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성지능(실존지능)’를 통한 대학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 강남대학교 중심으로 -

        윤성민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4

        ‘인성교육진흥법’이 시행되면서 대학에서도 의무적으로 인성교육을 실행해야 한다. 인성교육은 학생의 잘못된 행동을 교정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다. 인성교육을 통해서 학생의 자존감과 책임감을 향상되고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서 사회적 태도가 개선되며 어떤 사항에서도 상식적인 사고로 대처할 수 있는 생각하는 힘과 열린 사고가 향상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하워드 가드너의 영성지능을 중심으로 기독교 관련 교양과목에서 인성교육을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제시하고 있다.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은 이미 보편적인 지식이 되었다. 영성지능(실존지능)을 바탕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은 더불어 살 줄 아는 연대성이 있는 사람을 길러내기에 효과적인 교육이다. 그리고 학습자가 이 부분을 확실히 이해한다면 인성의 다른 면도 관심을 두고 수양하기 시작한다. 영성교육을 논할 때는 앎과 삶이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며, 인간의 내적 영성과 외적 영성을 이어주는 통전적 영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통전적 영성은 사회적 약자와 소외자에 대한 관심과 헌신이 있고, 또한 창조주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회복하여 피조세계와의 화해를 강조한다. 그런데 문제는 대학교에서 종교를 강요할 수 없다는 점과 영성 개념이 명료하지 않기 때문에 영성교육과 인성교육의 관계도 모호한 점이다. 인성교육은 종교적 영성적 교육이면서 실천이 강조되어야 한다. 하워드 가드너가 말하는 영성지능의 특징은 존재 목적에 대한 물음이 강하고 남을 위한 봉사를 잘한다. 돈과 명예보다는 내면의 소리에 민감하고 가치를 추구한다. 학습자는 영성지능 교육을 통해서 자신 존재 이유를 고민하고, 자신의 내면의 소리를 들으면서, 타자와 더불어 행복해질 수 있는 삶을 살 수 있다. 영성지능의 이런 특징 때문에 기독교 관련 교양과목에서 이 교육을 진행한다면 인성교육의 중심을 잡을 수 있다. With the enforcement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Improvement Act,’ Personality Eduction has become mandatory in university. Personality Education is not just the program designed for correcting a student’s wrong behavior. Through the Personality Education, students should be able to improve their self-respect and responsibility, concentrate on improving their social attitude through critical thinking, and strengthen their ability to think and be open-minded so that they can cope with any situations by common sense and reason. In this article, the author presents how effectively personality education ought to be taught in Christianity related liberal arts centering on Howard Gardener’s Spiritual Intelligence. Howard Garde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has already become universal knowledge. Spiritual Intelligence(Existential Intelligence) based educational program is effective for fostering people who have solidarity, that is to say, those who can live together in peace. If learners become fully aware of this point, they begin to cultivate their mind having interests in other aspects of personality as well. In discussing Spiritual Education, they say that Knowing and Living are not separated but connected and that Holistic Spirituality that connects human’s internal spirituality with external spirituality ought to be pursued. This Holistic Spirituality has interests in and commitment to the disadvantaged and outsiders and also emphasizes the recovery of the Order of Creation by the Creator God and the reconciliation with the created world. But the problem is that university have no authority to force religion upon students and that the relation between Spiritual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is ambiguous because the Spirituality concept is not clear. In Personality Education, practice is emphasized although it is a religious and spiritual education. Spiritual Intelligence is characterized by strong question of the purpose of existence and serving people, as noted by Howard Gardener. Spiritual Intelligence is sensitive to inner voice rather than wealth and fame and seeks higher value. Through Spiritual Intelligence, learners think about their reason for being and can live a happy life with others listening to their inner voice. It is expected that if this Spiritual Education is executed in Christianity related liberal arts and chapels due to such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 Intelligence, it can play a central role in Personality Education.

      • KCI등재후보

        기독교 영성의 통전적인 정의를 위한 영성의 구조적 이해

        문형진 ( Moon Hyung Jin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ACTS 신학저널 Vol.34 No.-

