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영화산업과 정책의 변화 추이에 따른 텍스트의 변모 양상 연구 : WTO 가입 이후를 중심으로

        김민희 ( Min Hee Kim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4 아시아영화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WTO 가입 이후 2001년부터 2013년까지의 중국정부가 영화에 미친 영향, 영화와 산업의 관계 및 정책의 변화를 상호 논증적으로 풀어나가는데 있다. 현재 중국시장은 2001년 이후부터 흥행수입 부문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4년에는 2만개가 넘는 스크린 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의 2~4선 도시까지 영화관이 생겨 문화 향유를 즐기는 인구의 증가 및 외국과의 공동제작 역시 활발해지고 있다는 점은 현재 중국 영화시장의 주목할 만한 사항 중 하나이다. 이러한 산업적 성장에 더불어 현재 중국 영화시장은 제작자본의 다양화로 제작비규모 및 장르까지 다각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전부터 인기를 모았던 무협영화 뿐 아니라 코미디, 청춘영화, 애니메이션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스타일의 장르문화가 형성되고 있으며, 대규모 자본과 주선율 영화가 만나 블록버스터형식으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의 지원과 규제라는 정책의 이중성은 중국 영화산업을 논의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사항으로, 그중 정부주도의 검열은 규제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점차 검열의 절차가 간소화와 외국과의 공동제작에서 활기를 띄고 있다는 점, 그리고 유입되는 자본의 채널이 다양화되고 있다는 사실은 중국 정부가 시행하는 완화된 정책 중의 일환이라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국 정부의 양면성 아래에 놓인 영화산업 체제에서 활동하고 있는 장이머우, 루추안, 닝하오와 같은 감독의 대표적인 텍스트를 분석함으로 중국 영화산업의 성장과 작품 간의 유사성 및 변화 양상, 그리고 감독의 세대별 변화 추이 등을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본 연구를 통해 주선율 영화의 변화양상, 상업영화의 이원화 및 예술영화에 대한 중국정부의 인식변화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제작비 규모의 다양성과 장르영화를 발전시키는 바탕이 되어 주었다. 그리고 중국 영화시장의 개방 및 세계 영화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Chinese film industry was changed by the policy transforma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between 2001 and 2013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uch changes on texts. When joining the WHO, China and the global film market expressed concern that the Chinese films might be encroached by Hollywood, and the Chinese government maintained the closed policies to protect their own films while allowing partially open-door policies from the perception that film is a field of industry. Due to the national policies, the Chinese film market became the only one where the films should be controlled by the national regulations. However, unlike the past focusing on producing propaganda films, films of various genres showing various themes had been produced since 2001 because of appeasement of the policies and since mid 2000s, the industrial index of films have increased geometrically.

      • KCI등재

        영화음악의 대위법적 사용에 관한 연구: 하이데거의 세계(Welt)와 대지(Erde) 개념을 중심으로

        조은비 ( Eun Bee Jo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4 아시아영화연구 Vol.6 No.2

