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관성규칙에서의 다중매개관계에 관한 연구

        조광현,박희창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1

        Association rule mining searches for interesting relationships among items in a given database. There are three primary quality measures for association rule, support and confidence and lift.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xisting mining algorithms, constraints were applied during the mining process to generate only those association rules that are interesting to users instead of all the association rules. When create relation rule, can often find a lot of rules. This can find rule that direct relativity by intervening variable does not exist. In this study we try to present the method of multi intervening association rules. Multi intervening association rules can disambiguate analysis of result more. 연관성규칙은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항목들 간의 관련성을 찾아내는 기법으로 둘 또는 그 이상의 품목들 사이의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를 바탕으로 관련성 여부를 측정한다. 연관성규칙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연관성규칙 이외에 연관성규칙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제약 기반 연관성규칙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연관성규칙 생성 시, 종종 많은 규칙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변수들 간에 우연히 관련성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고 매개 변수에 의하여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는 규칙을 발견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연관성 규칙에서 변수들 간의 다중매개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다중매개연관성규칙을 정의하고 실제 자료에 적용하고자 한다. 다중매개연관성규칙에서 매개관계가 성립되는 경우 매개 변수에 의하여 그 연관성 규칙은 간적접 해석만 가능하므로 의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실제 자료에 적용한 결과, 총 23개의 규칙들 중 의미 없는 규칙 3개를 발견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다중매개연관성규칙은 생성된 규칙에 대한 관련성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연관성 규칙의 결과 해석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성시각에서 본 국내 광고Creative의 커뮤니케이션오류에 관한 연구 -2011년 신문광고 중심으로-

