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활체육 스쿼시 동호인의 참여동기가 운동지속의지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영환,최옥진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생활체육 스쿼시 동호인의 참여동기가 운동지속의지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 이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스쿼시 동호인의 참여동기의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는 운동지 속의지와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무동기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스쿼시 동 호인의 참여동기가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동기, 외적동기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고, 무동기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 스쿼시 동호인의 참여동기가 생활만족 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동기, 외적동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생활체육 스쿼시 동호인의 참여동기가 운동지속의지와 생활만족도를 예측하는데 영향 을 미치는 점을 감안하여 참여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과 전략적 지도활동이 이루어진다면 생활체 육 스쿼시 종목의 활성화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f members of sport-for-all squash club on their exercise adherence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participation motivation of members of sport-for-all squash club,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exercise adherence and life satisfaction, while lack of motivation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m. Second, participation motivation of members of sport-for-all squash club had effects on exercise adherence.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while lack of motivation had a negative effect. Third, participation motivation of members of sport-for-all squash club had effects on their life satisfaction.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had effects, while lack of motivation did not show any effect. Based on the findings, considering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of members of sport-for-all squash club has effects on predicting exercise adherence and life satisfaction, developing new programs and providing strategic instruction to reinforce such participation motivation can activate sport-for-all squash among citizens.

      • KCI등재

        농구선수들의 자기격려-낙담과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 간의 인과분석

        김성훈(Sung-Hoon Kim),신종훈(Jong-Hoon Shi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는 남·여 고등학교, 대학교 농구선수들의 자기격려-낙담,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 의지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자기격려-낙담을 외생변인으로 설정하고, 자기관리,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운동지속의지를 내생변인으로 이론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남․여 고등학교, 대학교 농구선수들을 전수조사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총 450부의 표본을 수집하여 387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는 자기격려-낙담 척도, ASMQ 자기관리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EAQ 운동지속의지 척도를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Cronbach"s a 검사, t-test, 일원변량분산분석과 Scheffe의 사후검증, 상관분석, 중회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농구선수들의 성별, 소속별, 경력별, 팀 역할별, 시작동기별 자기격려-낙담,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 변인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격려와 자기낙담, 자기낙담과 대인관리, 훈련관리, 몸관리,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간에는 부적(-)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외의 모든 변수들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격려는 대인관리, 훈련관리, 긍정적 자아존중감 요인은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낙담은 대인관리, 훈련관리, 몸관리,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훈련 관리는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몸관리는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농구선수들의 자기격려-낙담,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운동선수들의 경험이 높을수록 운동지속의지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a causal relationship among male · female high school, college basketball players’ self encouragement discouragement, self management, self esteem and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As for the subjects of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targeting male․female high school, college basketball players throughout the nation and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collected total 450 questionnaires through self-report method and used 387 sheets for final analysis. This study obtained following conclusions. First, variables of self-encouragement-discouragement, self-management, self-esteem,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differed significantly by basketball players’ gender, team they are belonging, career, one’s role in team, motive of start.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self-encouragement and self-discouragement, self-discouragement and interpersonal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body management, positive self-esteem, negative self-esteem and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are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and a positive(+) among all other variables. Third, selfencouragement affects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training management, and positive self-esteem exerts an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and self-discouragement turned out to have an impact on interpersonal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body management and negative self-esteem. And training management affects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and body management was revealed to have an impact on negative self-esteem. Lastly, negative self-esteem turned out to have an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과 건강위험지각 및 운동지속의지와의 관계

        이문숙 ( Moon-sook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3

        이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과 건강위험지각 및 운동지속의지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일대의 공원과 등산로에서 걷기에 참여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걷기 경험이 3년 이상, 주 2회 이상으로 하였다. 148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하고 설문지를 작성 및 수집하였고 13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운동자기효능감, 건강위험지각, 운동지속의지로 수집된 자료는 분석 목적에 따라 분리하여 입력하였으며, SPSS WIN VER 24.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건강위험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걷기 참여 노인의 건강위험지각은 운동지속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걷기 참여 노인의 건강위험지각은 운동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의지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걷기 참여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은 건강위험지각과 운동지속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위험지각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elf-efficacy, health risk percep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walking during covid-19.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48 walking partipants aged over 65 years in D-city and 137( over 3 years, 2 times a week) of them were analyzed.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health risk perception scale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scale. SPSS WIN VER 24.0 and Amos 26.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ealth risk percep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risk perception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risk perception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exercise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significantly influence on health risk percep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directl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self-efficacy of the elders’s participation in walking had a indirec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mediated by health risk perception.

