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alcroze와 Laban의 움직임 창작교육에 대한 연구

        배지선 한국달크로즈유리드믹스학회 2007 종합예술과 음악학회지 Vol.1 No.2

        최근 창작교육은 통합적인 예능창작교육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문학, 미술, 음악, 무용, 연극 등 예술분야에서의 창작활동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경험을 체험하게 된다. 이런 창작활동은 인간의 신체활동 즉, 움직임에서 비롯되는 것이며 모든 표현이 움직임을 매개체로 사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움직임을 통한 창작교육은 움직이는 과정에서 생각하고 배울 수 있는 교육으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신체를 통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게 함으로 무한한 상상력을 제공하고 신체적, 지적, 정서적으로 성장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창작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들이 있지만 그 중 Dalcroze와 Laban은 움직임 이론을 체계화한 이론으로 잘 알려져 있다. Dalcroze는 잠재 능력을 개발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훈련을 통한 신체 표현과 더불어 음악적 리듬을 키워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Laban은 창의적인 무용 활동이 학생들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고 주장하였다. 이상의 학자들이 주장한 바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창의적인 교육은 움직임을 통한 교육이며, 움직임 창작 교육을 통해 잠재 능력과 창의성을 키우는 것이 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Dalcroze의 유리드믹스와 Laban의 유키네틱스를 비교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움직임 창작 교육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어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두 이론을 비교 연구한 결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리드믹스는 리듬을 통한 율동적 움직임의 리듬교육체계이며 유키네틱스는 움직임의 역동성에 관한 움직임교육체계이다. 둘째, 유리드믹스는 리듬을 신체의 움직임으로 느끼게 하는 과정이며, 유키네틱스는 내적 표현력의 향상과 더불어 역동적이고 표정이 풍부한 움직임을 구사하도록 한다. 셋째, 유리드믹스의 교육방법은 다양한 리듬의 체계적인 단계를 거쳐 그에 따른 움직임을 경험하게 하고, 유키네틱스의 교육방법은 공간, 시간, 무게, 힘의 요소를 통해 자유롭고 능동적인 움직임을 스스로 경험하여 명확한 움직임의 표현을 발견하게 한다. 넷째, Dalcroze의 연구는 무용, 오페라, 연극뿐 아니라 현재의 유아 음악교육 발전에 공헌했고, Laban은 독일의 표현주의 현대무용, 연극, 음악, 움직임에 관련된 모든 분야에 폭넓게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움직임에 대한 개념은 서로 다르지만 이 두 사람의 이론은 움직임 창작교육에 있어 창의성과 다양성을 길러주고 즉흥적인 창작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육이론체계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Dalcroze의 유리드믹스와 Laban의 유키네틱스는 움직임창작교육의 기초로 무용가나 음악가와 같은 전문가 뿐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필요한 교육이라 할 수 있으며, 이 두 가지 움직임 창작이론은 창의성 신장에 효과적인 교육방법이라 생각된다. 앞으로 이 두 이론을 활용한 움직임 창작교육에 관한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움직임 교육을 위한 모티프(Motif) 적용 사례 :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김현주,유시현,전미현 한국무용기록학회 2004 무용역사기록학 Vol.7 No.-

