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권력투쟁’의 정당화?: 한반도 안보위기시 외세 담론과 국내정치

        박홍서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2 문화와 정치 Vol.9 No.3

        During the security crisis on the Korean Peninsula, political forces on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trying to secure their domestic political interests by using discourses on foreign powers. The repudiators capitalize on threats from foreign powers in order to attack rival political forces by denouncing them as “followers of foreign powers.” The political forces claiming dependence on foreign powers take advantage of such reliance to procure their own political interests through the support of foreign powers. Meanwhile, the pragmatic forces on foreign powers rejects the so-called "good foreign power" or "bad foreign power" premise and regards any foreign power as a cooperative partner if it is positive in resolving the security crisis. Pragmatist forces criticize that repudiators and dependent forces hinder resolving the Korean security issue, while the latter extremists attack respectively pragmatists as followers of foreign powers or forces undermining relations with friendly foreign powers. In order to solve the Korean Peninsula proble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void rigid friend-enemy distinction toward foreign powers and take flexible strategies towards them. 한반도 안보위기시 한반도 정치세력은 외세(강대국) 담론을 활용해 자파의 정치적 이익을 확보하려는 행태를 보인다. 배격론 세력은 외세의 위협을 강조해 내부 결속을 강화한다거나 경쟁 정치세력을 외세 추수세력으로 규정하고 공격한다. 의탁론 세력은 강대국의 지원을 통해 정치 권력을 유지하거나 정치 권력의 탈취를 시도한다. 실용론 세력은 배격론 및 의탁론 세력과 달리 한반도 안보위기 해소라는 문제해결을 우선시한다. 실용론 세력은 우호적 외세 혹은 적대적 외세라는 선험적 이분법을 거부하고 안보위기 해소에 긍정적일 경우 어떠한 외세라도 협력 가능한 대상으로 간주한다. 실용론 세력은 배격론 및 의탁론 세력이 안보위기 해소라는 문제해결을 저해한다고 비판하는 반면 배격론 및 의탁론 세력은 실용론 세력을 각각 외세 추종적이거나 우방과의 관계를 훼손한다고 공격한다. 향후 한반도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주변 강대국에 대한 경직된 이분법을 지양하고 문제해결이라는 목표로부터 출발해 유연한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백범의 정치사상과 동학

