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배인 심노숭의 孤獨과 文筆로써의 消愁 -유배일기 『南遷日錄』을 중심으로-

        김영진 근역한문학회 2013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7 No.-

        Some of Sim No-sung's literary works such like sentimental prose and poem, already have introduced to the public. He had been exiled to Changgi county from 1801 to 1806, and he wrote his diary without omission during that period. In this paper, I studied the aspect of loneliness found in his literature, especially focusing on his journal. As the first step, I investigated the political reason of his exile. And then I researched Namch’ŏn Ilnok and Sanhae p’ilgi by textual studies. Sanhae p’ilgi is a selected collection of Namch’ŏn Ilnok. In the second place, I introduced the aspect of loneliness in his literature, and his creating activity. In fact, the loneliness in his literary works is nither outright nor massive. However, as he stick to his delicate emotions during his entire life, we can find his loneliness and sentiments from his journal. He tried to solve his loneliness and pain by creating literature. He wrote every phase of his exile life in journal, and he sent it to his home. Furthermore, he translated it into the Korean alphabet for his mother. Sometimes he exchanged his journal for his brother's journal. He wrote the products, things, historical feature, political situations, and scenery in his journal with free touch. And his journal itself was a high standard literary work. I will look for his unique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with other writers. And the connections with Su shi(蘇軾) and Yuan Zehn(元稹) also is an important task. 孝田 沈魯崇(1762~1837)은 아내에 대한 悼亡詩文을 대표로 하는 感傷的인 글들이 기존에 소개되었었다. 그는 정치적인 이유로 1801년부터 1806년까지 機張縣에 유배되었는데 유배생활을 빠짐없이 일기로 남겼다. 본고는 심노숭의 유배일기를 중심으로 小品 작가의 문학에서의 孤獨의 표출 양상을 考究해보고자 쓰여졌다. 그 기초 단계로서 심노숭이 유배에 처하게 된 가문적, 정치적 내력과 유배일기 『南遷日錄』 및 이것의 選錄인 「山海筆戱」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2장과 3장에서 우선 알아보았다. 「山海筆戱」는 『南遷日錄』에서 총 551話를 選錄한 것이다. 4장에서는 流配人 심노숭의 고독의 양상과 그 消遣 方法으로 택한 ‘문필’ 활동을 소개하였다. 사실 심노숭 유배일기에서 확인되는 심노숭의 孤獨은 全面的이지도 않고, 큰 분량을 차지하지도 않는다. 다만 感情의 여린 선을 그 어떤 문인보다 강하게 가지고 있던 인물이기에, 유배일기에도 특유의 孤獨과 感傷이 종종 드러나 있다. 이를 소개해보았다. 심노숭은 유배지의 고독과 고통을 다양한 글쓰기 작업 즉 ‘文筆’로 해소했다. 일기의 형식으로 생활의 모든 것을 담아 고향으로 보냈는데 모친을 위해 諺文으로 번역하기까지 했다. 아우의 일기와 交換도 겸하였다. 그의 일기 속에는 유배지의 낯선 風光과 事物․物産, 역사와 인물, 자신이 겪은 政爭과 당대의 정치 상황이 상세하게 적혀 있다. 수준 높으면서도 감동력 있는 人物記事, 事件記事, 문예성 있는 잡록 등 자유로운 문체의 名文들이 탄생했다. 향후 심노숭 유배일기를 동시기(이옥, 김려 등)의 유배문학 및 선후의 유배문학과 대비 고찰을 통해 그만의 독특한 특성을 추출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다. 심노숭 문학에의 깊은 영향으로서의 蘇軾․元稹과, 불교․도교조차 자신의 삶과 생활에 밀착시킨 심노숭의 독특성 등도 향후 考究의 대상이다.