        예술은 비유의 언어이다. 하이데거의 예술철학에서 진리는 은폐와 비 은폐, 드러남과 감춤, 세계와 대지, 그리고 앞으로 나와 있는 것과 감추어진 것 사이의 동시성을 담고 있다. 하이데거의 주장에 따르면 작품은 다른 것을 공개적으로 알려주고 다른 것을 개시하는 알레고리이며, 예술 가운데에는 제작된 사물에 다른 어떤 것이 결합되어 있다. 영화음악에서의 ‘추상적인 요소’는 의미를 결여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방식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 논문을 통해 연구자는 영화음악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영화음악에 ‘관한’ 이야기를 제시할 것이다. 영화 <멜랑콜리아>에서 감독은 극대화된 인물들의 감정 상태를 음악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한다. 영화가 진행되는 도중에 환기되었던 인물들과 상황, 그리고 장소는 음악 속에 내재되어 있던 주제 의식과 결합 되어 표현되었다. 영화 <마더>는 혜자가 놓여진 ‘대지’ 위에서 혜자의 ‘세계’를 바라보는 시선에 관한 영화다. 은폐된 ‘대지’ 위에서 혜자는 말이 없다. 그저 춤출 뿐이다. 오로지 흘러가는 시간에 몸을 맡긴 채 내면을 표현하는 춤사위를 보면서 관객은 기존의 현실에서 느끼는 감정과는 다른 또 다른 새로운 감정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삶 속에서 생활하는 모든 순간이 음악이다. 우리는 영화 음악에서 내용과 형식을 구분할 수 없으며 단지 느낄 뿐이다. 영화음악의 역할은 영화를 감상하는 관객들에게 자신의 세계를 느끼게 해주는 것이다. 때문에 언제나 영화는 관객에 따라서 재해석 될 수 있다. 결국 예술가와 감상자 모두 매순간 영화음악을 통해 작품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trapuntal use of music in film. A piece of film music is created specifically to accompany a particular part of a film. Film requires the harmonization of both image and music. The main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film music through Heidegger`s philosophy. I tried to explain this idea definitively in The Origin of the Work of Art and it is through by the German philosopher Martin Heidegger`s concepts: “Welt” and “Erde”. The “Welt”(the opening of things) and “Erde”(the concealing of things) of Heidegger`s philosophy begins to develop the atmosphere of a film`s music. In the context of discussing the ontological peculiarity of film music, the ontological peculiarity of film cannot be ascribed to a physical object; as such, this work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aesthetics of film music. “Melancholia” is a film used music from the prelude to Richard Wagner`s Tristan und Isolde. The film`s music begins with an opening sequence that involves both the main characters and images from Wagner`s leitmotif. The director`s use of such an opening sequence is a technique closely associated with Heidegger`s “Welt” concepts. “Mother” is a suspense thriller, a psychological study. His film is in stark contrast with that of Lars von Trier; for instance, the film does not begin with an opening sequence that involves the main characters and imagery. The director`s opening sequence in this instance reflects a technique that is closely associated with Heidegger`s “Erde” concept.

      • 내셔널 시네마의 유통과 ‘작가’ 감독의 브랜드화

        이지연 한국영화학회 2006 한국영화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No.-

        최근의 동아시아 영화들이 소위 ‘글로벌 시네마’로 불리는 헐리우드 영화들에 맞서거나 융합하는 방식으로 글로벌 시네마의 일부로 인식될 수 있을 만한 위치에 오른 한편, 유럽, 미국 등지에서의 동아시아 영화에 대한 작가 감독 중심의 접근과 유통은 지속적인 경향으로 존재해왔다. 본 논문은 유럽의 특권적 위치에 있는 국제 영화제들이 헐리우드의 전세계적 지배에 대항하는 대안적인 영화 유통 경로를 확보한다는 취지하에, 아트 시네마, 내셔널 시네마, 작가 영화라고 명명하고 특권화하는 방식을 통해 특정 동아시아 영화 감독들과 영화들을 ‘발견’, ‘유통’, ‘고전화’하는 내러티브를 만들어 온 과정들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유럽 등지에서 각 내셔널 시네마를 대표하는 작가 감돌들로 여겨져 온 두 감독, 기타노 다케시(일본)와 임권택(한국)이 이러한 유럽 영화제들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연관되어 왔는가를, 이들이 그 과정에서 새롭게 놓이게 된 공간 - 내셔널리즘과 서구의 오리엔탈리즘, 그리고 국내의 영화 씬과 국제 영화제 사이에서 겹쳐 있으면서도 그 사이에 놓인 공간(a zone 'in-between' nationalism and western Orientalism, domestic film market and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 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 KCI등재

        영화제작 현장인력의 이직 현상 연구

        이상욱(Lee, Sang U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4 씨네포럼 Vol.0 No.18