        정경환 동학학회 2005 동학학보 Vol.9 No.2

        This treatise attends to analyze the relativity of Baekbum’s political thoughts to Donghak(or Donghak thoughts). As is generally known, Donghak Movement lies to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Korean Nationalism. And then Baekbum Kim Koo is realized the symbol of Korean Nationalism. In Baekbum Ilji(Baebum’s memoirs) Baekbum referred to be influenced by human ineqality thought and anti-foreign power thought of Donghak. We must understand the humane, social and historical basic recognition of Baekbum for the relativity of Baekbum’s political thoughts to Donghak. First of all, Baekbum strongly criticizes humane inequality by a status system in Chosun Dynasty. Baekbum was experienced Sangnom(a mean man)’s sadness from the cradle. He has thought the distinction of rank in Chosun Dynasty as the hindering sources of national integration. And he has thought self and state as organic relation. Baekbum thought that I am not without nation. And then he devoted his life for national rights’s recovery. Next, he has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anti- injustice foreign power. He don’t criticize categorically foreign power but injustice and aggressive foreign power. Baekbum keeping above humane, social and historical recognition constituted self political thought throughout Donghak(or Donghak thought). As everybody knows, Donghak thought is composed of the theory of humane inequality and anti-foreign power. The theory of humane inequality of Donghak had exerted influence on Baekbum’humane inequality and liberal thought. And I think that Baekbum’independent thought was influenced by Donghak’s anti-foreign power. The populism of Donghak’s Inaechun(Human is the heavens) thought had exerted deep influence on Baekbum. Baekbum serviced for national rights’s recovery throughout his life not catching poltical power. This action is not casual work but participating result of Donghak. 본 논문은 근대한국민족주의의 출발점을 형성하고 있는 동학과 한국민족주의의 상징적 인물인 백범김구의 정치사상간의 상관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백범은 자신의 회고록인 ‘백범일지’에서 동학의 인간평등론과 반외세저항론에 깊은 영향으로 받았다고 직접 언급하고 있다. 백범의 정치사상과 동학사상간의 연관성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백범이 인간, 사회 및 역사에 가졌던 기초적 인식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우선 백범은 조선조의 신분제에 의한 인간불평등론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백범은 몰락한 양반의 자손으로 상놈으로 출생하여 어린 시절부터 양반으로부터의 학대와 상놈으로서의 비애를 몸소 겪어 바 있다. 조선조의 인간차별적 신분제도는 국민통합을 저해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백범은 사회(국가)에 대해서는 나와 사회, 나와 국가는 분리할 수 없는 유기체적인 통합관계에 있다고 생각했다. 국가가 없는 나란 존재할 수 없고, 나와 국가는 상호 밀접한 유기체적인 관계에 있음을 스스로 설파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국가사회를 위해 개인의 행복이나 안락함을 포기하고 국권회복을 위해 헌신하였다. 이러한 행동의 실천은 백범의 나와 국가간의 일체화란 대국가관(사회관)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는 억압적 외세에 대해서는 절대로 굴복할 수 없다는 확고한 역사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백범은 우리 민족이 이루 형언하기 어려운 숱한 외침 속에서도 역사를 지키고 오늘에까지 이른 것은 우리 민족의 강인한 반외세 투쟁론의 결과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는 무조건 외세를 반대하고 배격하는 것이 아니라 타 나라를 침략하고 억압하는 부당한 외세를 배격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인간, 사회 및 역사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던 백범에게 있어서 동학과의 접촉은 자신의 인식을 하나의 사상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동학사상은 주지하다시피 인간평등주의(반봉건)과 반외세주의(반침략)를 양대 사상적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학은 조선조 말기의 부패하고 억압적인 조정에 대해 반기를 들고 인내천사상으로 민중의 광범위한 지지지를 받고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였다. 동학의 인간평등론은 백범의 인간평등사상과 자유사상을 확고하게 정립하는 중요한 사상적 원천이 되었다. 또한 백범 정치사상의 기조인 자주사상 역시 동학의 반외세주의에 영향 받은 바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동학의 인내천사상에 의한 민중주의는 백범에게 깊은 감화를 주어 자신의 사상을 실천하는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고 고찰된다. 백범이 정치권력이라는 차원에서보다 늘 민족 내지 국민의 관점에서 정치활동을 전개한 것도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라 동학사상의 적극적인 흡수와 동학운동에 대한 활동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개항 후(1876~1894) 서울의 자본주의 도시화와 공간 재편