      • KCI등재후보

        朝鮮時代 流配刑罰의 性格

        신규수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2 한국문화연구 Vol.23 No.-

        Exile was one of the punishment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unishments of the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into five types after being influenced by the Grand Ming Codes of China and from these, being exiled was classified as a severe punishment. “Hyung” indicates punishment and punishment originated from revenge. Revenge is to take vengeance on someone you have a grudge or resentment against but after a nation was established, this has been represented as a compulsive penalty upheld by the power of the nation. If there was someone to receive this punishment of exile, there was someone who ordered this punishment. In principle, the punishment was ordered by the king, the Minister of Justice, and the provincial governor;however, there were cases forced by the lobbying of bureaucrats and political opponents. That is, a person can be exiled by an individual with power, through the decision of a policy or if it is the wish of the people throughout the nation. Therefore, the exiled could have resentment and hatred toward the punisher and it is just as important to whom the exiled person holds a grudge against. This is because the exiled could spend their life resenting someone for the rest of their life, which will only bring about self-destruction. On the other hand, under the bad geographical conditions, an exiler lived a difficult life since their day jobs were mainly in fishery or agriculture. The exiled had no one to express and listen to their frustrations and hate and it was also not the place to discuss philosophy or academia. Although many suffered from the inevitable anger in their place of exile, as time passed and much of the rage has faded, some took this opportunity to make a fresh new start. They blamed themselves for their situation which provided an opportunity for a self-examination. This paved the way for a better future and from time to time, some of the most beautiful arts and intellectual studies were created in places of exile. In this respect, the punishment of exile was a chance of self-reflection and the place of exile was a secret training ground where people can build their character, not a fierce battle ground. 유배의 형벌은 조선시대 형벌 가운데 하나이다. 조선시대 형벌은 중국의 대명률(大明律)의 영향을 받아 오형(五刑)으로 정립되었는데, 여기서 유배의 형벌은 중형에 해당되었다. 형(刑)이란 곧 형벌을 지칭하는 말이다. 형벌의 기원은 ‘복수’라는 데에 있었다. 복수라는 것은 원한이 있는 상대에게 대한 앙갚음인데 국가가 세워지면서부터 국가의 권력에 의한 강제력이 뒷받침된 형벌로 정립되었다. ‘유배형벌을 받은 자’가 있다면 ‘유배라는 형벌을 내린 자’가 있었다. 유배의 형벌은 국왕과 형조, 지방의 관찰사가 결정하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더러는 국왕을 둘러싸고 도는 관료집단이 국왕의 의사를 강요하여 정해지는 경우와 정적(政敵)에 의해 유배의 형벌에 처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유배의 형벌을 내린 자는 권력을 가진 개인일 수도 있고, 정책에 의한 결정일 수도, 혹은 온 국민의 바람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배자는 상대에 대한 원망과 증오가 있을 수 있다. 이는 곧 유배의 당사자가 누구를 원망하느냐와 궤를 같이 할 수 있는 문제인데, 유배 기간 동안 줄곧 상대에 대한 원망과 한탄으로 일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원망으로 일관한 삶이란 결국 자기 멸시와 자기 파괴를 가져올 따름이었다. 한편, 지형적인 악조건 속에서의 지역민의 생활이란 것도 어업이나 농업이 주업인 관계로 세찬 격랑과 싸워야만 했을 열악한 삶이었다. 따라서 유배지는 자신의 온갖 울분과 증오를 토로해 보았자 귀 기울여 줄 사람이 없고, 철학이나 학문을 논할 환경이 아니었다. 열악한 유배지에서 어쩔 수 없는 인간적인 분노에 시달리다가도, 세월과 더불어 격정(激情)이 사그라지고 허물이 벗겨질 양이면, 유배라는 극악한 현실을 오히려 새 출발의 계기로 삼은 인물도 있었다. 그들은 모든 결과를 자신의 모자람과 부덕의 소치로 돌리고 운명의 힘을 온 가슴으로 끌어안기도 하였다. 그랬을 때 가장 활기찬 현실의 반성과 미래의 모색이 유배지에서 꽃피기도 하였다. 즉, 유배지에서 가장 아름다운 예술품의 완성이, 가장 심오한 학문의 집대성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유배라는 형벌은 곧 자신을 회고하는 기회의 제공이었던 것이며, 유배지는 골치 아픈 이전투구가 벌어지는 난전이 아니라 우리의 정신세계를 가다듬을 수 있는 심산(深山)의 수련장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북관노정록』의유배 예조몽(流配豫兆夢)연구

        조수미 ( Su Mi Cho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3 石堂論叢 Vol.0 No.57

