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애회 지도자가 지향하는 여성상과여성노동자의 의식―『우애부인』을 중심으로―

        김경옥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3 일본학연구 Vol.70 No.-

        본고는 일본 최초의 노동조합 부인부로서 여성노동자의 최초 조직이라 할 수 있는 우애회(友愛會) 부인부가 발행한 『우애부인』을 통해서 우애회 지도자가 지향하는 여성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독자소식란을 통해서 『우애부인』을 읽는 독자, 즉, 여성노동자의 반응과 그들의 의식의 흐름도 살펴보았다. 우애회는 일본노동자의 향상과 산업 발달을 위해 1912년 스즈키 분지(鈴木文治)가 설립한 노동자 자치단체이다. 우애회 부인부는 1916년 6월 우애회 내에 정식으로 설립되었다. 『우애부인』은 1916년 8월부터 1918년 6월까지 단 2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발행된 잡지이다. 우애회 지도자가 지향한 여성상은 정직, 내조, 인내, 검약, 순결, 내직 등의 온전한 수양이 이루어진 상태였다. 여성노동자의 반응은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우애부인』을 외로움을 달래주는 친구로서 소비하는 것, 둘째 우애회의 지도자들이 지향하는 여성상을 수용하고 ‘훌륭한 부인’이 되고자 하는 것, 셋째 『우애부인』에 하이쿠나 와카를 투고하며 적극적으로 스스로의 의견을 제시하는 것, 넷째 공녀(工女)라고 무시당하는 현실 속에서 계급적 모순을 깨닫고 노동자의 일치단결을 외치며 수용을 넘어 주체적 자각으로 의식의 변용이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age of women that Yuaikai leaders aspire to through “Yuai fujin”, published by Yuaikai Women’s Division, the first women’s union organization in Japan. I also investigate the reactions of female workers who read “Yuai fujin” through the readers’ news section and their consciousness. Yuaikai is a self-government organization of workers established by Bunji Suzuki in 1912 to improve Japanese workers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e Yuaikai Women’s Division was formally established within the Yuaikai in June 1916. “Yuai fujin” is a magazine publish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just two years, from August 1916 to June 1918. The image of women that Yuaikai leaders aspired to was a state in which complete cultivation of honesty, patience, thrift, virginity, and side jobs was carried out. There were four responses from female workers. First, female workers consumed “Yuai fujin” as a friend to heal loneliness. Second, They wanted to become a ‘wonderful lady’ by accepting the image of women that the leaders of the Yuaikai aspired to be. Third, They wanted to contribute haiku and waka poems to “Yuai fujin” and actively expressed their opinions. Fourth, there was a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that went beyond acceptance and self-awareness, realizing the class contradiction in the reality of being ignored as a factory girl, calling for the unity of workers.

      • 口碑 友愛說話의 樣相과 意味

        조춘호 慶山大學校 1993 論文集 Vol.11 No.1

        인간 관계의 發端은 형제 관계에서 비롯된다. 형제 관계는 對社會的 생활에 있어서 協同과 扶助의 원천이며, 상호 경쟁의 경험을 통해 妥協과 寬容을 익히게 된다. 그러하기에 형제 관계에 대한 많은 이야기가 형성되어 구비전승되어 왔다. 구비전승되는 형제 관계의 이야기, 이를 구비 우애설화라 지칭하고 그 유형의 분류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유형의 분류와 정리는 다소 미흡하지만 내용과 형식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향에 기준을 두었다. 그러한 결과 다음과 갈은 일곱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첫째, 교훈을 듣고 感化되어 우애를 실현한 이야기 둘째, 財物에 대한 욕심을 버려 橫財하여 부자가 된 형제 이야기 셋째, 욕심으로 아우(형)의 경험을 흉내내다 망신당한 이야기 넷째, 부모의 애정을 획득하기 위하여 형제를 謀害한 이야기 다섯째, 아내들의 和合으로 우애를 되찾은 이야기 여섯째, 형제가 同居共財하며 어려움을 극복하고 잘 산 이야기 일곱째, 勤儉誠實하게 재산을 모은 후 형제를 도와 우애를 실현한 이야기 또한 이러한 구비 우애설화에 나타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當爲와 實際와의 거리가 恒存하고 있다. 형제는 천륜으로 맺어진 사이이기에 대립이나 갈등이 있어서는 안 되는 사이이지만 현실적으로는 그러하지 못하여 다양한 갈등이 야기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형제 사이의 갈등이 대부분 재산상속이나 재물에 대한 욕심으로 인해 야기된 갈등이다. 셋째, 구비 우애설화에 형상화된 형제들의 性品이 惡兄善弟, 愚兄賢弟, 兄富弟貧으로 설정되어 있다. 넷째, 형제의 우애 실현에 機能하는 가족구성원의 역할이 특히 강조되고 있다. 가족구성원 중 가부장의 역할 이상으로 형제들의 부인들인 여동서들의 역할이 중요하게 기능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논의가 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된 설화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으리라 생각되나, 필자가 실제 현지조사(청도군 및 경산시·군)에서 수집한 설화자료 중 우애설화의 내용이 이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이어서 다른 많은 자료를 포괄적으로 다루어도 본 고에서 검토한 것에 포함되리라 생각한다. 한편 이러한 논의를 확대하여 문헌설화까지 포함한 우애설화 전반에 관한 검토는 계속적인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인(仁)과 우애(friendship)의 정치철학