        박은숙 서울역사편찬원 2009 서울과 역사 Vol.- No.74

        Seoul had become a center of modernization policy that the government carried out, and had become aggressive foothold of foreign power after open port to foreign vessel in 1876. Modern urbanism had been advanced at the same time, in Seoul. Urbanism of Seoul that was in progress under capitalism caused big change in traditional city structure, and constructed base that was reorganized into capitalistic urban space. Urbanism of Seoul was carried out centering around built environment, that is, road, education and medical service, etc. The modernization policy of government had been proceeded in Bukchon(北村, north village) that was the center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in Seoul. On the other hand, foreign nation legations was located in Namchon(南村, south village) that was the unimportant area of Seoul. Namchon started arising as the center of politics, diplomacy and economy by depending on foreign power. Urbanism of Seoul was not proceeded unilaterally. It had been collided with moderniz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invasion of the foreign power and resistance of Seoul residents. The spacial reorganization of Seoul had accomplished with interaction of their factors. Capitalistic urbanism and spacial reorganization of Seoul had become a important chance which the spacial leadership had been overthrown from Bukchon to Namchon after open port in 1876. 개항 후 조선의 수도 서울은 개화정책 추진의 중심지이자 외세의 침략적 요충지가 되었으며, 이와 함께 근대적 도시화가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자본주의 세계체제가 작동되는 가운데 진행된 서울의 도시화는 전통적 도시구조에 커다란 변화를 불러와 자본주의 도시공간으로 재구성되는 기반을 구축하고 있었다. 이 시기 서울의 자본주의 도시화를 추동한 중심축은 정부의 개화정책과 외세의 침략적 산물들이었다. 서울의 도시화는 근대적 제조업․교통․통신․교육․의료의 도입과 시설, 외국공관의 설립, 새로운 상권 형성 등과 같은 建造환경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이는 산업화와 인구집중으로 유발되는 본격적 자본주의 도시화 양상과는 차이가 있지만, 자본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었고 세계체제에 강제 편입된 서울 도시화의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정부의 개화정책은 정치․군사․경제․통신․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추진되었으며, 전통적 중심지인 북부 성안과 중부, 곧 北村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반면 외세는 주변부에 속했던 서부 정동과 남부의 명동․진고개 일대, 곧 南村에 진출하여 자국의 공관을 세우고, 주변 공간을 확보하면서 이질적 신시가지를 조성해 나갔다. 특히 외세가 자리한 정동과 명동․진고개 등 남촌 일대의 변화는 질적 측면에서 그 폭이 컸다. 남촌 일대는 열강의 위압적 권력이 작용하면서 정치․외교․경제의 주요무대로 떠오르기 시작하였다. 남촌 일대의 급격한 변화는 전통적 도시구조에 변화를 불러일으켰으며, 남촌시대의 서막을 열고 자본주의 도시체제로의 재편에 시동을 걸었다. 서울의 도시화와 공간 재편은 어느 한쪽의 일방적 힘에 의해 진행된 것이 아니었으며, 정부의 개화정책과 외세의 침투, 도성민의 저항이 맞부딪히면서 진전되었고, 이들 권력의 상호작용에 의해 공간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외세가 개입된 도시화 과정에는 민족갈등과 땅값 상승, 지역별 불균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가 수반되었다. 개항 후 진행되기 시작한 서울의 자본주의 도시화와 공간재편은 공간권력의 주도권이 북촌에서 남촌으로 이동하는 중요한 轉機가 되었으며, 조선의 북촌, 외세의 남촌으로 이원화 양상을 띠고 있었다. 1897년 고종의 덕수궁 환궁 또한 서구세력이 조성한 정동의 공간권력에 기반하여 이루어졌으며, 대한제국기 도시개조사업과 일제 식민정책을 거치면서 남촌의 우위가 확고해졌고, 이러한 구도는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자본주의 도시화의 단초를 열어간 이 시기 서울의 도시화와 공간재편 문제는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다.