        유배 일기에 등장하는 유배를 예조(豫兆)하는 꿈 모티프는 허구적인 서사물에서 꿈이 담당하는 복선의 기능과는 다르게 이해해야 한다. 본고는 유의양의 유배일기인『북관노정록』을 중심으로 유배 예조몽이 어떤 맥락에서 쓰여진 것인지 탐색하였다. 그 결과 유배 예조몽은 유배에 운명적 의미를 덧씌움으로써 유배의 형벌적 의미를 희미하게 만들고 있다고 보았다. 이는『북관노정록』뿐만 아니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유배관련 기록에서도 종종 발견되는 모습이기도 하였다. 유배일기의 서술자들은 유배가 죄의 유무와는 별개로 이미 운명적으로 예정되어 있었다고 말함으로써, 자기표백의 수단을 얻게 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유배라는 예기지 못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정신적 근거를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On the Exile diary, Exiled predictive dream often.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a lot of hard to believe. If the fictitious novel and it was the same as the things, the possibility of this story of a dream to make pixel organized will be perceiving it would. However, it is a factual documentary of the first-person diary. Therefore, we cannot deny the historicity of the record. As a result, Exile putting a comment meaning fate and his innocence seems to want to. By doing so, they could endure the reality.

      • KCI등재

        조선시대 유배인의 현황과 문화자원의 활용-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김경옥 호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40 No.-

        This is made to find out the periodic development of exiles in Jeonam province, The current situation of existing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exiles, and the ways of making use of exile-cultural resources. A result of searching exiles' situation in Jeonam from the Annals of the Chosun Period is that the number of exiles is 534 in all. The periodic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by the type of counties and prefectures in the exiles' situation are below. First, the periodic number of the exiles is estimated to three in the 14th century, eighty-two 15th, twenty-eight 16th, thirty-one 17th, one hundred seventy-eight 18th, one hundred ninety-six 19th, sixteen the first half of the 20th.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the 18th century to 19th has a 70% of the number of the exiles in Jeonam province. The population of the southwest islands had increased suddenly at that time. The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those areas changed provinci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other words, myuns for groups of islands were established in the 18the century, and three counties like Dolsan county, Wando county, and Jido county were created in the 19th century. Second,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have been confirmed in 25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36 places. The places of the exile of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m were islands like Jejudo, Kogeumdo, Jindo, Heucksando, Chujado, Sinjido and so on, and the next places were counties and prefectures in inland area located on the coast like Haenam, Kangjin, Heungyang, Kwangyang, Jangheung,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 were isolated islands or counties and towns in inland area which had administrative jurisdiction over the islands. Third, there were connections between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and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were only Jindo and Jejudo during the early days of Chosun Period . In the late of Chosun Period , however, new places of exile were added like Kogeumdo, Narodo, Dolsando, Balpo, Yudo, Limjado, Sinjido, Jido, Heucksando, and so on.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in those islands were established more or created in the late of Chosun Period . In other words, establishment of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resulted in making use of the islands as the places of exile. Fourth, existing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the exile in Jeonam province are the living places of exiles, seodang established in the places of exile, the books written in the places of exile, historic sites related to the exiles, and so on. In the books written in the places of exile like collections of works, poetical works, diaries, letters, traveler's journals, the value of their materials have been noticed from the view of primary historic materials regarding Jeonam province. 이 글은 조선시대 전남지역 유배인의 시기별 추이, 현전하는 유배인 관련 문화자원의 현황, 그리고 유배문화자원에 대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전남지역 유배인의 현황을『조선왕조실록』에서 검색한 결과 총 534명이 검출되었다. 유배인의 時期別·郡縣別 추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 유배인의 수는 14세기(3명), 15세기(82명), 16세기(28명), 17세기(31명), 18세기(178명), 19세기(196명), 20세기 전반기(16명) 순으로 집계되었다. 즉 전남지역 유배인의 추이는 18-19세기에 무려 70%를 점유하고 있었다. 이 시기는 서남해 도서지역의 인구가 급증한 시기이기도 하다. 도서지역의 인구 증가는 지방행정편제를 변화시켰다. 즉 18세기 섬에 諸島面이 설치되었고, 19세기에는 3郡(돌산군·완도군·지도군)이 신설되었다. 둘째, 유배인의 配所는 25개 郡縣, 36處에서 확인되었다. 유배지 가운데 빈도수가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고금도․진도․흑산도․추자도․신지도 등 섬이었고, 그 다음으로 해남․강진․흥양․광양․장흥 등 바닷가 연안에 입지한 郡縣이었다. 즉 유배인의 배소는 絶島이거나, 혹은 이들 섬의 행정관할권을 갖고 있던 내륙지역의 郡邑이었다. 셋째 유배인의 配所와 水軍鎭과의 관련성이다. 조선전기 전남지역의 유배지는 珍島와 濟州島뿐이었다. 그런데 조선후기에 이르면 고금도·나로도·녹도·돌산도·발포·여도·임자도·신지도·지도·흑산도 등이 새로운 유배지로 추가된다. 이들 섬은 조선후기에 수군진이 증설되거나 신설된 곳이다. 즉 섬에 수군진이 설치된 결과 유배지로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넷째, 현전하는 전남지역 유배 관련 문화자원으로는 ①유배인의 적거지, ②유배지에 개설된 서당, ③유배지에서 작성된 저술, ④유배인 관련 역사유적 등이다. 이 가운데 유배지에서 작성된 저술(문집․시집․일기․간찰․기행문)의 경우, 전남지역에 관한 1차 사료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주목된다.