        본 연구는 미취학 아동들을 위한 무용교육의 하나의 발전적 대안으로 기존의 율동중심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무용을 보다 넓은 의미인 움직임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여기에서 제시한 움직임 또는 움직임 교육이라는 개념은 아동 스스로 움직임의 기본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자유로운 움직임 분석 능력을 고양함은 물론 창의적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움직임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돕는 교육을 의미한다. 연구자들은 1950년대 발레리 프레스톤 던롭(Valerie Preston-Dunlop)과 앤 허친슨 게스트(Ann Hutchinson Guest)에 의해 개발되어 어린이 무용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어 오고 있는 모티프 이론을 바탕으로 미취학 아동을 위한 움직임 교육 프로그램을 새롭게 계획하였으며 이를 유치원에 재학 중인 7세 아동 28명에게 1회 35분씩 4회의 수업에 걸쳐 적용해 보았다. 움직임 교육 프로그램은 모티프 이론을 중심으로 움직임의 개념화, 모티프 기호인지, 모티프 기호를 이용한 무용창작의 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신체 움직임이 지닌 다양한 요소들을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재료화시킴으로써 그 특징을 이해하고 개념화 한 후, 움직임 요소를 특정 기호와 연결하여 움직임을 상징화하고, 마지막으로 아동들 스스로 무용창작의 과정을 익히도록 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움직임 활동과 함께 미술, 음악활동 등을 함께 병행하여 움직임 교육에 있어서의 통합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움직임 교육에 있어서 교사는 아동들이 움직임을 스스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내인으로 역할하고 아동들은 스스로가 교육의 주체로서 움직임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수업에서는 교사의 안내에 따라 아동들이 주체가 되어 움직임을 이끌어내고 형태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 미취학 아동들의 경우라도 적극적으로 움직임을 개념화하는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피교육자 중심의 움직임 교육에 대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셋째, 움직임 교육을 신체 활동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기호 사용, 그림 그리기, 이야기 구성, 발표 등 신체 활동 이외의 다양한 활동들을 함께 진행시킴으로써 움직임 교육을 통한 다양한 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는 움직임 교육이 타 활동들과 병행하여 이루어지면서 신체기능 외에 인지력이나 창의력 향상의 효과를 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무용 교육을 목적으로 한 만큼 수업에서 진행된 다양한 활동들이 움직임 교육 자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움직임이 타 활동과 연계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재료로 활용 가능하며, 이를 토대로 움직임이 다른 교과 혹은 다른 영역의 활동과 어우러지는 주제통합형 교육의 가능성 또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아직 가능성에 대한 언급일 뿐이며 앞으로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이며 실질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ovement education' through Motif for the kindergarteners in Korea. The term 'movement education' is used in this study as a way to broaden the idea of dance education. In current practice in Korea, dance education tends to place more emphasis on the students' accomplishment of dance technique and,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kindergarten dance class, the students' imitation of a teacher's simple rhythmic gestures or dance movements. Movement education, however, suggests a student-centered dance class. Instead of simply following a teacher's instruction on 'which body part to move', 'when to move', and 'how to move', students are led to the conceptualization of different ideas of movement, and, based on their conceptualization, the students are expected to construct their own ideas of dance through manipulation of the different ideas of movement, which are the basic materials of dance. In this case study, the researchers have designed three stages of movement education: 'conceptualization of movement ideas', 'recognition of Motif symbols', and 'making a creative dance through Motif symbols'. 'Conceptualization of movement ideas' is a stage in which students classify and come to understand different ideas and characteristics of movement, and conceptualize the movement ideas as the building blocks of dance. 'Recognition of Motif symbols' is a stage in which Motif symbols are introduced and connected to particular ideas of movement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ideas. 'Making a creative dance' is the final stage in which the students decide what movement ideas to use and how to manipulate them through Motif symbols so that they make their own dance. Based on these three stages, four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nd each of the 35 minute lessons was taught to 28 7-year old kindergarteners during a two week period. Due to the time constraints which prohibited completion of the 4th lesson primarily focusing on the stage of 'making a creative dance'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movement education in fostering the students' experience of making dance through Motif could not be discussed in the paper. However,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has been found. First, in a movement education class, the students were actively engaged in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teacher simply guided the lesson. Second, being active in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movement ideas, young students, even as young as kindergarteners, were able to manage a student-centered lesson without the teacher's concrete instruction or demonstration. Third, this study did not limit the class activity to bodily actions but allowed the students to be open to other activities such as the use of symbols, drawing, story making, verbal presentation, etc. As a result of the employment of different activities in a lesson, movement education showed a positive value not only in terms of improving students' physical capability, but also in terms of enhancing their intellectual and creative capability. Though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is a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vement can be included in an integrated curriculum as a class activity which ultimately enhances students' learning.