        장동진(Jang, Dong-Jin),마상훈(Ma, Sang Hoo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6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5 No.1

        이 논문은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문제인 개인화와 사적 이기심의 팽배로 인한 정치공동체의 갈등과 불안정성을 극복할 방안을 공자(孔子)가 제시하는 인(仁)의 정치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가 제시하는 우애(philia, friendship)의 정치를 통해 살펴보려한다. 이를 위해 공자의 인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애가 가진 특성이 정치공동체의 분열을 막고 사회적 화합을 이끌 수 있는지를 고찰한다. 공자와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하는 인과 우애는 공통적으로 정치공동체 안에서 친밀함과 사랑을 통한 ‘관계맺음’으로 나타난다. 공자와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과 우애를 통해 나타나는 정치공동체 구성원들의 관계맺음을 통한 연대에 주목하여 관계맺음을 통해 시민적 덕을 함양하고 공동체 구성원들의 조화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인과 우애는 현대에서 그 정치적 의미가 점차 간과되어 사적인 친교의 의미로 축소되었지만, 인과 우애는 사적 친교를 넘어서 시민적 덕을 함양하고 공동체의 공공선을 증진시키는 정치적인 개념으로 제시되었다. 공자와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인과 우애의 정치적 기획은 사회질서에서 개인적 자유와 권리와의 관계에서 갈등 상황을 불러 올 수 있지만, 공적 질서와 법규의 절대주의적 측면에 대한 한계를 설정함으로써, 그리고 현대 사회의 개인주의적 자유의 행사에 대한 비판적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인과 우애의 정치가 사회적 안정성과 공동선의 정치에 새로운 실현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것으로 독해 될 수 있다. 공동체의 분화, 개인의 원자화와 사적 이기심의 증대로 인한 분열과 단절 앞에서 공자가 제시한 인의 정치와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우애의 개념이 다시금 재정치화 되어야 함을 이 논문에서는 주장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ways of maintaining social stability and harmony in a liberal democracy, which is getting more and more diversified in interests and beliefs to lose its commonality, through analyzing positively the politics of "Jen" and "Friendship"(philia) respectively addressed by Confucius and Aristotle. Contemporary liberal democracies are characterized by their expanding civic privatism and pluralism that are to undermine the grounds for social stability and common good. The paper begins with our analysis concerned with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us’s Jen and Aristotle’s Friendship can provide sources for preventing social divide and conflicts to lead to social unity and harmony. The developments of political ideas of Jen and friendship in Confucius and Aristotle, who were devoted to creating and maintaining a better political community, are concerned with "making relationship" through intimacy and love within political community. Confucius and Aristotle paid attention to solidarity through "making relationship" of members of political community, as appeared in the ideas of Jen and friendship. Both theorists attempted to cultivate civil virtues from intimate natural human relationships in order to derive harmony and unity among community members. Confucius’s Jen is simply "to love humans". It is the affection that we can find in the familial relations, particularl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us characterized by its hierarchical aspects. It begins from nearby intimate and increasingly expands to outer. Aristotle‘s friendship means emotive affection and love appearing in various kinds of human relations. Jen and friendship are developed into moral and political ideas that are to provide the sources for maintaining social harmony and stability. Confucius and Aristotle saw that the sprouts of Jen and friendship primarily in the family, specifically parents and children, husband and wife, and thought those virtues in the family may develop into civil virtues of political community. While in contemporary liberal democracy, political ideas of Jen and friendship have been gradually ignored and retreated into privately affectionate relationships, Confucius’s Jen and Aristotle’s friendship are the very sources for civic virtues that should be cultivated more positively and maximally for maintaining the stability and the common good of a society. A political project on the revitalization of Jen and Friendship may demand some limitations on exercising individual liberties and freedoms. If we accept the political values of Jen and friendship in addition to individual liberties and freedoms, we need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political value of commonality represented by Jen and friendship, on the one hand, and the one of individuality or identity safeguarded by individual liberties and freedoms, on the other hand, within the limitation of preserving their central range respectively. We need a cross-checking process in order to maintain a social stability and harmony that requires examining the proper exercise of individual liberties and freedoms in view of the civic virtues of Jen and Friendship while the demand and exercise of civic virtues also in view of individual liberties and freedoms. This may be a project for revitalizing the politics of humanity.