      • KCI등재

        유배일기에 기록된 가족 사별(死別)과 유배객의 심적 상태 : <적소일기>와 <신도일록>을 중심으로

        조수미(Cho, Su-mi) 한국고전연구학회 2021 한국고전연구 Vol.- No.55

        유배라는 형벌을 이해할 때 그것이 갖는 정치적 의미에 지나치게 집중하게 되면, 그 형벌이 살던 곳에서의 추방, 가족과의 격리 등을 동반하는 일상의 파괴였다는 사실을 간과하기 쉽다. 그러나 유배가 가진 징벌적 성격은 가족 구성원을 강제로 이산(離散)시킴으로써 유배객과 그 가족들에게 가하게 되는 정신적 고통에도 그 중요한 본질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김약행의 유배일기 〈적소일기〉와 이세보의 유배일기 〈신도일록〉을 대상으로 하여 일기에 나타난 가족 이산, 특히 사별(死別)의 정황과 그 기록 속에 드러나는 유배객의 심적 상태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유배일기에는 대체적으로 유배객이 부고장을 받는 것으로 가족과의 사별에 대한 서술이 시작된다. 평상시와 같았다면 오히려 부고장을 다른 이들에게 보내주어야 하는 입장의 유배객들이, 오히려 뒤늦은 부고를 통해 가족의 죽음을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지는 상장례 절차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도 다른 이를 통해 전해 듣고, 유배객 본인은 직접 참여하지 못하는 정황들이 계속해서 이어진다. 그리고 그 서술 속에서 발견되는 유배객들의 두드러진 심적 상태는 자책(自責)과 여한(餘恨)이라는 말로 요약이 가능하다. 가족의 죽음에 자신의 유배가 직·간접적으로 그 원인을 제공했다는 사실 때문에 느끼는 괴로움은 자책으로 이어지고, 장례 절차에도 제대로 참여하지 못하는 유배객으로서의 처지는 되돌릴 수 없는 여한을 남기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유배는 가족의 죽음이라는 일대 사건 앞에서 그 징벌적 특성이 부각 된다. 가장 가까운 이를 절망과 기다림 속에서 죽음으로 이끌기도 하고, 영원한 이별 앞에서도 방관자로 머물 수밖에 없도록 하는, 일견 매우 가혹한 형벌이었던 것이다. When considering the political meaning behind punishment of exile, it is easy to overlook the fact that it was a destruction of daily life accompanied by the expulsion from one’s place of residence and isolation from one’s family. The punitive nature of exile in forcibly dispersing family members was the main sourceof the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amongpeople in exiles and their famil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mental state of those in exile by focusing on the circumstances of family separation, especially during bereavement, by referring to exile diaries such as Kim Yak-haeng’s 〈Jeoksoilgi〉 and Lee Se-bo’s 〈Sindoilrok〉.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when an exile received news about the death of his family he experienced self-blame and regret. This desperate pain of believing that his exile may have directly or indirectly contributed to the death of his family leads to self-blame, Further, being an exile who cannot properly participate in the funeral process creates an irreversible sadness. Thus, the punitive nature of exile is significant in the major event of death in the family. The cruel punishment, of exile not only leads one’s family to death while they wait in despair but also forxes exiles to remain as bystanders eternal separation from their family. them. This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why exile was chosen as the second most severe punishment right after the death penalty.

