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토마스주의에 관한 비교 연구 영혼(psyche)의 불멸을 중심으로 -

        이상일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69 No.2

        When we study the teaching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t is essential that we examine the relations Aristotle’s teaching on the happiness and his teaching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with St. Thomas’s teaching s on the perfect happiness in the coming life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because St. Thomas’s teachings is based on Aristotle’s teachings when he establishes tis teachings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hen, On the relations of between two teachings, There are two elucidations. One is a philosophical elucidation. The scholars who assert a philosophical elucidation maintain that he completes teachings on the perfect happiness in the coming life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with his own philosophical proof by being based on Aristotle’s teaching on the happiness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other is a theological elucidation. The scholars who assert a theological elucidation maintain that st. Thomas teaching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s never philosophical not only in the original intention but also in evolving those teachings. I will argue detailedly about these things by dividing into st. Thomas’s two text, that is, “Sententia libri Ethicorum” and “Summa contra Gentiles.” First, I will try to examine into st. Thomas’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n the “Sententia libri Ethicorum” by centering about James C. Doig’s assertion. And then, I will refute against this by centering about allegations of Harry v. Jaffa and of several scholars. Second, I will examine into James C. Doig’s assertion on st. Thomas’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s a natural desire and then by centering about ralations the immortality intellect as the part of the soul with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n, I will refute against James C. Doig’s allegations by centering about F. C. Copleston’s assertios and several scholar’s assertions.After this, I will conclude that st. Thomas doesn’t evolve a philosophical work but in fact evolves a theological work in the process og evolving his teachings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fter all, I will conclude that St. Thomas must have evolved his teachings o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not as a philosopher but as a thelogian although st. Thomas evlves his teachings by being based on Aristotle’s teachings. 우리가 성 토마스(St. Thomas)의 영혼의 불멸에 관한 교설들을 연구할 때,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관한 교설들, 그리고 영혼의 불멸에 관한 그의 주장과 성 토마스의 내세에서의 완전한 행복에 관한 교설, 그리고 그의 영혼의 불멸에 관한 교설들과의 관련성들을 검토해보는 것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성 토마스가 자신의 영혼의 불멸에 관한 교설들을 수립함에 있어서, 그의 교설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기본적인 토대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양자 사이의 관련성에 관하여 두 가지의 해석이 존재한다. 하나는 철학적인 해석이다. 철학적인 해석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관한 주장과 영혼의 불멸에 관한 교설들을 토대로 하여, 자기 자신의 철학적인 논증들을 가지고서 내세에서의 완전한 행복과 영혼의 불멸의 교설을 완성시켰다고 주장한다. 또 다른 하나는, 신학적인 해석이다. 신학적인 해석을 단언하는 학자들은 성 토마스의 영혼의 불멸의 교설은 본래적인 의도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그러한 교설의 전개에 있어서도 결코 철학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하면, 성 토마스의 시도는 신학적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논쟁들을 성 토마스의 두 가지의 본문, 즉 『윤리학 주해』(Sententia libri Ethicorum)와 『대(對)이교도 대전』(Summa contra Gentiles)으로 나누어서 상세하게 논의해 볼 것이다. 첫째, 성 토마스의 『윤리학 주해』 안에서의 영혼의 불멸에 관하여 도이그(James C. Doig)의 주장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본 연구자는 이에 대하여 제이퍼(Harry V. Jaffa)와 몇몇 학자들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자는 성 토마스의 『대(對)이교도 대전』 안에서의 영혼의 불멸에 관한 도이그(James C. Doig)의 주장에 관하여 검토하고 난 후에, 성 토마스의 본성적인 욕구로서 영혼의 불멸, 그리고 그의 영혼의 부분으로서 불멸하는 지성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의 불멸에 관한 주장을 중심으로 해서 검토해 볼 것이다. 그리고 나서 본 연구자는 도이그의 이러한 주장에 대하여 코플스톤(Frederic C. Copleston)과 여러 학자들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반론을 제기할 것이다. 그러한 후에, 본 연구자는 성 토마스는 영혼의 불멸에 관한 교설을 전개함에 있어서, 사실상 자기 자신의 신학적인 의도를 가지고서 철학적인 작업이 아닌 신학적인 작업을 시도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비록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토대로 하여 그의 교설들을 전개했을지라도, 성 토마스는 한 사람의 철학자로서가 아닌 한 사람의 신학자로서 그의 영혼 불멸에 관한 교설을 전개한 것임에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릴 것이다.

