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드론 기반 병충해 예찰을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 설계

        이대현 ( Daehyun Lee ),한길수 ( Kilsu Han ),이현동 ( Hyundong Lee ),김국환 ( Gookhwan Kim ),이명훈 ( Meonghun Lee ),김점순 ( Jeomsoon Kim ),홍성준 ( Sungjun Hong ),이경재 ( Kyongjae Lee ),송장훈 ( Janghoon So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최근 국내농업은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국가 간 교역 확대, 해외여행 증가 등으로 인해 농산물 수입이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는 검역병해충 및 외래·돌발 병해충의 발생 확산을 야기하여 농가의 병충해 피해를 증가시키고 있다. 특히, 이 중 과수 화상병의 경우 빠른 전염속도로 인해 발생 시과수원을 폐원시키므로 농가의 심각한 피해를 가져다주고 있어 문제해결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병충해 관리를 위해 정기적인 예찰 및 방제를 수행하고 있지만 인력 활용 및 육안으로 감염 여부를 판정하고 있어 정확한 예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인력에 의한 병의 전파가 지속적으로 우려되고 있다. 드론은 무인비행장치로 최근 비행 제어 기술의 고도화로 인해 다양한 산업에서 그 활용범위가 급속도로 향상되고 있다. 농업분야의 경우 영상 장치의 소형화, 경량화를 통해 다양한 영상센서를 드론에 장착함으로써 농지의 다양한 정보의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드론 기반 항공 예찰을 위한 기초 연구로 항공예찰 영상의 분석 및 드론 이착륙 관리를 위한 통합 관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통합 관제 시스템은 드론 이착륙을 위한 스테이션과 항공영상 수신 및 제어 신호 송신, 항공영상 DB 관리 및 영상 분석이 가능한 데이터 처리부로 구성된다. 이착륙 스테이션은 드론 보관을 위한 케이스 내부에 드론이착륙 지원을 위한 상하 리프트 제어와 착륙 플레이트, 기구부 등이 설치되며, 드론의 이착륙에 따라 루프가 자동 개폐되도록 설계되었다. 데이터 관리부는 수신된 항공 영상을 위치-예찰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한 후 이를 이용하여 영상학습 모델 기반 과수병 예찰영상 분석을 수행한다. 학습 영상 데이터는 각각의 항공 영상을 분할하여 훈련, 검증, 테스트 데이터로 분류하며, 훈련 데이터는 샘플 수 증가 및 오버피팅(over-fitting) 감소를 위해 잘라내기, 회전, 밝기/색상 변환 등 데이터 증강 후 사용된다. 영상학습 기반예찰 기술의 적용성은 사과 과수 화상병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 시스템을 활용한 예찰 수행 시 인력 예찰 문제 해결 및 과수원의 항공영상 정보 수집의 자동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를 위해서는 과수병 증상이 발현된 항공영상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예찰 모델 정확도 향상과 최적화된 드론의 운행 제어를 통한 항공 예찰의 효율 향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사과 해충 발생예찰 현황과 개선 방안 - 제도와 조직을 중심으로 -