      • KCI등재

        조선시대 유배인(流配人)의 교육활동 연구 : 교육목적, 교육내용 및 방법을 중심으로

        강동호 교육사학회 2022 교육사학연구 Vol.32 No.2

        This study comprehensively considered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exiles, which have been dealt with in the history of local education, focusing on the purpose of education, the content of education, and edu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system. The punishment of exile was to send exiles away and isolate them, one of the five punishments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exiles tried to improve the educational culture of the marginalized areas, and this was the purpose of the exiles' education. The exiles conducted Neo-Confucian education for the sons of nobles, and as a result, many passed through the examination for the appointment of civil servants. And, in many cases, education was given to childre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exiles were not planned in advance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was conducted due to the various levels of learners. This study classified these contents and presented them based on the cases.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inductively synthesize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exiles and their meanings that have been conducted individually. As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it will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bu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exiles have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education of the Joseon Dynasty.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지방 교육사의 측면에서 다루어져 왔던 개별 유배인의 교육활동을 교육의 목적, 교육내용,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종합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 오형(五刑)의 하나였던 유배형은 원악의 유배지에 죄인을 격리하는 형벌로써 주된 유배지는 중앙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소외되고 낙후된 지역이었다. 따라서 유배인 교육활동의 형성 배경에는 소외된 지역의 풍속을 교화하고자 하는 유배인들의 자발적인 교육 동기가 전제되어 있었다. 이러한 면에서 원악 유배지의 풍속을 교화하는 것을 유배인 교육활동의 목적으로 제시하였다. 유배인들은 유배지의 풍속을 교화하기 위해 사족자제들을 대상으로 도학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과거 합격의 성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기초교육을 통해 유배지의 교육문화를 전반을 향상시키는 경우도 많았다. 유배인의 처한 상황과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그 내용과 수준이 달라졌으나, 결국 지역의 문풍 진작에 기여하였다. 유배인의 교육활동은 유배지에서 현지 주민들과 돌발적인 만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배인의 교육활동은 사전에 의도하고 계획된 교육과정을 갖추고 진행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유배인의 교육활동은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능력과 특성에 따른 개별화 교육으로 이루어졌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 교육은 수준별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졌으나, 유배인의 교육활동은 구조적으로 개별화 교육과정을 시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그 개별화 교육적 성격이 보다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개별 유배인의 교육활동과 그 의미를 귀납적으로 종합하여 유배인의 교육활동 나름의 교육체계를 정리하고자 하는 시도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다양한 사례가 축적되고 더욱 면밀한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유배인의 교육활동에 관한 교육사적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유배문학의 특성과 양상

        조동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9 No.-

        Exile is was a kind of punishment in traditional society. But it gave an unusual opportunity for many writers to make good works. While some of them lamented misfortune, the other ones got new vision of the world. Literature of exile used various forms of writing. prose and verse. classical Chinese and vernacular Korean. New experience in remote places provided precious contents. The poems of kasa type frequently used the motif of exile from the heaven on the earth. Hansi, the poetry in classical Chinese, showed remarkable experiments. 전통사회에서 유배는 형벌의 하나이지만 문학 창작을 위한 좋은 계기를 마련했다. 유배를 겪으면서 한가한 시간을 얻고, 고난을 겪으면서 훌륭한 작품을 남긴 문인이 적지 않다. 자기 처지를 비관하고 한탄에 잠기기도 하고, 새로운 각오를 다지기도 했다. 유배를 다룬 문학은 다양한 표현 형태를 사용했다. 산문도 있고, 시가도 있다. 한문으로 쓰기도 하고, 국문으로 택하기도 했다. 먼 곳에 가서 겪은 새로운 체험이 유배문학의 주요 내용을 이루었다. 가사에서는 유배된 처지를 천상백옥경에서 하계로 추방된 적강이라고 했다. 유배한시는 한문학의 새로운 경지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호남유배인의 문헌자료와 문화콘텐츠

        김대현 ( Kim Dae-hyun ),김미선 ( Kim Mi-su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8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1