        이 연구는 기독교인들이 ‘삶의 정황’(Sitz im Leben)에서 다양하게 적용하며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거대담론인 ‘영성’(Spirituality)의 통전적인 정의를 제안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구조적인 영성이해’의 방법으로 기독교 영성을 고찰하여 분석한다. 다양성을 추구하는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시대에 익숙한 현대기독교가 두드러지게 강조하는 것이 ‘영성’이다. 이는 다양화되고 보편화된 종교다원주의와 물질만능주의가 ‘영성’의 틀을 가지고 현대교회성장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독교계는 ‘영성’을 수식어로 제시하며 다양한 행사를 기획하고, 진행하여 드러나는 결과에 만족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기독교인들의 ‘영성이해’는 급속한 교회성장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켰다. 그들은 신비한 샤머니즘적 추구나 세속적인 종교사유화, 또는 현실도피로 ‘영성’의 치우친 이해를 드러내었다. 그들은 분명 ‘영적활동’을 하고 있으나, 삼위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균열함을 보였고, 기독교적인 정체성은 부재하게 되었고, 선교의 사명을 감당해야 할 세상에서 영적 영향력을 상실하였다. 이는 기독교인들이 영적활동으로 사명을 감당하는 과정에서 ‘영성이해’의 부재가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이다. 그런데도 이를 지켜보는 기독교계 지도자들이 ‘영성’의 무분별한 사용을 지적하면서, 대안으로 ‘영성’의 필요를 적극적으로 언급한다. 그들은 드러나는 현상에 ‘영성’이라는 단어를 붙임으로 목적을 위한 다양한 영성을 기획한다. 그러한 정황은 그리스도인들이 ‘영적활동’은 하고 있으나 삼위 하나님과 ‘영적관계의 부재’를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영성이해’를 돕기 위해 구조적인 고찰로 영성을 분류 한다. 연구자는 ‘영성’(SPIRITUALITY)의 구조적인 이해를 위해 ‘영성’의 다음 단계에 ‘존재의 영성’(Being Spiritualty)과 ‘실천의 영성’(Doing Spirituality)의 구조를 도입한다. 그리고 다음단계로 ‘존재의 영성’은 삼위하나님과의 내적 관계로 ‘신앙과 신학과 신행’의 근원으로, ‘실천의 영성’은 신비한 체험을 강조하는 ‘신비적인 흐름의 영성’과, 의무와 충성의 결과에 집중하는 ‘기복적인 흐름의 영성’과, 주관적인 정신과 육체의 고행으로 이상을 추구하는 ‘금욕적인 흐름의 영성’으로 구별한다. 그러나 드러나는 ‘실천의 영성’들은 서로 중복되거나 명확하게 구분 할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현상들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내적 ‘존재의 영성’이 다양한 외적 ‘실천의 영성’으로 나타나는 증거이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제안된 ‘영성이해’를 근원으로 ‘기독교 영성’의 통전적인 정의를 “기독교계에서 일반적이고 다양하게 드러나는 ‘영성’은 기독 교인이 삼위하나님과 함께하는 모든 ‘영적활동’이며, 이는 ‘존재의 영성’과 ‘ 실천의 영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하게 드러나는 ‘실천의 영성’은 먼저 ‘존재의 영성’인 삼위하나님과의 내적관계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제시한다. ‘기독교 영성’에 대한 작은 논고가 기독교인들의 ‘삶의 정황’에서 선교의 사명을 감당하는 데에 선한 영적 영향력을 끼치기를 기대하며, 다음으로 ‘존재의 영성’과 ‘실천의 영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제시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a holistic definition of ‘spirituality’, an expansive subject of discourse that Christians use universally, diversely, and indiscriminately in the ‘context of life’(Sitz im Leben). To this end, the writer will consider a way of ‘structural understanding spirituality’. Modern Christianity, which is familiar with the era of ‘postmodernism’, prominently emphasizes ‘spirituality’. This is because diverse and universal religious pluralism and materialism are leading modern church growth within the framework of ‘spirituality’. Therefore, the Christian community plans and conducts many events using the modifier ‘spirituality’ and is satisfied with the visible result. However, the Korean Christians’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has caused various problems in the process of church growth. They exhibit a biased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as they continue the pursuit of mysterious shamanism, secular religious privatization, and frivolous escapism. They obviously are engaging in ‘spiritual activities’, but they have lost their identity and cracks have appeared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triune God. Thus, Christians have lost their spiritual influence in the world in which they must fulfill their mission.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an unbalanced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has a negative impact on Christian mission and spiritual activities. Christian leaders who observe this fact site the indiscreet use of ‘spirituality’ as it’s cause, but alternatively actively point the need for ‘spirituality’. They plan to accomplish their purpose by simply attaching the word ‘spirituality’ to the existing phenomenon. Such circumstances reveal an ‘absence of spiritual relationship’ in these Christians, even though they are engaged in ‘spiritual activity’. Therefore, this article tried to categorize spirituality and structure spirituality as a precedent study to help ‘understanding spirituality’.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proposed a phased structure of ‘Being Spiritualty’ and ‘Doing Spirituality’ under ‘SPIRITUALITY’. And in the categorize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spirituality’ is the starting point of ‘faith and theology and spiritual behavior’ in relation to the inner Triune God, and the common and diverse aspects of ‘doing spirituality’ include: ‘mystical spirituality’ which emphasizes the experience of mysterious things, ‘prosperity spirituality’ which focuses on the results obtained though duty and loyalty, and ‘ascetic spirituality’ which pursues the ideals with a subjective mind and physical asceticism. However, these various methods of ‘doing spirituality’ each reveal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that can not be duplicated or clearly distinguished. These phenomena are evidence that internally ‘being spiritualty’ in relation to God manifests as externally 'doing spirituality' in it's versions forms. In conclusion, the writer suggests a holistic defini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as a source of balanced ‘spiritual understanding’. Spirituality, which is universal and diverse in the Christian community, consists of all the ‘spiritual practices’ of Christians with the triune God, which can be divided into ‘Being spiritual’ and ‘Doing spirituality’ all under the umbrella of ‘SPIRI-TUALITY’. And the various ‘Doing spirituality’ must emerge from the initial revelation of ‘Being spirituality’ or having inner relationship with the Triune God. The writer hope that a paper of Christian spirituality will have a good spiritual impact on the mission of mission in the Christian context of life.