      • KCI등재후보

        초등 무용교육을 위한 예술통합형 교육 방법론에 관한 연구 : 모티프 창의력 교실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김현주 한국무용기록학회 2005 무용역사기록학 Vol.8 No.-

        본 논문에서는 무용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데 그 의미를 두고 무용 교육의 발전적 대안으로 미술, 음악, 작문 등과의 연계적인 학습을 통한 주제별 예술통합 교육의 가능성과 모티프 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초등무용교육의 새로운 교육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모티프 창의력 교실'로서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움직임, 미술, 음악, 작문 등이 포함될 수 있도록 연계를 도모하였고, 이 때 움직임은 매 시간의 주된 요소로 작용하며, 움직임의 이해와 표현을 위한 도구로서 모티프 이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를 비롯하여 유시현(성균관대 강사, 오하이오 주립대 박사), 전미현(서경대 강사, 오하이오 주립대 박사) 등이 함께 개발하였다. 연구를 위한 수업은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남·여 학생 35명을 대상으로 하여 40분 수업, 총 6회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먼저 '무용'은 일반적으로 여학생들에게 적용된다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으나 본 연구수업 결과 이러한 인식과는 달리 남학생들도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매우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했다. 이는 주된 활동이 움직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교과목과의 통합 과정과 더불어 모티프 이론이라는 새로운 수업 방식을 통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기호가 갖고 있는 의미가 단순히 신체를 이용한 움직임 범위에서 벗어나 그 이상의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으며 기호 하나를 이용해서도 상황에 대한 설명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은 하나의 기호에서 한 움직임의 형태만을 인식하지 않고 상황을 대입해서 움직임의 특징을 이해했다. 이는 단순히 단어로 움직임의 요소를 인식할 때보다 움직임의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면서 하나의 기호 안에 움직임의 범위가 포괄적으로 담겨 있다는 인식으로 받아들여 이해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교과 응용 수업에서의 움직임을 주요소로 하는 주제 통합교육의 가능성과 모티프의 적용 가능성은 일단 긍정적인 결론이 도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먼저 움직임을 주요소로 하는 주제 통합교육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남·여 학생 모두가 적극적으로 움직임 활동을 받아들이며 미술, 연극, 발표, 작문 등 모든 분야에서 흥미를 갖고 수업에 임했다. 이러한 활동 수업을 통한 간접적인 체험은 학생들에게 교과 내용을 이해하는 데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본 수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통합교육 추구라는 시스템 내에서 '무용'은 나름대로 독자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전체적인 예술분야의 발전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다는 결과를 본 연구를 통하여 추론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움직임을 위한 교육에 적용된 모티프 이론은 학생들에게 자연스럽게 움직임을 익히며, 창작하고, 교과 수업 내용 속에서 움직임의 중요한 요소를 뽑아내며 이를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된 역할을 담당했다. 본 연구는 '무용'이라는 교과목이 일반화되어 가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작 단계라 생각하며, 단계별 또는 연령별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지속적인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7th Curriculum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dance is dealt with in an integrated instruc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participatory demands about dance instruction for constructing a elementary school student-centered dance curriculum in Korea. For the purpose survey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Motif Creative-Power Class' program, which based on Motif Program, initially developed by Yoo, Si-Hyun(Lecturer at SeongKyunKwan University) and Chun, Mi-Hyun(Lecturer at SeoKyeong University), including me. Based on this program, six lesson plans were developed and each of the 40 minute lessons was taught to 35 in th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term 'Movement Education' is used in this case study and it suggests a student-centered dance class. This study presents a range of practical applications and strategies for employing Motif writ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experienced movement, drawing, music, writing, story making and verbal presentation as well as dance analysis with Motif Writing. The original matter of art includes creative activities, so dance is in connection with arts such as the fine arts, music, composition. The conclusions are followed through this project. The symbols of Motif Writing attracted the students' attention, especially the male students. They were actively engaged in the learning process as well as female students. In the process of conceptualizing movement ideas, under the title 'Movement through Symbols', the male students present as structural and dynamic concept about movement.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Movement Education' through Motif for the elementary dance education. Motif Writing can be a powerful tool and it provides a broader scope for enhancing their intellectual and creative capability. For the students, the class seemed to be athletics or playing with symbols, not only dance clas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movement can be included in an integrated curriculum which ultimately enhances primary school students' learning and develop creativity. Finally, for the developing elementary dance literacy,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Integrating Motif Writing into theme-bas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nce classes will be necessary in this field.