      • KCI등재

        ‘형제급난’의 서사적 전변과 우애의 신화화 -한국사회의 ‘형제서사’ 진단과 치유적 전개 방향-

        김수연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4 No.-

        Korean traditional narratives consider the conflict between brothers to be a matter of good and evil. There is a narrative way of resolving conflict using the norms of 권선징악(勸善懲惡, encouraging good and punishing evil) and of resolving with the norm of the 개과천선(改過遷善, Regretting and Being Good). Both of these have a “normative and ideological interpretation” of brotherhood that distorts its reality, for it conceals the jealousy that works between the brothers and sisters who are close yet consider themselves to be friendly enemies. The idealization of Korea's universal brotherhood narrative is related to its atmosphere that has emphasized a code of brotherly ethics since the 16th century. At the national level, brotherly ethics have been standardized by compiling and distributing the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 Illustrated Conduct of the Two Cardinal Relations)』 and by developing and enacting a precedent of brotherhood among the literary class. A typical example of brotherhood is the production of “형제급난도(Painting of Impending calamity Between Two Brothers).” The proliferation of the brotherhood narrative makes the case for a special sense of brotherhood and a common code of brotherly ethics. The standardization of this idea of brotherhood is supported by the novels and tales that emerged after the 17th century, including “창선감의록(彰善感義錄, A Record of the Manifestation of Goodness and the Gratification of Emotional Bonds)”. The emphasis on ideal brotherhood makes it difficult for brotherhood to handle competition and cooperation, because it categorizes natural competition as possibly evil. This can be called “myth of brotherhood.” The “myth of brotherhood” is the process of absolutization of brotherhood. By concealing the shadow of the brotherhood narrative, it actually prevents its natural progression and forms a kind of oppression. This article attempts to diagnose the problems of “brotherhood narrative” in Korean society as a starting point, and to suggest a curative developmental way to solve such problems. It does so by first examining the social background surrounding the production of the brotherhood narrative, a representative case of creating brotherhood precedents, and second by demonstrating that brotherhood narratives were transformed into ideological and distorted myths, resulting in breaks in such narratives. This suggests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a healing narrative branch that can supplement the present-day brotherhood narrative. 한국의 전통적 작품서사들은 형제 간 갈등은 선악의 문제로 보고 권선징악의 규범으로 해결하는 가르기와 개과천선의 규범으로 해결하는 감싸기가 발달해 있다. 가르기와 감싸기는 모두 형제 관계에 대한 ‘규범적ㆍ이념적 해석’이라는 점에서, 형제 사이에 존재하는 실상을 왜곡하는 측면이 있다. 동기이체(同氣異體)이지만 언제든 원수가 될 수도 있는 형제자매 사이에 작동하는 시기심을 은폐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보편적 형제서사가 이념화되고 가르기 유형의 불화담과 감싸기 유형의 우애담이 강조된 것은 16세기 이후 ‘장유유서’의 형제 윤리를 교화의 중심 대상으로 강조하던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 국가 차원에서 『이륜행실도』의 편찬과 유포를 권장하고, 사족층을 중심으로 우애의 선례를 만들고 선양하는 방식으로 형제 윤리가 더욱 규범화된 것이다. 대표적인 우애의 선례 만들기 작업이 <형제급난도>의 제작이다. ‘형제급난’ 서사의 확산과 형제 미담의 확대는 우애에 특수하고 이상적인 형제 관계의 선례를 평범하고 일상적인 형제 윤리로 인식하게 만든다. <창선감의록>을 비롯하여 17세기 이후 등장하는 고소설과 설화들이 형제 문제를 가르기와 감싸기로 규범화하는 것은 이를 뒷받침한다. 이상적 우애의 강조는 형제 관계에서 발생 가능한 자연스러운 경쟁도 악으로 범주화하기 때문에, 형제 관계가 경쟁을 거쳐 협력으로 진행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것을 ‘우애의 신화화’라고 부를 수 있다. ‘우애의 신화화’는 우애의 절대화 과정으로, 형제서사의 그림자를 은폐함으로써 오히려 ‘형제서사’의 자연스러운 진행을 저지하고 일종의 억압을 형성한다. 이에 본고는 사회 전체적으로 우애가 강조되었던 조선후기의 ‘형제서사’를 출발점으로 삼아 한국 사회의 ‘형제서사’가 지닌 문제를 진단하고 그것을 해소할 수 있는 치유적 전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우애의 선례 만들기의 대표적 사건인 ‘형제급난’ 서사의 제작을 둘러싼 사회적 배경을 살피고 둘째, 형제서사가 이념화되고 왜곡된 신화로 변질되면서 형제서사의 단절을 낳았음을 논증하며 셋째, 오늘날의 형제서사에 보완되어야 할 치유적 서사 갈래의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시민 소통의 이상적 조건 - 아리스토텔레스의 ‘사회적 우애’를 중심으로 -