        이순원,장일,김향미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0

        사과는 영년생 작물로서 문제되는 해충의 종과 피해도 많으며, 최근 해충종합관리(IPM) 체계가 확산 되면서, 사과원 해충의 발생예찰이 어느때보다도 중요한 필요조건이 되었다. 특히, 농약을 절감하고 천적의 생물적방제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려면 선택성 살충제와 교미교란제를 이용한 해충방제가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해충의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발생예찰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1998년에 농촌진흥청 직제에서 작물보호과가 폐지되면서, 도단위와 시군단위의 하부 조직도 없어졌기 때문에, 사무실에서 관련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만 있을뿐, 현장에서의 체계적인 병해충 발생예찰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대만수출 사과원의 성페로몬트랩 이용 심식나방류 발생예찰과, 일부 시군에서 IPM, GAP 등의 시범사업을 통해 병해충 발생예찰이 실시되고 있다. 일본은 현단위의 병해충방제소가 중심이 되고 관련 시험장과 연구소가 유기적으로 협조하여 병해충 발생예찰과 방제 기술지도가 이루어지고, 이들 자료는 실시간으로 (사)식물방역협회가 운영하는 국가 차원의 온라인 체계(JPP-NET)로 연결되어 있다. 우리와 같이 영농규모가 영세한 이탈리아 사과주산지인 트렌티노지방은 지방정부가 100% 예산을 지원하는 조건으로 사설법인(학교재단)에 사과산업에 필요한 교육과 인재양성, 연구 및 기술지도 업무를 맡겼기 때문에, 이 법인에서 사과 농업인에 대한 병해충 발생예찰과 방제지도를 무료로 해 주고 있다. 우리나라 사과원에 필요한 병해충 발생예찰 제도와 조직이 사과주산단지를 중심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단일 시군, 몇 개 시군 또는 도 단위의 사과원을 담당하는 병해충 발생예찰 조직을 만들고 컨설팅인력을 투입해서, 사과 농업인에게 필요한 정보 제공과 기술지도를 하고, 이들 자료가 국가 단위의 온라인 네트워크 체계(NPMS)로 원활하게 전달되어야 한다. 현장 조사 업무와 기술지도에 필요한 대부분의 인력은 정부 조직이 아닌 독립법인을 만들거나 관련학과 졸업생의 군복무 대체제도 활용 또는 기존 조직에 소속된 계약인력으로 하면서, 이에 소요되는 예산은 대부분을 정부가 부담하고 농업인에게는 무료 또는 최소로 부담토록 해야 한다.

      • 주요 식물병해충 국내 발생 예측 시스템

        신용순,김동순,안문일,박주현,박은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국내 유입시 경제적 피해가 예상되는 주요 관심 침입우려 병해충에 대한 발생예찰모형을 개발하여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국내 정착지역을 추정하고, 국내 기상환경에서 발생시기를 추정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한 검역해충 예찰 업무시 현장 활용이 가능한 예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대상 병해충으로는 감귤그린병매개충, 참나무역병, 과실파리류, 코드린나방, 자두애기잎말이나방, 유사코드린나방, 미국사과애기잎말이나방, 복숭아뿔나방이 구현되었다. 병해충의 생리적 기작에 기반한 발생예찰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을 활용하여 국내 환경에서 병해충 발생 예측이 구현 가능하여 핵심 예찰시기를 결정할 수 있고, 정착 적합도를 이용하여 발견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미래 정착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기상청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 병해충 정착 적합도를 계산하고 2010s~2090s까지의 년대별 국내 정착적합 분포지도를 제공한다. 정착시 국내 발생 예측은 기상청 자동기상관측자료를 이용한 국내 기상 환경에서의 일별 병해충 발생 예측 분포 지도를 조회하고 지도상의 임의 지점의 년간 병해충 발생 위험정도를 시계열 그래프로 조회할 수 있다. 예찰업무 지원을 위한 시스템으로 GIS 서비스 및 예찰지점의 병해충 발생 예측량 시계열 그래프를 통한 예찰 방제 모니터링 기능이 포함되었다. 또한 기후 예측인자·요소가 병해충 발생 위험수준에 도달하였을 경우 위험단계별 경보를 예찰요원의 휴대전화번호로 자동 발송하는 기능이 포함되었다.

