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상성 뇌 손상 후 운동에 의해 활성화된 BDNF-ERK 신호전달 경로가 소뇌에서 발생된 퍼킨제 세포 사멸과 astrogliosis에 미치는 역할 규명

        서태범 ( T. B. Seo ),윤진환 ( J. H. Yoon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2

        본 연구는 외상성 대뇌 타박 손상 후 트레드밀 운동에 의해 활성화된 BDNF-ERK1/2 신호전달 경로가 소뇌 퍼킨제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키고, 과립세포층 (granule layer)과 분자층(molecular layer)에서 반응성 성상교세포의 군집율을 감소시켜 astrogliosis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7주령 Sprague-Dawley 계열의 수컷 흰쥐 36마리를 실험 전 일주일 동안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무작위 표본추출법에 의해 실험집단을 가성 수술군 (sham operation group, n=12), 외상성 뇌 손상군 (traumatic brain injury group, n=12) 그리고 외상성뇌 손상+운동군 (traumatic brain injury+exercise group, n=12)으로 나누었다. 운동은 하루 30분씩 10일간 트레드밀 운동을 시킨 결과, 외상성 뇌 손상 후 퍼킨제 세포 수는 급격히 감소하였지만, 손상 후 운동 수행에 의해 퍼킨제 세포의 사멸이 억제되었다. 또한 별아교세포는 외상성 뇌손상 후 분자층 (ml)과 과립층 (gl)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그러나 운동은 별아교 세포의 활성도를 감소시켰다. 외상성 뇌 손상 후 소뇌 8-9번 소엽에서 calbindin 발현량은 감소하였으나, 운동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별아교 세포의 활성화를 확인하는 GFAP도 외상성 뇌 손상 후 소뇌 8-9번 소엽에서 증가하였고, 운동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외상성 뇌 손상 후 인산화된 ERK1/2와 BDNF는 퍼킨제 뉴런의 사멸로 인해 발현량이 감소하였지만, 운동은 퍼킨제 뉴런에서 인산화된 ERK1/2와 BDNF의 발현량을 증가시켰다. 외상성 뇌 손상 후 소뇌에서 인산화된 ERK1/2와 BDNF는 발현량이 감소하였지만, 운동은 인산화된 ERK1/2와 BDNF의 발현을 촉진시켰다. 결론적으로 운동은 외상성 뇌 손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뇌의 기능장애를 개선시킬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cerebellum is selectively vulnerable to forebrain traumatic brain injuries (TBI). Physical exercise in animals has been implicated in promoting cell survival and functional recovery after brain inju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increased BDN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p-ERK1/2 (phospho-extracular signal-regulated kinase1/ell2) on Purkinje neuron survival and astrogiosis in the gyrus of lobules VIII and IX of the cerebellum after TBI. The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the sham-operation group, the TBI-induction group, and the TBI-induction with exercise group. All tissues were used for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nd Western blot. Calbindin-positive Purkinje neurons were decreased and GFAP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positive astrocytes were increased in the posterior region of the cerebellum after TBI. Treadmill exercise after TBI significantly upregulated induction levels of calbindin, BDNF and p-ERK1/2 as well as decreased GFAP expression levels in lobules of VIII and IX of the cerebellum after TBI. The present study provides the possibility that treadmill exercise may be an important mediator to prevent Purkinje neuron loss and formation of astrogliosis via activation of BDNF and p-ERK1/2.