        박문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2

        This study has analyzed recent relevance of one hundred advertisements on domestic daily newspaper in 2011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communication error in Korean advertising creative. For that,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of five advertising creators(CD) have been conducted to produce a checklist of relevance of advertising creative and to analyze advertisements. Consequently, the checklist of relevance for advertising creative includes three categories: product relevance, target relevance, and brand image relevance. Moreover, each category has three items, which are respectively ① concept, ② product meaning, and ③ credibility; ① target profile, ② sensibility, and ③ interest; and ① brand image, ② B. I. manual, and ③ identity. As a result of analysis of 5-point scale, the positive aspect(5 points + 4 points) in the check of product relevance was 54% while the negative aspect(3 points + 2 points + 1 point) was 46%. In the check of target relevance, the positive aspect(5 points + 4 points) was 32% and the negative aspect(3 points + 2 points + 1 point) was 68%. Lastly, in the check of B.I. relevance, the positive aspect(5 points + 4 points) was 25% while the negative aspect(3 points + 2 points + 1 point) was 75%. Since target and brand image relevance have appeared lower compared with product relevance among the three categories, more attention and effort are required of advertising creators. In conclusion, there are still many advertisements in Korea which are insufficient in a sense of presence and belonging, namely communication error, due to the marginal relevance to the product, the target, and the brand applied to advertising communication. If advertising exists for a brand, more effort to produce ideas relevant to product, target, and brand should be made in advertising creativ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Korean advertising creative by helping to interact with consumers and create advertising effect. 본 연구는 한국의 광고 Creative의 커뮤니케이션 오류에 대한 이해를 위해, 2011년도 국내일간지에 게재된 100개의 광고를 대상으로 연관성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광고 Creative의 연관성 체크리스트 선정과 광고물분석을 위하여 5인의 광고 크리에이터(CD)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전개하였다. 광고 Creative를 위한 연관성 체크리스트는 1.제품연관성에는 ① concept ② product meaning ③ credibility를, 2.타깃연관성에는 ① target profile ② sensibility ③ interest를, 3.브랜드이미지 연관성에는 ① brand image ② B.I manual ③ identity등 3개 항목에 따른 9개 체크리스트를 선정하였다. 5점 척도분석결과, 제품연관성 체크결과에서는 긍정적 측면(5점+4점)이 54%로 나타났고, 부정적 측면(3점+2점+1점)은46%로 나타났다. 타깃연관성 체크에서는 긍정적 측면(5점+4점)이 32%로 나타났고, 부정적 측면(3점+2점+1점)은 68%로 나타났다. B. I.연관성 체크에서는 긍정적 측면(5점+4점)이 25%로 나타났고, 부정적 측면(3점+2점+1점)은75%로 나타났다. 그리고 3항목 중 제품연관성에 비해 타깃과 브랜드이미지의 연관성은 더욱 낮게 나타나 광고인의 관심과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광고커뮤니케이션에 적용한 제품, 타깃, 브랜드 등의 연관성이 약하여 존재감과 소속감이 부족한(커뮤니케이션 오류)광고가 국내에는 아직 많다. 광고가 브랜드를 위해 존재한다면, 광고 Creative에 제품과 타깃, 브랜드의 연관성이 있는 아이디어노력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본 연구가 소비자와 호흡할 수 있고, 광고효과를 창출하는데 도움이 되어 국내광고Creative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NCS 기반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분석에 기초한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이광호 한국상업교육학회 2017 상업교육연구 Vol.3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NCS 기반으로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 중에서 경영․금융 교과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을 분석한 후에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관성은 교과내용 측면에서의 일치 정도를 질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계량화하였다. 연관성은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연관성 = 여기에서 SUBk: 2015 개정 경영․금융 교과 교육과정의 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상 과목과의 일치도N: 2015 개정 경영․금융 교과 교육과정의 과목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은 다음과 같다. ∙ 2009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전체 전문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83 ∙ 2015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전체 전문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49 ∙ 2015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이론 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78 ∙ 2015 개정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실무 과목과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연관성: 0.30 둘째,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을 개편할 때,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높여야하며, 이를 위해 학과별로 교육과정위원회를 구성하고 이 위원회에 상업계 고등학교 교사와 산업체 인사가 반드시 포함되도록 한다. ∙ 실무 관련 교재를 다양하게 개발하여 교수․학습과정에 활용한다. 특히 NCS 기반으로 만들어진 학습모듈을 주교재와 함께 활용하여 이론과 실무 내용을 고르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 교수․학습방법을 능력중심 교육으로 개선한다. 실무 능력을 높이기 위해 프로젝트학습, 모듈식 교수-학습, 문제중심학습 방법에 의한 수업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 ∙ 산업체 현장실습을 의무화한다. 일정 기간의 산업체 현장실습을 통해 산업체에서의 경험을 의무화하여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산업현장에서 적용하거나 체험해 보는 경험을 갖게 한다. ∙ 교육과정에 대한 주기적 평가 및 피드백을 실시해야 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하는 교원양성기관 평가요소에 상업교사 양성대학 교육과정과 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정도를 포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we analyzed the relevance between the curriculum of business and financial subject in commercial high school and the curriculum of business teacher training in college. The relevance was first analyze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relevance was analyzed qualitatively and the results were quantified. The relevance was calcul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Relevance = SUBk: Match betwe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ommercial high school and the curriculum of business teacher training in college. N: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relevance analysis are as follows. ∙ The relevance of the 2009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0.83 ∙ The relevance of the 2015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0.49 ∙ The relevance of the 2015 revised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n theoretical subjects: 0.78 ∙ The relevance of the 2015 revision of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and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n practical subjects: 0.30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are as follows. ∙ When reorganizing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nection with the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To do this, the curriculum committee should be formed for each department, and the committee should include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and industrial personnel. ∙ Develop a variety of practical teaching materials and use them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Especially, the learning module based on NCS is used together with the main texts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 theory and practical contents evenly. ∙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th ability-based education. To increase practical skill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eaching by project, modular teaching, and problem based learning. ∙ Industrial field practice should be mandatory in business teacher training curriculum. Students are required to have industry experience through a field worksho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they have experience of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to the actual industrial field. ∙ Periodic evaluation and feedback on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urriculum should be conducted.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degree of relevance of the business teacher training college curriculum and the commercial high school curriculum to the evaluation factors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KCI등재