      • KCI등재

        육상지도자의 유형에 따른 선수생활만족과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오경수,정성현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육상 선수의 지도자 유형이 선수생활만족 및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육상 경기 현장의 효과적이고 효율성이 높은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대학 및 실업팀 소속의 육상선수 총 181명의 응답자료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 된 자료는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도자 유형의 민주적 유형, 사회적 유형, 긍정적보상 유형 은 과제수행만족, 코치지도성만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권위적 유형은 과제수행만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 유형과 운동지속의지는 지도자 유형의 민주 적 유형, 긍정적보상 유형은 운동지속의지의 가능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권위적 유형은 강화성과 유의한 상관을, 마지막으로 사회적 유형은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육상 선수의 지도자 유형이 선수생활만족의 과제수행만족, 코치지도성만족과 운동지속의지의 가능성과 강화성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type of leader on athlete's satisfaction and athletic endurance, and ultimately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and efficient training and training programs at track and field sit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response data of a total of 181 athletes belonging to the university and the vocational team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First, the type of leader's democratic, social and positive compensation had a significant bearing on task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coaching leadership satisfaction. The authoritative types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bearing on task performance satisfaction. The type of leader and the type of democratic type of leader and the type of positive compens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bearing on the possibility of athletic endurance. The type of authoritarianism has a correlation with reinforcement. And social type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bearing on propensity,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type of leader of a competitor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ask performance satisfaction of athletic's satisfaction with life and coaching leadership satisfaction. And it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sibility and intensification of athletic endurance.

      • KCI등재

        생활체육 탁구 동호인의 스포츠 재미요인이 여가 만족 및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권태광,정성현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탁구 동호인의 스포츠 재미요인, 여가 만족, 운동지속의지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 스포츠 재미요인이 여가 만족 및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탁구 동호인 220명을 대상으로 스포츠 재미요인, 여가 만족, 운동지속의지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20명의 자료 를 제외 한 총 200명의 자료를 본 연구의 최종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사,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 재미요인과 여가 만족, 운동지속의지의 상관관계를 실시한 결과 스포츠 재미요인은 여가 만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 재미요인은 운동지속의지의 중요성 인지, 참여 의지 요인과 정적 상관을 가지는 동시 에 무의지 요인과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재미요인이 여가 만족(신체적, 휴식적, 교육적, 심리 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과 운동지속의지(중요성 인지, 참여의지, 무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sports fun factors, leisure satisfaction, and will to exercise of table tennis Club memb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orts fun factors on leisure satisfaction and will to continue exerci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table tennis Club member’s using sports fun factor,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continuity questionnaire. A total of 200 data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stud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sports fun factor, leisure satisfaction, and exercise persistence will, it was found that sports fun facto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eisure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ports fun fact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isure satisfaction (physical, restful, educational, psychological,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and willingness to continue exercise (recognition of importance,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d unwillingness).