      • KCI등재

        외상성뇌손상의 신경정신과적 후유증의 진단과 약물치료

        최진영,남범우 대한정신약물학회 2009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0 No.6

        Traumatic brain injury (TBI) is well recognized as a disability category with high incidence and prevalence as well as considerable impact on survivors and their families. Neuropsychiatric symptoms such as cognitive deficit, psychosis, depression, mania, anxiety are common after TBI. Treatment of the neuropsychiatric symptoms associated with TBI should result in decreased handicap,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decreased societal impact. This article discusses the clinical approach to treating patients with neuropsychiatric complications following TBI. 외상성뇌손상의 신경정신과적 후유증은 외상성뇌손상환자의 대부분에 영향을 주는 심각한 장애다. 외상성뇌손상은 다양한 인지, 기분, 행동상의 문제에서 부터 사회적, 직업적, 대인관계에 손상을 주는 범위까지 다양한 문제를 만들어 낸다. 외상성뇌손상의 신경정신과적 후유증의 진단과 치료에는 증상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고 치료 반응이 다양하기 때문에 임상에서 세심한 관심과 지식이 요구된다. 또한 외상성뇌손상의 치료 목표는 증상을 안정화시키고 잠재능력을 극대화하고 장애를 최소화하고 사회적 직업적 대인관계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해 필요한 치료적 전략을 개발할 필요성이 증대되 고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성과를 모아 외상성뇌손상의 분류, 병태생리를 살펴보고 신경정신과적 후유증을 인지장애, 정신병, 우울증, 조증, 불안장애 등 다섯 가지 범주로 나누어서 약물치료에 대한 원칙과 전략을 고찰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성과가 증례보고나 소규모 연구 등이 대부분이어서 많은 제한점이 있으며 향후 잘 통제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겠다.

      • KCI등재후보

        트레드밀 운동이 외상성 뇌손상에 의하여 유발된 흰쥐의 단기기억 장애와 신경세포생성에 미치는 영향

        김보균(Bo-Kyun Kim),신말순(Mal-Soon Shin),조정완(Jung-Wan Cho),이희혁(Hee-Hyuk Lee),김창주(Chang-Ju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3 스트레스硏究 Vol.21 No.2

        외상성 뇌손상은 많은 신경정신과적 이상을 유발시키며, 특히 기억 상실은 외상성 뇌손상의 많은 증상 중 하나이다. 외상성 뇌 손상에 대한 뚜렷한 치료법이 아직 없는 반면, 운동이 신경세포의 보호 작용이 있음은 여러 연구들에 의하여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를 이용하여 외상성 뇌 손상을 유발시켰고, 트레드밀 달리기가 외상성 뇌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외상성 뇌 손상은 기억력의 감퇴를 초래하였고, 해마 치상회에서 신경세포생성과 해마에서의 뇌유래 신경영양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트레드밀 달리기 운동은 해마 치상회에서 신경세포생성과 해마에서 뇌 유래 영양인자발현을 증가시켰으며, 외상성 뇌손상에 의한 기억력의 감퇴를 경감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외상성 뇌 손상에 의한 신경계 후유증에 트레드밀 달리기 운동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raumatic brain injury (TBI) induces many neuropsychiatric disorders, and memory loss is the most frequent symptom of TBI.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n the short-term memory in relation with cell proliferation in the hippocampus following TBI in rats. The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N=10 in each group): sham-operation group, sham-operation and treadmill exercise group, TBI-induction group, and TBI-induction and treadmill exercise group. TBI was induced by an electromagnetic-controlled cortical impact. The animals in the treadmill exercise group were forced to run on the treadmill machine for 30 min once daily, for ten consecutive days. Induction of TBI deteriorated short-term memory and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with suppressing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Treadmill exercise alleviated TBI-induced short-term memory impairment and also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with enhancing BDNF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The present results revealed that treadmill exercise overcame the TBI-induced memory impairment through enhancing cell proliferation in the hippocampus. Herein, we suggest that treadmill exercise may be used as the useful strategy for the functional recovery following traumatic brain damage.