      • KCI등재

        플라톤의 영혼론의 전개

        김윤동 대한철학회 2020 哲學硏究 Vol.155 No.-

        Plato demonstrates the immortality of soul in 「Phaedo」, based on the resemblance between idea and soul. Namely he wants to get immortality from simplicity, indivisibility, independence, invisibility of soul. In this process, soul and body show an opposite relationship, and both survive in inconvenient conditions. Soul waits only for the day of departure through exercise of death. In 「Republic」 Plato gives up this extreme dualism and tries to reconcile soul and body. In book Ⅳ he divides soul into three parts. The contrast between soul and body is explained by the conflicts of these tripartite elements. This is the development of Plato's psychology. When he divides the soul into three parts, namely reason, spirit, and desire, we can find grounds for the external cause of the tripartite state and internal cause of the psychological conflicts. ‘Psyche’, meaning ‘power of life’ originally, obtains the philosophical basis in Plato. In book Ⅹ, he insists that the only rational part is immortal. 「Timaeus」 is the book of Plato's cosmology and explains the process of making the soul. The cosmic body was made from four elements (water, fire, air, earth). The cosmic soul entered into the cosmic body and the intelligence (nous) entered into the cosmic soul. After that, Demiurge makes the human soul directly by himself, placing that divine soul into the head. The spirit and desire of the soul are made by celestial bodies (gods). In 「Timaeus」 soul is also tripartite. These two irrational parts of soul are mortal in the end. On the other hand, the rational part of soul (logistikon) is immortal as gods. 소크라테스는 인간의 본질을 육체가 아닌 영혼으로 보고, “영혼을 돌보는 것이 인간의 최대관심사이어야 한다.”라고 설파하였다. 인생의 목적이 덕(德)의 실현에 있고, 영혼은 바로 덕이 실현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의 영혼에 대한 관심은 제자 플라톤에 이르러 보다 체계적인 영혼론으로 발전하여, 이데아론과 함께 중요한 철학적 탐구영역으로 자리매김한다. 「파이돈」편에서는 오르페우스교와 피타고라스교의 내세지향적인 윤회설에 근거하여 영혼의 신적이고 불멸적인 본성을 찾고자 영혼 불멸증명을 시도한다. 윤회설과 상기설, 이데아와의 유사성, 가설의 방법을 동원한 증명들은 온전한 성공을 거둘 수 없었다. 따라서 플라톤은 논리적 증명의 한계를 사후(死後)의 신화(神話)로 보완하였다. 아무튼 「파이돈」에서 보여준 영혼은 초기 이데아의 배타성, 초월성, 불변성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나머지, 자기의 육체와 대립하게 되고 육체라는 감옥에서 해방되기 위해 죽음을 연습(philosophia)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플라톤은 「국가」편에서 영혼을 삼분(三分)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즉 「파이돈」에서 단일하게 보였던 영혼이 이성적 부분, 격정적 부분, 욕망적 부분으로 되어 있어, 서로 간에 갈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면모는 영혼을 육체와 대립 내지 적대관계로 보는 것이 아니라, 육체와 화해하고 육체를 다스리는 역할을 중시한 데서 비롯된다. 이성이 격정과 욕망을 잘 다스릴 때, 지혜‧용기‧절제라는 각각의 덕(德)이 조화를 이루어 정의로운 인간이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플라톤은 영혼의 단일성을 포기하고 복합적 영혼에로 나아갔는가? 영혼의 단일성에 근거한 불멸성은 어떻게 확보되는가? 영혼의 세 부분 중 이성적 부분만 불멸하는가, 아니면 조화를 이룬 세 부분이 하나의 전체로서 불멸하는가? 이러한 어려운 문제들이 풀기 어려운 실타래처럼 엉겨있다. 「파이드로스」편에서 영혼은 ‘스스로 운동하는 자’로서 불멸적이고 모든 운동의 원인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뒤이은 신화에서 천상의 영혼들이 신들의 영혼이건 인간으로 탄생할 영혼이건 간에, 세 부분으로 활동하고 있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리하여 영혼의 삼분(三分) 문제는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얽히게 된다. 어떻게 육체를 입기 전의 영혼에도 이성‧격정‧욕망이라는 세 요소가 있다는 말인가? 플라톤은 모든 인간의 활동의 원인이 영혼에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여하튼 선재(先在)하는 영혼의 삼분(三分)은 「국가」편의 삼분적 영혼의 선험적 근거를 마련해주었다. 「티마이오스」편은 플라톤 영혼론의 완결판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도 영혼은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이전 대화편들과 달리, 세계영혼이 기하학적 비례에 따라 먼저 제작되고, 그 뒤에 인간 영혼이 제작된다. 인간 영혼의 기원이 분명히 밝혀진 셈이다. 그리고 세 부분의 영혼이 각각 위치하는 신체적 기관까지 명시함으로써, 영혼이 모든 인간 활동의 원인이고 육체를 지배하는 원리임을 증명한다. 「티마이오스」편은 세 부분의 영혼이 하나의 통일체로서 불멸하는 것이 아니라, 머리에 위치한 이성적 부분만이 불멸적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이 부분은 데미우르고스가 직접 만든 것이고 나머지 사멸적 두 부분은 천신(天神)들 즉 천체들에게 제작을 맡겼다. nous가 그 안에 들어있는 이성적 부분 ...

