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가 대학생의 학습동기, 수업태도 및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경미(Kim, Kyou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

        목적 코로나 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가 대학생의 학습동기, 수업태도, 온라인 수업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C도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1학기 이상 경험한 대학생을 편의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0년 11월부터 12월까지이며, 수집방법은 비대면 URL설문지(NAVER FORM)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를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학생의 온라인 강의에 따른 학습동기는 시간표에 맞춰 수강하는 경우, 유튜브(You Tube)를 사용하고, 과제 분량이 적절하며, 집에서 학습하는 경우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수업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온라인 수업 만족도는 집에서 학습하는 경우와 과제분량이 적을수록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온라인 수업만족도는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수업태도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학습동기는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모형의 설명력은 73%로 나타났다. 결론 온라인 수업만족도는 학습태도 보다 학습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으므로 학습동기를 유도할 수 있는 온라인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와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study attempted to the Effect of the Replacement of Online Lecture on the Motivation, Attitude and Online Class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by COVID-19. Methods The convenience was extracted from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more than one semester of non-face-to-face online lectures among 202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4-year colleges in C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20, and the non-face-to-face URL questionnaire(NAVER FORM) was used for the collec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9.0 program for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learning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aking classes according to the timetable, using YouTube, having an appropriate amount of assignments, and learning at ho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attitude. There was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studying at home and with fewer assignments. In addition, online class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is a variable that affects online class satisfac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73%. Conclusio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ince online class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learning motivation rather than learning attitud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and programs using online that can induce learning motivation.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 대비, 학습이론을 통한 고등교육 온라인 학습 환경의 학습만족도 향상전략 탐색

        채완순(Che, Wan 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학습이론을 통한 고등교육 온라인 학습 환경의 학습만족도에 대한 향상전략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COVID-19로 2021년까지 고등교육 환경은 온라인 학습으로 더욱 확대 및 강화되며 고등교육 온라인 학습 환경과 커리큘럼 전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최근까지 국내 고등교육 온라인 학습 환경에 대한 연구는 양적연구에 집중되어왔다. 그러나 고등교육 온라인 학습 환경에 어떠한 이론 및 개념을 핵심적으로 적용할 것인가는 중요한 관점이 되고 있는 가운데 기술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교육 환경 상에서의 연구들은 이론화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이론과 고등교육 온라인 학습 환경의 학습만족도에 대한 관계 탐색을 통해 첫째, 고등교육 온라인 학습 환경 측면, 둘째, 고등교육 온라인 학습 방법적 측면, 셋째, 고등교육 온라인 학습 환경의 주체자인 교수자와 학습자 측면의 전략을 논의하였다. 고등교육 온라인 학습 환경의 학습만족도를 이해하고 이를 촉진하는 이론적 근거에 대한 논의는 고등교육 온라인 학습자의 학습목표 달성 및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학습자 중심의 온라인 학습 환경 발전과 실천가들에게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trategies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f higher education through learning theories in the preparedness of Post-Corona era. With the recent COVID-19, by 2021, the higher education environment is further expanded and strengthened by online learning, and it is expected to affect the overall higher educatio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curriculum. Until recently, studies o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f higher education has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However, while it is becoming an important point of view what theories and concepts to be applied to the higher educatio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studies in the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of higher education based on technology need to attempt to theorize. In this study, through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theories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f higher education, first, the aspect of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for higher education, second, the aspect of the online learning method for higher education, and third, strategies for the instructors and learners who are the subject of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for higher education were discussed. It will be significant about the discussion on the rationale for understanding and promo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for higher education provides a useful alternative to the development of a learner-center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at leads to the achievement of the learning goals and the learner s participation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플립러닝 과정기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 개발