      • 충남지역 국화, 딸기의 주요해충 및 돌발해충 예찰방법 표준화 기술개발

        조효려,최용석,서정학,황인수,이경주,최병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농작물 해충에 대한 조기예찰은 돌발해충 및 주요해충에 대한 조기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하고 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 오남용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하다. 작물별로 발생하는 주요해충들에 대한 예찰시기, 예찰규모, 예찰도구 등을 포함하는 현장에서 검증을 통한 간소화, 실용화된 예찰방법이 필요하다. 우리는 국화에 발생하는 주요해충인 대만총채벌레와 딸기에 발생하는 주요해충인 점박이응애의 예찰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국화 대만총채벌레 포장내 조사지점간의 경우, 평균밀도는 하우스 입구부위 6.36마리, 중앙부위 5.42마리, 출구부위 8.61마리로 중앙부위보다 입구부위와 출구부위가 더 높았다. 조사높이를 상중하로 나누어 조사했을 경우, 평균밀도는 상단부 5.2마리, 중단부 1.33마리, 하단부 0.43마리로 상단부가 중단부와 하단부의 밀도보다 높았다. 딸기 점박이응애 포장내 조사지점간의 경우, 논산에서는 하우스 입구 쪽 보다 하우스 출구 쪽으로 갈수록 밀도가 높았고, 당진에서는 하우스 입구 쪽에서 다소 밀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조사고랑의 경우, 하우스 양 측면 고랑의 밀도가 중앙 고랑의 밀도 보다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작물 및 해충의 특성에 따라 조사지점, 조사높이, 조사고랑의 차이를 조사하여 효율적인 예찰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인삼 재배지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에 대한 표준예찰방법 개발

        이영수,이현주,정재운,주영철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는 2009년 서울, 경기, 경남의 3개 시군에서 처음 확인된 이래 현재는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피해를 주고 있는 외래해충이다. 이 해충은 기주식물의 범위가 매우 넓어 많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가운데, 최근 인삼 재배지에 큰 피해를 주고 있음에도 기본 조사법 조차 없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삼 재배지에서 외래해충인 미국선녀벌레에 대한 표준예찰지침서를 개발하고자 2014년부터 2년간 수행하였다. 대상해충의 분류학적 위치, 해충발생 역사와 국내외 지리적 분포, 경제적 임팩트와 기주범위, 피해증상, 생활사 및 발육특성 등으로 구성된 해충정보를 통해 예찰요원에 대한 배경지식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예찰요원이 직접 분류동정 할 수 있도록 발육단계별 형태적 특성과 유사종과의 차이점 등을 그림과 함께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예찰요원이 현장에서 예찰함에 있어 갖추어야 할 예찰장비, 인삼밭에서의 조사기간과 조사지점 설정, 조사방법 그리고 방제여부 결정을 위한 피해도를 구분하였다.

      • 고정익 드론을 이용한 배 화상병 예찰 연구

        김현정 ( H. J. Kim ),노현권 ( H. K. Noh ),김현진 ( H. J. Kim ),강태환 ( T. H.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화상병은 병원균인 에르위니아 아밀로보라(Erwinia amylovora)에 의해 주로 배, 사과 등의 과수에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의 일종이며, 강한 전염성으로 인하여 감염여부가 양성으로 판정되면 즉시 과수원 전체 및 근방 100m이내의 모든 과수를 뿌리까지 매몰해야 한다. 또한 화상병 매몰지는 향후 20년간 과수재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발병시 장기적인 경제적 피해가 발생한다. 국내의 경우 2015년 5월 경기도 안성지역에서 국내 첫 배 화상병이 발생하였고, 따라서 지속적인 과수원 모니터링을 통하여 화상병을 예찰함으로써 확산·전염에 의한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화상병 예찰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배 화상병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고정인 무인 드론과 매핑이 가능한 무인 드론 기반 통합 관리 플랫폼·예찰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취득 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포장은 배 화상병 발생지역인 안성과 나주 배 연구소에서 수행하였다. 고정익 무인 드론은 ebeeSQ (중량1.1 kg, 비행속도 40~110km/h, 최대비행시간 55 min)에 RGB, Red-Edge, NIR 파장 영역을 감지할 수 있는 SEQUOIA Multispectral Sensor를 탑재하여 고도 70 m 상공에서 배 과수를 촬영하였고, Pix4D Mapp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과수의 생육정보를 취득하였다. 취득한 영상정보는 ENVI softwar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상병이 발생한 과수의 식생직수 NDVI와 반사파장인 NIR 값은 동일 과수원의 건강한 과수와 비교하여 약간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또한 Red-Edge 영상분석에서도 화상병 발병 과수와 건강한 과수에서 뚜렷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SEQUOIA Multispectral Sensor가 고도 70 m 상공에서 촬영할 경우 공간분해능이 6 cm/pixel 로 낮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화상병 예찰을 위해서는 공간분해능이 높은 센서의 사용이 불가피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공간분해능이 높은 센서로 취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화상병 감염여부를 현장에서 판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이 필요하고, 이를 통하여 현재 인력으로 화상병을 예찰하는 관행적인 작업을 좀 더 빠르고 신속하게 예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GIS와 GPS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 항공정밀예찰 기법 개발