      • KCI등재

        영혼의 불멸성에 관한 폼포나치의 견해

        유원기 ( Weon Ki Yoo ) 한국중세철학회 2006 중세철학 Vol.0 No.12

        영혼의 불멸성에 관한 문제는 르네상스시기에 첨예한 논란이 되었던 문제이다. 폼포나치는 영혼이 사멸성과 불멸성이란 두 가지 속성들을 갖는다고 보고, 이 두 가지 속성들이 A) "하나의 동일한 본성인가?" 또는 B) "두 가지 서로 다른 본성인가"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이에 대해 그는 "하나의 동일한 존재가 서로 상반된 속성들을 동시에 가질 수 없다."는 모순율을 위반한다는 이유를 들어 A)를 배제하고, B)를 다시 "1) 사람들이 각자 하나씩의 사멸적인 영혼과 하나의 불멸적인 영혼을 갖는 경우, 2) 사람들이 각자 하나씩의 사멸하는 영혼을 갖고, 또한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하나의 불멸하는 영혼을 갖는 경우, 그리고 3)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하나의 사멸하는 영혼을 갖고, 또한 각자 하나씩의 불멸하는 영혼을 갖는 경우"로 분류한다. 또한 그는 불멸하는 영혼이 다수이거나 사멸하는 영혼이 하나일 수 없다는 이유에서 2)와 3)을 배제한다. 폼포나치는 1)을 다시 "a) 절대적인 의미에서는 불멸적이고 상대적인 의미에서는 사멸적인 경우, b) 절대적인 의미에서는 사멸적이지만 상대적인 의미에서는 불멸적인 경우, 그리고 c) 상대적인 의미에서는 사멸적이고 또한 상대적인 의미에서는 불멸적인 경우"로 분류하고, b)가 자신의 견해임을 밝힌다. 아래에서 우리는 폼포나치가 어떤 이유에서 영혼의 불멸성에 관한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어떤 경로를 통해 b)의 견해에 도달하게 되었는가, 그리고 그의 견해가 그 자신이 전거로 사용하는 아퀴나스와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와 어떤 연계성과 상이성을 지니는가 하는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The problem of immortality of the soul was a largely and closely discussed view during the Renaissance period. Pomponazzi who views that the soul has the two properties, mortality and immortality, raises the question whether A) the properties are one and the same nature or B) two different natures. In answer to this question, he excludes A) on the ground of the law of contradiction that "one and the same thing cannot have the contrary properties at the same time" and divides B) into the three cases 1) in which each man has his own mortal and immortal natures, 2) in which the mortal are distributed in each man, while all men have but one immortal nature, and 3) in which all men have one mortal nature and each of them has his own immortal nature. Again, he excludes 2) and 3) for the reasons that the immortal soul cannot be many and that the mortal soul cannot be one. Pomponazzi thus divides 1) into the cases in which the soul is unqualifiedly immortal and relatively mortal, b) in which the soul is unqualifiedly mortal and relatively immortal, and c) in which the soul is relatively immortal and relatively mortal, and elucidates that he is in favour of b). In what follows, we shall examine such questions as for what reasons Pomponazzi comes to be interested in the problem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hrough what courses he comes to have the view b), and whether his view has any relevance to, and difference from, the views previously presented by Aquinas and Aristotle, both of which he uses in order to support his own.