        최지은,성은모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ctional model for flipped learning process based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PjBL). To address these goals, development research methods were used, and the research process was conducted as follows. In the first phase, the prototype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In the second phase, the first expert validation of the prototype model’s internal validation was conducted. In the third phase, the second expert validation on the modified prototype mode was conducted. In the final phase, the instructor’s usability evaluation as external validation was conducted with the second modified model, and the final model was derived by reflecting on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evaluation. As a result, the online PjBL of the two models, i.e., the procedure model and the detailed procedure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flipped learning process. The instructional model for a flipped learning process based on online PjBL expressed the flipped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each project learning process consisting of project preparation, topic selection and problem analysis, data and problem-solving exploration, completion, presentation and evaluation. Next, a detailed procedure model of flipped learning process based online PjBL. describes the instructor’s activities, the learner’s activities, and examples of online tools that can be used in each process. The model considers dividing the learner’s activities into individual activities and team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n online PjBL model by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process and presented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이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프로젝트학습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플립러닝의 과정 요소를 반영하여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발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온라인 프로젝트학습을 위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의 프로젝트학습 절차와 세부 활동,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도구를 제시하였다. 먼저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플립러닝, 플립러닝형 프로젝트학습에 대한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교수학습 절차, 절차별 세부 활동 내용, 활용 가능한 온라인 도구 등을 도출하여 원형모형(prototype model)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원형모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내적 타당화(전문가 타당화 2회)와 외적 타당화(교수자 사용성 평가 2회) 검증을 거쳐 수정․보완되었다. 최종 도출된 ‘플립러닝 과정기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은 전체적인 절차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절차모형, 세부적인 교수학습 활동과 각 단계별 활동의 세부내용, 그리고 각 단계별 활동 특색에 맞게 지원해 주는 온라인 테크놀로지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플립러닝 과정기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은 프로젝트 준비, 주제 선정 및 문제 분석, 자료 및 문제 해결안 탐색, 결과물 완성(프로토타입개발, 결과물 개발), 발표 및 평가로 이루어진 프로젝트학습 절차에 따라서 플립러닝이 이루어지는 학습과정의 요소(수업 전-수업 중-수업 후 활동)로 구성되었다. 세부 활동모형은 각 단계마다 교수자 활동과 학습자 활동(P=개별활동, T=집단활동)을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각 단계의 활동 특색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테크놀로지를 상호작용 도구, 자료공유 도구, 협력 도구, 평가 도구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과정기반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수업모형 개발 연구의 의의와 향후 추진되어야 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와 실행 전략 개발: 긍정탐색을 활용하여

        장경원 한국교육방법학회 2023 교육방법연구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To achieve this purpose, appreciative inquiry(AI) based on positive question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The study proceeded in three stages. First, an appreciative inquiry program was developed for deriv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Second, using appreciative inquiry, instructors' positive experiences, ideal figure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were derived. Third, by integrating the collected data, a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was developed.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10 middle school teachers, and 10 university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appreciative inquiry program and presented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Experts and instructors evaluate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The result of the study,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for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consists of 35 strategies in 7 areas. The seven areas are divided into four design areas (A. online space design, B. learning support design, C. project task design, D. assessment design and tool development) and three implementation areas (E. guidance and support, F. class management, G. facilitation). Among the 35 strategies, 11 strategies are strategies related to online space, and 24 strategies are strategies that require attention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roject based learning, which is a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spaces. The developed strategy will provide practical guidance to instructors who want to implement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and help them feel confident. In addition, it will be meaningful resources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organizing and developing an online learning space. 이 연구는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와 실행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긍정 질문이 중심인 긍정탐색을 연구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 및 실행 전략 도출을 위한 긍정탐색 과정을 개발하였다. 둘째, 긍정탐색 과정을 통해 교수자들의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에 대한 긍정경험(사례), 바람직한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의 모습,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전략들을 수집하였다. 셋째, 수집된 자료를 종합하여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 및 실행 전략’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주요 단계인 긍정탐색 과정에 초등교사 10명, 중등교사 10명, 대학교수 10명이 참여하여 자신들의 경험과 의견을 제시하였고, 의견을 토대로 개발한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 및 실행 전략’에 대해 교육공학 전문가들이 타당성을 평가하고 수정 의견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인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 및 실행 전략’은 7개 영역 35개 전략으로 구성된다. 7개 영역은 4개의 설계 영역(A. 온라인 공간 설계, B. 학습 지원 설계, C. 과제 설계, D. 평가 설계와 도구 개발)과 3개의 실행 영역(E. 안내와 지원, F. 수업 운영, G. 퍼실리테이션)이다. 35개의 전략 중 11개 전략은 온라인 공간과 직접 관련된 전략이고 그 외 24개 전략은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법인 프로젝트기반학습 고유의 특성 및 온라인 공간이기 때문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전략이다. 연구 결과로 제시된 ‘온라인 프로젝트기반학습 설계와 실행 전략’은 교수자들의 긍정 사례와 아이디어를 토대로 개발된 것으로 교수자들에게 실제적인 안내를 제공하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온라인 학습공간을 구성하고 개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성과 및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JIAO YAN 대한경영정보학회 2022 경영과 정보연구 Vol.41 No.4