        이 연구는 한국영화 제작현장인력의 이직현상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영화제작 인력시장과 산업적 문제점을 확인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1년 1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41명의 영화현장 이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몇 가지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영화현장 이직자들은 주로 영화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2년 이상의 전문적인 교육을 받고 영화현장에 들어왔으며, 평균적으로 5.3년간 4작품 이상에서 근무하다가 30대 중반 이전에 이직을 하며, 주로 경제적 빈곤으로 인하여 이직을 했다. 이직 이후의 직업은 기존의 업무와 연관성이 높거나, 전문성이 떨어지는 단순 업무인 경우가 많았으며, 아르바이트, 계약직등 불안한 고용형태의 비율이 더 높았다. 이직 이후 경제적으로는 2배이상의 수입 증대가 있었다고 답한 사람이 60%에 이를 정도로 나아졌으나 이직이후 직업에 대한 심리적 만족도가 떨어졌다. 이직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을 종합해 평가한 결과 이직 이후 직업적 만족감은 이직 전과 큰 차이가 없다고 느끼고 있다. 이들은 주로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지 못한다는 심리적 스트레스가 많았으며 이직이후의 직업에 애정이 떨어지거나 싫증을 쉽게 느끼는 등의 문제를 겪고 있었다. 또한 몇 가지 문제점만 해결된다면 영화현장으로 복귀하고 싶어하는 사람이 60%가 넘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해 볼 때 현재 한국영화 제작인력들에 대한 경제적 처우개선이 매우 시급하다. 우선 노동의 합리적 대가가 주어지는 상황이 만들어져야, 노동의 질이 보장되고 노동시장의 합리적 경쟁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영화제작 현장인력들에 대한 시각변화가 필요하다. 현장인력들은 열의를 가지고 힘든 상황 속에서도 영화제작의 중요한 중심축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을 단순피고용자의 개념이 아니라 영화의 질적 완성을 책임지는 공동창작자로 인정해야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영화 산업의 국내외적 역량강화를 위하여 투자-배급-제작-영화노조-영화진흥위원회의 협력체계가 더욱 발전적이고 진취적으로 강화되어야 한다. Many film making workers in South Korea suffering by low salary and unstable working condition. So not a few filmmaking staffs leave their jobs in a year. This research purpose to finds a tendency of peoples who changing jobs from filmmaking. From Dec. 15 2011 to Jan. 25 2012, by doing questionnaire survey, 41 cases was collecting, and that can be analysis like below. - Average of leaving worker stop to find film crew job about their age at 30, mostly before 35 old. On average, they had worked 5 year in film industry. - Before leaving, they suffering by economical problem cause by low payment of working. - Although their income was improve twice time after changing jobs, but they loses job satisfaction and got a big psychological stress. - Because their job was mostly not stable and good condition, they couldn"t get a stability of life. To become more reasonable working condition of filmmaking and development of Korea film industry, this research recommends to improving salary of film crew and changing a point of view to them.