        손윤락 한국수사학회 2019 수사학 Vol.0 No.36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hilia’(social fraternity) and ‘homonoia’(oneness of mind) in Aristotle's ethical and political thought as the conditions of civil communication he put forward. I note here that Aristotle emphasized virtue(arete) education as a education of citizens(polites) in expanding the concept of friendship, which used to express personal relationships, into terms that define social relationships. Citizens’ virtue or excellence is an important requirement for maintaining a ‘polis’ as a community in which we live together, even if we have disagreements over the issue when an issue is formed according to different positions within a society. I will reveal in Aristotle's theory that the basis of social friendship requires the virtue of citizens, namely that good citizens achieve social fraternity. Even if citizens of a community have conflicting opinions and claims with each other, it is the ‘homonoia’(oneness of mind) in its true sense to maintain the community in which they live together by exercising the “social fraternity” that includes "legal fraternity" and "moral fraternity." In conclusion, this study points out that by showing the meaning of political fraternity combined with moral fraternity in Aristotle, 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ivic education to promote virtue within the ‘polis’ community. 본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및 정치학 사상에 나타나는 필리아(philia)를 기존 번역어인 ‘친애’나 ‘우정’이 아니라 ‘우애’로 번역하면서 ‘필리아 폴리티케’(philia politike), 즉 ‘사회적 우애’라는 의미의 우애와 시민들의 합의 혹은 한마음을 의미하는 ‘호모노이아’(homonoia) 개념을 그가 제시한 시민 소통의 조건으로 이해해보고자 한다. 우리는 여기서 아리스토텔레스가 개인의 관계를 표현하던 ‘우애’ 개념을 사회적 관계를 규정하는 용어로 의미를 확장함에 있어서 시민 교육으로서의 덕-훌륭함 교육을 강조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시민의 덕-훌륭함은 한 국가 사회 안에서 서로 다른 입장에 따라 쟁점이 형성될 때 우리가 그 쟁점을 둘러싸고 의견 충돌이 있더라도, 함께 사는 공동체로서 ‘폴리스’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건이 된다. 본 연구가 지향하는 초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에서 사회적 우애의 바탕에는 시민의 덕-훌륭함(arete)이 요구된다는 사실, 즉 훌륭한 시민들이 사회적 우애를 이룬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면서, 한 국가 공동체의 시민들이 서로 의견이 대립하고 주장이 상충하더라도 ‘법적 우애’와 ‘도덕적 우애’를 포함하는 ‘사회적 우애’를 발휘하여 함께 사는 공동체(koinonia)를 유지하는 것이 참된 의미에서의 ‘한마음’임을 주장하는 데 있다. 즉 도덕적 우애와 결합된 정치적 우애의 의미를 밝힘으로써, 폴리스 내에서 훌륭함을 증진하는 시민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 KCI등재