      • KCI등재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의 움직임 역량 국제비교 연구

        정현우(Hyunwoo Jung),손지훈(Jihoon S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체육과 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에서 움직임 역량의 특징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향후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필요한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홍콩, 캐나다 온타리오주를 선정하여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에서 움직임 역량의 반영 수준과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교육목표에서는 홍콩과 온타리오가 움직임 역량을 포함하고 있었다. 교육내용에서는 한국이 표현활동의 일부로만 움직임 요소를 반영한 것에 반해, 홍콩은 움직임 기술을, 온타리오는 움직임 역량을 핵심 교육내용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한국과 홍콩은 일반적인 교수·학습 방향을 제시한 것에 비해, 온타리오는 움직임 역량 요소별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안내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향후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 시, 기본 움직임 기술에 기반을 두고 의도적으로 움직임 역량을 교육해야 하며, 발달단계와 기술의 전이를 고려하여 교육내용과 교수·학습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움직임 역량에 대한 연구 활성화의 필요성과 초등학교 교사의 움직임 역량 전문성 함양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movement competency in the curriculum through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national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explore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curriculum revision. For this, Korea, Hong Kong, and Ontario were selected, and the level and pattern of reflection of movement competency in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educational goal, Hong Kong and Ontario included movement competency. In the educational content, while Korea reflected movement elements as part of expression activities, Hong Kong set movement skills and Ontario set movement competency as the core educational content. In addition, while Korea and Hong Kong presented general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s, Ontario provided specific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ach movement competency elem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tentionally educate the movement competency, and to desig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 and movement skills transfer. Lastly,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research on movement competency that can be used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and fostering the movement competency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uggested.

      • KCI등재

        무용기능교육을 위한필라테스 운동법 도입에 관한 연구

        구안나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1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7 No.3