        김준범 ( Joon Bum Kim ),김동윤 ( Dong Yun Kim ),박남창 ( Nam Chang Park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3 No.1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고사목 단목 중심의 점상 발생을 보이기 때문에 신속한 피해지 파악과 정확한 확산예측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피해발생 조기예찰 및 분석, 감시·감독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예찰방법인 도로나 민가 주변 중심의 지상 육안예찰은 누락된 지역이 많고 고산지역, 급경사, 절벽등의 위험지역 예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GIS, GPS와 헬기를 이용한 항공정밀예찰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2005년 전국 32개 시·군(약 28,810㎢) 피해지역의 349지점 972본의 고사목 위치좌표를 취득하여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에 활용하였다. 따라서 항공정밀예찰기법 개발은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우려지역에 대한 고사목 색출 및 고사원인 규명, 매개충 산란처 제거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amaged trees by the pine wilt disease appear scattered spots spreading from single dead trees. That is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early detect damage and to prevent from extensive damage.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forecast and analyze the damage occurrences, to establish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to supervise them. However, conventional survey which observes around roads or residential areas by naked eyes was impossible to investigate completely, missing target areas and dangerous areas. Therefore, aerial forecasting techniques on the damaged area were developed using GIS, GPS, and helicopters for an accurate observation of systematic and scientific approach in this study. Moreover, advantages of the techniques application were confirmed to survey 972 dead tree samples at 349 position-coordinates in 32 cities (about 28, 810 k㎡), 2005. This study is expected to apply widely to find dead trees and the causes, particularly by pine wilt disease.