      • KCI등재후보

        특집 : 영성신학의 새로운 지평; 영성이란 무엇인가? -성령론적 영성신학 서설-

        전선용 ( Sung Yong Ju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4 神學과 宣敎 Vol.44 No.-

        오늘날 한국교회의 양적 성장이 한계에 부닥쳤다. 그동안 급성장하던 한국교회는 지금 정체상태 내지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그에 반해 가톨릭교회는 급성장을 이룩하고 있다. 우리는 한국교회의 현실을 직시하고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찾아내지 못하면, 불행하게도 서구 교회를 따라가게 될 것이다. 필자는 한국교회가 "영성"을 미래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로 받아들이고 강조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우리 선배들의 영성을 회복해야 한다. 그리하면, 한국교회가 견고한 반석 위에 서고 다시금 세계의 모범교회가 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영성의 정의, 마귀, 천사, 기도론, 영성교육 커리큘럼 등 영성신학의 기초적인 부분에 대해서 다루었다. 앞으로 성경공부,찬양, 영적 독서 등 실천적인 분야에 대해서 더욱 더 연구해야 할 것이다. 2012년 제106년차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에서 신학교육정책위원회는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교육의 새로운 방향정립을 위한 보고서를 제출하였으며 필자는 이 보고서 가운데서 "영성과 덕성"분야를 집필하였다. 성결교회 신학교육의 발전과 성장을 위한 제105년차 총회보고서 『현장중심 성결교회 신학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과제연구』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신학교육정책위원회 편, 2012), 50-59. 그동안 전반적인 신학교육이 지나치게 지성교육에 치우친 감이 있으며 이것은 전체 커리큘럼의 학점 수에 의해서 증명된다. 신학교육정책위원회에서 그동안 말로만 그쳤던 영성교육과 덕성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한 것은 성결교회의 2세기를 위해서 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필자는 서울신학대학교가 영성과 지성과 덕성을 겸비한 교회지도자를 양성하는 신학교육기관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일에 참여하였다. 이 논문은 위의 보고서에 제출한 필자의 글을 확장한 것이다. 그리고 이 주제는 앞으로 영성신학으로 발전해 가야 하는 과제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영성교육의 기초로서 영성신학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모색해 보고자 한다. 필자는 영성신학을 성령론적 영성신학으로 그 특징을 규정하고 영성신학의 정립을 위한 기초적 작업을 이 연구에서 수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웨슬리안 복음주의 위에 서 있는 성결교회가 지향해야 할 영성신학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다만 논문의 제약 때문에 개괄적이고 기초적인 연구가 될 수밖에 없음을 인정하며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하여 성령론적 영성신학이 정립되어 가기를 바란다. Nowadays, the Korean Church is confronted with the end of growth. Church growth is on stagnation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Catholic Church is rapidly growing. We must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nd devise a new way to overcome the situation of the Church. Otherwise, unfortunately, the Korean Church will follow the decline of the western church. I think the Korean Church must accept “spirituality” and emphasize it as a necessary agenda for the future. We must restore the spirituality of our ancestors. Then our church will stand on the stable rock and could become the model church of the world again. In this essay, I have dealt with the definition of spirituality, satan, angel, prayer, and curriculum of education of spirituality. In the future, Bible study, hymn, and lectio divina should be investigated.