      • KCI등재

        “개혁신학자들 사이의 명백한 불일치”?: 헤르만 바빙크의 영혼불멸론에 대한 앤써니 후크마의 평가 재고

        전광수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2 역사신학 논총 Vol.40 No.-

        후크마(Anthony A. Hoekema)가 평가하는 영혼불멸론에 관한 개혁신학자들의 견해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 칼빈을 비롯한 개혁주의 전통의 신학자들과 바빙크 및 벌카우어와 같은 신학자들 사이에 “명백히 상충되는 견해들”이 있다고 강조하는 점이 그러하다. 후크마에 의하면, 칼빈이나 벌코프와 같은 개혁신학자들이 영혼불멸론을 성경이 말하는 바와 일치한다고 보는 반면, 바빙크는 훨씬 더 신중한 접근을 취하여 둘 사이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본다는 것이다. 또한, 후크마는 바빙크가 영혼 불멸 교리를 성경적 근거보다는 철학적 사유에 기초한 혼합조항(articulus mixtus)으로 제시한다고 주장하여 바빙크가 영혼 불멸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 것처럼 묘사한다. 본고는 이러한 후크마의 주장에 대해 인용된 바빙크의 글의 문맥들과, 영혼불멸론에 관한 일반계시와 특별계시의 증거들, 그리고 혼합조항에 관한 바빙크의 논의를 검토함으로써 후크마의 주장의 타당성을 재고하려는 시도이다. 먼저, 바빙크가 영혼불멸론에 대한 성경적 근거가 부족한 것을 언급하는 것은 사실이나, 동시에 그는 여러 곳에서 영혼의 불멸을 인정할 수 있는 성경적 근거가 충분하다고 밝힌다. 더불어, 자연계시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영혼불멸론 역시 역사적, 이성적, 철학적 증거들이 그 자체로 무의미한 것이 아니라 영혼의 불멸성에 대한 근거(ground)는 아니더라도 증거(witness)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혼합조항이라는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도 바빙크는 여러 곳에서 이 조항 자체가 특별계시와 일반계시 혹은 각 계시에 근거한 신학과 철학 모두의 지지를 받는 것이지, 성경적 근거 없이 철학적으로만 주장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이 점은 후크마의 주장과 달리 영혼불멸론에 대한 바빙크의 견해가 칼빈이나 벌코프를 비롯한 여러 개혁신학자들의 견해와 다르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들 모두 철학과 이성을 이용한 자연계시에서 얻는 지식으로서의 영혼불멸론이 성경이 말하는 것과 상충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했음을 보여준다. 결국, 개혁신학자들 사이의 “명백한 불일치”를 언급하는 후크마의 주장은 수정되어야한다. Anthony A. Hoekema’s reading of the Reformed doctrine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s problematic. He claims that there are “apparently conflicting reactions from Reformed theologians” on this issue. According to his argument, prominent Reformed thinkers such as John Calvin, A. A. Hodge, Louis Berkhof, and William G. T. Shedd accepted a 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s consistent with the biblical understanding. In Hoekema’s summary, however, Herman Bavinck claims that the doctrine of the soul’s immortality is not compatible with the biblical view because the scripture barely mentions it and its main interest is not about the immortality of the soul but the resurrection of the human body. Moreover, for Hoekema, Bavinck suggests this doctrine as a mixed article of faith (articulus mixtus), “the truth of which is demonstrated more by reason than by revelation.” Based on these reasons, Hoekema concludes that Bavinck does not take the doctrine as a biblically trustworthy doctrine. However, this argumentation needs reconsideration seriously in some points. First of all, Bavinck never rejects this doctrine in his biblical discussions. Although he admits that the scripture does not say much about this doctrine, he clarifies that we can find biblical sources enough to recognize this doctrine as biblical. Secondly, Bavinck also accepts this doctrine based on the validity of philosophical reasoning derived from natural revelation. For Bavinck, historical, reasonable, and philosophical reasons can be “witnesses or indications” rather than proof to support this doctrine. Finally, this is evident in his usage of the term articulus mixtus. Unlike Hoekema’s negative comment on the term and his intention to antithetical aspects between biblical reasoning and philosophical reasoning, Bavinck himself uses the term in his Reformed Dogmatics positively without disregarding the superiority of the scriptures over philosophical reasons.