        코로나19뿐만 아니라 IT 산업의 빠른 변화와 성장에 맞물려 온라인 교육도 발전이 급격하게 진행되므로 온라인 교육의 역할은 강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변화는 오프라인 중심으로 운영되던 대학들은 온라인 강의에 대한 경험 부족으로 질 높은 강의를 제공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온라인 교육에 있어서 학습자의 학습성과와 학습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몰입을 통해 학습성과와 학습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서 교육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요인들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Smart-PLS 방법을 통해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몰입, 학습성과 및 학습만족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만족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정하였으나 학습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몰입이 학습성과 및 학습만족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정하였다. 셋째, 학습몰입이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성과 및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검정하였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 및 학습몰입이 높이기 위해 실증적으로 방안을 제시하였고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성과에 촉진하는 유효적인 방법을 탐색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수업의 다학제적 학습효율성에 관한 연구 -소규모 고등학생 대상으로-

        김혜진(Kim, Hye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5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사상 최초로 벌어진 교육과정 전 과목 온라인 수업에 관한 연구로 온라인수업으로 진행함에 따른 학과별 문제점과 한계점을 설명하고 대안점을 모색한다. 고등학생 대상으로 FGI와 설문조사로 온라인 학습효과 및 온라인 수업에 적절성에 관한 논의를 하여, 온라인 수업의 다학제적인 학습효과 및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작되었다. 해외 온라인 학교 설립과 온라인 공개수업(MOOC)에 관한 이슈를 반영하여 K-MOOC, 즉 수강인원이 제한 없이(Massive), 수강 가능한(Open,) 웹 기반(Online) 강좌(Course)를 2015년부터 2017년까지 130억 예산을 들어 사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온라인 수업을 이용하는 학생과 이수율은 저조했으며, KOCW(Korea OpenCoursWare, 대학 공개강의 공동 활용 서비스)사업 강좌와 중복 사용되는 점 등을 들어 예산과 효율성에 관해 문제가 대두되었다. 코로나 19로 인해 전 교과과정을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에 학과별 유형과 특징이 있을 것으로 보고, 학과별 온라인 수업을 적용했을 때에 공통되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온라인 수업에 관한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상호작용과 학업 수준에 따른 플랫폼 개선으로 보았다. 이과는 실습하는 과목에 대한 질적 개선이 두드러지게 보였고, 실시간 온라인 수업 형태보다는 동영상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문과는 학습환경 조성에 다른 기기적인 문제점이 대두되었고,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학습 태도를 보였다. 예체능 학과는 다른 학과보다 온라인 학습하기에 많은 문제점과 한계점이 있었다. 학습자료 부족으로 관련 콘텐츠를 사용함에 저작권 문제와 학습활동 저장 및 유포에 따른 문제, 질의응답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 등을 고려하여 수업 과정을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며, 수업 내용전달의 어려움으로 제도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고등학생 1학년 5명, 2학년 3명, 3학년 2명 총 10명 대상으로 2회에 걸쳐 FGI와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2회로 진행한 FGI의 결과는 온라인 수업은 과학, 수학, 국어, 영어, 상담이론으로 이론 수업에 적합하다고 보았고, 컴퓨터 기기 상태 및 접속상태에 이른 학습집중력 저하와 상호소통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보았다. 설문조사는 인적사항 이외 10문항으로 온라인 이해, 온라인 학습집중력, 온라인 수업의 학습도움,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 온라인 학습영향력, 온라인 수업 시 다른 활동, 온라인 수업 시 딴생각 정도로 총 10문항으로 구성했으며, 문항 신뢰도 통계량 Cronbach의 알파 0.748로 측정되었다. 분석결과 온라인 수업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학업 수준을 고려한 완충 학습방법에 관한 충분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성을 갖춘 콘텐츠제작과 제도적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 19로 온라인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전환이 더 나은 미래 교육문화에 발전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다학제 간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study on online classes in all subjects of the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due to COVID-19, explaining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each department and seeking alternatives. It was started to find ways to effectively grow online classes by discussing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and appropriateness of online classes through a survey with FGI for high school students. Reflecting the issue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overseas online schools and online open classes (MOOC), the project began with a budget of 13 billion won from 2015 to 2017 for K-MOOC, Massive, and Online courses. However, the completion rate of students using online classes was low, and problems regarding budget and efficiency emerged, citing overlapping use with the Korea Open CoursesWare (KOCW) project course. Considering that there will be differen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to conduct all curriculum as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we looked at common problems and limitations when applying online classes for each department. It was viewed as a common problem with online classes as interaction and platform improvement according to academic level. The science department showed remarkable qualitative improvement in the subjects practiced, and it was found that video online classes were preferred over real-time online classes. In liberal arts, other device problems emerged in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and a positive learning attitude was shown for real-time online classes. The department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had more problems and limitations in online learning than other departments. Due to the lack of learning materials, they canno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process in consideration of copyright problems, problems caused by storage and distribution of learning activities, and problems of not being free to answer questions, and have institutional limitations due to difficulties in delivering class contents. Based on these contents, a survey with FGI was conducted twice with a total of 10 high school students: 5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3 second-year students, and two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two-time FGI showed that online classes were suitable for theoretical classes with science, mathematics, Korean, English, and counseling theories, and that the biggest problems were poor concentration and mutual communication. The survey consisted of 10 items, including online understanding, online learning concentration, online class learning help, online class satisfaction, online learning influence, other activities during online class, and thinking online with a total of 10 items. Item reliability statistic Cronbach The alpha of 0.748 was measured. As a resul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lasses, sufficient interaction should be made on the buffer learning method considering the academic level, and it seems that various contents production and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sought. A new perception shift on online education due to COVID-19 should be a continuous study for a better future educational culture.