      • KCI등재

        조선영화 <수업료>의 영화화 과정과 텍스트 비교 연구

        정종화(Chung Chonghwa)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5

        이 글은, 중국전영자료관에서 발굴되어 2014년 6월 한국영상자료원으로 수집된 조선영화 <수업료>와 관련 텍스트의 비교 분석을 통해, 영화 텍스트가 제시하는 특징들을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현재 영화 <수업료>와 관련해 접근할 수 있는 텍스트는 모두 4개이다. 영화의 모태가 되는 우수영의 원작 작문『수업료』, 시나리오 작가 야기 야스타로(八木保太?)의 동명 시나리오, 그리고 영화화된 <수업료>, 마지막으로 일본 ‘내지’에서 개봉이 진행되면서 등장한 ‘영화소설(映?物語)’ 버전이다. 관련 선행 연구들이 다루지 않은, 즉 영화 텍스트가 새롭게 말해줄 수 있는 지점에 집중할 이 글의 검토 범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서론에서 영화 <수업료>와 관련한 나머지 3개의 텍스트가 수록된 지면의 성격과 게재 배경 등을 살펴본 후, 2장에서 영화 <수업료>의 제작 및 배급 과정을 당시 사료의 재구성을 통해 검토하였다. 조선에서의 흥행 성공에 비해, 일본 ‘내지’에서 개봉하려던 고려영화 이창용의 기획은 제대로 실현되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먼저 4개의 텍스트가 포함하는 내용과 차이점들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원작 작문 그리고 영화와 달리 시나리오는 디제시스 상 영달의 부모가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즉 그들이 고향에 돌아오는 장면 없이 마무리되었다. 한편 영화소설은 영달과 부모가 상징적인 아버지인 다시로 선생에게 감사를 표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다음으로 일본어 시나리오가 상당 부분 조선어로의 변경을 포함해 영화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텍스트의 ‘반일적 효과’에 관해 주목하였다. 최인규의 촬영대본에 의해 연출된 결과물은 시나리오와 미세한 차이들이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다시로 선생이 영달의 집을 방문해 할머니와 대화가 통하지 않는 장면, 어린 영달이 수업료를 구하기 위해 혼자 평택까지 걸어가는 장면 등에서 감지할 수 있었다. <수업료>는 이른바 ‘친일국책영화’의 프레임으로 해석하기에 불균질한 요소들을 품고 있다. 이것이 최인규의 연출에 의해 의도적으로 혹은 무의식적으로 빚어진 것일지, 제국이 원하는 대로 작동되지 않는 식민지의 현실이 영화에 반영된 결과일지 확실한 답을 찾기는 힘들다. 분명한 것은 일제 당국에 의해 이 영화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는 것이다. 이 같은 ‘반일적 효과’가, 해방 이후 최인규의 회고처럼 온전히 개인적 저항의 맥락에서 해석되기는 힘들 것이다. 이 글은 향후의 연구 방향으로 식민지 조선영화 텍스트가 태생적인 불균질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자고 제안한다.

      • KCI등재

        한국 ‘전기영화(傳記映畵)’의 1970년대적 특징에 관한 연구

        오진곤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0 현대영화연구 Vol.16 No.1

        This paper focuses on the ‘biographical film’, which deals with the actual behavior of certain characters historically present in Korean films in the 1970s,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backgrounds of these works, analyzed and examined the contents, formal trends, and specificities of the times. A series of biographical films were made in Korea in the 1970s. This trend, which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history of the film in the same period, it is an element that reveals the features of Korean films. The first feature of Korean biographical film at that time was that many of these works have (optionally) borrowed material from existing films from the 1940s to ‘60s. At the same time, they were also revealing their specificity in the 1970s. The second feature is that Korea’s contemporary environment was at the base. In other words, the nationalist ideology of the Park Chung Hee regime and the history-education keynote based on it acted as the background for the production of these films and were also linked to the nature of each piece. In this process, film policy measures represented by the strengthening of censorship and national film incentives under the 3rd Motion Picture Amendment Act(1970) and the 4th Motion Picture Amendment Act(1973) played a substantial role. Also, as a third feature, it can not be overlooked that these films were taking commercial strategies to provide the audience with public entertainment. That is why there are many things in the related works that provide dramatic fun and enjoyment by emphasizing the storyline that is familiar to the public audience, as well as emphasizing war spectacle and female sexuality. 본고에서는 1970년대 한국영화 중에서 역사적으로 존재한 특정 인물의 실제 행적을 다룬 ‘전기영화(傳記映畵)’에 주목하여 이들 작품의 제작 배경, 시대적 특수성, 전반적인 경향 등에 대해 분석, 고찰하였다. 1970년대 한국에서는 일련의 전기영화들이 만들어졌다. 그동안의 영화사 서술에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해 온 이러한 양상은, 동시기 한국영화의 제작적 특징을 나타내는 하나의 요소라 할 만하다. 당시 한국 전기영화의 첫 번째 특징은, 이들 작품이 많은 경우 1940∼60년대에 나온 바 있는 기존 영화들의 소재를 (선택적으로) 차용하였다는 데 있다. 그러면서도 1970년대적 특수성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었음은 물론이다. 두 번째 특징으로는 당대 한국의 시대적 환경이 기저에 자리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즉, 박정희 정권의 국가-민족주의 이데올로기와 이를 토대로 한 역사-교육 정책 기조가 이들 영화의 제작 배경으로 작용함과 더불어 각 작품의 성격과도 연결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제3차 개정 영화법(1970)과 제4차 개정 영화법(1973) 하에서의 검열 강화 및 국책영화 장려책으로 대표되는 영화 정책상의 조치가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세 번째 특징으로, 이들 영화가 하나의 오락물로서 사회 질서와 대중 심리에 부응하고 관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려는 상업적 유인 전략을 취하고 있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관련 작품군 속에 대중 관객에게 전쟁 및 액션 스펙터클이나 젠더 질서와 여성 섹슈얼리티 등을 강조함으로써 극적인 재미와 보는 즐거움을 선사하(려)는 것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이유이다.