        비윤리적 향조직 행동 연구 : 자발적 예종론과 주역의 UPB를 보는 틀

        오열근 한국행정사학회 2024 韓國行政史學誌 Vol.61 No.61

        본 연구에서는 비윤리적 향조직 행동(UPB)의 개념을 논의한다. UPB는 조직 또는 조직구성원들(예 : 리더들)의 효과적인 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지만, 중요한 사회적 가치, 관습, 법률 또는 적절한 행동 기준에 위배되는 자율적 행동으로 정의된다(Umphress와 Bingham 2011:622). 최근 몇 년 동안 다양한 연구로 UPB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한국에서는 거의 연구가 수행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UPB에 관한 문헌을 검토한다. 첫째, UPB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UPB와 다른 유사 개념과의 차이점을 명확히 한다. 둘째, 사회심리학적 메커니즘과 과정의 관점에서, 특히 도덕적 불활성화와 무효화에 대해 논의한다. UPB의 측정 항목을 소개한 후, 다양한 경험적 연구들을 검토하여 UPB와 다름 제(諸) 개념, 예를 들면 태도, 리더십 스타일, 그리고 개인 및 맥락적 측면과 같은 개념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그리고 본 연구자의 공무원 경력의 한 사례(case)를 소개한 것이 본 논문의 특색이기도 하다. 한편 개인의 자율성에 입각한 UPB는 광범위한 비윤리적 행동이 일어날 수 있는 조직행동론 개념이다. 그런 의미에서 16세기의 불란서의 인문학자 라 보에시가 제시한 고전적 개념인 자발적 복종과 UPB와의 공통점이 흥미진진하다. 라 보에시(1530-1565)는 민중이 지배자에게 자율적으로 복종하는 메커니즘으로 ‘우애’를 들고 있다. 우리는 에티엔 드 라 보에시(1530-1565)의 「자발적 예종론」에서 우애의 세 가지 측면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자연이 모든 인간에게 부과한 동료에 대한 사랑의 계율인 ‘형제애’(자연의 우애)다. 그러나 인간의 타락한 이성 때문에 이를 따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런 다음 사람들을 더 효과적으로 정복하려는 독재가의 ‘호의’가 있다(의사 우애): 이것은 신성한 형벌을 받아 마땅한 극악무도한 악행이다. 마지막으로 평등하고 독립적인 ‘선한 사람들’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존중’(성스러운 우애): 이것은 모든 사람이 ‘선한 삶’, 즉 타인의 존경을 받을만한 덕스러운 삶을 통해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이상적인 공동체의 상태이다. 따라서 이 세 가지 형태의 우정은 각각 ① 원시적이고 허구적인 상태, ② 현재적이고 비난받을 수 있는 상태, ③ 인간 도시의 미래적이고 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라 보에시는 아리스토텔레스와 마찬가지로 우애를 정치의 최고 미덕이라고 생각한 반면, 몽테뉴에게 우정은 두 사람 사이의 사적이고 특권적인 관계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세 가지 우애 중 UPB와 관련이 있는 ‘우애’는 ‘의사 우애’이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라 보에시의 세 종류의 ‘우애’와 연결될 수 있는 주역 의 괘사와 효사를 유추하여 찾아내어 논리를 전개하였다. 그것이 건괘(乾卦)의 九五의 효사이고, 수지비괘(水地比卦)이며, 그리고 구덕3진(九德三陳)이다. 그리고 UPB의 이론 적 프로세스 모델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수지비괘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음양론에 의해 UPB 모델을 분석・해석하였다. 즉, 본 논문은, UPB의 도(道)(Tao)는 음과 양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끊임없는 흐름과 전체성에 의해 특징지어 진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oncept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UPB). UPB is defined as “actions that are intended to promote the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organization or its members(e. g. leaders) but violate core societal values, mores, laws, or standards of proper conduct”(Umphress and Bingham 2011: P.622). Research on UPB has been undertaken in various studies in recent year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in Korea. In this work, we review the literature on UPB. Firstly, we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UPB and other similar concepts so as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n UPB. Secondly, we discuss from the view point of the socio-psychological mechanism and process model, particularly with regard to moral disengagement and neutralization. After introducing the measurement items of UPB, we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UPB and other concepts, such as attitude, leader style, and individual and contextual aspects, by reviewing various empirical studios. In addition, it is a characteristic of this paper that introduces a case of the resercher’s career as a public official. On the other hand, UPA based on individual autonomy is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at can lead to widespread unethical behavior. In that sense, the commonality between voluntary servitude, a classical concept proposed by La Boétie, a French humanist in the 16th century, and UPB is exciting La Boétie(1530-1565) points to ‘friendship’ as a mechanism by which the people voluntarily obey the ruler. In Étienne de La Boétie’s Discourse on Voluntary Servitude, we can find three different aspects of friendship. Firstly “fraternal affection”, the precept of love towards companion which nature has imposed on every human being(natural friendship): few men have followed in it, however, because of our corrupted reason. Then there’s the tyrant’s feigned “favor” In an attempt to subjugate the people more effectively(pseudo- friendsh-ip): this is an extreme vice that merits severe divine punishment. Finally, the “mutual esteem” established between equal and independent “good people”(holy friendship): this is the state of the ideal community that every man should strive to achieve through “the good life”, i. e. the virtuous life that merits the respect of others. So these three forms of friendship represent respectively 1 the primitive and fictitious condemnable condition, and 3 the future and normal condition of the human city. La Boétie, like Aristotle, considers friendship to be the virtue par excellence of politics, while Montaigne sees it as a private and privileged relationship between two people. And the most associated friendship related to UPB among the three is “pseudo-friendship.” Furthermore, tn this study, the logic was developed by inferring the judgment(卦辭) and the line(爻辭) of ‘the Book of Changes(周易)’ that can be linked to the three types of friendship in La Boétie’s Discourse on Voluntary Servitude. That is the line of nine in the fifth place in Ch’ien/The Creative, Pi/Holding Together, and nine-virtue-trigram(九德卦). And of these three, the one most related to “UPB theoretical process model” is Pi/Holding[Union]. Finally, in this study, the UPB model was analyzed and interpreted by yin-yang theory. That is, this paper emphasizes how the way of UPB is characterized by a continuous flux and wholeness shaped by the dynamic interplay of yin and yang.