      • KCI등재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를 이용한 외상성 두뇌손상환자의 신경인지기능평가

        정인원,최인석,김재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2

        뇌영상검사상 국소적인 병변을 보이지 않는 경도 외상성 두뇌손상환자를 대상으로 한 신경인지기능검시에서 인지기능결함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객관적인 인지기능장애 평가도구가 요구돼 왔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성 두뇌손상환자들을 대상으로 뇌 영상검사를 시행하여 국소적인 병변의 유무에 따라 병변군과 비병변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신경인지기능검사를 시행하여 병변의 유무에 따른 Bender-Gestalt Test, 표준도형검사, 인식력검사. 신호탐지검사 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또한 KWIS 지능지수와 표준도형검사 지능지수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지능검사도구로 표준도형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외상성 두뇌손상환자집단의 신경인지기능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신경정신과적 주요 증상 비교에서 병변군은 인지장애 호소가 맡았으며. 비병변군은 신체장애 호소가 많았다. 2) BGT 전체수행오류는 병변군이 비병변군보다 많았다. 3) KWIS 지능검사상 병변군과 비병변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4) 표준도형검사 소항목 검사결과 병변군은 정상대조군이나 비병변군에 비하여 난이도가 높을수록 수행이 낮았다. 5) 인식력검사 결과 병변군은 정상대조군보다 수행이 낮았다. 6) 외상성 두뇌손상환자집단에서 표준도형검사 지능지수는 KWIS 지능지수와 r=0.67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이와 같은 결과로 외상성 두뇌손상환자 중 병변군은 공간구성능력, 미세운동협응능력. 형태기억능력, 반응속도에서 장애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으나 인식력검사결과에서 비병변군은 정상대조군과는 다른 반응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인식력검사상 비병변군의 이러한 차이는 비병변군이 신체장애를 주로 호소하였고. 경도 외상성 두뇌손상에서 보상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이 증상의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는 보고를 고려할 때. 신경인지기능검사의 임상적,인 해석에 주의를 요하고 있다. 그리고 외상성 두뇌손상환자에서 표준도형검사 지능지수와 KWIS 지능지수는 정상대조군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표준도형검사는 두뇌손상환자와 같이 지적능력이 저하된 진단에서 KWIS 지능검사를 보완할 수 있는 유용한 지능검사로 임상상황에서 경제적이고 객관적인 지능검사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rrespective of focal lesion in brain imaging study, the deficits in cognitive function have been reported in mil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Therefore, they have been asked sensitive and objective assessment tools measuring cognitive deficits. In this study,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lesion group and non-lesion group by presence of focal lesion in brain imaging study At the same time, Results of Bender-Gestalt test,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Cognitrone, and Signal Detection were analyzed among the groups. We assessed usefulness of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as assessment tool of intelligence in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by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KWIS and Standard Professive Matrices intelligence quotients. 1) Most lesion group showed severe deficits in cognitive function, and most non-lesion group showed severe somatic symptoms. 2) The lesion group showed higher Bender-Gestalt test total error score than non-lesion group.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KWIS intelligence quotients between lesion and non-lesion group. 4) The lesion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normal control and non-lesion group as increasing complexity of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subset. 5) The lesion group showed poor performance than normal control group in Cognitrone. 6) There were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s than normal control group between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intelligence quotients and KWIS intelligence quotients in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lesion group showed deficits in space-construction ability, fine-motor coordination ability, form-memory ability, and delayed response-time. Although there a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ing with normal control group, non-lesion group showed different response-trend in Cognitrone. Considering somatic symptoms in most nonlesion group and contribu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in maintenance of symptoms in mild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the differences in Cognitrone must be interpreted carefully. These result suggest than Standard Professive Matrices can be a useful tool for assessment of intelligence in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who showed deficits in cognitive function.

      • KCI등재

        외상성 뇌손상 후의 불안장애

        김영철,Kim, Young-Chul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0 생물정신의학 Vol.7 No.1