      • KCI등재

        플라톤에 있어서 영혼의 三分

        김윤동 대동철학회 1999 大同哲學 Vol.6 No.-

        플라톤은 오르페우스-피타고라스적 영혼관으로부터 크게 영향받았다. 이들에 의하면 인간의 영혼은 원래 신적인 본성을 가졌는데, 육체의 감옥에 갇히게 되면서부터 ��É��Ä��É��Ä이 훼손되는 위기를 맞는다. 따라서 일생동안 영혼을 정화(��Ä��É��Ä��É)하는 일이 이 ��Ä��É��Ä��É에서의 삶의 목표가 된다. 육체는 사멸적인데 반해 영혼은 불멸적이다. 플라톤은 <파이돈>편에서 이러한 ��Ä��É��Ä��É, 불멸적인 영혼을 이데아와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논리적으로 증명하려 하였다. 그런데 영혼은 자신의 신적인 초월성으로 인하여 육체와 긴장된 대립관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욕망과 감정같은 심리적 현상은 모두 육체적인 것으로 분류되고 오직 지혜를 사랑하고 이데아를 인식하는 예지적인 부분만 영혼에 속한다. 플라톤은 <국가>편에서 이러한 극단적 이원론을 포기하고 영혼과 육체의 화해를 시도하며 영혼을 ��É��Ä��É��Ä하기에 이른다. 이리하여 영혼과 육체의 대립은 ��É��Ä��É��Ä된 요소들의 갈등현상으로 설명된다. 이것은 분명히 영혼론의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플라톤이 영혼을 이성, 격정, 욕망의 세 부분으로 분할했을 때, 그 근거를 국가의 ��É��Ä��É��Ä이라는 외적요인과 심리적 갈등이라는 내적 요인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런데 <국가> 4권에서 시도되는 ��É��Ä��É��Ä의 논증은 논리적 결함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세 부분들이 8, 9권에서 그 의미가 확장된다. 이성, 욕망, 격정이 각각 전체인간처럼 의인화적으로 설명되므로 각 부분들은 또 다시 세 부분으로 분할되어 무한소급에 빠지게 된다. 이런 문제들로 말미암아 부분들의 실재성보다 전체 영혼의 세 경향성 내지 세 측면으로 해석하려는 시도가 있다. 이리하여 부분의 지지자들과 반대자들로 나눠진다. 영혼전체(��É��Ä)와 영혼의 부분들(��É��Ä)사이의 관계는 플라톤 자신도 주저한 문제이다. 초기 이데아론에서 이데아의 단일성과 독립성이 후기에 와서 결합가능성으로 변모하여 , <소피스트>편에서 존재는 운동과 생명을 가진다. 즉 살아있는 ��Ä��É��Ä��É은 ‘��É��Ä’ 과 ‘��É��Ä’를 동시에 포함한다. 이로써 ��Ä��É��Ä��É��Ä��영혼은 ��Ä��É이면서 동시에 ��Ä��É가 된다. 원래 ‘��Ä��É��Ä��É의 힘’을 의미한 프쉬케가 플라톤에 와서 철학적 근거를 얻게 된 것이다. <국가>편 10권에서는 이성적 부분만이 불멸이라고 주장하며, 후기저작인 <티마이오스>편도 <국가>편과 같은 노선에서 영혼의 ��É��Ä��É��Ä과 이성의 불멸을 말한다. <파이돈>에서 <티마이오스까지 이어지는 영혼론의 발전과정에서 플라톤은 대체적으로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Plato was deeply affected from Orphic-Pythagoreans psychology. According to their theory, soul had originally divine nature. But it faces the crisis of loosing its divinity because of incarn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man's life becomes the purification of the soul logically on the basis of the similarity with Idea. Soul is opposed to body because of its own divine transcendence. Desire and emotion belong to the bodily element, on the contrary, the intellectual part is classified with the soul. In Republic, Plato gives up this extreme dualism and tries to reconciliate soul and body. At last, he tripartites the soul. Contrast between soul and body is explained by the conflicts of tripartite elements. This is the development of Plato's psychology. When he divides the soul into three parts, namely, reason, spirit, desire, we can find the ground from the external cause of tripartite of the state and the internal cause of the psychological conflicts. However, in book , the argument of tripartition implies logical faults. Also threⅣ eparts extend their meaning in book Ⅷ, Ⅸ. Reason, desire, spirit are personified as a whole person. Then each part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again and fall into regress. Some scholars attempt to explain the parts into three tendencies or aspects owing to these problems. Plato himself is frustrated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whole soul and its parts. Simplicity and individuality of Idea in the earlier period are changed to the possibility of union in the later period. In Sophist, Being has motion and life The living life contains 'one' and 'many' at once. Therefore tripartite soul implies 'one' and 'many' together. Psyche, meaning 'power of life' originally, obtains the philosophical basis in Plato. In the tenth book of Republic, he insists the only rational part is immortal. In Timaeus like Republic, he also persists the tripartition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n the same context. Plato preserves the consistency in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psychology from Phaedo to Timaeus.

      • KCI등재

        영혼불멸사상과 부활신앙의 대립과 융합에 대한 소고

        김영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1

        Today, the majority of the mainstream of Christian theology takes the idea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when a human being dies, his or her soul leaves the body and goes to heaven or hell. But this position is not consistent with the proclamations of Jesus, early Christians, and St. Paul. Nonetheles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has been recognized by the Christian Church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the immortality of the soul was challenged by the “Ganztod Theorie (total death),” which was advocated by neo-orthodoxy centering on K. Barth. Others, however, argue that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the Christian death without presuming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his paper takes into account both of these arguments and contemplates how they conflict and collide, and in what respect they can converge. In doing so, it aims to further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death in Christian theology by seeking ways to conflate or integrate the immortality of the soul with the resurrection faith rather than unconditionally disregarding, disrespecting, or discarding the former. To this end, we first look at our understanding of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spiritual immortality and the Christian resurrection faith, and then explore how spiritual immortality and the resurrection faith conflict and collide. Through this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this paper attempts to make a religious proposal for the confrontation and confluence that the spirit of immortality and the Christian resurrection faith imply. 오늘날 대부분의 주류 기독교에서는 인간이 죽으면 그의 영혼은 육체를 떠나 천국 또는 지옥으로 가게 된다는 영혼불멸설에 가까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은 예수는 물론 바울을 포함한 초기 기독교인들이 선포했던 메시 지와는 완전히 거리가 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혼불멸설은 20세기 초까지 기독교 신앙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영혼불멸설은 바르트(K. Barth) 를 중심으로 하는 신정통주의자들에 의해 주창된 ‘완전죽음설’(Ganztod Theorie, total death)로 인해 도전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다른 쪽에서는 영혼불멸설을 전제하지 않고는 기독교적 죽음 이해가 불가능하다는 주장도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양쪽의 도전과 주장을 고려하여 양자가 어떤 점에서 대립 되고 충돌되는지 그리고 어떤 점에서 융합이 가능한지에 대한 통찰을 통해, 영혼 불멸설을 무조건 무시, 경시 또는 폐기하기 보다는 이를 부활 신앙과 융합 또는 통합하는 길을 모색함으로써 기독교 신학의 죽음 이해 지평을 좀 더 넓히는데 한몫을 담당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영혼불멸사상과 기독교의 부활 신앙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이해를 고찰하고, 이어서 영혼불멸성과 부활신앙이 어떻게 대립하고 상충하는 지에 대한 자리를 탐구하고, 이러한 이해와 탐구를 통해 영혼불 멸사상과 기독교의 부활신앙이 함축하고 있는 대립과 융합을 위한 신학적 제안을 시도한다.