      • KCI등재

        경호무도 수련생이 지각한 지도자의 전문성과 운동지속의지 및 운동열정의 관계

        김철용,남광우,위승완 대한무도학회 2019 대한무도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경호무도 수련생이 지각한 지도자의 전문성과 운동지속의지 및 운동열정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경기도, 대전광역시 등에서 태권도, 유도, 합기도, 검도 등 경호무도 수련생을 모집단으로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총 235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21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따라 통계프로그램인 SPSS 21과 AMOS 21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경호무도 수련생이 지각한 지도자의 전문성은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호무도 수련생이 지각한 지도자의 전문성은 운동열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호무도 수련생의 운동지속의지는 운동열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호무도 지도자의 전문성은 운동지속의지와 운동열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운동지속의지는 운동열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instructor's professionalism,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nd exercise passion of security martial arts trainees. For this reason, we conducted a survey of 235 security martial arts trainees,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Using 215 collected data by SPSS 21 and AMOS 21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s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the professionalism had static influence to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Second, it showed that the professionalism gave static influence to the exercise passion. Third, it showed that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ffect to the exercise passion.

      • KCI등재

        스포츠지도자의 의사소통과 선수의 운동지속의지의 관계에서 지도자신뢰의 매개효과

        김대은,김종식,남광우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이 연구는 스포츠지도자의 의사소통과 선수의 지도자신뢰 및 운동지속의지의 관계 그리고 스포츠지도자의 의사소통과 선수의 운동지속의지의 관계에서 지도자신뢰의 매개효과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운동선수를 모집단으로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총 380명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총 36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따라 통계프로그램인 SPSS 21과 AMO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부트스트래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스포츠지도자의 의사소통은 지도자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지도자의 의사소통은 선수의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수의 지도자신뢰는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포츠지도자의 의사소통과 선수의 운동지속의지의 관계에서 지도자신뢰는 매개(완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structors trust in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s communication and exercise adherence of Athletes. For this paper athletes, who are registered as athletes of 2019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a total of 380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the collected data questionnaires lacking in dual reliability 361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s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executed using SPSS 21 and Amos 21. As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the instructor’s communication had static influence to the instructors trust. Second, it showed that the instructor’s communication didn`t gave static influence to the exercise adherence. Third, it showed that the instructors trust affect to the exercise adherence. Finally, the instructors trust showed mediated effect partially between the instructor’s communication and the exercise adherence.