      • KCI등재

        기억과 심리에 접근하는 영화 형식에 대한 연구 - 영화 <한공주>를 중심으로

        김용희 ( Kim Yong-hee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0 아시아영화연구 Vol.13 No.1

        본 논문은 영화 <한공주>의 스토리텔링 방식을 살펴보고 그 영화적 재현 형식이 어떻게 영화 주제에 기여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 논문이다. ‘집단성폭행’이라는 사회 주제적 측면보다 영화미학적 ‘영화 형식’ 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 재현불가능성을 전제할만큼 영화는 충격적인 사건과 그 전말을 소재로 삼고 있다. 하지만 감독은 최대한 절제된 감정 표현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객관적 거리’를 통해 영화는 주인공 심리에 대한 영화 혹은 심리적 이미지에 대한 영화로 읽힌다. 성폭행 피해자의 심리와 그를 둘러싼 ‘시선’의 문제를 감독은 좀더 정교한 카메라 형식으로 드러내고자 하는데 이를테면 ‘과거와 현재의 불연속적 동시성’이라든가 ‘카메라 기법으로서의 형식’이 그것이다. ‘과거와 현재의 불연속적 동시성’은 스토리텔링에서 중간점을 기점으로 점점 드러나는 ‘과거 사실’, 클라이막스에서 완벽하게 대비되는 현재와 과거의 충돌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카메라 기법’에서는 핸드헬딩, 관찰자 시점과 오버 더 숄드 쇼트, 트래킹 쇼트 기법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그외 청각적 이미지도 영화의 주제를 상징화하고 있다 할 수 있다. 감독은 영화의 주제를 사회고발자적인 입장이 아닌 철저하게 관찰자적 시선으로 접근하고자 했고 그 절제는 이와같은 ‘영화 형식’에 의해 성취된다. 이 영화는 주인공 한공주의 심리를 영화적 스타일로 보여준 새로운 영화임에 틀림없다. With respect to the film, “Hang Gong-ju,”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film style” from the perspective of film aesthetics, and not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ssues, which in this case is presented as sexual violence on women by a group. As “irreproducibility” shall be the premise of this film, it takes the subject matter of such a shocking case as its complete story; however, the director intends to approach the film with the most restrained expression of emotions, which gives the impression that he is writing “an objective report.” Through “an objective distance,” the film is interpreted to be one that places the lead character’s psychology or psychological image at its center. The director reveals the psychology of the victim of sexual violence and the “views” that stem from it in a more detailed camera style: “the discontinuous simultaneity of the past and the present,” or “the style formed by a camera technique.” “The discontinuous simultaneity of the past and the present” is displayed by “the truth of the past” revealed in the middle of the storytelling process and the bitter conflict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manifested in the sharp contrast at the climax. As for the “camera technique” this study aims to examine several techniques used in the film: handheld, the view by an observer, an over the shoulder shot, and a tracking shot. In addition, auditory images that appear as a symbol of the micro-content also embody the theme of the film. The director intended to approach the theme of the film from a viewpoint of a complete observer instead of a social whistle-blower, and such a restraint is accomplished within “the style of the film.” By displaying the psychology of the lead character, Han Gong-ju, in such a way, it affects the style of the film which in turn creates a new film.