      • KCI등재

        오르페우스교와 플라톤 사상으로 살펴본 나그함마디 문서의 영혼의 여행

        조재형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22 Canon&Culture Vol.16 No.1

        By using history of ideas and the method of comparative religion, this paper studies the influence of the journey of the soul on the theology of Gnostic Christianity in the Nag Hammadi Library. I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l and the notion of immortality of the ancient Greeks, centering on Irwin Rhode’s Soul. In particular, according to Rohde, the ritual of the soul provides a root for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future life of the soul. The concrete idea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becomes more clearer through Orphism and Platonism. The monad (God) in the Nag Hammadi library is an invisible entity, but it is the source of all things, from which the human soul is also released. Like the monad, because this invisible soul becomes an individual human being, it receives more attention than that of the god in the history of religion. The perfect and good monad establishes justice by releasing human souls to this world, and by calling them back to be judged. This soul’s journey is demonstrated in The Apocryphon of John, The Prayer of Apostle Paul, the Gospel of Thomas, Acts of Thomas, The Exegesis on the Soul, Authoritative Teaching, and The Gospel of the Egyptians in detail. Therefore, based on the pre-existence and immortality of the monad, they reveal that the human soul comes out of the monad and returns to it, which suggests that humans become children of God in the original meaning, and ultimately the idea of becoming one with God. 이 논문은 나그함마디 문서에서 영혼의 여행이 영지주의 그리스도교의 신학에 끼친 영향을 사상사 비평법과 종교사적 비교연구로 고찰하는 것이다. 필자는 먼저 어윈 로데의 『영혼』을 중심으로 고대 그리스인이 가졌던 영혼과 불멸 사상의 관계를 논한다. 특히, 로데에 의하면, 영혼제의는 영혼불멸과 영혼의 미래 삶에 대한 뿌리를 제공하는데, 구체적인 영혼불멸 사상은 디오니소스 제의와 오르페우스교를 거치면서 더욱 확고해진다. 소크라테스도 오르페우스교의 영향을 받았고,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사상에다 오르페우스교의 전통을 보다 체계화해서 그의 영혼론을 확립하게 된다. 그는 인간의 탄생이 영혼의 하강과 함께 시작되고, 인간 육체의 죽음은 새로운 환생을 위한 영혼의 여행이 되기 때문에, 인간의 구원은 영혼의 윤회를 멈추게 하는 존재의 지식을 통해서 가능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나그함마디 문서에서 모나드(하느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이지만 모든 것의 근원이 되며 이 모나드로부터 인간의 영혼도 방출된다. 모나드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이 영혼이 인간이라는 개체 존재와 함께 있다고 믿기 때문에 영혼은 신(god)보다도 종교사에서 더 많은 관심을 받는다. 완전하고 선한 모나드(하느님)는 인간 영혼을 방출하여 이 세상에 보내고, 또 그 영혼을 다시 불러들여 심판함으로써 공의를 세운다. 나그함마디 문서의 대표적인 문서인 『요한 비밀서』, 『도마복음』, 『도마행전』, 『영혼에 관한 주석』, 『이집트인의 복음』은 바로 이러한 영혼의 여행을 자세하게 보여준다. 그러므로 나그함마디 문서는 모나드의 선재성과 불멸성을 기반으로 인간 영혼이 모나드로부터 나와서 다시 모나드로 돌아가는 영혼의 여행을 잘 드러내고, 이를 통해서 인간이 본디 의미의 ‘하느님의 자녀’가 되고, 궁극적으로는 하느님과 하나가 된다는 사상을 제안한다.