      • KCI등재

        5·4운동의 발발 배경과 역사적 교훈

        오수얼 한국동북아학회 2007 한국동북아논총 Vol.12 No.3

        A Outbreak Background and Historical Lesson of 5·4 Movement Oh, Soo-Yol We say that 5·4 movement among Chinese history for fifty centuries is only one of the numerous events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both those days and the future. However, It is a great memorable event historically that China rejected foreign power by her people's own consciousness under the difficult situation of the invasion by West Europe and Japan imperialism, and developed a wide movement to kick traitors for pursuing their own profit. It is basically characterized as resistance character against the aggression by foreign powers but it has important feature that not every foreign influence was its enemy. Student who participated in 5·4 movement had clear view of the reality that they need help of western countries such as England, France, Italy, and Russia to fight against invasion of Japan which can be summarized as so called '21 Demands', and they actually did asked the western countries to keep watch of the excessive ambition of Japan. 5·4 movement can be seen as a 'stepping stone' to the settlement of communism in China. It can be verified in the fact that Chinese communist party was founded in Sanghai only 3 years after 5·4 movement broke out. Moreover, during 5·4 movement, unlike Bejing, Sanghai greatly contributed to spread of 5·4 movement, resulted by active participation of dealers and workers. It seems that these regional characteristics could have been foundations of the formation of communism. In this thesis, by looking over characteristics, development of 5·4 movement which greatly contributed to awakening chinese people in the invasion time of imperialism and its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modern China, I will summarize the lesson that we can obtain even if we still can't overcome a division situation covered by the interest of powerful countries. 5천년에 이르는 중국의 역사 속에서 당시는 물론이고 후일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을 꼽자면 무수한 사건들을 들 수 있을 것이며, 54운동은 그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중국이 서구 및 일본제국주의의 침략에 신음하고 있던 상황에서 민중이 스스로의 자각에 의해 외세(外勢)를 배격하고, 외세에 부화뇌동하여 자신의 이익 추구에 급급한 매국노(賣國奴)를 몰아내기 위한 광범위한 운동을 전개했다는 사실은 역사적으로 깊이 기억될만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54운동은 기본적으로 외세의 중국 침략에 대한 