        외상성 뇌손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강박장애, 공포장애 등의 불안장애가 비교적 흔히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빈발하는 불안장애인데 비해 의사들로부터 적절하게 관심을 받지도 못했으며 치료받지도 못하였다. 외상성 뇌손상 후 불안장애는 뇌손상 자체에 의해, 뇌손상과 기능상실에 대한 환자 또는 간호인의 반응에 의해 증상이 발생하기도 하고 지속되기도 한다. 의사는 이들 환자들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선 뇌손상의 기전과 양상에 대해 지식이 있어야 하며, 불안증상을 호소하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를 이해하고 수용하고 지지해주는 태도를 취해야 하며, 불안증상이 뇌손상에 의한 것인지 통상적인 불안 증상인지 확인해야 한다. 이들 뇌손상 환자들은 약물의 부작용에 아주 취약하기 때문에 약물치료시에는 약물의 작용기전은 말할 것도 없고 부작용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Traumatic brain injury(TBI)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a risk factor for psychiatric disorders, especially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 Despite the anxiety disorders are frequent sequelae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the patients have not been payed medical attention and treated by doctors properly. The factors of precipitating and sustaining the anxiety disorders after TBI are brain injury itself, and the patient's or caregiver's response to the disability after TBI. To diagnose and treat them effectively, the knowledge about the mechanisms of and symptoms after TBI have to be needed. Psychiatrist should be a supportive and good listener to the patients who are complaining anxiety symptoms and differentiate whether the psychiatric symptoms are due to TBI or not. Because the TBI patients are very sensitive to drug side effects, doctors have to be familiar with the side effects as well as the mechanisms of action of the common psychotropics.

      • KCI등재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기억기능의 결손 : Rey-Kim 기억검사 Ⅱ 를 중심으로

        김홍근,정재훈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기억기능의 결손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상군 50명과 외상성 뇌손상군 5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4판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IV: K-WAIS-IV), Rey-Kim 기억검사 E를 실시하였다. 기억기능 결손은 대응과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외상성 뇌손상군은 정상군에 비해 기억기능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기억과정을 등록,유지, 인출 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외상성 뇌손상군은 유지,인출에서 결손이 있었고 인출 단계에서 가장 심한 결손을 보였다. 셋째,외상성 뇌손상군의 기억장애 결손은 일반지능과 결정지능 결손에 비해 유의하게 더 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일반지능과 결정지능에 비해 기억기능의 차별적 결손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며,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재활에서 기억기능에 중점을 두고,유지 및 연출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할 것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ficits of memory function in Traumatic Brain Injury (TBI) patients. To this end, 50 TBI patients and 50 normal subjects were compared on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Ⅳ(K-WAIS-Ⅳ), Rey-Kim Memory Test Ⅱ. Deficits of memory function was analyzed using paired task.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BI patients showed a lower memory function compared to normal subjects. Second, TBI patients showed a lower retention and retrieval stage than normal subjects. Especially, the retrieval stage was more severe lowered than the other stage. Third, TBI patients showed that deficits in the memory function were more severe than in the general intelligence and crystallized intelligence.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that TBI patients are associated with a differential deficit in the memory function in relation to general intelligence and crystallized intelligence.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focus on the memory function in cognitive rehabilitation. In addition, the intervention focused on retention and retrieval stage will be applied.

      • KCI등재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기억기능의 결손: Rey-Kim 기억검사 Ⅱ를 중심으로

        정재훈,김홍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기억기능의 결손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상군 50명과 외상성 뇌손상군 5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4판(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Ⅳ: K-WAIS-Ⅳ), Rey-Kim 기억검사 Ⅱ를 실시하였다. 기억기능 결손은 대응과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외상성 뇌손상군은 정상군에 비해 기억기능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기억과정을 등록, 유지, 인출 단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외상성 뇌손상군은 유지, 인출에서 결손이 있었고 인출 단계에서 가장 심한 결손을 보였다. 셋째, 외상성 뇌손상군의 기억장애 결손은 일반지능과 결정지능 결손에 비해 유의하게 더 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일반지능과 결정지능에 비해 기억기능의 차별적 결손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며,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인지재활에서 기억기능에 중점을 두고, 유지 및 인출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할 것을 제시한다.