        본 연구는 무용움직임의 기능교육의 관점을 과학적 해부학적, 기능학적 신체구조를 토대로 훈련하는 교육이라고 규정하고, 이와 같은 무용움직임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필라테스의 운동법 도입의 필요성을 이론적인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무용움직임의 기능교육의 이론적 검토와 함께 필라테스 운동법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그 동안 검증되어진 필라테스 운동의 효과를 토대로 무용움직임 기능교육의 원리와 필라테스 운동의 원리와 효과를 서로 교차시켜 각각의 영역의 연관관계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움직임 기능교육은 신체의 과학적 훈련을 주목적으로 하는 기능교육을 일컫는 것으로 인간신체의 과학적, 해부학적, 기능학적 관점에서 신체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 교육방법이다. 둘째, 필라테스 운동법은 심신일원론을 지향하면서 조셉 필라테스에 의해서 창안된 운동방법으로 제어학의 관점에서 운동되어지는 원리를 가지고 있는 신체훈련 방법이다. 이에 필라테스 운동은 8가지 운동원리를 통해 근력강화, 관절강화, 유연성증가, 수의적 근재재, 균형감각 향상, 체형과 자세개선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운동 방법이다. 셋째, 필라테스 운동방법의 원리와 효과는 무용움직임의 기능향상을 위한 교육원리와의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즉 조절요소인 힘, 근육의 지구력, 유연성, 활동상태의 인지, 균형감각, 민첩성, 운동감각의 지각, 심장혈관의 지구력과 같은 영역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운동법이라 할 수 있다. 넷째, 이와 같은 무용움직임의 기능교육의 원리와 필라테스 운동의 연관관계를 토대로 볼 때, 무용교육에 있어서 무용수의 신체 기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소극적(단발성)으로 무용교육에 도입되어지고 있는 한계에서 벗어나 무용수의 신체 움직임의 기능향상을 위해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질 필요성이 있는 운동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무용수에게 있어서 다양한 움직임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기 위해서는 무용기능교육의 과학적 접근이 선행되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필라테스 운동법은 무용테크닉교육과 함께 신체 기능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Theoretical considerations about the relationship of Pilates exercise methods and dance skills training. The method of this study attempt to analyze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Pilates exercise method and the function of dance movement with the review of education theory. First, the dance skills training is scientific training education method that improve our ability to adjustability of body in view of Science, anatomy, function. Second, Pilates exercise method is created by Joseph Pilates. The mental and physical monism oriented Pilates exercise method has been movement principle in perspective of control studies. Therefore, the principles of Pilates exercise is the exercise that will have an effect strengthening, strengthen joints, increase flexibility, voluntary geunjaejae, improved balance, improved body shape and posturethrough eight different exercises principle. Third, the principle and the effects of Pilates exercise had an association with dance movement for improved educational principles. Pilates exercise method can have a positive effect energy,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nd cognitive activity, and balance, agility, and kinesthetic perception, in areas such as cardiovascular endurance. Fourth, based on of view on association of dance skills training education principles and Pilates exercise training, Pilates exercise method may have a positive improvement in physical function of dancer in dance education. Therefore, Pilates exercise method can be called exercise method that is necessary Acceptance to Improvements of dancer. As mentioned above, For dancers to perform a variety intended to facilitate the movement to give, dance skills training education should be followed Scientific approach. In this process, Pilates exercise method will be able that is effect on dance technique training and the body improvements.