      • 영성개발과 교회성장 : 마 28장 16-20을 중심으로

        임영효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8 고신신학 Vol.- No.10

        Though the risen Jesus Christ's the Great Commission was known as the Mission Mandate, this is God's plan for the growth and prospering of local churches as well as spiritual development of Christians. From this new perspective, seilluminating this Mandate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contemporary church ministers and members. When our ministry has the fitting biblical basis, we can apply it to our context of ministry and do rightly our ministry with the conviction that like the early church remarkable church growth and spiritual development can be accomplished. Even though a spirituality theologian, Dallas Willard suggested that Jesus' the Great Commission is God's plan for the growth and prospering of local churches as well as spiritual fornation in the local congregation, it seemed that he did not present sufficient anakyses and applications of the content. Considering this point, this paper reexamines five elements, that is, worship, practice of love, fellowship, nurture, evangelism, and deals with the right understandings and applications. Among the five elements, the basic core elements can be practice of love, fellowship and nurture. These three elements should be done through the larger circle of worship and ultimately reached to the stage of sound worship. In the process of doing these elements, church members can be mature disciples of Jesus Christ. Accordingly, they can bear fruits of evangelism and the ministry of making disciples can be achieved continually until the coming og the Lord. Rick Warren extracted two elements of worship and practice of love from the Great Commandment (Mt. 22:36-40) and the other elements of fellowship, nurture and practice of love from the Great Commission(Mt. 28:19-20). Thus he combined them. However, this paper shows that all these five elements are in the Great Commission (Mt. 28:16-20). So it is an important conclusion of this paper that these five elements are the essential ones for the spiritual development of Christians and church growth have an indispensible relationship to each other. When the spiritual development of a Christian can be properly achieved, the true church growth can be possible and the ministry of making disciples of all nations can be occurred continually. According to the master plan of the Lord for the spiritual development of Christians and church growth, the apostles of Jesus and the early Christians worked effectively. The history of the Book of Acts proves this concretely. Also it is amazing things that the texts of Acts 2:40-47 which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rusalem church show these five elements. In conclusion, today's Christians and church ministers should remember that the Lord as the head of His church requires this ministry from us. Thus contemporary Christians and church ministers should become ones who work according to the Lord's plan and witness the work of the blessings of Immanuel, that is, being with us always to the very end of the age.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마지막 지상명령(the Great Commission)은 일반적으로 선교명령(Mission Mandate)으로만 알려져 왔지만 이것은 오고 오는 모든 시대의 구속함을 받은 주의 백성들을 향하여 주신 영성개발과 교회성장의 헌장이요 이를 위한 명령의 말씀이기도 하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에서 이 명령을 새롭게 재조명해 보는 것은 오늘 이 시대의 교회 사역자들과 구성원들 모두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올바른 성경적인 근거를 발견하여 그 근거 위에서 우라의 사역이 이루어진다고 할 때 초대교회와 같은 놀라운 영성개발과 교회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분명한 확신을 가지고 흔들림이 없이 사역에 적용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시대의 영성신학자로 널리 영향을 끼치고 있는 달라스 윌라드(Dallas Willard)는 예수님의 지상명령이 영성개발과 교회성장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지마는 그 내용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적용에 있어서는 미흡함을 드러내였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점을 염두에 두면서 5가지 종합적인 요소들(예배, 사랑, 교제, 양육, 전도)을 검토하고 그 정확한 이해와 적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게 되어진 것이다. 이상의 5가지 요소들 중에 사랑과 교제와 양육의 3가지 요소들은 성숙한 제자를 삼는데 기본적인 핵심요소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3가지 요소들은 예배라고 하는 큰 틀안에서 시행되어져야 하며 궁극적으로 온전한 예배의 단계에 이를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일련의 과정들을 거치는 가운데 성순한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어지며, 이 제자는 그 삶과 사역을 통하여 전도의 열매를 맺게 되어지므로 제자삼는 사역은 주님 오실 때까지 계속 진행이 되어지는 것이다. 릭 워렌(Rick Warren)은 교회의 5가지 목적을 대계명(마 22:36-40)에서 예배와 사랑의 실천의 두 요소를 이끌어 내었으며, 대사명(마 28:19-20)에서 교제와 양육과 전도의 나머지 3요소들을 이끌어 내므로 두 본문의 내용을 요약을 한 것이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이 5가지 요소들이 모두 대사명(마 28:16-20)의 본문에 이미 내포되어 있음을 밝히게 되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릭 워렌이 언급하고 있는 5가지 요소들은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목적인 동시에 그리스도인의 영성개발과 교회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가 되어진다는 것이 본고의 중요한 결론이 되어질 것이다. 이와 동시에 영성개발과 교회성장은 불가분리의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도인 개인의 영성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질 때 진정한 의미에 있어서 참된 교회성장이 가능하게 되어지며, 모든 족속으로 제자삼는 선교의 역사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되어진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결론이 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마 28장 16-20절의 내용이 보여주는 영성개발과 교회성장을 위한 주님의 마스터플랜을 따라 가장 효과적으로 사역한 주님의 제자들이 바로 사도들과 초대교회성도들이었다는 사실을 사실행전의 역사가 구체적으로 증거해 주고 있다. 놀라운 것은 오순절 성령강림의 결과로 이루어진 예루살렘 교회의 특징을 묘사하고 있는 행 2:40-47에서 이미 이 5가지 요소들이 빠짐없이 나타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사역을 교회의 머리되신 주님께서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과 교회에 요구하고 계심을 기억하면서, 주님의 계획을 따라 사역에 임하므로 주님의 약속 그대로 세상 끝날까지 항상 함께 해주시는 임마누엘의 축복의 역사를 체험하고 간증할 수 있는 오늘날의 교회사역자들과 그리스도인들이 되어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영성적 도덕공동체 교육에 관한 연구