저항적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모든 외세를 배척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다는 데 중요한 특징을 갖는다. 54에 참여한 학생들은 소위 ‘21개조 요구’로 집약되는 일본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하여는 영국프랑스이탈리아러시아 등 서구 여러 나라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현실을 직시하고 있었으며, 실제로 일본의 지나친 야욕을 서구 여러 나라들이 견제하여 주도록 요청하기도 하였다.54운동은 중국에서 공산주의가 정착되는 데 하나의 ‘징검다리’ 역할을 했다고도 할 수 있다. 이는 54운동이 발발한지 불과 3년 후에 상해에서 중국공산당이 창립되었다는 데에서 잘 증명되고 있다. 더욱이 상해는 54운동 당시에 북경과는 달리 상인(商人)과 노동자(工人)들의 참여가 활발하게 나타나 54운동의 확대에 크게 기여한 지역으로서 이러한 지역적 성격이 공산주의 창당의 토대가 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제국주의 침략시기에 중국 민중의 자각을 가져오는 데 크게 기여한 54운동의 성격과 그 전개과정 그리고 그것이 근대중국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아직도 강대국들의 이해관계에 휩싸여 분단 상태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우리들이 얻을 수 있는 교훈을 간추려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만주 주재 선교사 존 로스(JohnRoss)의 의화단운동 이해

        박형신 만주학회 2011 만주연구 Vol.- No.11

        1872년에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회 (UnitedPresbyterianChurch)해외선교부로부터 파송되어 만주주재 개신교 선교사로 활동해온 존 로스 (JohnRoss,1842~1915)는 의화단운동을 경험한 후 수 차례의 발표와 저술을 통하여 이충격적인 사건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였다.1899년에 산동과 직예에서 시작된 의화단운동은 다음 해에 만주지역에까지 전파되었으며 청나라에대한 지지와 외세의 배격을 의미하는 ‘보국멸양(保國滅洋)’등의 구호를 내걸었다.의화단은 동삼성(東三省)이라 불리는 봉천성(奉天省),길림성(吉林省),흑룡강성(黑龍江省)에서 무술훈련의 예비단계를 거쳐 6월과 7월에는 집중적으로 기독교 관련 건물들을 방화하고 외국인 선교사와 중국인 교인을살해하였으며,외세와 제국주의를 상징할 수 있는 철로 등을 공격하였다. 로스는,절제운동을 표방하던 재리교(在理敎)가 의화단운동에 적극적으로참여하여 대규모의 단원들에 의한 열광적이고 파괴적인 면모를 보여주었음을 강조하였다.또한,만주지역의 성경부도통(盛京副都統)진창(晋昌)을 비롯한 만주족 고위관료들과 군대는 북경의 중앙정부와의 연계 아래 의화단의활동들에 직접적으로 협력하였음을 말하였다.중국에서 약 28년간 선교활동을 해온 로스는 19세기 말엽에 활발하게 분출되는 중국인들의 민족주의적정서에 공감하면서,의화단운동의 본질을 반외세 및 반제국주의적운동이라고 파악하였다.1897년에 일어난 조주교안(曹州敎案)을 구실로 교주만(膠州灣)을 장악한 후 산동에 진출하여 영토의 조차를 강행한 독일의 제국주의야말로 의화단운동의 직접적인 배경이라고 보았다.또한,의화단운동이 보여준 외국물품과 외국인 관련자들에 대한 철저한 징벌은 이 운동의 반외세적,반제국주의적 본질을 단적으로 드러낸다고 보았다.마지막으로,로스는 의화단운동이 반기독교(反基督敎)운동이었는지의 여부를 논하였다.그는 가톨릭교회의,교회와 정치를 연계하는 정책에서 비롯된 사제들의 관리행세와재판에의 불법적 관여가 기독교 측의 의화단운동에 대한 중요한 책임소재라고 보았고,일부 개신교 선교사들의 거만한 태도 역시 문제가 있었음을지적하였다.결론적으로,로스는 의화단운동이 ‘기독교선교와의 전쟁’(a missionarywar)이 아니라,제국주의자들과의 일종의 ‘문화적 전쟁’(acultural war)이었으며,따라서 그 본질은 반기독교운동이 아니라 반외세 및 반제국주의운동이라고 보았다.종합적으로 평가해볼 때,존 로스의 만주 의화단운동에 대한 연구는 재리교와 만주족 관료층의 의화단운동에서의 역할에 대한 관심을 진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또한 중국에서의 열강의 제국주의적침탈에 대한 선교사들의 입장을 엿보게 한다.무엇보다도,의화단운동과 관련한 전통적,사회주의적 역사서술인 기독교의 제국주의 첨병론에 대하여진지한 재검토를 요구한다.