      • KCI등재

        마르실리오 피치노 철학에서 미 개념의 의미

        이순아 ( Soon Ah Lee ) 한국칸트학회 2009 칸트연구 Vol.24 No.-

        이 논문의 의도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철학자 마르실리오 피치노(Marsilio Ficino, 1433-99)의 철학에서 미 개념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플라톤과 플로티누스가 하나의 통일적인 근본사상으로 소생되어 있는 피치노의 사상은 미는 선의 광휘라는 플라톤주의적 성찰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르네상스 예술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인문주의와 <플라톤 아카데미>를 배경으로, 피치노는 `플라톤 신학`을 통해 플라톤 철학과 그리스도교 신학의 본질적인 일치를 증명하였다. 『플라톤 신학』의 부제는 영혼불멸성으로서, 영혼을 중심적 위치로 하는 우주론적 존재위계를 체계화하였다. 우주의 매개자로서의 인간영혼의 목표는 점진적인 내적 상승 즉 관조를 통한 신과의 합일이며, 이때 인간은 영혼불멸을 얻는다. 따라서 영혼불멸성은 인간의 존엄과 신성의 근거이다. 피치노의 우주론과 관련하여, 미는 능동적으로 사랑을 베푸시는 신이 맨 먼저 천사들을 비추고 나서 인간의 영혼을 조명하고 마지막으로 물질세계를 밝혀주는 신의 자태의 광휘이다. 이러한 미의 본질적 특성이 현상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서 미의 또 다른 원리는 수적질서이다. 따라서 미는 `신성이 빛나는 비례`이며, 사랑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인간영혼의 상승의 동인이다. 신적 선의 광휘로서의 미를 향유하려는 욕구인 사랑은 우주적 조화와 통일의 원리로서, 신적·예지적인 것과 감각적인 것을 매개한다. 사랑의 광기를 통하여 인간영혼은 신과 합일하고 지고한 행복과 영혼불멸을 얻는다. 바로 이것이 피치노의 `플라톤적 사랑`의 의미이다. 이로써 피치노 사상의 궁극 목표인, 플라톤주의 전통으로부터 유래하는 인간영혼의 신에게로의 내적 상승이라는 관념을 전제로 하고, 그의 철학의 지축인 영혼불멸성 및 미와 사랑의 관계와 관련하여, 피치노에게 미는 인간영혼의 내적 상승의 동인이다. 즉 피치노의 `플라톤적 신학`에서 미 개념의 실제적 의미는, 바로 인간이 신적 선함이 반사된 아름다운 사물을 봄으로써 불러 일으켜져서 자기 자신을 성찰하게 되고 내적으로 아름다운 선한 존재로 변형되어 자신의 신성을 발견하게 된다는 데 있다. The intention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beauty in the philosophy of the Italian Renaissance philosopher Marsilio Ficino(1433-99). In Ficino`s writings Plato and Plotinus are revived as a unified doctrine, and the Platonic reflection that beauty is the splendor of the good is central. As such, Ficino`s thought had a vast influence on the culture and the arts of the Renaissance. With humanism and the Platonic Academy in the background, Ficino proved, through `Platonic theology,` the essential unity between Platonic philosophy and Christian theology. The subtitle of Theologia Platonica i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n this work, he systematized the cosmic hierarchy of being in which the soul occupies the central place. The goal of the human soul as the mediator of the universe is the gradual inner ascent, or unity with God through contemplation, and this is when man acquires an immortal soul. Accordingly, the immortal soul is the evidence of human dignity and divinity. In connection with Ficino`s cosmology, beauty is the splendor of the divine countenance, in which the actively loving God first lights the angels, then illuminates the human souls, and lastly shines the material world. Another principle of beauty, as the precondition for the revelation of this beauty, is the mathematical order. Accordingly, beauty is the lucid proportion(lucida proportio), and it motivates the ascent of the human soul by arousing love. Love, which is the desire for enjoying beauty as the radiance of divine goodness, is the principle for cosmic harmony and unity; it mediates the divine and intelligible, and the sensible. Through love, the human soul becomes a union with God and acquires beatitude and immortality. This is the meaning of the "Platonic love," espoused by Ficino. Thus, in terms of the ultimate goal of Ficino`s thought, which takes as its premise the notion of the inner ascent of the human soul to God from the Platonic tradition, and in connection with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and love, the two axes of his philosophy, beauty is the motive for the inner ascent of the human soul. The real meaning of Ficino`s concept of beauty consist in the very fact that man is provoked by seeing the beautiful things which reflect the divine good so that he reflects on himself, transforms himself into the internally beautiful being, or Good itself, and finally finds his own divinity.