        고미숙(Ko Mi-Suk)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0

        본 연구는 도덕 공동체에서 영성의 역할을 탐구하고 영성적 도덕 공동체를 구상하며, 어떻 게 영성적 도덕 공동체 교육을 할 것인지를 탐구하였다. 영성적 도덕 공동체 접근은 영성과 도덕 공동체를 조화하고자 한다. 영성의 개념은 의미성, 모든 존재와 모든 인간과의 관계성 및 책임성, 전체성과 자기 성찰적인 실존의 측면에서 이해된다. 영성적 도덕 공동체는 모든 존재가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보기 때문에, 개별 공동체 중심적인 것이 아니라 모든 공동체, 인간 존재만이 아니라 모든 존재가 번성하고 번영해 나가도록 한다. 영성적 도덕 공동체는 자기 공동체에 대한 공유의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자기 공동체를 초월하여 선을 추구한다. 영성적 도덕 공동체 교육을 위해서는 넓은 의미에서 영성적 문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성적 도덕 공동체에서는 모든 존재가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자각, 우주에서 자기 존재의 위치에 대한 자각과 같은 존재적 각성이 우리를 도덕적이도록 한다. 또한 영성적 도덕 공동 체 교육을 위해 개인 및 공동체에 대해 의미를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고, 교사는 학생들의 영 성적 각성을 자극시키는 촉진자의 역할을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ole of spirituality in moral community, the idea of spiritual moral community and its education. Spiritual moral community approach is to balance spirituality with moral community. Spirituality is the pursuit of the meaning, the relationships among all beings as well as human beings, wholeness and self-reflective existence. Spiritual moral community approach is not to accept moral community of human-centered and individual community-centered but to consider the flourishing life of all communities and every being. Spiritual moral community transcends our community, considering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pursuit of the good. Spiritual moral community education assumes spiritual literacy education and awakening of being. Awareness on the interrelationships of all beings and position of being in universe makes us moral. We need the meaning making of individual and community to form the spiritual moral community. I also suggested the facilitator role to stimulate the spiritual awakening as role of teacher.

      • KCI등재

        상담자 교육을 위한 영성교육과정 개발연구

        이문기,이동혁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5

        This research is for developing the curriculum of spirituality for the counselor 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in Korea.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development, the Tyler’s model was used for making characteristics, orientations, forms and contents of the spirituality education. Spirituality curriculum development was made by 5 stages of development procedures. The first stage was for identifying the need assessment of both graduate students and counseling psychologists in the way of focus group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the survey. The result of these need assessments was that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sts and graduate students had in their mind that spirituality education was necessary and they were willing to be educated. The second stage was for making theoretical foundation in the spirituality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i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in three processes: data selecting process(systematic literature review), data categorization and coding process(consensual qualification research), and data interpretation(interpretive content analysis). From these processes, the 149 study paper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and used as resources of contents and form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e third stage was an investigation in order to find the status quo of the spirituality education in the counseling and clinical psychology programs. The major 30 universities in US and Canada, which were approved by APA and CACREP were chosen and analysed in relation to spirituality education. As a result, 12(40%) out of 30 universities had curriculums for spirituality and religion. The fourth stage was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1-3 stages. The last fifth stage was for the evaluation process. At this stage, evaluation worksheet was developed and the evaluation process was performed by the four expert panels. The final version of spirituality curriculum was made by the modification and complement by the evaluation processes. Feature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for spirituality curriculum development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의 상담 및 심리치료 대학원 교과목 안에 상담자를 위한 영성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교육과정은 Tyler(1949) 모델에 기초하였으며 영성교육의 성격, 방향, 내용, 그리고 형식이 전체적으로 5단계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다. 1단계는 우리나라 상담심리전문가들의 의식조사 결과와 상담심리 대학원 학생들의 포커스 그룹 반구조화 인터뷰 결과를 통해 상담심리전문가들과 상담심리 전공 학생들의 영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욕구를 확인하였다. 2단계는 문헌의 질적 내용분석 즉, 문헌선정과정(체계적 문헌분석), 유목화와 코딩과정(합의적 질적연구), 해석과정(해석적 내용분석)을 통하여 선정된 149편의 연구문헌들에 의하여 영성교육개발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3단계는 APA와 CACREP에서 인준한 미국과 캐나다의 상담 및 임상심리 프로그램 안에서 영성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현황조사를 하여 주요 30개 대학 중에 12개 대학(40%)에서 종교와 영성에 관련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4단계는 1-3단계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영성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 5단계에서는 영성교육과정의 평가를 위한 평가지 개발과 4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의 피드백을 통한 수정과 보완 과정을 거쳐 최종적인 영성교육과정이 완성되었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영성교육과정의 특징,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과제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