      • KCI등재

        영화 〈후쿠오카〉의 초월적 존재에 관한 일고찰

        陳性希(Sung-Hee Jin) 중국어문논역학회 2021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48

        이 연구는 장뤼(張律)의 영화 <후쿠오카, Fukuoka>(2019)의 서사의 모호성과 초월적 존재에 관해 분석, 고찰한 것이다. 장뤼의 영화를 동시대의 다른 영화들과 구분 짓게 할 수 있는 가장 큰 특징은 그가 영화의 서사를 구축하는 전략을 통해 대중으로 하여금 현실과 사회에 관한 관습적인 의식과 태도로부터 한 발 물러나 사유할 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영화 <후쿠오카>는 모호성의 전략과 초월적 인물의 형상을 통해 영화의 전통적이고 관습적인 문법과 형식으로부터 탈피했다. 물론 <후쿠오카> 역시 특정한 지역에 기댄 허구적 공간의 창조라는 이전의 장뤼의 영화에서도 볼 수 있었던 영화적 기법을 취하고 있다. 이에<후쿠오카>를 조선족이자 중국인이라는 장뤼의 민족적, 국가적 신분과 이로부터 기인하는 이중적 정체성이라는 키워드와 ‘여전히’ 관련시켜 읽고 싶어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렇지만 <후쿠오카>는 그의 기존의 영화들이 취해오던 애매성의 전략에서 한발 더 나아가 모호성을 영화의 전반적 기저로 두고 인물형상에서는 귀신 혹은 영매와 같은 초월적 존재를 등장시킴으로써 서사를 완성했다. 이와 같은 영화적 전략을 취한 <후쿠오카>는 전통적인 영화의 완벽한 공식을 버리고 풍부한 다음의 생성을 허용하고 있다. 보는 이로 하여금 영화가 재현한 현실을 향한 이야기와 인물에 감정을 이입하여 동일화를 경험하는 것을 방해한다. 또한 영화가 가공해낸 허구적 세계에 대한 연민과 공포의 과정을 거쳐 현실에 살고 있다는 만족감을 쉽게 얻지 못하도록 한다.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사회의 관습과 규범에 동화된 우리네 현실에 대해 낯설게 바라보는 심급으로 이끌며 우리를 둘러싸고 있던 일상의 심연을 관찰하도록 한다. 바로 이 지점에서 영화 <후쿠오카>가 취한 영화적 기제의 미학적 가치는 획득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and investigates the narrative ambiguity and transcendental beings of Zhang Lü’s(張律) film Fukuoka(2019). The most conspicuous feature of Zhang Lü’s films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other contemporary films is that through his strategy for constructing the narratives of the films, he requires the public to think, with taking a step back from conventional consciousness and attitudes about reality and society. The film Fukuoka broke away from the traditional and conventional grammar and form of films, through the strategy of ambiguity and the images of transcendental characters. Of course, Fukuoka also adopts the cinematic technique of creating a fictional space based on a specific location, which was found in Zhang Lü’s previous films as well. Accordingl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read Fukuoka by ‘still’ connecting it to the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of Zhang Lü, who is a Korean-Chinese, and to the key word of dual identity arising from the identity. Fukuoka, however, went a step further from the strategy of vagueness that his previous films had adopted, and completed its narrative by putting its general base on ambiguity and making transcendental beings like a ghost or a spirit medium appear as characters. Fukuoka, which adopted the above strategy, discards the perfect formula of traditional films, and allows the following to be generated. It interferes with the experience of emphatic identification with its characters and story towards reality represented by the film. In addition, it restrains viewers from getting satisfaction easily from living in reality through the processes of sympathy and fear about the fictional world created by the film. This leads us to a stage where we feel unfamiliar with our reality, which has been assimilated to social customs and norms; and makes us observe depths of daily life surrounding us. At this very point, the aesthetic value of cinematic mechanism adopted by the film Fukuoka will possibly be secured.