      • KCI등재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관리기능의 차별적 결손

        정재훈 ( Jung Jae Hun ),김홍근 ( Kim Hong Keu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관리기능의 결손이 다른 인지기능의 결손 보다 심하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정상군 50명과 외상성 뇌손상군 5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 4판(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Ⅳ: K-WAIS-Ⅳ), Kims 전두엽-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 Ⅱ를 실시하였다. 정상군과 외상성 뇌손상군을 관리기능 의존도가 높은 과제와 낮은 과제로 구성한 7개의 대응과제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집단(정상군, 외상성 뇌손상군)과 대응점수(관리기능 의존도 높음, 관리기능 의존도 낮음)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둘째, 정상군에 비해 외상성 뇌손상군의 수행이 낮은 정도는 관리기능의존도가 낮은 과제에 비해 높은 과제에서 보다 심하였다. 셋째, 정상군은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없는데 반해 외상성 뇌손상군에서 관리기능 의존도가 낮은 과제에 비해 높은 과제의 수행이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관리기능이 다른 인지기능에 비해 보다 심하게 결손되어 있음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BI patients are associated with a greater deficit in executive function in relation to other cognitive functions. To this end, 50 TBI patients and 50 normal subjects were compared on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Ⅳ(K-WAIS-Ⅳ), Kims Frontal-Executive Function Neuropsychology Test Ⅱ.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TBI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on seven paired tests on which one test strongly engaged executive functions (high EF tests) and the other test weakly engaged executive functions(low EF tes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 (normal, TBI) and paired score (involvement of EF high, low). Second, Cognitive deficits of TBI patients relative to normal subjects were greater in high EF test compared with low EF tests. Third, Normal subjec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reas TBI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high versus low EF test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TBI patients are associated with a differential deficit in the executive function in relation to other cognitive functions.

      • KCI등재후보

        Swimming Alleviates Traumatic Brain Injury-Induced Memory Impairment by Enhancing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in the Hippocampus of Rats

        Bo-Kyun Kim,Yun-Hee Sung,Sung-Eun Kim,Moon-Hyoung Lee,Yong-Min Kim,Mal-Soon Shin,Il-Gyu Ko,Baek-Vin Lim,Sam-Jun Lee,Chang-Ju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3

        외상성 뇌 손상은 많은 신경 정신과적 이상을 유발시킨다. 외상성 뇌 손상에 대한 뚜렷한 치료법이 아직 없는 반면, 운동이 신경세포의 보호작용이 있음은 여러 연구들에 의하여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를 이용하여 외상성 뇌 손상을 유발시켰고, 수영이 외상성 뇌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외상성 뇌 손상은 기억력의 감퇴를 초래하였고, 해마에서의 뇌 유래 영양인자(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와 그 수용체(TrkB)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수영운동은 해마에서 뇌 유래 영양인자와 그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외상성 뇌손상에 의한 기억력의 감퇴를 경감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외상성 뇌 손상에 의한 신경계 후유증에 수영 운동이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raumatic brain injury (TBI) is known to induce many neuropsychiatric disorder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wimming on the memory function and expressions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and its receptor tyrosine kinase B (TrkB) in the hippocampus, following TBI in rats. The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n=10 in each group): sham-operation group, TBI-induction group, and TBI-induction and swimming group. TBI was induced by an electromagnetic-controlled cortical impact. The animals in the swimming group were forced to swim for 30 min once daily, for ten consecutive days. TBI deteriorated memory function and suppressed expressions of both BDNF and TrkB in the hippocampus. Swimming alleviated TBI-induced memory impairment and also enhanced expressions of BDNF and TrkB in the hippocampus. In the present results, TBI elicited memory disturbance and swimming overcame the TBI-induced memory impairment through suppression on BDNF level in the hippocampus, thus facilitated recovery after brain injury. Herein, we suggest that swimming may be used as the useful strategy for the functional recovery of the brain following brain damage. (Korean J Str Res 2011;19:205∼212)

      •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삶의 목적 수준에 관한 연구

        노승호,김성우,Rho, Seung-Ho,Kim, Sung-Woo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2