        영성지도 수퍼비전 : 그림자 통합 모델

        이주형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1

        Spiritual direction supervision guides a soul the presence of God and contemplative listening within a soul through which a spiritual director would identify with the divine vocation and discover unique spiritual talented related with the ministry. the modern supervision models have developed within their own spiritual traditions and theoretical structures, facilitating recently most with the psychological therapies. Having engaged with the spiritual direction ministry in Korean context, the researcher has been deeply aware of necessity of theoretical consolidation for supervision. At first, the supervision model with contemplative listening should be equipped strongly with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Western approaches including Northern American society has not clearly purse the distinctiveness of christian identity due to its historical and societal context. Implanting the model without cultural consideration would hamper welcoming reception of the spiritual direction in context. Secondly, based upon the primary assumption that director’s spirituality and character would readily be reflected on the ministry, It is prevailed belief that exploring the shadow should be substantial component in supervision. The existing studies have mentioned its significance, However, any specific theoretical construction has not been settled. This research makes theoretical endeavor to integrate the shadow of one’s soul constructively within supervision model. This research firmly claim that theoretical credibility and practical relevancy will be enhanced as the director’s shadow would be taken care of. It will be unfolding its argument as following. At first, It states that the supervision theory should be grounded on the Trinitarian dynamics as same as the spiritual direction for its Christian identity and spiritual formation. Secondly, It examine carefully the concept of the shadow in the self system within Jung’s analytic psychology and the way in which it could be explored, resolved and integrated with the soul of the director. At third, it attempts to suggest its significance through a practical description in which the shadow would be reflected, discerned and integrated within the inner dynamics and outer practice of the director and supervisor. In final, integrating the shadow of the soul into spiritual formation for supervision will be suggested as one of the essential goals for cultivating and taking care of the identity and spiritual transformation of spiritual director. 영성지도 수퍼비전은 영성지도자가 영적 돌봄 사역자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고 영적 은사를 계발하여 하나님의 임재와 관상적 경청이 자신의 영혼에 자리잡도록 안내한다. 현대 영성지도 수퍼비전 모델은 획일화나 규격화를 추구하지 않고, 각 영적 전통과 이론적 체계하에 실천되어왔으며, 근래에까지 심리치료적 접근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영성지도 수퍼비전을 한국적 상황에서 실천하면서, 두 가지 측면에서 이론적 체계화를 절감하였다. 첫째, 관상적 성찰을 토대로 한 수퍼비전 모델에 있어 기독교 영성적 정체성을 강화하는 모델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구 모델은 기독교적 정체성을 강조하지 않기에, 기독교 영성의 고유성을 담보한 학문적 모델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둘째, 영성지도자의 인성과 영성이 사역에 고스란히 반영된다는 전제하에, 영성지도자의 내적 그림자 탐색과 인식은 수퍼비전 과정에 필수적 요소여야 한다는 인식이다. 기존 수퍼비전 이론들이 그림자 통합의 필요성을 언급하지만, 이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추구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영성지도자의 그림자를 긍정적으로 통합하는 모델이 수퍼비전 모델이 필요함을 절감하였다. 본 연구는 슈퍼비전이 영성지도자의 그림자를 발견하고 온전하게 돌볼 때, 영성지도 슈퍼비전의 임상적 타당성과 이론적 타당성이 증진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이론적 논증 과정을 추구한다. 첫째, 영성지도 슈퍼비전은 영성지도와 유사하게, 기독교적 정체성과 영성형성을 토대로 한 신학적 근거를 공고히 하기 위해 삼위일체 역동을 지향한다는 사실을 주장한다. 둘째, 칼 융의 심리 이론을 토대로 영성지도자의 그림자를 이해하고, 그 무의식 영역을 영성지도자의 인격과 사역에서 인식하고 통합하는 이론적 방법을 모색한다. 셋째, 영성지도 슈퍼비전에서 그림자는 수퍼바이저와 영성지도자에게 어떻게 성찰되고 분별되어 통합될 수 있는지 구체적 사례를 통해 그 중요성을 제시한다. 이 연구를 통해 영성지도자의 그림자를 삼위일체적 역동 안에서 통합하는 영성지도 슈퍼비전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고, 그 구체적 사례를 통해 임상적 타당성을 입증한다. 더불어, 영성지도자의 그림자를 영성형성 안에 통합하여 영성지도자로서의 정체성과 영적 성장에 주요한 대상으로 삼기 위한 학문적 기여를 모색한다.