      • KCI등재후보

        외조부 홍봉한에게 보낸 정조의 편지 - 야마구치[山口]현립도서관 소장본 -

        구순옥 한국고전번역학회 2017 고전번역연구 Vol.8 No.-

        본 논문은 正祖(1752∼1800, 재위 1776∼1800)가 외조부 洪鳳漢(1713∼1778)에게 보낸 睿札과 御札 가운데 현재 야마구치[山口]현립도서관 소장본을 살펴본 것이다. 정조의 외가인 豐山 洪氏 집안은 영조․사도세자․정조 3대가 보낸 親筆과 서찰 등 도합 2094폭을 1806년 8월에 58첩으로 裝幀하였다. 이 가운데 야마구치현립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것은 영조의 手書 25폭을 엮은 1첩, 사도세자가 장인 홍봉한에게 보낸 예찰 26폭과 睿製 1폭을 엮은 1첩, 정조가 외조부 홍봉한에게 보낸 예찰과 어찰을 엮은 4첩, 정조가 홍낙신과 홍후영에게 보낸 예찰과 어찰 등을 엮은 5첩, 그리고 홍낙륜이 보관하고 있던 정조의 睿筆과 예제를 엮은 2첩으로, 모두 13첩으로 알려져 있다. 필자가 이 가운데 조사한 것은, 정조가 홍봉한에게 보낸 예찰과 어찰을 엮은 4첩과 홍낙신․홍후영에게 보낸 예찰과 어찰 등을 엮은 5첩으로 모두 9첩이다. 풍산 홍씨 집안에서 장정한 58첩 가운데 정조가 홍봉한에게 보낸 예찰 311폭과 睿詩 2폭, 어찰 15폭을 합한 328폭으로, 10첩이다. 이 가운데 현재 전하는 것으로 확인된 첩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의 1첩, 국립중앙도서관의 1첩, 야마구치현립도서관의 4첩으로 모두 6첩이다. 정조가 어린 시절부터 홍봉한에게 보낸 서찰은 단순히 수량만으로도 각별한 祖孫 관계임을 추측할 수 있게 하는데, 담긴 내용을 살펴보면 홍봉한에 대한 정조의 사랑과 배려를 더욱 잘 살필 수 있다. 정조의 서찰에 대한 기존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는 사실은 서찰에 등장하는 사연들은 상당수가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의 史料에 기록되어 있어, 서찰 하나하나가 매우 신뢰할 만한 사료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홍봉한에 대한 정조의 각별한 배려는, 홍봉한이 사망한 이후에 그를 위해 쓴 祭文과 홍봉한의 서적 편찬, 諡號를 내리는 과정에서도 잘 나타난다. 이러한 정황이 담긴 역사문헌과 『홍재전서』 등과 아울러 현재 전해지는 서찰의 내용을 함께 살펴보면, 정조와 홍봉한과의 관계, 홍봉한에 대한 정조의 禮遇, 외가에 대한 정조의 배려, 홍봉한이 처한 정치적 상황, 이에 대한 정조의 조치 등에 대하여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정조의 인간적 면모도 엿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첫째, 풍산 홍씨 집안에서 58첩으로 장정한 간찰첩을 정리하고 둘째, 야마구치현립도서관 소장본 가운데 정조의 간찰첩 9첩을 간략히 정리하고 셋째, 야마구치현립도서관 소장본 가운데 정조가 홍봉한에게 보낸 서찰 4첩의 내용을 당시 정조와 홍봉한의 정황과 함께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collection in the Yamaguchi Prefectural library, which is one of the Prince's letters and the King's letters King Jeongjo(1752∼1800, the period of reign 1776∼1800) had sent to his grandfather Hong bonghan(1713∼1778). King Jeongjo's mother's side of the family, Poongsan Hong's family, bound the 58 volumes of books and letters of three generations, King Yeongjo, Crown-prince SadoSeja, and King Jeongjo in August, 1806. It is known that the Yamaguchi Prefectural library possesses the total of 13 volumes out of them, which are each one volume of King Yeongjo's 25 autographic letters, one volume compiled with 26 letters and one writing Crown-prince SadoSeja sent to his father-in-law, 4 volumes compiled with the Prince's and the King's letters King Jeongjo wrote to Hong bonghan, his grandfather of his mother side, 5 volumes compiled with the Prince's and the King's letters of King Jeongjo to Hong nakssin and Hong huyeong, and 2 volumes compiled with King Jeongjo's writings that Hong nagyun had preserved. This study explores totally 9 volumes of the letters which contain 4 volumes with the letters King Jeongjo wrote to Hong bonghan and 5 volumes with King Jeongjo letters of to Hong nakssin and Hong huyeong. Ten volumes are also explored, which consist of 311 picture of letters, 2 picture of poems, and 15 picture of king's letters King Jeongjo sent to Hong bonghan. They are parts of the letters Poongsan Hong's family compiled. It is confirmed that a total of 6 volumes, which are one volume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one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four in the he Yamaguchi Prefectural library, have been transmitted. The number of the letters King Jeongjo had written to Hong bonghan from his childhood causes supposition that he had a special relationship with his grandfather and the texts of the letters provide a glimpse of his love and consideration to Hong. The prior study on King Jeongjo's letters demonstrates that every single of his letters has significant meaning as remarkably reliable historical records since a decent number of the stories have been documented in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Seungjeongwonilgi≫ and ≪Ilsungrock≫. By the study of the contents of the letters in addition to ≪Hongjae-jeonseo≫ and other historical documents which contain the situation, they give a glimpse of King Jeongjo's honorable treatment for Hong bonghan,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m, his consideration for his mother's side of the family,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age, the measures King Jeongjo took to solve the harsh situation. This paper proposes to summarize Poem Albums compiled into 58 volumes by Poongsan Hong's family and briefly 9 Poem Albums of King Jeongjo out of collections in the Yamaguchi Prefectural library and to observe the contents of King Jeongjo's letters to Hong bonghan out of collections in the Yamaguchi Prefectural library.