      • KCI등재후보

        영화 아카이빙(Film Archiving)의 역사, 기능, 그리고 잠재적 가능성 : FIAF(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Film Archives)와 Original Big Four를 중심으로

        차민철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1

        이 글은 인류사의 역사적 증거이자 인류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영회유산'의 의미와 그 보존과 활용을 위한 복합적 행위인 '영화 아카이빙'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영화사 초기부터 시작된 '영화 아카이벙'의 발전과정을 짚어봄으로써 '영화유산'과 '영화 아카이빙'이 지니고 있는 잠재적 기능성을 가늠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화작품 및 영화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가장 온전한 상태로 보존하고 활용하는 '영화 아카이빙'은 수집, 보존, 보호, 복사, 복원, 공개, 분류/목록/색인이라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영화사에서 '영화 아카이빙'은 영화사 초기의 원형적 시도에서 출발해 1930년대의 초기 시네마테크 운동의 시기를 거쳐 1938년 국제필름아카이브연맹의 결성으로 이어지면서 발전한다. 특히, '영화 아카이빙' 분야에서 국제적 협력과 연대의 구심점이 되어온 국제필름아카이브연맹은 '오리지널 빅 포'라고 불리는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의 주도로 창립되었다. 우리는 이 글에서 '영회유산'과 '영화 아카이빙'의 인식론적 개념과 특정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해당 분야의 선구적 국가인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의 '영화 아카이빙'의 현황과 특성을 개괄한 후 현재 전 세계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주요 쟁점들을 통해 '영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이 지니는 잠재적 가능성과 급변하는 미디어 융합시대에 '영화 아카이빙'이 해결해야 할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ilm archiving' which is a series of complex works for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film heritage & cinematographic patrimony as historical evidence of human history &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For this purpos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film heritage & cinematographic patrimony would be essential. We also illustrate the history & evolution of 'film archiving' which began since the very beginning of the film history so that we can discover its potential. 'Film archiving' is the process for preservation and use in the most perfect state of a variety of resources related to film and film work. And it consists of a series of steps : acquisition, preservation, conservation, duplication, restoration, access, inventory/cataloging/indexing. In the film history, 'film archiving' began with some archetypal attempts, passed through the period of early cinematheque movement in the 1930s, and developed by the FIAF(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Film Archives) founded in 1938. In particular the FIAF was founded by France, Germany,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so-called the 'Original Big Four'. Since then, the FIAF has been the focal point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olidarity. In brief, we investigate the situation and the specificity of 'film archiving' system in France, Germany,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about the film heritage & cinematographic patrimony as well as 'film archiving'. Today, the 'film archiving'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of the international level. In particular, the 'digitization' of film archiving requires in-depth discussion and technolog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media convergence. 'Film archiving' is a potential sector that generates cultural, artistic, scientific and industrial values. And this potential of the 'film archiving' subjects to the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film heritage' & 'cinematographic patrimony' and the investments for the film archiving system in the long term. We need a new paradigm of the 'film archiving' which is applicable to the rapidly changing era of media convergence. I hope that this study can be a sort of starting point for future in-depth discussion about the subject of 'film archiving' in the era of media convergence.