      • KCI등재후보

        여성의 시각에서 본 형제 우애 설화에 나타난 가족

        정충권 ( Jeong Choong-kw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6 No.-

        형제 간 우애를 이야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흥보전>의 경우처럼 당사자인 형제 간 대립을 통한 방법일 것이다. 그런데 형제 간 우애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가족 구성원 중 시집 온 여성, 곧 며느리이자 아내이며 동서인 여성들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이야기들도 있어 주목된다. <여자에게 달린 형제의 우애>와 <정직한 작은동서 어진 큰동서>가 그러한 부류의 설화들이다. <여자에게 달린 형제의 우애>는 우애 있게 지내는 형제들이 그것을 자신들의 공으로 돌리고 아내들의 입장은 고려하지 않는 데서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아내들이 모의하여 형제들의 화목함은 자신들 덕분임을 인정받게 되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정직한 작은동서 어진 큰동서>는 여유 있게 사는 형과 노름 등으로 가산을 탕진한 동생 간의 富의 엇갈림이 문제로 설정된다. 맏동서는 아랫동서의 사람됨을 우연한 기회에 알게 되고 그 맏동서가 선의의 속임수를 써서 남편을 속여 작은집을 도와준다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들은 가부장제 하의 남성 이데올로기가 투영된 이야기들이라 볼 수 있다. 자기 집안으로 시집 온 여성들을 길들이기 위한 담론으로서의 기능을 어느 정도는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게만 보면, 섬세한 일상 감각을 바탕으로 한 아내들의 주체적 시선을 무시하는 결과가 된다. 이 이야기는 가족의 일상을 주관하는 아내들의 시각에서 서술되고 있음으로써 형제 우애 문제, 나아가 가족의 의미가 더 근원적이고 포괄적인 관점에서 인식되고 있는 측면이 있다. 그 이면에는 지속을 주안점으로 하는 부부서사가 깔려 있기도 하다. 이 점에, 형제 우애를 여성들의 시각에서 본, 이 유형 이야기의 특수성이 있다. The most common way of describing brotherly love may be through confrontation between the involved brothers as in < Heungbojeon >. However, there are stories that deal with brotherly love but view it from the viewpoint of a female family member in the story such as a married woman, namely, a daughter-in-law, a wife, and at the same time, a sister-in-law. < Brotherly Love Depends on Women > and < Honest Little Sister-in-law Gracious Big Sister-in-law > are some of such stories. In < Brotherly Love Depends on Women >, the brothers maintain a close relation with each other but they attribute it to themselves without considering their wives` position. Taking this for a problem, the wives make a plan and won the brothers` approval that their brotherly love is owing to their wives` support. In < Honest Little Sister-in-law Gracious Big Sister-in-law >, the main issue is the gap of wealth between the rich elder brother and the poor younger brother who squandered his fortune away in gambling. The big sister-in-law, namely, the elder brother`s wife comes to know the litter sister-inlaw`s personality by accident, and helps younger brother`s house by tricking her husband with good intent. These stories reflect the male-dominant ideology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It is because they have a function as discourses for disciplining married women. If we see only from this viewpoint, however, we may miss wives` subjective eyes based on their fine sense of daily life. As these stories are narrated in the eye of wives who manage her family`s daily life, they perceive the issue of brotherly love from a more fundamental and comprehensive viewpoint. On the other side of this is the husband and wife epic emphasizing continuity as a key point. In this sense, the peculiarity of this type of stories is in women`s view of brotherly love.