      • KCI등재

        중ㆍ고등학생의 온라인 진로활동과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김재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중ㆍ고등학생의 온라인 진로활동 여부에 따른 진로개발역량과 자기주도학습의 차이를 분석하고, 온라인 진로활동이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ㆍ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16~2019년 초ㆍ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 중학생 및 고등학생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독립변수인 온라인 진로활동은 진로정보탐색과 직업정보탐색 변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을 통해 진로정보탐색 및 직업정보탐색 활동을 하는 중ㆍ고등학생 비율은 2016~2019년 동안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진로정보탐색 활동은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활용 학생의 진로개발역량과 자기주도학습 수 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정보탐색 활동은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활용 학생이 진로개발역량은 높지만, 자기주도학습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진로정 보탐색은 중ㆍ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주도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러나 온라인 직업정보탐색은 학생의 진로개발역량 및 자기주도학습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ㆍ고등학생이 온라인 진로ㆍ직업정보탐색 활동을 통하여 진로개발역량과 자기 주도학습 능력을 증진할 수 있는 진로교육 관련 교육적ㆍ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DC) and Self-Directed Learning (SDL) according to onlin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lso, it examines the effect of onlin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on CDC and SDL. The study use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ata for analysis from 2016~2019 of the School Career Educ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RIVET). The independent variable, onlin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classify into Educational Information Search (EIS) and Job Information Search (JIS) activiti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use online for EIS and JIS have increased from 2016 to 2019. Second, the student group that uses the online for EIS has a higher CDC and SDL level than the offline use group. However, the student group who uses the online for JIS has a higher CDC level and a lower SDL level than the offline use group. Third, the online EIS activity positively affects the CDC and SDL. However, online JIS activity negatively influences student’s CDC and SDL.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esents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rough online EIS and JIS activities.

      • KCI등재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자기조절능력과 학습참여, 교수실재감에 대한 학습몰입의 매개 효과

        박주연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6

        최근 전세계가 언택트 환경에 놓임에 따라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수업도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게 되었고, 온라 인 프로그래밍 수업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는 영향요인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성 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기반 시뮬레이션 툴을 활용하여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리 고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참여와 교수실재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자기조절능력과 학습 몰입을 상정하고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참여, 교수실재감과 학습자의 자기조절능력 사이에서 학습몰입 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자기조절능력과 학습몰입이 학습참여와 교수 실재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몰입은 자기조절능력과 학습참여, 교수실재감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온라인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참여와 교수실재감을 높이기 위해 자기조절능 력과 학습몰입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as students' programming classes are being conducted online, interest in factors that can lead to the success of online programming classes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in this study, online programming classes were conducted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using a web-based simulation programming tool through TinkerCad. In these online programming classes, students' self-regulation ability and learning flow were set as variables that influence both learning engagement and teaching presence, and the predictive power of each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oth self-regulation ability and learning flow were predictive variables for learning engagement and teaching presence, and that learning flow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self-regulation ability, learning engagement, and teaching pres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at self-regulation ability and learning flow should be considered more meaningfully in online programming classes, and a practical strategy for this is presented.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이전 온라인 학습 경험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학습 동기 차이 분석