        淸末民初 上海의 煙館

        박강 한중인문학회 2006 한중인문학연구 Vol.17 No.-

        본 논문은 아편무역이 합법화되었던 청말 민초시기에 煙館이 가장 번성했던 상해라는 지역을 중심으로 煙館의 성행 배경과 그 실태 및 변화 모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당시 사람들이 연관을 어떻게 생각했으며 아편의 확산 및 보급과 어떤 관련성이 있었는지 고찰해 보려는 것이다. 아편의 흡연장소인 煙館은 아편이 확산하는데 일조를 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근대 중국사회의 병폐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아편 금지정책을 시행하는데 있어서도 연관에 대한 단속은 정책 시행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그러나 연관은 단순히 아편을 흡연하는 장소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청말의 연관은 수적으로나 질적으로 상해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청말 상해지역의 독특한 사회배경 속에서 출현했던 것이다. 연관은 단순한 흡연장소의 기능을 뛰어넘어 누구나 가서 즐기고 싶어하는 공공의 휴식 오락공간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휘황찬란한 고급 연관의 출현은 ‘아편문화’ 형성에도 기여하였다. 상층이건 하층이건 아편을 문화 향유의 수단으로 여겼고 또한 동경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로써 아편의 해독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어려웠다. This is a study on the opium dens of Shanghai in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early Republic. Opium dens were most popular in Shanghai in that period. So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what was the background of the widespread use of opium dens and how this phenomenon was related to opium proliferation. Opium dens, where people smoke opium, obviously promoted the spread of opium. Naturally, they have been regarded as the malady of the modern Chinese society. But opium dens were not simply the places where people smoked opium. Opium dens in that period were heavily located in Shanghai. It means that the city has a unique social background. Eventually, opium dens grew into the public places for relaxation and entertainment. The emergence of luxurious opium dens contributes to the forming of 'opium culture'. People of any classes thought opium consumption to be a culture and something to long for. The poisonous influence of opium, therefore, were easily ignored.

      • KCI등재

        양적 연관성 규칙에서의 객관적 평가기준

        박희창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6

        One of the well-studied problems in data mining is the search for association rules. The task of association rule mining is to find certain association relationships among a set of data items in a database. There are three primary quality measures for association rule, support and confidence and lift. Given a user defined minimum support and minimum confidence threshold, association rule mining is to find all the rules having at least minimum support and minimum confidence. Association rules are frequently used by retail stores to assist in marketing, advertising, floor placement, and inventory control.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lation between the measure of association and the criteria of association rule for continuous database and propose the objective criteria for association. As the result, we knew that there wa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same occurrence frequency and measure of association, and the thresholds was linear to measure of association. 데이터마이닝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는 연관성 규칙을 찾는 것이다. 연관성 규칙은 각 항목간의 연관성을 반영하는 규칙으로서 둘 또는 그 이상의 항목들 사이의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를 기반으로 하여 미리 결정된 최소지지도 및 최소신뢰도 이상의 의미 있는 규칙을 찾아내는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의 하나이다. 연관성 규칙은 교차판매, 매장 진열, 카탈로그 디자인, 장바구니 분석 등에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형 자료에서의 연관성 측도와 연관성 규칙의 평가 기준과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연관성 규칙의 객관적인 기준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동시발생빈도와 연관성 측도, 연관규칙의 평가기준과 연관성 측도가 선형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연관성 규칙에 대한 관련성 정도를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으며, 둘 이상의 연관 규칙간의 비교 분석 또한 가능하도록 하였다.

      • KCI등재

        한국 부동산산업 부문의 부가가치 구조 및 부문 내 부가가치유발효과 추이 분석

        박재운(Jae-Un Park),김현욱(Hyun-Wook Kim) 한국주택학회 2011 주택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산업연관표를 활용해 한국 부동산산업의 부가가치 구조와 부문내 부가가치유발효과의 추이를 분석한 것이다. 불변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부가가치 구조를 분석한 결과 첫째, 부동산산업의 총투입 구성요인별 비중에서 부가가치비중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RS승수 분석으로 보면 부동산산업의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전방연관효과가 후방연관효과보다 크며, 부동산관련서비스부문은 후방연관효과가 전방연관효과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가가치유발효과 분석결과 첫째, 부동산산업부문은 타 산업부문과의 상호의존도가 낮고, 부동산산업 내 부문간 연관관계가 보다 심화되어 있다. 둘째, 부동산산업의 최종수요에 의한 부가가치유발효과는 소비수요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부가가치유발에 의한 전방연관효과는 수출수요, 투자수요, 소비수요 순이며 후방연관효과는 투자수요, 수출수요, 소비수요 순을 보였다. 그리고 직접전후방연관효과는 투자수요, 수출수요, 소비수요 순이었다. 이것은 주로 부동산관련서비스부문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부동산부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고부가가치산업인 부동산관련서비스부문에 대한 투자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al changes of value-added, value-added inducement effects, and intra-sectoral backward & forward linkage effects in the Korean Real Estate Sectors by the constant-priced input-output tabl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value-added composition of real estate sectors to the total output in the whole sectors has been on an increasing trends. Second, forward linkage effects by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s of the real estate sectors by Ritz-Spaulding (RS) multipliers have been greater than backward linkage effects. The backward linkage effects by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s of the real estate services by RS multipliers have been greater than forward linkage effects. Third, the intra-sectoral relations within the real estate sectors have largely been deepening and inter-dependency of other sectors with the real estate sector has been declining. Fourth, value-added inducement effects by RS multipliers of the real estate sectors have been rising due to the increase of consumption demand inducement effects. Lastly, forward linkage effects of real estate sectors on the base of compositional factors by final demand have been in order of export, investment, and consumption demand, etc. Backward linkage effects have been in order of investment, export, and consumption demand, etc.