      • KCI등재후보

        예술 통합형 창의적 움직임 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김현주 한국무용기록학회 2007 무용역사기록학 Vol.12 No.-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무용 교육의 기초 단계로서 모티프(Motif) 이론을 활용하여 예술 통합적 방법을 적용한 창의적 움직임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무용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가치를 높이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자는 수업의 진행 내용뿐만 아니라 연구 대상자들의 관점에서 학생과 연구 참여교사, 그리고 일반 학급의 담임교사들의 반응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질적 사례 연구법을 활용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의 네 개 학급은 관찰대상 Ⅰ, 5~6학년 16명으로 구성된 계발활동 반은 관찰대상 Ⅱ로 설계하여 2006년 3월부터 7월까지 1학기에 진행된 연구수업에 참여관찰 하였고, 이들을 중심으로 면담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06년 7월부터 10월까지 약 4개월 간 집중적인 분석 작업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논문을 작성한 것이다. 실제 학교 무용교육이 교육 내용 및 방법, 구체적인 학습 모형 부족 등의 문제로 사실상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초등학교 교육 과정에서의 현실성 있고 합리적인 무용 교육 과정의 모델 제시와 현장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들을 설정하였다. 첫째, 예술 통합적 방법을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 안에서 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한 움직임 요소의 추출과 이를 활용한 신체 표현활동으로의 연결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창의적 움직임 수업에 있어서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개방적이며 자발적인 진행 가능성과 창의적 움직임 교육에 대한 일선 교사들의 인식, 그리고 이 프로그램의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크게는 창의적 움직임 교육의 교육학적 의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학생들은 움직임 경험을 바탕으로 '기호'의 의미를 움직임의 기본 요소와 연결하여 자연스럽게 이해하였고, 움직임을 통해 이해된 '기호'를 움직임 창작을 위한 도구이자 손쉬운 접근 방법으로서 활용하여 신체 표현을 위해 창의적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활동 내용을 통해 연구자는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생각에 따라 활동의 진행 방법 또는 표현을 이끌어 내는 방법이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는 많은 예를 볼 수 있었고, 이러한 내용은 학생들 스스로가 이 수업을 매우 흥미롭게 생각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학생들의 표현활동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예술 통합형으로 이루어진 수업의 진행 방법은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움직임을 창작하는데 매우 중요한 동기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활동은 다른 수업에서의 표현활동이나 다른 교과나 학문으로부터 자료를 가져와 활용할 수 있는 교과 통합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움직임 교육은 아동 교육에 있어서 교육적인 측면에서 단순히 신체적 발달이나 기능 개발이라는 실질적인 효용성 보다는 예술적 체험을 통한 자기 개발뿐만 아니라 인격 형성에 있어 중요한 시기에 놓여있는 초등학교 아동에게 있어 스스로 바람직한 인간상을 정립하는 전인교육의 수단으로서 보다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 속에 초등 교육 과정에서의 무용교육은 전문화 되지 않고 정형화 되지 않은 '움직임'으로서 보다 넓은 의미의 교과개념으로 인식하여 현실적인 교육 테두리 안에서 무용교육이 폭 넓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통해 무용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aimed to form an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e movement using an education method in combination with art as a basic step of danc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apply that program in real-world elementary schools. By doing so, this study is ultimately trying to highlight the need for dance education and to illustrate the educational value of dance education. The researcher designed four classes of fourth graders at an elementary school as Observation Group Ⅰ and a club of 16 students of fifth and sixth graders as Observation Group Ⅱ, and carried out the observation from March to July 2006. The researcher observed how the classes were being operated, and continued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with the students. This paper is the result of intensive analysis conducted over some four months from July to October 2006. The education of movement is important for students in that it helps establish a desirable model of a whole human be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rtistic experience. The education of movement is more than a simple training that encourages physical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of the students. In this respect, dance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must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part of the curriculum, as a class that teaches movements that are neither professional nor standardized. By doing so, there need to be efforts to promote dance education broadly to real-world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dance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values for young students.

      • KCI등재

        영유아의 신체 움직임을 통한 의지 교육: Steiner의 인간학을 중심으로

        김정임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1

        This research focused on Steiner’s anthroposophy to find out the points of discussion on the education of will through physical movement of infants born and growing in modern technology information society. In the future, the direct physical machines will be decreased with the actualization of machines. Physical movement is an important area of development that forms the basis of all development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Physical development goes beyond physical phenomena and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human mental domain of will-education. Therefore, will-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physical move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addition, awareness is raised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philosophical reflection of will-education through physical movement at the young children education point. 2020year Nuri Curriculum will be doing through play of childern. In addition, will-education for physical movement will have to reflect aesthetic and artistic elements for various sensory experiences. 본 연구는 현대기술정보사회에서 태어나 성장하고 있는 영유아의 신체 움직임을 통한 의지 교육에 관하여 Steiner의 인간학을 중심으로 고찰해서 제안점을 찾고자 하였다. 미래 실생활의 기계화에 따라 직접적인 신체 움직임은 점점 감소하여 갈 추세이다. 신체적 움직임은 영유아 발달에서 모든 발달의 근간이 되는 중요한 발달영역이다. 신체적 발달은 물리적인 현상을 넘어서 인간의 정신적 영역인 의지발달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영유아 시기의 신체 움직임을 통한 의지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영유아 교육 현장에서는 신체 움직임을 통한 의지 교육의 철학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아울러 신체적 움직임을 통한 의지교육은 다양한 감각적 경험에 미적ㆍ예술적인 요소를 적용해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2020년부터 유아 교육의 누리과정은 놀이 중심으로 실행될 예정이다. 따라서 신체 움직임을 통한 의지 교육은 영유아시기에 형성되어야 할 주요 교육목표로서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신체 움직임을 통한 의지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향후 누리과정의 놀이를 통한 경험 중심 교육에 있어 제안점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홀리스틱 관점의 움직임 창작교육에 관한 실행연구