        연구목적 : 외상성 뇌 손상은 정신과 신체에 만성적 후유증을 남기기 때문에 환자들이 남은 생애를 의미 있는 삶으로 가꾸어 가고자 할 때 그들은 그 동안 추구해 왔던 삶의 의미와 목표를 수정하여 새로운 목표를 세워야 할 것이다. 이에 손상의 증상과 장해가 고정된 후 환자들의 삶의 질과 미래에 대한 심리적 준비 상태는 어떤지, 그러고 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은 무엇인지를 조사하여 재활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 경도 또는 고도의 뇌 손상을 받은 후 12개월 이상 경과한 16~65세 사이의 환자 32명, 그리고 환자들과 연령, 성별 및 교육수준이 비슷한 정상 대조군 32명을 대상으로 삶의 목적 검사(PIL)와 주관적(SIP, HISC) 및 객관적 삶의 질 척도들(QOLI, NRS) 을 사용하여 삶의 목적 및 삶의 질 수준을 평가하고, 집단간의 차이와 각 변인들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뇌 손상군의 삶의 목적 및 삶의 질 수준은 증상이 안정된 후에도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1. p<.01). 2) 뇌 손상 환자군의 삶의 목적 수준은 $58.8{\pm}23.2$로서 실존적 공허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다. 3) 뇌 손상군의 삶의 목적 수준과 삶의 칠 수준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p<.01). 4) 뇌 손상 환자 중 여자 환자의 삶의 목적 수준은 남자보다 유의하게 낮았고(p<.05), 삶의 목적 수준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보다 여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5). 5) 뇌 손상군에서 외상의 심도(갱도와 고도), 결혼상태(결혼과 비결혼), 외상 전 직업상태(고용과 비고용)에 따라 분류한 하위 집단간 삶의 목적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외상성 뇌 손상 환자들의 삶의 목적 수준은 증상이 안정된 후에도 실존적 공허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고, 삶의 질 수준 역시 현저히 낮았으며, 삶의 목적 수준이 낮을수록 삶의 질도 낮았다. 그리고 성별 차이 외에 인구통계 및 임상적 변인들은 삶의 목적 수준에 영향을 주자 않았다. 따라서 놔 손상 환자들의 효과적인 재활치료를 위해서는 우선 환자들이 자신의 장애를 받아들이고 새로운 삶의 목표를 세우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 Objectives : As traumatic brain injury(TBI) leaves chronic sequelae in mind and body, the injured patients should rectify the meaning and object that they have pursued in their lives and set up a new purpose in life that they may make the rest of their lives meaningful.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urpose and quality of life levels and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on the levels in the patients with TBI, and to be of some help to their rehabilitation. Methods : In order to assess the purpose in life(PIL) and the quality of life(QOL) levels, Purpose-in-Life Test, Sickness Impact Profile, Quality of Life Index, Head Injury Symptom Ckecklist, and Neurobehavioral Rating Scale we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The subjects were thirty-two patients with TBI and the same numbered normal controls. The TBI group was composed of 16 to 65 year-aged patients who had received mild or severe TBI at least 12 months before, and the controls were siblings or friends of the patients whose age, sex, and educational level were similar to them. Results : 1) The PIL and QOL levels of the patients with TBI remain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fter their symptoms of injury were stabilized(p<.01, p<.01). 2) The mean PIL score of TBI group was $58.8{\pm}23.2$, which was to be regarded as the level of existential vacuum. 3) The PIL level of TBI group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QOL level(p <.01). 4) The subgroup with lower PIL level in patients with TBI has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female than that with higher PIL(p<.05), the PIL level of female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male patients(p <.05). 5)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IL levels were not found, in which comparison was performed between each pair of subgroups of patients with TBI divided by severity of injury(mild vs severe), marital status(married vs unmarried), and occupational status prior to injury(employed vs unemployed). Conclusion : The PIL of patients with TBI still remained the level of existential vacuum after symptoms of sequelae had been stabilized, The QOL level was also extremely low, and as the PIL level was low the QOL was also low.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except sex did not have influence on the PIL level in brain-injured patients. It is suggested that every patient should admit their mental and physical limitations caused by brain injury and revise their purpose in life for successful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