      • 웹GIS를 기반으로 한 농작물 해충과 병의 예찰, 진단, 예측시스템 : 국가 병해충 관리시스템

        변영웅,이용환,이병연,심근섭,박홍현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05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작물 병해충 발생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하여 농가피해 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웹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를 기반으로 한 국가 병해충 관리시스템(National Pest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http://npms.rda.go.kr)은 크게 병해충 예찰, 예 측, 진단, 동아시아병해충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찰자료 입력, 통계정보 조 회가 가능하고 웹지도상에서 발생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병해충 예찰시스템에서 는 벼, 보리, 사과 등 11개 작물에 대해 지정된 해충과 병 발생 조사자료를 입력·관리 할 수 있다. 병해충 예측시스템에서는 국가농림기상센터의 기상자료를 이용한 격 자형 기상 추출값을 기반으로 벼, 사과, 배, 감귤, 고추의 주요 해충과 병에 대한 발 생예측결과를 웹지도상에서 예찰자료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해충·병·잡초 통합 DB를 병해충 진단시스템에 구축하여 해충·병·잡초 명칭 및 이미지 검색이 가능하 고 전문가에게 의뢰를 진단결과를 받아 볼 수 있다. 동아시아병해충네트워크에서 는 중국, 일본, 베트남 등 13개국의 벼에 발생하는 멸구류의 발생밀도를 집계하고 이를 통해 동아시아 국가 간 멸구류 이동 모니터링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NPMS의 병해충 예찰, 예측정보는 병해충 방제의 기초자료로서 앞으로 이를 활용하여 병해 충 피해를 최소화하고 방제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양파 고자리파리(Delia antiqua) 예찰법 개선

        최덕수,마경철,고숙주,김효정,김도익,김현우,최병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고자리파리(Delia antiqua)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농경지 주변에서 서식하는 토착해충으로, 유충이 마늘, 양파 등 토양속의 뿌리부위를 가해한다. 고자리파리는 연 3회 발생하며 남부지방에서 발생 최성기는 1세대 4월 중순, 2세대 6월 상순, 3세대 9월 하순~10월 상순이다. 대부분 번데기 상태로 월동하는데 3월 이전에 피해 받는 포기주위의 흙을 파보면 쉽게 번데기를 찾을 수 있다. 성충은 기주식물이나 인근의 흙에 알을 낳는다. 산란수는 보통 50~70개 정도이며, 알 기간은 3~4일, 애벌레기간은 14일 정도이다. 1세대 번데기는 그대로 땅속에서 여름잠에 들어가거나 성충이 되어 한 세대를 더 경과한 후 여름잠에 들어간다. 9월경 온도가 낮아지면 성충이 되어 쪽파, 양파모판, 마늘 본밭 등에 알을 낳는다. 고자리파리 예찰방법은 30포기씩 3개소에서 총 90포기를 선정하고 매회 동일포기에서 피해포기수를 조사하여 평균피해포기율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예찰하도록 되어 있는데, 지하부를 가해하기 때문에 육안관찰할 수 없을뿐더러 무름병 등 다른 원인과 구분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또 피해가 발생되었을 때 사후처방이 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유충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기 전 성충 발생량으로 예찰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성충 발생분포를 조사한 결과 발생밀도와 상관없이 임의분포를 하였다. 따라서 고자리파리 성충 예찰방법은 10×15cm로 절단한 노란색끈끈이트랩을 포장 가장자리에 양파 높이보다 10cm 높게 5개소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교환하며 성충의 발생량을 예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