      • KCI등재

        종전 후 외세의 개입에 따른 영향과 갈등 -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살펴본 제주4 3과 대만2 28의 원인(遠因)-

        변현정 ( Byeon Hyeon-jeong ),고경아 ( Go Gyeong-a ),허선주 ( Sun-ju ),송은경 ( Song Eun-gyeong ),정창원 ( Jung Chang-w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9

        본고에서는 일본의 식민지였던 대만과 조선의 전후처리과정에서 등장하였던 외세의 개입과 이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갈등의 집약체로서 제주4·3과 대만2·28에 대해 주목해 보았다. 두 사건 모두 국가에 의해 자행된 백색테러라는 공통점과 양민학살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카이로회담에서 조선은 신탁통치, 대만은 중화민국으로의 귀속이 결정되었다. 미군은 신탁통치 과정에서 일제의 체제를 활용하면서 오히려 대중들의 삶을 어렵게 만들었다. 미군정의 통치를 받게 된 남한에서는 인민위원회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특히, 인민위원회는 각 지역의 치안을 맡았는데, 제주도 또한 예외는 아니었다. 이들은 농민, 노동자, 부녀자 등의 일반 민중들의 지지를 받고 있었지만, 미군에게는 불만스러운 존재일 수밖에 없었다. 3·1절을 맞아 제주에서는 가두시위가 진행되었는데, 이를 계기로 미군정은 제주를 붉은 섬으로 인식하여 좌익세력을 척결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미군정의 조치에 반발한 남로당은 1948년 4월 3일을 기해 무장봉기를 일으키게 되고, 그 진압과정에서 무차별적인 양민학살이 자행되었다. 대만은 중화민국으로 귀속되면서 국민당정부가 정권을 장악하게 된다. 행정장관에 임명된 陳儀는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대만에 대한 본격적인 통치를 시행하였다. 하지만 陳儀로 대표되는 국민당정부의 대만통치는 대만의 사정을 이해하지 못한 방향으로 흘러갔다. 대만은 국민당정부의 전매제 실시와 중국대륙으로의 물자 매각이라는 요인으로 인해 상당한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당시 대만인들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근대적인 교육과 의료시스템을 경험한 바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시행된 황민화정책으로 일본문화에 대해 상당히 익숙해 있었고, 국민당정부의 지도층은 이를 이해하고 파악하려는 노력대신 대만인이 노예화되었다는 인식을 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대만인들은 국민당정부의 관직독점과 부정부패에 불만을 가지게 된다. 대만인은 점점 조국으로 돌아간다는 기대는 버리게 되었고, 대만인들은 스스로를 본성인(本省人)이라 칭하며, 외성인(外省人)들과의 거리를 두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발생한 충돌이 바로 2·28사건이다. 말하자면 일본의 패전이후 변화된 국제정세로 인해 조선과 대만에 유입된 외세들이 현지인들과 빚어진 갈등에서 제주4·3과 대만2·28이 발발하게 된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Jeju April 3 Incident and the Taiwan February 28 Incident as the result of the intervention of foreign powers and all the conflict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handling postwar issues in Taiwan and Joseon that were Japanese colonies. Both the two incidents were the white terrors committed by the governments and innocent people were massacred. At the Cairo Conference, it was agreed to establish a trusteeship in Joseon and to return Taiwan to the Republic of China. Under the trusteeship, the United States utilized the system of the Japanese Empire, and made people’s life even harder. In South Korea under the U.S. military rule, many activities of the People’s Committee were observed. In particular, the People’s Committee was in charge of public security in each region, and Jeju was no exception. The committee had a broad base of support from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farmers, workers and women, but it must have been an eyesore to the U.S. military. In the meantime, a street demonstration was staged in Jeju to celebrate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U.S. military rule took this opportunity and decided to eradicate leftists, recognizing Jeju as the ‘Red Island.’ The South Korean Workers' Party rose up in arms against the action of the U.S. military rule on April 3, 1948, and innocent people were indiscriminately killed in the course of suppression. As Taiwan was returned to the Republic of China, the Kuomintang of China came to power. Chen Yi (陳儀), appointed as the Minister of Administration, wielded absolute power and started to rule Taiwan in earnest. The Kuomintang’s rule over Taiwan, led by Chen Yi, moved in a wrong direction without understanding the circumstances of Taiwan. Taiwan experienced serious infla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monopoly system by the Kuomintang government and the disposal of goods to Mainland China. Back then, Taiwanese people experienced modern education and medical systems in the era of Japanese Colonialism. In particular, the Japanization policy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made Taiwanese people familiar to Japanese culture in the process. The leadership of the Kuomintang government thought Taiwanese people were enslaved by Japan, instead of making efforts to understand and examine the situations. On the contrary, Taiwanese people started to express their dissatisfaction with the monopoly of public posts and corruption of the Kuomintang government. They gradually came to abandon their expectations for going back to their homeland, and called themselves benshengrens (本省人, meaning people of this province), keeping their distance from waishengrens (外省人, meaning people of non-Taiwan provinces). A clash that occurred against this backdrop was the February 28 Incident. In other words, foreign powers that flew into Joseon and Taiwan due to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s after Japan’s defeat came into conflicts with natives, resulting in the Jeju April 3 Incident and the Taiwan February 28 Incident.

