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가노인 사례관리의 욕구사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욕구추출 알고리즘 개발

        김영숙(Kim Young-sook),정국인(Jung kook-in),박소라(Park So-rah)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1

        본 연구자들은 재가노인의 사례관리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되는 욕구 중심의 통합적 사정을 위한 28개의 욕구가 포함된 사정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그 후속 연구로 개발된 욕구사정도구를 활용해 전국 노인복지관 협회 산하 120개 기관의 재가 노인 676명의 사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마이닝의 의사결정 나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욕구에 적합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욕구추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재가노인의 욕구 28개에 대한 욕구추출 알고리즘은 〈표3〉에 요약하였다. 욕구 8번「외출 시 도움을 원한다.」의 의사결정모형을 예로 들면, 호소 23번을 주요 변인으로 외부이동 도움을 요청할 경우 80.3%와 요청하지 않을 경우 11.4%로 구분되었다. 이용자가 외부 이동에 대한 호소가 있고, 수발자가 있는 경우 87.9%로 욕구가 증가하였지만, 수발자가 없는 이용자의 경우 47.4%로 감소하였다. 노인이 외부이동 지원에 대한 요청과 수발자가 있으며, 청소하기의 완전도움이 필요한 경우, 외부이동 도움에 대한 욕구는 94.2%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용자가 외부이동의 도움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ADL의 목욕하기에 완전도움으로 응답한 경우 외출도움의 욕구는 11.4%에서 80.0%로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ADL 목욕하기의 기능이 부분도움 또는 완전자립의 경우 외출도움이 필요하다고 분류될 가능성은 7.7%로 낮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의사결정모형은 최대 나무깊이는 5수준을 정지규칙으로 하여, 부모마디와 자식마디의 사례 수를 각각 50과 25로 지정하였다. 이를 통해「외출 시 도움을 원한다」라는 욕구의 경우 182.13%의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알고리즘은 재가노인의 욕구를 추출함에 있어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authors developed 28 needs assessment tools for integrated assessment centered on needs, which is the core element in care management for the elderly in home. Also, the authors collected the assessment data of 676 elderly persons in home from 120 centers under the Korea Association of Senior Welfare Centers by using the needs assessment tools, and finally developed needs extraction algorithm through decision tree analysis in data mining to identify their actual needs and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 suitable for such needs. The needs extraction algorithm for 28 needs of the elderly in home are summarized in 〈Table 3〉. The Need No. 8 「Having need of help in going out」 of the decision-making model, for example, was divided into 80.3% of asking for help and 11.4% not asking for help with Appeal No. 23 as a major variable. The need increased by 87.9% when the elderly appealed for help to go out and they had a caregiver but decreased by 47.4% when they had no caregiver. When the elderly asked for help in going out, they had a caregiver, and they needed complete help in cleaning, their need of help in going out was shown as 94.2%. However, seen from their answer that they needed complete help in bathing of ADL even if they did not ask for help in going out, it was found that the need of help in going out sharply increased from 11.4% to 80.0%. On the other hand, when they needed partial help or self-supported in bathing, the potential for them to be classified as asking for help in going out was shown to be low as 7.7%. In the said decision-making model, the number of cases for parent node and child node was designated as 50 and 25, respectively, with level 5 of the maximum tree depth as stopping rule. By this, it was shown that their decision-mak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as 182.13% for the need「Having need of help in going out」. The algorithm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as systematic and scientific fundamental data in assessment of needs of the elderly in home.

      • KCI등재

        정신장애인 사례관리의 욕구사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사정도구 개발과 욕구추출 알고리즘 과정 연구 - 데이터 마이닝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

        김영숙,박소라,우후남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09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4 No.-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ㆍ환경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그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욕구 중심의 사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정신장애인 379명의 사정 데이터를 수집한후 데이터마이닝의 의사결정 나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욕구에 적합한 서비스제공을 위한 욕구추출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07년 3월부터 2009년 3월까지 약 2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크게 사정도구 개발과 개발된 도구를 활용한 욕구추출 과정으로 나뉠 수 있다. 도구개발은 문헌고찰을 통하여 기본적인 틀을 구성하였고, 포커스 집단과 전문가들을 통하여 사정도구의 주관적 호소와 욕구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통계적인 검증과정을 거쳤다. 검증결과 본 도구의 내적 신뢰도의 평균은 .805이었고 이 도구를 활용하여 정신장애인 사례관리의 욕구추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사정도구와 알고리즘은 정신장애인의 객관적 욕구를 사정하고 확인함으로써 체계적인 사례관리를 수행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study aims to develop a assessment tool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to provide the sufferers of mental disorders in local communities with appropriate services with consideration for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s. After collection of assesment data of 379 mental disorders through use of the tool, an algorithm to determine needs was developed to provide a service to real needs through the use of decision tree analysis on data mining.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wo years from March 2007 through March 2009, and it is divided into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ol and extraction of real needs through the use of the tool. The basic framework of the development of the tool was establish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related literature, while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assessment tool and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the use of a focus group and experts. Finally, verification was implemented through the use of statistic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tool.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tool secured following reliability α = .805. In addition to this, a real needs-extraction algorithm was established through the use of the assessment tool, and the an algorithm according to each desire was suggested. The assessment tool and algorithm suggested as a result of the study can be used as data to conduct systematic management of examples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objective needs of each mental disorder.

      • KCI등재

        재가장애인 사례관리의 욕구사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사정도구 개발과 욕구추출 알고리즘 과정 연구

        김영숙(Kim Young Sook),정국인(Jung Kook 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사회복지학 Vol.60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에 거주하는 재가 장애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ㆍ환경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그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욕구 중심의 사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재가 장애인 200명의 사정 데이터를 수집한 후 데이터마이닝의 의사결정 나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욕구에 적합한 서비스제공을 위한 욕구 추출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6월부터 10월까지 5개월간 이루어졌으며, 크게 사정도구 개발과 개발된 도구를 활용한 욕구추출 과정으로 나뉠 수 있다. 도구개발은 문헌고찰을 통하여 기본적인 틀을 구성하였고, 포커스집단과 전문가들을 통하여 사정도구의 주관적 호소와 욕구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도구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통계적인 검증과정을 거쳤다. 검증결과 본 도구는 〈표 2〉와〈표 3〉의 결과처럼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며, 이 도구를 활용하여 욕구추출 알고리즘 요약을 〈표 5〉와 같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사정도구와 알고리즘은 재가 장애인의 객관적 욕구를 사정하고 확인함으로써 체계적인 사례관리를 수행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study aims to develop a assessment tool to provide the in-home disabled in a local community with appropriate services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emotional, social and environmental circumstances. After collection of assesment data of 200 in-home disabled through use of the tool, a desire-extracting algorithm was developed to provide a service to real needs through the use of decision tree analysis on data mining. The study was conducted for Five months from June 2006 through October 2006, and it is divided into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ol and extraction of real needs through the use of the tool. The basic framework of the development of the tool was establish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related literature,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assessment tool and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the use of a focus group and experts, and verification was implemented through the use of statistics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tool.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the tool secured following validity and credibility as seen in 〈Table 2〉 and 〈Table 3〉. In addition, real needs-extraction algorithm was established through the use of the assessment tool, and the algorithm according each desire was suggested as seen in 〈Tables 5〉 The assessment tool and algorithm suggested as a result of the study can be used as data to conduct systematic management of examples through the confirmation of objective desire of in-home disabl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