      • KCI등재

        『麟坪大君房全圖』와 御製祭文을 통해 본 朝鮮王室의 友愛 宣揚

        김종태(Kim, Jong-tai)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5 No.-

        조선시대에 서울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화려한 第宅은 麟坪大君(1622~1658)의 집이었다. 인평대군은 인조의 3째 아들이자 훗날 효종이 되는 봉림대군의 동생이다. 인평대군과 봉림대군은 駱山과 宗廟를 각각 등 뒤에 두고 서로 마주 보는 두 누각 朝陽樓, 夕陽樓를 짓고 살았다. 조양루는 봉림대군이 15살이던 1633년에, 석양루는 인평대군이 20세이던 1641년에 건립되었는데 3살 터울이 나는 두 형제는 鈴索으로 불리는 방울을 단 동아줄을 연결하여 서신을 왕래하고 안부를 묻는 등 우애가 각별하였다. 효종이 왕으로 있는 동안 인평대군은 여러 가지 보호를 받아 제택의 규모를 늘리고 화려한 생활을 누렸다. 현종 대에도 이런 기조는 이어졌다. 그러나 숙종 대의 경신환국(1680)으로 인평대군의 아들 삼형제가 역모로 몰려 죽고 영조대에는 다시 그 증손자가 당쟁에 휘말려 죽자 화려하던 제택은 퇴락하고 급기야는 동물이나 거지들이 들락거리며 이웃 사람들이 꽃나무를 땔감으로 베어가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집안의 여종 得玉의 저주라는 귀신 이야기가 장안에 회자되기도 하였다. 몰락을 거듭하던 인평대군 집안은 1731년 귀머거리 李?을 봉사손으로 삼아 겨우 사당에 제사를 올리는 정도였는데 1751년(영조27) 영조가 本宮에 들렀다가 이숙을 만나보는 것을 기점으로 다시 중흥하게 된다. 이숙의 아들 李鎭翼은 1751년 昌慶宮 崇文堂에서 영조를 알현하여 선대의 御札과 우애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었고, 1773년에는 慶熙宮 集慶堂에서 인평대군의 遺稿를 가지고 입시하여 영조의 명으로 校書館에서 간행하였다. 한편 인평대군의 사후 효종을 비롯하여 숙종 · 영조는 치제문을 친히 짓고 썼는데 중심 내용은 인평대군의 우애이다. 특히 이 제문에는 숙종과 영조 자신이 인평대군의 후손을 죽인 것을 후회하는 내용이 들어 있어 주목된다. 이러한 전통을 계승하여 1792년(정조16)에 정조는 이진익에게 인평대군의 묘소에 제사를 올리고 치제문비를 세우게 하였으며, 閣臣 徐榮輔에게 인평대군 사당을 봉심하고 인평대군 제택을 그림으로 그려 올리라 명하였다. 이는 비정한 정치 현실로 무너진 왕실의 우애를 선양하고 나아가 왕실과 왕권을 강화하려는 큰 구도 속에서 나온 조치이다. 그동안 규장각에 소장된 「麟坪大君房全圖」는 제작 연대가 불명하였으나 이번 연구로 1792년에 제작된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인평대군 묘소 앞에 세워진 2기의 비문내용을 인평대군 후손의 당쟁 연루와 비교 분석하여 조선 왕실에서 그 우애를 선양한 맥락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평대군방전도」와 인평대군 致祭文碑의 이해를 심화시켜 문화유산의 가치를 제고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아울러 인평대군의 6대손이자 이진익의 손자 寀重은 球로 이름을 바꾸어 영조의 동생 延齡君의 嗣子인 恩信君의 후사를 이었는데, 그가 바로 南延君이고 그의 아들 흥선은 대원군이 되고 손자 고종은 황제가 된 역사적 사실은, 그 진진한 왕실 가계의 곡절로 인하여 인평대군의 우애가 반영된 그림과 비문에 문화적 흥미를 더해 준다. The mansion of the Prince Inpyeong, the third son of Injo and younger brother of Hyojong, was the most splendid residence in Seoul at that time. On the opposite side of Inpyeong’s mansion, there was the mansion of the Prince Bonglim, the future Hyojong. In the back of Inpyeong’s mansion there was Mt. Nak, while in the back of Bonglim’s house, there was Jongmyeo, the National Shrine. The main building of Inpyeong’s residence was the Joyang Pavilion built in 1633, while the main structure of Bonglim’s was the Sekyang Pavilion built in 1641. During the reign of Hyojong, the Prince Inpyeong enjoyed his brilliant house. After the death of Inpyeong and the tragic end of his sons during the political strife of 1680, the mansion became a deserted house and people came there to cut down the trees for the firewood. Only Yi Suk, a deaf man who was left as one relative of the Inpyeong family, kept the memorial service for ancestors. However, Yi Jinik, the son of Yi Suk, changed the fortunes of the mansion. In 1752, he met Yeongjo and let the king know about the brotherhood of Inpyeong and Hyojong. In 1773, he showed the posthumous works of Prince Inpyeong to Yeongjo and made Inpyeong’s anthology under Yeongjo’s orders. Yeongjo composed the funeral oration for Inpyeong and praised the brotherhood. The next king, Jeongjo, was touched by the story of Inpyeong and Hyojong, and asked Se Yeongbo to paint the mansion of Prince Inpyeong. Presumably with political motivations, Jeongjo aimed to show the virtuous brotherhood of the royal family to the world. It can be assumed that the anonymous painting “Mansion of Prince Inpyeong” currently preserved in the Kyujanggak must have been produced in 1792 under the orders of King Jeongjo.

