변화, 동물 보호정책과 동물복지에 대한 인식 확대, 그리고 윤리적인 소비문화가 확장되고 있다 는 점에 주목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 아래 패션 분야에 나타난 동물 보호 프로젝트 유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 첫째, 멸종 위기 동물 보호 프로젝트이다. 주로 멸종 위기 동물을 강조한 디자인으로 이들에 대 한 관심과 인식의 전환을 상기시켰고, 기부 방식의 사회적 프로젝트 전개로 지구환경과 후속세대를 위한 윤 리 실천 의지를 나타냈다. 둘째, 유기동물 보호 프로젝트이다. 유기동물 보호 슬로건이나 이미지를 활용한 제품 출시 및 캡슐 컬렉션, 유기동물의 패션 매거진 모델 연출 등의 기부 프로젝트로 전개되면서 대중의 호응 을 이끌었다. 셋째, 퍼 프리 운동 및 다양한 방식의 비건 패션 전개로 동물 보호라는 차원을 넘어 보다 확장된 방식의 윤리적 패션을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하였다. 넷째, 패션 브랜드의 펫 라인 전개 및 협업이다. 펫 의류나 관련용품을 전개해오던 기존 패션 브랜드 외에 다수의 패션 브랜드에서 펫 라인 신규 출시나 반려 동물을 모티브로 한 협업 전개, 그리고 반려동물과 함께 착용할 수 있는 커플룩 전개를 통해 패션과 인간, 동물의 유대관계를 강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동물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패션의 사회적 가치 추구 의지 를 파악할 수 있었다. 앞으로 패션 분야에서 동물권익과 사회적 책임 의식 강조가 더욱 확대될 것이며, 이와 관련된 새로운 마켓 형성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stress on the responsibility for animals and the environment today,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for the future fashion through examining animal protection projects in contemporary fashion and comprehending a trend. This research searched for the background that brought forth many animal protection-based social projects in realizing the work. Case study analyzed the cases that appeared after 2000 when awareness of animal protection spread among the public and variously specified types showed up. Research resulted in the specified indications of animal protection project in the societies largely such as changes in perceptions of pets, animal protection policy and widened awareness of animal welfare, and spread of ethical consumption. Considering such circumstances, types of animal protection project are categorized as follows. The first is a protection project for endangered species. This is the design emphasizing the endangered animals, which reminded us of concern and conversion of awareness and represented the commitment to ethical practice for the global environment and following generations by social projects in the form of donation. The second is a project for abandoned animal protection. This appealed to the public by developing into a protection slogan about unattended pet or release of an image application product, capsule collection, and a donation project of abandoned animal's appearance in fashion magazines. The third is fur-free campaigns and extension of various vegan fashions, which developed into the reflection of willingness to realize a wide spectrum of ethical fashion beyond the animal protection. The fourth is the pet line development and collaboration of a fashion brand. Besides the conventional fashion brands, emphasis of human-animal relationship was put on new release of pet line, collaboration with a motif from companion animal, and couple looks between companion pet and its owner. This work mad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fashion's pursuit of social value to protect the animals and environment. Animal right and social awareness of responsibility would be expected in the future fashion field. Setup of a related market would be also exp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