      • KCI등재

        전쟁영화를 활용한 군 정신전력 강화 교육모델 연구

        윤수호(Yoon Su-Ho) 국방정신전력원 2021 정신전력연구 Vol.- No.66

        본 논문에서는 전쟁영화 시청이 정신전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 전쟁영화의 성격과 의도를 분석하여 정신전력과 상관관계를 입증하였다. 전쟁영화의 성격과 의도별 분류를 통해 영화별 시청이 적합한 대상(계층) 및 과정에 따른 전쟁영화 교육모델(안)을 선정하고 제시하였다. 전쟁영화는 기획의도상 선전적인 부분이 포함되어 있어 특정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제작되며 특히, 혹독한 전투현장에서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군인의 정신전력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다. 제1·2차 세계대전을 통해 선전전략은 크게 발전하였으며 전쟁에 있어서 선전전략은 필수적인 요소로 전쟁의 당위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연구분석 결과 독소전쟁에서의 지속적인 선전은 개별전투원의 의지 및 행동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선전전략은 전쟁수행 전략의 일부로 간접 및 직접전략의 영역을 모두 내포하면서 국민에게 전쟁 당위성을 인식시키게 하고 전쟁을 준비하기 전 양병을 통한 개별전투원의 전쟁관을 형성하여 전쟁수행 간 전투의지를 고취하고 적에 대해 심리적인 마비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선전전략은 전장에서의 마찰요소를 극복하여 상황을 유리하게 조성함과 동시에 아군의 전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육군부사관학교 교관과 교육생을 대상으로 전쟁영화와 정신전력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결과 대부분 전쟁영화와 정신전력의 연관성에 대해 공감하고 전쟁영화가 정신전력을 함양하는데 직·간접적 영향을 미친다고 작성하였다. 실제로 야전부대에서 전쟁영화를 집중정신전력교육 및 주간 정신전력교육 간 상영하여 활용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전쟁영화가 가지는 의미를 군인과 연계한 45개의 연상 단어로 대입하여 선전적·반전적, 정신적·전투적으로 구분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각 영화가 담고 있는 전개상 내용에서 가치, 의지, 전투기술, 전략 및 전술과 목적상 의미에서의 전쟁의 의미를 분석하여 각각의 핵심키워드로 나열하였다. 영화마다 가지고 있는 교훈과 의미는 포괄적이지만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핵심키워드를 선정,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전쟁영화 교육모델을 선정하였다. 전투원의 의식과 행동을 형성하는 요인에는 지휘관의 리더십, 지휘훈육, 교육훈련, 병영생활, 정신전력교육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쟁영화 시청은 이러한 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논문을 통해 전쟁영화 시청은 군인정신과 전투의지, 전투기술과 연계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전쟁영화를 체계적으로 교육 모델화하고 시청하여 개인의 생각을 정립하고 토의와 토론으로 가치관을 형성한다면 군 전투력을 향상하고 발휘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thesis demonstrates the correlation of spiritual power with a war movie by analyzing the character and the purpose. The proposition that watching the war movie influences the elevation of spiritual power. Education models after the war movies are select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the eligible subject/class course by realizing a specific purpose. A war movie has violent part, realizing some specific purpose. Especially, since it has an effect on some parts of a soldier"s spiritual power as they execute missions on the intensive battlefield. Propagation strategy was highly developed by the first and second World War. Propagation strategy was a necessary element to the war and was progressed by national level for securing imperativeness of war. Through the analytical research, propagation and propagation strategy were continued during the war between Germany and the Soviet Union; influencing each soldier"s will and behavioral changes. Based on these preceding research results, I carried out a survey of war movies targeting the NCOA Drill SGTs and students. The survey resulted in mostly sympathy with association between a war movies and spiritual power, and they wrote that war movies, in fact,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developing spiritual power. Actually, field forces frequently use the war movies for intensive and weekly spiritual power. Therefore, I put significance of a war movie into 45 reminding words that are linked with soldier, and separated and divided propagandistic, inverted, spiritual, and combatant parts. In the developmental content of each movie, the meaning of war in terms of value, will, combat technique, strategy and tactics and purpose were analyzed and listed as key keywords. Although the lessons and meanings of each movie are comprehensive, specific keywords were selected through the detailed analysis, and my guidelines were presented to select a war movie education model. Through the thesis, I found that watching war movies is related to the spirit of soldiers" willingness to fight and combat skills. In addition, if war movies are systematically modeled by judging service periods and training periods for each target a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each level,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military combat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