      • KCI등재

        영혼의 불멸성과 육체의 부활이 인격에 대해 지니는 의미

        박승찬(Park, Seung-Cha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 Vol.43 No.-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5-1274)는 고대 그리스 사상에 근원을 두고 있는 ‘영혼의 불멸성’을 ‘영혼의 자립성’을 비롯한 다양한 근거를 통해 증명한다. 그러나 이와 함께 인간이 완성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교의 핵심교리인 ‘육체의 부활’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그의 설명은 ‘①’ 현세에서의 육체와 영혼의 결합체, ②’ 내세에서 분리된 영혼, 그리고 ③’ 내세에서 부활된 육체와 영혼의 결합체라는 세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들이 어떻게 관련되는가에 관해 매우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해석들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토마스는 한 인간이 영혼과 육체가 결합된 실체라는 자신의 관점에 일관되게, ②’분리된 영혼이 한 인간 존재 또는 인격이 되기에는 불충분한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을 반드시 한 인간의 연속성이 단절되는 것으로 볼 필요는 없다. 또한 ‘분리된 영혼이 본성을 거스른다’라는 토마스의 표현은 절대적으로 아무런 작용을 할 수 없다는 뜻이 아니라 관찰되는 관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어야 한다. 토마스는 영혼의 불멸성에 대해서는 기존의 플라톤주의와 다른 방식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들을 사용하여 철학적으로 논증하려 했다. 그러나 그가 제시한 육체의 부활에 대한 설명들은 엄격한 의미의 철학적 논증으로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신앙을 통해 받아들인 것을 이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형이상학적인 기초를 찾거나, 신앙과 상반되는 내용을 철학적으로 논증하려는 이들을 논박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토마스가 ①’와 ②’에 강조점을 두어 이에 대한 철학적인 논증으로 만족하지 않고, 순수 이성적으로는 설명하기 힘든 ③’까지 나아가는 설명에 집착한 것은 바로 인간 구원에 대한 관심 때문이었다. 개별성, 대체불가능성과 전체성을 지닌 고유한 인격, 즉 개별적인 인간이 세상과 맺는 다양한 관계성 안에서 자기를 초월하여 신을 직관하게 되는 것을 토마스는 인간 구원으로 보았던 것이다. 이렇게 토마스는 신학적인 논의에 관한 철학적인 토대를 마련하려는 노력 안에서 현대의 인격 논의에도 적용될 수 있는 대단히 풍부하고 균형잡힌 인격 개념을 선사해 줄 수 있었던 것이다. Thomas Aquinas (1224/5 1274) proves “the incorruptibility of the soul,” which has its origin in ancient Greek thought, using “the subsistence of the soul” and other arguments. He also insists, however, that for the perfection of the human person, the Christian doctrine of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is indispensable. Aquinas’s explanation has three stages: ①a composite of the soul and the body in this world, ② a separated soul in the next life, and ③ a composite of the soul and the body on the last day. There are very different opinions about how these stages are related to each other. Corresponding to his view that a human being is a composite of a soul and a body, Aquinas holds that a separated soul (②) is neither a human being nor a human person in a strict sense. However, we don’t need to interpret this assertion as the persistence of the person is totally interrupted. Also, Aquinas’s expression that “the separated soul is against nature” must be interpreted not to mean that it cannot take any action but instead that it cannot fulfill the nature of a human being perfectly. Aquinas tries to philosophically demonstrate the incorruptibility of the soul using Aristotelian terms in a different manner than Platonism. But his explanation for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must not be understood as a philosophical argument, but as the discovery of a metaphysical fundamental that can rationally explain the things accepted by faith, or as an argument against scholars who try to demonstrate content contrary to the Christian faith. The reason that Aquinas is not satisfied with arguing philosophically on ① and ②, and instead focuses on giving an account of ③ , is that he is interested in the salvation of human beings. According to him, salvation is completed when a human person who has individuality, incommunicability, and relations with the world comes to experience a beatific vision that results in self-transcendence. In his efforts to seek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the Christian doctrine, he was able to present to us the plentiful and well-balanced concept of the “person” (persona), which we can still use in modern discussions.

      • KCI등재

        플라톤의 〈파이드로스〉편에 나타난 영혼의 문제

        김윤동(Kim Yoon-Dong)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3 No.-

        플라톤은 〈파이돈〉 편에서 영혼의 불멸성을 이데아와 영혼간의 유사한 성질에 근거하여 증명한다. 즉 영혼의 단일성, 불가분성, 독립성, 비가 시성에서부터 불멸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영혼과 육체는 대립적 관계를 보여주며, 양자는 반대적 성질로 말미암아 불편한 동거로 일관한다. 영혼은 죽음의 연습을 통해 육체와 결별할 날만을 기다린다. 이에 반해 〈파이드로스〉편의 영혼불멸증명은, 영혼이 영원히 운동하고 스스로 운동하는 것으로서 모든 운동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통해 수행된다. 영혼은 육체에 운동과 생명을 부여하는 실재이다. 따라서 영혼과 육체는 상호 불가분리적인 유기체를 이룬다. 이를 뒤따르는 신화는 영혼이 물질, 즉 영혼 없는 것에 대해 돌봄과 다스림의 임무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리하여 〈파이돈〉에서의 이데아계와 현상계, 영혼과 육체의 분리는 〈파이드로스〉에서 화해와 통일의 국면으로 전환된다. Plato demonstrates immortality of soul in 〈Phaedo〉, based on resemblance between Idea and soul. Namely he wants to get immortality from simplicity, indivisibility. independence, invisibility of soul. In this process, soul and body show opposite relation, and both survive in inconvinient condition. Soul waits only the day of departure through exercise of death. On the contrary, the demonstration of soul’s immortality in 〈Phaedrus〉 consists of the facts that soul as eternal-moving and self-moving entity is cause of all movements. Soul is reality that gives motion and life into body. So soul and body become inseparable organic body together. The myth in 〈Phaedrus〉 shows that soul ought to care and order to souless matter. So separation between Ideas and phenomena, and between soul and body in 〈Phaedo〉 converts to reconsiliation and unity in 〈Phaedr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