        박상훈(Park, Sang Hoon),한송이(Han, Song I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상황에서 온라인 학습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학습 동기 양상을 파악하고, 이전 온라인 학습 경험 여부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동기 차이를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학습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 대학 재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성, 자기효능감, 정보기술자기효능감, 과제 수행의 내·외재적 동기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 코딩 후 SPSS 22.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학습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대한 기술 통계 분석과 이전 온라인 학습 경험 여부에 따라 학생들의 집단을 구분하여 집단 간, 집단 내 학습 동기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COVID-19 상황에서 참여한 온라인 학습에서 학생들의 자기결정성, 과제 수행의 내재적 동기의 평균 점수가 다른 동기 요인에 비해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이전 온라인 학습 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 간 분석에서 온라인 학습 경험이 없는 집단의 과제 수행에 대한 내적 동기가 온라인 학습 경험이 있는 집단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내 분석에서 온라인 학습 경험이 있는 집단은 학년이 높을수록 자기결정성과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실시간과 비실시간 수업을 병행한 학생들보다 비실시간 수업에만 참여했던 학생들의 자기결정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온라인 학습 경험이 없는 집단은 성별, 학년, 온라인 수업 참여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online learning against post-corona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their previous online learning experience under the COVID-19 situ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31 students at S University for self-determined motivation, self-efficacy, self-efficacy toward technology, and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s for performing tasks. After data coding, SPSS 22.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to classify students groups according to previous online learning experience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between group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score of the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the internal motivation of task performance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motivation factors in online learning under the COVID-19 situation.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previous online learning experiences. Students with no online learning experience showed higher internal motivation for task performance than the other group. Third, students with online learning experience showed higher levels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s the grade level. Students who took only asynchronous classes showed higher self-determined motivation than students who combined synchronous classes with asynchronous classes. On the other hand, students without online learning experience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grade level, and online learning type.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의 온라인 기반 실천적 교수역량의 향상을 위한 학습조력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이지원(Jiwon Lee),문수진(Sujin Moon),김중복(Jung Bo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에서 수행되는 과학 수업을 위해 예비과학교사의 온라인 기반 실천적 교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조력(Learning assistant: LA)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온라인 기반 교수 역량을 수업 설계, 자료 개발, 수업 실행, 수업 성찰 역량으로 규정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LA 양성과정을 교수이론, 계획, 수행, 평가의 네 단계로 구성하였다. LA 참여과정은 학습조력자가 학습조력을 연습하는 과학 교양 수업으로, 개념 도입, 개념 이해, 개념 심화의 단계로 구성하였다. LA 양성과정의 ‘수행’ 단계와 LA 참여과정의 ‘개념 심화’ 단계는 서로 교차되는데, 학습조력자는 학습자의 개념 이해와 심화를 돕고, 학습자는 학습조력자가 교수역량을 향상시키도록 돕는다. 학습조력자는 물리교육과 환경교육을 전공하는 2-4학년 13명이 참여하였고, 학습자는 다양한 전공의 1-3학년 24명이 참여하였다. 학습조력자들은 온라인 기반으로 수정된 RTOP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프로그램 적용 전후 온라인 기반 실천적 교수역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한 학기동안 LA 양성과정 및 LA 참여과정 모두 전 차시 온라인으로 수행되었다. 학습조력자는 온라인 실험 제작, 온라인 평가, 온라인 토의토론의 지도 등 온라인 수업의 맥락에서 교수학습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학적 전략에 대하여 학습하고, 이를 적용할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 후 실제로 학습 조력을 수행하였다. 수정된 RTOP을 이용하여 학습조력자의 조력 수행을 상호평가한 결과, 학습조력 경험이 누적됨에 따라 온라인 기반 실천적 교수 역량이 향상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교원 양성을 위한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온라인 교수역량을 기르는 방안에 있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Objectives Learning Assistant (LA) program was developed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improve their online-based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to conduct online science classes. Methods The online-based teaching competency is defined as instructional design, material development, instructional execution and instructional reflection competency, in order to improve it, LA training course consists of four stages: PCK, planning, practice, and reflection. LA supported course is a science liberal arts class in which learning assistants practice teaching, and consists of the stages of concept introduction, concept understanding, and concept development. The ‘practice’ stage of the LA training course and the ‘concept development’ stage of the LA supported course intersect. 13 students from 2nd-4th grades majoring in physics education and environment education participated as learning assistants, and 24 students from 1st-3rd graders from various majors participated as learners. LA conducted a modified RTOP test based on online. After that, the change in online- based practical teaching capabilitie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was analyzed through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Results Since both courses were conducted online for one semester, learning assistants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t online teaching context such as online experiment, online evaluation, and online discussion guidance, after learning about PCK and making plans to apply them, they actually helped with learning.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the learning assistant's performance using RTOP, it was confirmed that the online-based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improved as the learning assistance experience was accumulated. Conclusions This result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a new direction in the way of nurturing online teaching competency in the college curriculum for teacher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