        본 논문에서는 호남유배인과 그들이 남긴 문헌자료의 현황을 살피고, 문헌자료의 활용으로서 문화콘텐츠화를 간략히 제시하였다. 먼저 호남유배인 928명의 시기별, 지역별 현황을 살폈는데, 시기별로는 7세기 1명, 12세기 6명, 13세기 8명, 14세기 26명, 15세기 114명, 16세기 76명, 17세기 112명, 18세기 274명, 19세기 279명, 20세기 32명으로, 거의 대부분이 조선시대의 인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별로는 광주가 9명으로 1%에 미치지 못하고, 전남은 685명으로 67%, 전북이 83명으로 8%, 제주가 239명으로 23%를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배인이 많은 전남지역 안에서도 제주, 신안, 진도, 완도 등 일부 섬 지역에 집중된 상황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호남유배인의 문헌자료 중 주목되는 것으로 문집, 일기, 시가집 등을 확인하였다. 특히 문집은 106종을 확인하였으며, 유배지에서 쓴 한시가 시록(詩錄) 형태로 들어있는 문집, 유배지에서 사람들과 주고 받은 편지가 다수 수록된 문집, 유배지에서 쓴 일기나 유기, 유배와 관련한 상소문이 수록된 문집을 다수 확인하였으며, 많진 않지만 유배가사를 담고 있는 문집도 볼 수 있었다. 일기도 유배인의 구체적인 생활과 감정을 생생하게 볼 수 있는 자료로서 활용 가치가 큼을 확인하였다. 이 외에 유배인이 호남 유배지에서 쓴 시조·가사를 모은 시가집과 유배지에서 집필한 학술적 저술도 의미 있는 문헌자료라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호남유배인 문헌자료의 활용으로서 문화콘텐츠화를 살폈다. 현대에 문화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고 호남유배인 문헌자료가 문화콘텐츠화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호남유배인 문헌자료의 구체적 예시를 통해 문화콘텐츠화를 살펴본 결과 미디어콘텐츠, 관광콘텐츠, 교육콘텐츠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onam-exiled figures and the literary documents left by them and briefly proposed cultural contentsization as their utilization measures. First, Honam-exiled 928 figures were examined by time and region. By time, there was one in the 7th century; six in the 12th century; eight in the 13th century; 26 in the 14th century; 114 in the 15th century; 76 in the 16th century; 112 in the 17th century; 274 in the 18th century; 279 in the 19th century; and 32 in the 20th century. Most of the exiles were found to have lived in the Joseon period. By region, there was nine in Gwangju, accounting for less than 1%; 685 or 67% in Jeollanam-do; 83 or 8% in Jeollabuk-do; 239 or 23% in Jeju.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n Jeollanam-do with many exiles, exiles concentrated in some islands such as Jeju, Sinan, Jino and Wando. Of literary documents left by Honam-exiled figures, noteworthy documents were found to be literary collections, diaries and poem collections. In particular, for literary collections, 106 kinds were found. Literary collections included classical Chinese poems in the form of poem records, letters exchanged between people in the exile areas, diaries, and pleas to the kings in connection with exiles. There was also a few collections of Gasa (a form of poetry) on exiles. Diaries offered a vivid look into the specific life and feelings of exiles, make them worthy of use. In addition, literary collections of Sijo and Gasa (types of poetry) written by exiles in Honam, as well as academic writings authored by exiles were found to be very valuable data. Lastly, cultural contentsization examined as the proposed measure for using Honam-exiled figures’ literary documents. This is because the demand for cultural contents is high in contemporary times and Honam-exiled figures’ literary documents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cultural contentsiz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cultural contents by citing specific examples of Honam-exiled figures’ literary documents, it is confirmed that they are highly applicable in the media contents, tourism contents, and educational contents areas.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시대 유배인의 현황과 문화자원의 활용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김경옥 ( Gyung Ok Kim ) 호남사학회(구-전남사학회) 2010 역사학연구 Vol.40 No.-