        김지영,김수현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홀리스틱 관점의 움직임 창작교육의 프로그램 적용과 교육 사례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육 프로그램의 제시와 실천적인 개선 안을 제안하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로 수행되었다. 홀리스틱 관점의 움직임 창작교육 12주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느낌의 표현, 설명과 묘사, 형태와 구성, 연결과 대응, 에너지와 무게중심, 공간과 방향의 변화, 움직임을 통한 스토리텔링, 움직임 소통, 이야기 만들기, 감상과 평가 등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둘째,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과정에서 수업 진행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움직임 창작경험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 요소들을 6가지로 범주화하였다. 이는 제한적인 표현력, 결과지향적인 성향, 편중된 리더십, 의사소통의 부조화, 얼굴표정과 눈빛의 불안정, 집중력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홀리스틱 관점에서 접근된 움직임 창작 프로그램은 감성과 움직임, 인성의 조화에 의지하는 과정으로 모둠 활동의 움직임 과제에 대하여 문제해결의 판단력과 집중력, 표현력과 소통능력의 적극성, 움직임 스토리의 구성력, 조원간의 단합 등 활발한 활동으로 개선되고 발전되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pplication of programs and examples of education of movement creative education from holistic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action research presenting proposals of educational program and practical improvement. It was performed based on cases of 12 weeks classes by including 24 students who are in Year 3 to Year 6 and are participating movement program after school in T-School located in Seoul. First, the 12-week program for movement creative education from holistic perspective is as stated below. The themes of the education are expression of feelings, explanation and description, shapes and composition, connection and correspondence, energy and center of gravity, changes of spaces and directions, storytelling through movement, movement communication (interaction, movement of simultaneous progressive, contact improvisation), creating stories, and appreciation and evaluation in order. Second, this study applied the movement creative education from holistic perspective by stage and in the process, conducted monitoring about class progress. As a result, the factors that students go through difficulties are classified as six types in movement creative experience. The six types include limited ability of expression, result oriented inclination, concentrated leadership, incongruity of communication, unstable facial expression and eyes and lack of concentration. In relation to such points to be improved, teachers attempted to practically improve each problem with sharing time, correction for movement expression and feedbacks. Third, movement creative program approached from holistic perspective showed aspects of development and improvement about movement tasks in groups as a program depending on emotion and movement, and harmony of character with active activities such as judgement and concentration of problem solving, initiatives of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ability to compose movement story, and unity between team members.

      • KCI등재

        움직임(체육 및 무용)교육의 반성과 방향 탐색

        김택천(Taek Cheon Kim),김무영(Moo Young Kim),조남용(Nam Yong Cho)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1 No.-

        이 글의 목적은"체육 혹은 무용 그리고 유아교육 등 신체의 움직임을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이 지금까지 어떠한 양상을 보여 왔으며, 또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나가야 하는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교육과 움직임의 전통적 개념의 한계와 그 대안을 제시하였고 둘째, 심신이원론적 입장과 심신일원론적 입장에서 교육의 목표가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관한 살펴보았다. 셋째, 교육방법으로서 직접지도와 간접지도의 핵심적 속성을 살펴서, 가르치는 목표 및 내용과 그 교육방법이 일관성이 있어야 함을 지적하였고. 마지막으로, 평가는 성적부여의 의미와는 다르며, 의도한 수업목표의 달성도를 확인하는 측면에서, 개인간 비교인 양적평가와 개인내 이해인 질적평가를 다루었다. 이러한 전통적 움직임교육의 실태와 반성을 통해 미래의 움직임교육은 교육목표와 내용, 그리고 방법 및 평가에서 일관성을 갖출 수 있도록 예비교사 및 현장교사 그리고 생활 속에서 움직임을 매개로 교육하는 실천가들을 준비시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hysical and dance education in past 100 years and to vision the those education directions for the future. To complete this aims. Firstly, we reviewed the limitation of traditional definition of education and provided additional concepts of education. Secondly, we reviewed that the education go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iew of human(body-mind dualism or identity theory). Thirdly, we checked that the consistency between the educational goal, content, and method is the most important in this field. Direct and Inquiry methods is 2 ways of various methods in educational process. Lastly, evaluation is regarded not as the grading, but as checking the achievement of previous educational goal. Quantitative evaluation is based on the inter-personal comparison, Qualitative evaluation is based on the intra-personal understanding. We as a movement pedagogist, have to provide our students who are pre-teachers, in service teachers, or practitioners with the expertise having contingency in the process of movement education(goal setting, content-selecting, method-applying, and evaluation).