      • KCI등재

        북한문학사와 향가

        조규익 ( Kyu Ick Cho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5

        『조선문학통사(상)』(1959)·『조선문학사(고대중세편)』(1977)·『조선문학사1』(1991) 등이 본고에서 사용한 텍스트들인데, 전자는 주체사상 등장 이전의 저술, 후2자는 주체사상 정립 이후의 저술들이다. 『조선문학통사(상)』은 맑스-레닌주의적 방법과 역사주의에 기초하여 문학사를 서술했음을 밝혔고, 후2자들은 그와 함께 주체미학적 관점을 강조했다. 향가가 ‘인민대중의 집단적 노동요’ 즉 ‘두레노래’에서 나왔다는 관점은 북한의 모든 문학사들에 공통된다.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필수요건인 ‘인민성·당성·노동계급성’ 가운데 인민성과 노동계급성을 강조할 필요 때문이었을 것이다. 노동계급으로서의 인민대중 속에서 불리던 생활가요들이 상당기간 후에 고안된 향찰 書寫法으로 기록되면서 구체적인 시 형식으로 나타난 장르가 향가라는 것이다. 따라서 그 書寫의 과정은 형식적 整齊를 이루어 나가던 加工의 과정이었다. 그리고 노래 즉 ‘읊던 시가’에서 시문학 즉 ‘쓰는 시가’로의 전환을 향가에서 찾아낸 점은 시가사 전개 양상의 합리적 발견이었다. 개별 노래들의 해석에서 이념적 과잉의 모습을 보여준 것은 문학을 ‘사회주의 혁명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인식하던 그들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결과였다. 비록 고전시대의 향가라 해도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이론의 합목적적 기준에 맞도록 해석해야 했고, 그 핵심 내용인 ‘인민성에 기반을 둔 집단성, 계급투쟁, 반외세 투쟁’ 등에도 부합되어야 했다. 주체사상의 시기에도 문학사 서술의 기조는 앞 시기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주체사상 자체가 정치·외교적 현실의 변화를 반영한 삶의 노선이었기 때문에, 그들이 견지해오던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미학의 근본까지 변화시켜야 할 이유는 없었다. 주체미학을 문학사의 강령으로 내세웠음에도 앞 시기의문학사에 제시한 작품 해석의 경향이 지속된 이유를 바로 여기서 찾을 수 있다. 향가에 대한 북한문학사들의 해석이 비교적 정돈된 느낌을 주는 것은 향가들이 향찰이라는 우리 독자적 표기체계로 정착된 최초의 노래라는 점에서 부정적인 면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었다. 무엇보다 작품에서 읽어낼 만한 계급이나 이념투쟁 혹은 외세와의 투쟁적 요소 등이 적었기 때문이다. 향가 장르의 역사적 전개나 작품의 해석에서 이념 과잉으로부터 생겨나는 작위성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나마 그들 논리의 합리성을 인정하게 되는 이유 또한 여기에 있다. Joseonmunhaktongsa(Sang), Joseonmunhaksa(Godae-Jungse pyeon), Joseonmunhaksa 1 are the texts that I used in this paper. The former is the book written before appearance of Juche Idea, and the latter two are the books written after establishment of Juche Idea. The authors of the former declared that they narrated their literary histories on the basis of Marxism-Leninism and historicism, the authors of the latter two emphasized the aesthetic view of Juche Idea with it. The viewpoint that Hyangga was originated from the people`s collective work folk songs i.e. Dure songs is common in all the literary history books of North Korea. It might be necessary to emphasize the tendency of people and working class of the mandatory requirements of social realism. Hyangga was a genre that emerged as a concrete poetic form, being written in Hyangchal as the writing means created after long time when the working class had sung them as their living songs. Therefore, the process of writing the songs was a process of manufacture that had been refined formally. And, to find out the changeover from song i.e. ‘poem reciting’ to poetry i.e. poem writing was a reasonable discovery of aspect of developing the poetry history. It was a natural result to the people who recognized literature as the means of assistance for socialist revolution that showed the appearance of ideological exces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individual songs. They had to interpret the songs reasonably even in the realm of the Hyangga of Classic age, and the result of interpretation had to coincide with collectivity, class strife, and strife against foreign power on the basis of people tendency. The keynote for narrating literary history was not changed so much even in the time of Juche Idea. There was no reason that they had to change the aesthetic basis of social realism which North Korea have reassured itself for a long time. We can find out the reason that the tendency of interpreting works in the former literary histories held out, despite they rendered Juche aesthetics as their own doctrine. Because it is not easy to find out the negative points in that Hyangga works were the first stage`s songs written in our own writing system i.e. Hyangchal, the interpretation of Hyangga in the North Korea`s literary histories seems to be rather a little neat. And, it is because Hyangga works have a little element of class, ideology strife or strife against foreign power. Despite we can`t deny the mendacity from excess of ideology in Hyangga`s historical development or interpreting works, also there is a reason to recognize their own rationality partly in this point.