        이 글은 조선시대 전남지역 유배인의 시기별 추이, 현전하는 유배인 관련 문화자원의 현황, 그리고 유배문화자원에 대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전남지역 유배인의 현황을『조선왕조실록』에서 검색한 결과 총 534명이 검출되었다. 유배인의 時期別?郡縣別 추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 유배인의 수는 14세기(3명), 15세기(82명), 16세기(28명), 17세기(31명), 18세기(178명), 19세기(196명), 20세기 전반기(16명) 순으로 집계되었다. 즉 전남지역 유배인의 추이는 18-19세기에 무려 70%를 점유하고 있었다. 이 시기는 서남해 도서지역의 인구가 급증한 시기이기도 하다. 도서지역의 인구 증가는 지방행정편제를 변화시켰다. 즉 18세기 섬에 諸島面이 설치되었고, 19세기에는 3郡(돌산군·완도군·지도군)이 신설되었다. 둘째, 유배인의 配所는 25개 郡縣, 36處에서 확인되었다. 유배지 가운데 빈도수가 가장 높은 곳은 제주도·고금도·진도·흑산도·추자도·신지도 등 섬이었고, 그 다음으로 해남·강진·흥양·광양·장흥 등 바닷가 연안에 입지한 郡縣이었다. 즉 유배인의 배소는 絶島이거나, 혹은 이들 섬의 행정관할권을 갖고 있던 내륙지역의 郡邑이었다. 셋째 유배인의 配所와 水軍鎭과의 관련성이다. 조선전기 전남지역의 유배지는 珍島와 濟州島뿐이었다. 그런데 조선후기에 이르면 고금도·나로도·녹도·돌산도·발포·여도·임자도·신지도·지도·흑산도 등이 새로운 유배지로 추가된다. 이들 섬은 조선후기에 수군진이 증설되거나 신설된 곳이다. 즉 섬에 수군진이 설치된 결과 유배지로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넷째, 현전하는 전남지역 유배 관련 문화자원으로는 ①유배인의 적거지, ②유배지에 개설된 서당, ③유배지에서 작성된 저술, ④유배인 관련 역사유적 등이다. 이 가운데 유배지에서 작성된 저술(문집·시집·일기·간찰·기행문)의 경우, 전남지역에 관한 1차 사료라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주목된다. This is made to find out the periodic development of exiles in Jeonam province, The current situation of existing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exiles, and the ways of making use of exile-cultural resources. A result of searching exiles` situation in Jeonam from the Annals of the Chosun Period is that the number of exiles is 534 in all. The periodic development and the development by the type of counties and prefectures in the exiles` situation are below. First, the periodic number of the exiles is estimated to three in the 14th century, eighty-two 15th, twenty-eight 16th, thirty-one 17th, one hundred seventy-eight 18th, one hundred ninety-six 19th, sixteen the first half of the 20th.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the 18th century to 19th has a 70% of the number of the exiles in Jeonam province. The population of the southwest islands had increased suddenly at that time. The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those areas changed provinci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n other words, myuns for groups of islands were established in the 18the century, and three counties like Dolsan county, Wando county, and Jido county were created in the 19th century. Second,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have been confirmed in 25 counties and prefectures and 36 places. The places of the exile of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m were islands like Jejudo, Kogeumdo, Jindo, Heucksando, Chujado, Sinjido and so on, and the next places were counties and prefectures in inland area located on the coast like Haenam, Kangjin, Heungyang, Kwangyang, Jangheung,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 were isolated islands or counties and towns in inland area which had administrative jurisdiction over the islands. Third, there were connections between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and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The allocated places of the exiles were only Jindo and Jejudo during the early days of Chosun Period . In the late of Chosun Period, however, new places of exile were added like Kogeumdo, Narodo, Dolsando, Balpo, Yudo, Limjado, Sinjido, Jido, Heucksando, and so on.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in those islands were established more or created in the late of Chosun Period. In other words, establishment of the camp of the naval forces resulted in making use of the islands as the places of exile. Fourth, existing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the exile in Jeonam province are the living places of exiles, seodang established in the places of exile, the books written in the places of exile, historic sites related to the exiles, and so on. In the books written in the places of exile like collections of works, poetical works, diaries, letters, traveler`s journals, the value of their materials have been noticed from the view of primary historic materials regarding Jeonam province.