      • KCI등재

        성서에 나타난 하나님과의 연합의 길

        김수천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7

        본 논문은 성령과 말씀 중심의 영성생활을 하는 한국교회가 영성의 열매를 보여 주지 못해 위기를 경험하는 현실에서 영성적 대안을 모색해 보기 위해 연구 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신자들의 영성 생활의 기본 교재인 성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뜻과의 연합의 길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토대로 구약과 신약에 나타난 영성을 연구한 네 명의 학자들의 주장을 검토하였다. 먼저, 구약에 나타난 영성을 연구한 바튼과 크니어림의 견해를 살펴 보았다. 그리고 신약에 나타난 영성을 연구한 존스와 서스턴의 견해를 고찰하였다. 그들의 견해를 바탕으로 구약과 신약에 나타난 하나님과의 연합의 길을 모색하였다. 구약성서의 전체에서 반복적으로 강조되는 영성훈련은 율법을 통한 길이었음을 제시하였다. 율법을 통한 하나님과의 연합의 길은 세 가지 의미를 지닌다. 첫째, 율법은 삶의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하나님의 뜻을 분명히 계시한다. 둘째, 구약의 신자들은 율법을 묵상하고 종일 읊조리는 삶을 살았는데 이것은 끊임없이 무엇인가를 생각하는 사고에 적절한 일감을 부여하는 것이다. 셋째, 율법을 읊조리는 삶은 신자의 영혼에 하나님에 대한 사랑이 배양되게 하며 그 하나님에 대한 사랑은 율법에 순종하는 삶을 가능하게 해 준다. 신약성서의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강조되는 영성훈련은 성령을 통한 길이었음을 제시하였다. 성령을 통한 하나님과의 연합의 길은 두 가지의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성령은 신자의 생각과 마음을 깨우치고 감동한다. 둘째, 성령은 신자가 하나님의 사랑을 경험하게 하며 그 사랑의 힘으로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삶을 살게 한다. 성령과 말씀 중심의 삶을 사는 한국교회의 영성생활은 구약과 신약에 나타난 영성훈련과 놀랍도록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교회의 영성생활은 성령의 임재 가운데 충분히 머무름을 강조하지 않기에 영성의 열매가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예수님의 포도나무 비유처럼 하나님의 임재 가운데 충분히 머무는 삶을 통해 성화와 이타적인 영성의 열매를 맺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spiritual practices in order for the Korean church to unite with God’s will. The Korean church has practiced some spiritual disciplines, such as revival, early morning prayer, Friday night prayer service, Bible study, and QT (Quiet Time). Yet, the Korean church fails to produce spiritual fruits, including members’ character development and service to the community. As a result, the Korean church is experiencing a spiritual crisis. In order to offer suggestions, I first explore the spiritual disciplines presented in the Scripture, since the Bible is the primary text for the spiritual discipline of believers. I examine the research of John Barton and Rolf Knierim to review what the Old Testament scholars say about spirituality in the Old Testament. For the New Testament, I compare the research of C.P.M. Jones and Bonnie Thurston. Based on their research, I conclude that in the OT the union of God’s will and the church is executed through the Torah, and in the NT it is through the Holy Spirit. Most authors of the OT repeatedly emphasize that the believers must read the Torah repeatedly throughout the day in order to not only discern the will of God but also follow it in their concrete lives. Meanwhile, the writers of the NT commonly stress that believers can be united with God’s will and practice it in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The Korean church rapidly grew until the 1980s due to the intense practice of two particular forms of spiritual discipline: Bible study and prayer. Surprisingly, this is very similar to the spiritual disciplines described in Scripture. The Korean church, however, has been rapidly decreasing since the 2000s, even though believers still practice the same spiritual disciplines. Consequently, I suggest two ways to overcome this challenge. First, the church’s growth in terms of its membership should not be the first priority, despite the fact that the Korean church has mainly practiced spiritual discipline with the purpose of church growth. Instead, the transformation of believers in their characters and lifestyles into that of altruistic love should be the primary goal. Second, a greater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remaining within the Spirit before believers try to apply the truth in their lives. Tangible application in the world is crucial in QT, so believers who often do QT commonly plan the application portion as the main goal of their QT. However, we need to understand that the love of agape is “not from us but through us,” as Jesus taught through the parable of the vine in John 15:1-17.