      • KCI등재

        연호 이주환의 서간문(書簡文)을 통해 본 그 학적 자세

        신상필 ( Shin Sang-phil ) 동방한문학회 2019 東方漢文學 Vol.0 No.78

        본고는 연호 이주환의 학문적 토대와 배경을 그의 서간문을 통해 그려진 일상의 모습 속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근대 초기의 전근대적 학문 성향을 지닌 지식인들은 성리학이라는 자신들의 사상적 기반을 근거로 외세에 반응하고 있었다. 이러한 근대 유림들의 현실에 대한 반응은 신지식을 수용한 지식인들의 애국계몽을 통한 자강의 논리와는 다르기도 같기도 하다. 적어도 자주적인 의식으로 국가의 운명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그 방법에 있어서는 일정한 차이를 지녔다. 이 점에서 유학자들은 倭와 胡로 인식한 대외 세력에 대해 우리 자신의 정당성과 자주권을 천명함과 동시에 그들의 부당함을 적극 밝혀 배척하려는 위정척사의 논리를 주장하였다. 正邪라는 이분법적 논리라는 점에서 중도적 타협이 없었다고 할 수 있었기에 극단의 결정을 내리는 경우도 많았다. 연호는 그런 분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리고 이는 유학의 仁義로 대표되는 옳고 그름을 명확히 인식함과 동시에 자신의 인간으로서의 윤리를 현실 생활에서 실천에 옮기고자 하는 자의식의 발현이기도 하였다. 연호는 연재학파와 연계되는 사상적 근거를 스승 심석재로부터 익혔으며, 어려서부터 실천적 윤리를 강조한 『소학』의 학습과 그 직접적인 실행 과정을 통해 삶의 논리로 체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실천적 자세는 일찍이 혼란스러운 과거제도의 포기에서 은거와 養親으로 삶의 지향을 결정한 것에서 확인된다. 그에 이어 외세와의 연이은 조약체결과 문호 개방에 따른 대한제국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특히 일본 제국주의의 수탈적 면모를 예의주시하며 저항하고자 하였다. 그에 대한 저항의 과정과 결과가 국가에 대한 세금을 거부하고, 군왕의 부재를 이유로 자결을 선택함으로써 세상에 드러났다. 우리는 이를 통해 근대화의 과정에 불거진 많은 실패와 좌절, 희망과 도전을 거쳐 지금에 이를 수 있었고, 그 과정에 연호를 비롯한 다수의 실천적 지식인들의 삶이 존재했음을 기억해야만 한다.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out the academic foundation and background of Lee, Ju-hwan. Lee in the daily life drawn through his epistles. The intellectuals with pre-modern scholarly tendencies in the early modern period were responding to foreign taxation based on their ideological basis of neo-Confucianism. The reaction to the reality of modern Confucianism is also different from the logic of self-enlightenment through patriotic enlightenment of intellectuals who accept new knowledge. At least in an effort to correct the fate of the state with an independent consciousness, but with a certain difference in its method. In this regard, Confucian scholars assert their own right and autonomy for the foreign powers recognized as Wa and Hu, and at the same time, insist on the logic of the ruling party to propose and reject their injustice. In the sense that it is a dichotomical logic of the righteous wrong, there was no middle compromise, so there were many cases of extreme decisions. Yeonho is one of them. And this was also the manifestation of self-consciousness that clearly recognizes the right and wrong represented by the ethics of Confucianism and at the same time the ethics of human beings to move from reality to practice. Yeonho has learned from the master stone stone that is linked with the serial school and has embraced the logic of life through the learning and direct execution process of the elementary school which emphasized practical ethics since childhood. These practical attitudes are confirm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as the retirement and the nurture in the abandonment of the confusing past institution. In the process of the conclusion of the treaty with the foreign countries and the transition to the Korean empire by the opening of the door, the Japanese government sought to resist the detachment of Japanese imperialism. The process and outcome of the resistance against him has been revealed to the world by rejecting taxes on the country and choosing self-determination on the grounds of the absence of the prince. Through this, we must remember that there were many failures, frustrations, hopes and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that there was a lot of practical intellectuals, including Yeonho, in the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