      • KCI등재

        탁구 동호인의 스포츠 재미요인이 운동지속의지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점순,홍상욱 산업진흥원 2023 산업진흥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ffects of sports fun factors on the willingness to continue exercising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table tennis club memb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using a questionnaire about sports fun factors, willingness to continue exercising,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293 table tennis club member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illingness to continue exercising were identified as victory/compet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actice/benefit, and family support, and the will to continue exercis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influence on both self-realization and hedonic pleasure.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of the will to continue exercise, the mediating effects of fun factors such as competence/awareness, victory/compet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actice/benefits, and family support, on psychological happiness, self-realization and hedonic pleasure are confirmed as mediating effect except for competence/perception.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am atmosphere) factor had a higher mediating effect on self-realization and hedonic pleasure than other factors. 본 연구는 생활체육 탁구 동호인의 스포츠 재미요인이 운동지속의지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알아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탁구 동호인 293명을 대상으로 스포츠 재미요인, 운동지속의지, 심리적 행복감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운동지속의지에 영향력을 주는 요인은 승리/경쟁, 대인관계, 연습/혜택, 가족지원으로 파악되었으며 운동지속의지는 자아실현과 쾌락적 즐거움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요인인 유능성/지각, 승리/경쟁, 대인관계, 연습/혜택, 가족의 지원이 심리적 행복감인 자아실현, 쾌락적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운동지속의지의 매개 효과분석 결과 유능성/지각만을 제외한 모든 요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대인관계(팀 분위기) 요인이 타 요인보다 자아실현과 쾌락적 즐거움에 높은 매개효과를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농구 생활체육지도자 유형에 따른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김유나,김성겸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der type on exercise commitment and willingness for basketball athletes in Gyeongbuk in 2019. From March to July 2019, we visited the sports clubs and basketball courts of each region and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 to a total of 231 people.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2.0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lifestyle basketball leader type, exercise commitment, and willingness to exercis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raining and instruction type, behavioral commitment, and tendency. Democratic behavior patterns were found to correlate with cognitive commitment and reinforcement factor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social support. Positive reward types were related to cognitive commitment, behavioral commitment, and reinforcement. Authoritative behavioral patterns were found to correlate with potential and reinforceme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leader type on the exercise commitment and the will to exercise, it was found that the leader type partially affected the exercise commitment and the will to exercise. Therefore, the leader should use the proper guidance metho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mood of the group together with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sport. 본 연구는 2019년 기준 경북지역에서 활동 중인 농구 생활체육인을 대상으로 지도자 유형이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19년 3월부터 7월까지 각 지역별 체육회 및 동호인 농구대회지에 방문하여 총 23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해 설문지의 타당도, 신뢰도 검사,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 농구 지도자 유형, 운동몰입, 운동지속의지의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훈련 및 지시 유형과 행위몰입, 경향성이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적 행동 유형은 인지몰입, 강화성요인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 유형은 경향성이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보상 유형은 인지몰입, 행위몰입, 강화성이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위적 행동 유형은 가능성, 강화성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 유형이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결과 지도자 유형이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지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지도자는 자신의 종목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함께 집단의 특성, 분위기 등을 고려해 적절한 지도방법을 활용하여야 하며, 운동 참여자들이 지속적으로 운동에 참여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많이 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대학 검도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감경동(Gam, Kyeong Dong),김종언(Kim, Jong-Eon) 대한검도학회 2017 대한검도학회지 Vol.28 No.1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6년 10월 경북 청송국민체육센테에서 개최된 “제 47회 추계전국대학검도연맹전”에 참가한 대학교 1학년~3학년 검도 선수들 113명을 대상으로 대학 검도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Likert의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대학 검도선수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선수경력 그리고 연구하고자 하는 요인인 성취목표성향과 운동 몰입 그리고 운동지속 의사에 관련된 4가지 영역의 설문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토계기법은 탐색적 요인분석, t- 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 검도선수들의 성별에 따라 성취목표성향,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사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학 검도선수들은 학년별로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인 과제성향요인과 운동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지속의사 역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 검도선수들의 선수경력에 따라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인 과제성향과 자기성향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인 과제성향요인과 자기성향요인은 운동몰입의 인지몰입과 행동몰입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운동지속의사 역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운동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은 운동지속의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 모든 요인 간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인 과제성향요인은 운동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과 행동몰입, 그리고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자기성향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운동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은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 검도선수들의 학년과 선수기간에 따라 성취목표성향, 운동몰입 과 운동지속의사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인 과제성향요인은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운동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이 운동지속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targeted at 113 Kumdo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The 47<SUP>th</SUP> National Autumn University Kumdo Federation Competition,” held in Cheongsong Sports Training Center in Gyeongbuk in October, 2016, ranging from freshmen to juniors in the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ity Kumdo athletes’ achievement goal disposition on immersion in exercise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Thus, I collected questionnaires using five-point scale of Likert. The questionnaires were written by self administration methods and consisted of four parts relating the achievement goal disposition, immersion in exercise, and intention of exercise adherence as factors I researched. After I entered all of the collected data in teams of two, I excluded several data with untrustworthy answers or some missing data and analyzed the rest of the data using SPSS 21.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earch’s purpose. After then, I used the statistics techniqu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analysis and reached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hievement goal disposition on immersion in exercise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based on Kumdo athletes’ gender. The athletes in the universit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 task orientation factor that was a subscale of the achievement goal disposition, and the cognitive commitment factor that was the subscale of the immersion in exercise by each grad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Secondly, according to their care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task orientation and self-disposition factors that were subscales of the achievement goal dis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immersion in exercise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didn’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ly, the task orientation and self-disposition factors as the subscales of the achievement goal disposi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immersion in exercise,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devotion.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lso got the same result. Furthermore, the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devotion that were subscales of the immersion in exercis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dherence intention. This means that two subscales had a mutual relation with every factor. For the next one, the task orientation factor that was a subscale of the achievement goal disposition di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devotion and even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However, the self-disposition factor didn’t significantly affect. Lastly, the cognitive commitment that was the subscale of the immersion in exercis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xercise adherence i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