      • 생애 노정에 나타난 참어머니의 영성적 요소와 의미 연구

        조광명 참부모신학회 2024 참부모신학연구 Vol.2 No.-

        영성의 일반적 개념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가정연합이 갖는 영성의 개념을 설정한 토대 위에 개인의 영성, 참부모의 영성을 정립하고자 했다. 특히 참부모의 영성은 재림주와 독생녀가 어린양 잔치를 통해서 참부모가 됨으로써 갖게 되는 역할과 사명으로 나타난 영성이다. 참어머 니의 영성 개념은 개인적 여성의 영성, 어머니의 영성을 포함한 참어머니의 역할과 사명을 통해서 나타난 영성이다. 참어머니의 생애 노정에 나타난 영성적 요소에는 하늘부모님의 독생녀로 탄생한 사건, 하늘 부모님과 일치된 참부모로서 삶의 구조를 형성하는 노정, 참부모로서 타락한 인류를 복귀하며 성장, 발전시키는 형태, 하늘부모님의 나라인 천일국의 이상을 실현하는 형태, 등이 있다. 참어머니의 영성적 요소가 의미를 가지려면, 하늘부모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섭리적 사건과 인류 구원의 노정과 연관이 될 때만 가능하다. 참어머니의 영성적 요소에 나타난 의미를 살펴보 면, 독생녀 탄생의 사건으로 실체 성령의 역사(役事)가 가능해졌다는 점, 어린양 잔치를 통해서 참부모가 되어 섭리 완성의 중심축에 서게 되신 점, 축복식을 통해서 타락한 인류를 중생시켜서 성장, 발전하게 하여 하늘부모님을 대신한 참부모의 길을 몸소 보여주셨다는 점, 천일국 시대를 여는 기원절 선포를 통해서 하늘부모님을 직접 모시고 생활하면서 사랑으로 하나 되는 인류 해방의 길을 열어주신다는 점, 등이 있다. We sought to establish individual spirituality and the spirituality of true parents on the basis of the general concept of spirituality and the concept of spirituality of the Family Federation. In particular, the spirituality of True Parents is a spirituality expressed through the role and mission of the Second Coming and the Only Begotten Daughter by becoming True Parents through the Feast of the Lamb. The concept of True Mother's spirituality is the spirituality revealed through the role and mission of True Mother, including personal female spirituality and maternal spirituality. Spiritual elements revealed in True Mother's life course include the event of being born as the only begotten daughter of Heavenly Parent, the path of forming the structure of life as True Parents in unity with Heavenly Parent, and the form of growth and development by restoring fallen humanity as True Parents. , a form of realizing the ideal of Cheon Il Guk, the kingdom of Heavenly Parent, etc. For True Mother's spiritual elements to have meaning, it is possible only when they are related to the providential events to fulfill Heavenly Parent's will and the Works of human salvation. Looking at the meaning revealed in the spiritual elements of True Mother, we can see that the event of the birth of her only begotten daughter made possible the substantial work of the Holy Spirit, that she became a True Parent through the Feast of the Lamb and that she stood at the central axis of the completion of providence; Through the Blessing Ceremony, He personally demonstrated the path of True Parents on behalf of Heavenly Parent, who regenerates fallen humanity and allows them to grow and develop. Through the proclamation of Foundation Day, which opens the era of Cheon Il Guk, humanity becomes one through love by directly attending Heavenly Parent and living God opens the way to liberation, etc.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서 기독교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영성과 기독교 영성교육

        최봉도 한국실천신학회 2012 신학과 실천 Vol.0 No.31

        교회가 사회에 기여해야 하는데, 오히려 사회가 한국교회를 걱정하고 있으며 교회의 공적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이런 위기상황 속에서 한국 교회는 어떻게 이를 대처해 나갈 것인가? 한국교회는 기독교의 성서의 말씀과 전통을 어떻게 현대 사회에 상황화 할 것인가 하는 물음이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제적인 문제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먼저 한국 교회의 현실에 대한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을 통하여 교회가 기독교의 본래의 뜻을 잃어버리고, 종교지도자에 대한 자질과 신뢰도가 떨어지며, 교회가 배타성과 보수성의 정치성향을 나타내는 것을 그 원인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발할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한국교회가 나아갈 방향으로 바른 영성을 추구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영성교육을 제안하였다. 이 글에서 제안한 영성교육으로 기독교인의 인격을 형성하는 영성, 삶의 현장에서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는 영성, 다문화 된 사회 속에서 대화의 공간을 여는 영성을 다루었다. 또한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부어주신 영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잘 발전시킴으로써 기독교인들이 그들 안에 온전한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고 나아가 인간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영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Korean Churches should contribute to the society, but the society remains worried about the role of churches and their social responsibility. In this critical situation, how can Korean churches cope with the difficulty? How do they contextualize the Bible and Christian tradition in modern society? To address this issue, this research describes the current features and perception of the Korean church in society. It deals with the reasons for the negative image of Korean churches, such as loss of Christian nature, lack of quality and reliability of Christian leaders and conservative and exclusive political dispositions. In order to overcome this negative image, the study suggests Spirituality education as a solution. In particular, Spirituality education can help congregations to build a strong Christian Character, live as citizens wh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interact with the other people of different cultures and religions. In addition,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Spirituality education that can contribute to Korean society by improving the spirituality of Korean Christi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