      • KCI등재

        일본 상대문학(上代文學)에 나타난 유배(流配) 고찰 -이소노 가미노 오토마로(石上乙麻呂) 관련 한시(漢詩)・와카(和歌)를 통하여-

        사이토 아사코 동아시아고대학회 2011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26

        본 논문은 ‘유배(流配)’가 일본 상대문학(上代文學) 한시(漢詩)・와카(和歌)에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지를, 이소노 가미노 오토마로(石上乙麻呂, いそのかみのおとまろ, 이하 ‘오토마로(乙麻呂)’)의 유배관련 한시(漢詩) 및 와카(和歌)의 특징과 상호적인 의미를 통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상대문학(上代文學)작품 『회풍조(懐風藻)』(751)와 『만엽집(萬葉集)』(630~760)은 공통적으로 오토마로(乙麻呂)의 유배 관련 노래만이 실려 있어 일본 유배문학을 고찰하는 단초가 된다. 일본의 유형 제도는 당의 율령제도의 도입으로 시작한다. 유형은 율(律)에 따라 정한 5형 중의 하나이다. 유배(流配)를 모티브로 하는 작품의 초출(初出)은『일본서기(日本書紀)』(720)에서 「卜者曰、有内乱。蓋親々姦乎」로 시작되는 부분이다. 인교천왕 24년(允恭天皇 24年, 435) 가루노 히쓰기노 미코(軽太子, かるのひつぎのみこ, 이하 ‘가루노 미코(軽太子)’)와 가루노 오이라 쓰메(軽大郎女, かるのおおいらつめ, 이하 ‘가루노 이라쓰메(輕郎女)’)는 오누이간의 금단(禁斷)의 사랑으로 유배된다. 가루노 미코(軽太子)의 유배의 원인이 간통이라는 남녀 관계였다는 점이 주목되는 대목이다. 또, 일본의 최초의 한시집(漢詩集)인 『회풍조(懐風藻)에는 오토마로(乙麻呂)가 도사(土佐)로 유배되었을 때의 네 수가 있다. 또, 와카집(和歌集) 『만엽집(萬葉集)』에는 아미노 오오키미(麻続王, おみのおおきみ)노래군(1권/23, 24), 오토마로(乙麻呂)가 도사(土佐)로 유배될 때의 노래군(6권/1019~1023), 나카토미노 야카모리(中臣宅守, なかとみのやかもり)와 사노노 지가미노 오토메(狭野茅上娘子, さののちがみのおとめ)의 증답가(贈答歌) 군(群)(15권/3723~3785)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토마로(乙麻呂)의 유배는 상대문학(上代文學)작품 『회풍조(懐風藻)』와 『만엽집(萬葉集)』에 문학적 소재로 쓰일 정도로 세인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것이다. 물론, 이는 오토마로(乙麻呂)가 용모(容貌)・문재(文才) 모두 뛰어난 당대를 대표하는 명문가 귀족이면서도 정치적 비극의 주인공이라는 점이 그 비극성을 한층 더 배가시켰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먼저, 한시(漢詩) 네 수는 유배 당사자인 오토마로(乙麻呂)가 읊은 것인데, 제 1수와 제 2수는 비록 유배지에 있어도 정적(政敵)에 대한 원한은 보이지 않는다. 한시문학(漢詩文學)의 세계인 ‘시(詩)는 생각을 드러내는 지(志)(詩は志なり)’라는 지식인으로서 냉정함을 유지하면서 당시의 풍류인을 상징하는 ‘고토(琴, 거문고)’를 공공연하게 가지고 노는 우아함이 보인다. 그러나 제 3수에서는 계절의 변화와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지식인으로서의 고독감을 느끼며 원한은 더욱 더 깊어진다. 이어지는 제 4수에서는 지적인 생각(志)은 사라지고, 그 대신에 저녁부터 새벽 사이에 정(情)의 세계에 대한 번민을 호소한다. 원래, 한시(漢詩)의 세계에서 남성이 자신의 사랑을 표출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픽션상의 것이었다. 따라서 오토마로(乙麻呂)의 정시(情詩)는 한시(漢詩)의 명맥을 계승한 것이 아니라, 와카(和歌)에서 표출되고 있었던 감정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살펴보면, 오토마로(乙麻呂)에게 유배라는 절망적인 시간의 심정은 외래(外來) 한시(漢詩)의 형식만으로는 표현할 수 없었던 것이다. 와카(和歌)에서는 여행의 수호신에게 가호를 기원하는 형식으로 유배가 표현되어 있다. 이는 사건 당사자인 오토마로(乙麻呂)의 노래가 아니고, 그를 ‘미코토(命)’로 경칭하는 제삼자가 여행의 풍속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와카(和歌)가 가진 ‘여행(旅)’이라는 전통적인 형식을 빌어 유배라는 주제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한시(漢詩)에서는 유배지에 있는 오토마로(乙麻呂)자신의 심정표출 및 도읍지를 향한 심정, 그리고 도읍지에 있는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정념이 표현되어 있었다고 한다면, 와카(和歌)에서는 오토마로(乙麻呂)의 유배라는 비극적인 상황에도 불구하고 오토마로(乙麻呂) 개인의 격렬한 내면적 감정을 표출하지 않고, 제삼자가 유배지로 가는 오토마로(乙麻呂)의 여정을 설명하면서 여행의 안전과 가호를 기원하는 표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8세기 일본 문인들은 오토마로(乙麻呂)의 유배사건의 문예화(文藝化) 과정을 통하여 표현과 시정(詩情)을 달리하는 한시(漢詩)와 와카(和歌)를 어떤 식으로 자기화(自己化)했는지 엿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