      • KCI등재

        초기 유학의 우애(友愛) 윤리의 범위, 기능 및 지위

        陳治國(Zhiguo, Chen)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0 No.2

        초기 유학에서 구상한 윤리, 정치질서 체계 가운데, 우(友) 혹은 우애(友愛)윤리는 일종의 비(非)혈연 친정(亲情)적인 기본 사회 관계로서, 설령 가족 관계와 더불어 모종의 연속성, 유비성이 존재하였으나, 그것은 확실히 환원되거나 대체될 수 없는 몇몇 독특한 구조와 특징, 그리고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개체 덕성의 충분한 발전과 자아 실현의 촉진 소재이자 방식이었으며, 아울러 가정과 사회 내지 천하를 잇는 중요한 매개체였다. 그러나, 우애윤리는 비록 일련의 상황 아래에서 군신(君臣)의 정치관계에 스며들거나 혹은 그것을 초월할 수 있었으나, 전체 윤리, 정치질서의 근본 기초로서의 가정관계를 극복하거나 대체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 외에, 초기 유학의 우애윤리는 비록 여전히 각종 적용성과 동기적 요소를 갖추고 있긴 했지만, 그러나 자신의 연혁과 발전을 더욱 잘 실현하기 위해서, 또는 해당 시대와 세계에 더욱 공헌하기 위해서 또한 더욱 개방적으로, 자각적으로 기타 제자학파(諸子學派)의 우애윤리 관념을 받아들이고 배울 필요가 있었다. In the early Confucian politic-ethical order as a whole, friendship ethic being a basic social relation without blood kinship has certain continuity and analogy with family relations. However, friendship relation has clearly some irreducible, irreplaceable and unique structures, features and functions. It is not only the way and locus in which one could win the full development of individual virtue and self-realization, but also the important medium communicating family and society and even the world under heaven. Nevertheless, although the ethic of friendship could penetrate and even surpass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minister in some cases, it is rarely allowed to overcome, replace or surpass the family relationship, which is regarded as the fundamental basis of the whole ethical and political order. In addition, the early Confucian ethic of friendship still has a variety of applicability and inspiration today, yet in order to better realize its own transformation and better contribute to the current era and world, it also needs to learn from other schools of thought more open and consciously.

      • KCI등재

        프랑스 혁명 이념 ‘우애’에 대하여 : 한국어 번역 문제와 개념의 역사

        고원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0 비교문화연구 Vol.60 No.-

        A study on fraternity, the idea of the French Revolution: Problems with Korean translation and history of the concept Koh, Won Kyung Hee University This article examines fraternity, the idea of the French Revolution, to comprehe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term. People in Korea often get confused by the terms fraternity and philanthropy. However, fraternity is a distinctly different term from philanthropy. The word fraternity appeared during the growth of communes in medieval Europe. Communes were born out of a voluntary association among the citizens, based on the bond of an oath. It is the fraternity that bound the people and gave the city freedom from the dominion of feudalism. The radicals of the French Revolution accepted fraternity as the idea of the revolution. After the fall of the radicals, the liberals changed the meaning of fraternity, and “Liberty, Equality, Fraternity”, which was the slogan of the radicals, became a symbol of the French Republic in the late 19th century. 우애(fraternité)라는 단어는 중세 유럽에서 코뮌이 성장하던 시기에 등장했다. 우애는 도시민들을 수평적 관계 속에서 하나로 묶어주었으며, 봉건 질서에 대항하여 자유를 쟁취할 수 있는 힘을 만들어주었다.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사적 재산의 소유를 통해 자유와 평등을 보전하려는 부르주아 계급에 맞서 가진 것이없는 하층민들의 자유와 평등을 지키는 장치로서 주장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우애를 박애로 번역해왔다. 우애의 정확한 의미를이해하지 못했던 것이다. 오역은 단지 단어 하나의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자유, 평등, 우애”라는 프랑스 혁명의 이념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으며, 혁명의 기나긴 역사적 과정을 만들어낸 이념의 내적 갈등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없다. 프랑스 혁명의 이념은 프랑스 혁명의 성격 그리고 지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