      • KCI등재

        사물인터넷(IoT)에 기반한 움직임 음악교육 시스템 개발 및 활용

        장레베카,이현수,노경원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4 음악교육공학 Vol.- No.60

        본 연구는 IoT 기술을 활용한 음악교육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IoT에 대해 알아보고 현재 음악교육에 활용되고 있는 AI, ICT 및 IoT 도구를 살펴보았다. IoT 기술은 쌍방향으로 소통하면서 보다 쉽게 상호작용할 수 있고 신체 움직임의 가동 범위를 넓힌다는 장점이 있지만,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음악교육 도구는 주로 AI와 ICT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IoT를 기반으로 한 도구 중에서도 움직임을 활용하여 음악을 가르치는 도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IoT 기반의 움직임 음악교육 시스템 ‘뮤브먼트’를 개발하였다. 뮤브먼트는 ‘움직임 그리기’와 ‘음악 만들기’ 기능으로 구성된다. 이 기술은 기존의 음악교육 어플리케이션과 달리 학습자가 온 몸을 사용하여 음악적 요소를 탐색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자들은 시·청각적 피드백을 통해 음악을 주도적으로 탐구하며 창의적인 방식으로 음악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음악교육에서 정적이고 평면적인 활동을 동적이고 입체적으로 확장시키는 방식은 미래 음악교육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 기술은 연주, 감상, 창작 등의 음악교육 영역뿐만 아니라 미술, 체육 등 다른 교과와의 협력 수업에서도 활용될 수 있으며, 학교 밖에서는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연 예술 분야와 재활 치료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분야에도 접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술의 소개와 활용 방안에 대해 다루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음악교육적 및 생리학적 효과와 의미를 더욱 구체적으로 밝혀나갈 필요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new approach of the music education that utilizes the IoT technology. To achieve this, we explored IoT and examined the AI, ICT and IoT tools currently used in music education. IoT technology offers advantages such as facilitat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enabling easier interactions, and expanding the range of physical movements. However, most music education tools currently available on the market are primarily based on AI and ICT. Among the IoT-based tools, there were very few that used movement to teach music. Thus, the IoT-based movement music education system “Muvement” has been invented. This system is composed of the features ‘drawing movement’ and ‘making music'. Unlik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pplications that rely on small screens of phones, tablets, or computer monitors, this technology enables learners to explore and learn musical elements by utilizing a larger space and engaging their entire bodies. Through this, learners can actively explore music with visual and auditory feedback and experience music in a creative way. This extends static and two-dimensional music activities into dynamic and three-dimensional experiences, opening up new possibilities for the future of music education. The technology can be used in various areas of music education such as performance, listening, and creation, as well as in collaborative lessons with other subjects like art and physical education. Outside of school, it can be used as a tool to enhance musical abilities and promote physical and mental health for different age groups, including young children, adults, and the elderly. Furthermore, it offers new approaches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and in rehabilitation therapy programs, expanding its social value and cultural impact. This study introduces the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concretely reveal the educational and physiological effects and significance of the technology in mus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