      • KCI등재

        향상도 영향 감소화에 의한 연관성 순위결정함수

        박희창,Park, Hee-Chang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0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1 No.3

        Data mining is the method to find useful information for large amounts of data in database, and one of the important goals is to search and decide the association for several variables. The task of association rule mining is to find certain association relationships among a set of data items in a database. There are three primary measures for association rule, support and confidence and lift.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association rule ranking function by decreased lift influence to generate association rule for items satisfying at least one of three criteria. We compared our function with the functions suggested by Park (2010), and Wu et al. (2004) using some numerical examples. As the result, we knew that our decision function was better than the function of Park's and Wu's functions because our function had a value between -1 and 1regardless of the range for three association thresholds. Our function had the value of 1 if all of three association measures were greater than their thresholds and had the value of -1 if all of three measures were smaller than the thresholds. 데이터 마이닝은 대규모의 데이터베이스에 내재되어 있는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과정이며,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는 여러 변수들 간의 관계를 발견하고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 기법인 연관성 규칙 마이닝은 각 항목들 간의 관련성을 찾아내는 데 활용되며,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 등의 연관성 측도를 기반으로 두 항목간의 관계를 수치화함으로써 의미 있는 규칙을 찾아낸다. 본 논문에서는 3개의 연관기준값들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 이상이 되는 규칙의 순위를 매겨 필요한 연관성 규칙만을 생성할 수 있는 연관성 순위 결정 함수를 개발하는데 기존의 연구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특정 연관 기준값의 영향을 더 많이 받지 않도록 3개 연관기준값의 범위를 조정한 연관성 순위 결정 함수를 제안하고자 한다. 모의실험을 해본 결과, 대체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함수는 연관성 측도들과 최저 연관기준값들간의 차이를 잘 반영하고 있으며, 최저 연관성 기준값들의 범위와는 관계없이 항상 -1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최저 연관기준값을 모두 충족하게 되면 1의 값을 가지며, 3개 모두 충족되지 않으면 -1의 값을 갖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표준화 향상도를 이용한 연관성 순위 결정 함수

        박희창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5

        Association rule techniques among the most used data mining techniques measur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several items using association measures of support, confidence, lift, etc. Typically, the process of association rule is to generate frequent itemsets by a user-specified minimum support, and then select some rules by a user-specified minimum confidence and lift. We need to rank for selected rules even though some rules are generated by basic association threshold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association rule ranking function using a standardized lift. We compared our function with association rule ranking functions using conditional increment ratio(CPIR) by some numerical examples. As the result, we knew two ranking functions had a value in [-1, 1] regardless of the range for three association thresholds. But the ranking function by CPIR isn't reflected in the difference between association measures and minimum values of association threshold and were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impact of lift, whereas our function was very well reflected in the differences.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연관성 규칙은 하나의 거래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 항목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 등의 연관성 측도들을 이용하여 측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연관성 규칙 생성과정은 먼저 사용자가 지정한 최소 지지도를 만족시키는 빈발항목집합을 생성한 후, 빈발항목집합을 이용하여 최소 신뢰도 기준을 만족하고 향상도가 1이상인 것을 규칙으로 채택하게 된다. 기본적인 연관성 기준을 만족하여 여러 규칙들이 생성되었다고 할지라도 이들 규칙들의 연관성 강도에 대한 순위를 매길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관성의 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표준화된 향상도를 이용한 연관순위결정함수를 제안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예제를 통하여 가장 최근에 연구된 조건부 확률증분비를 이용한 연관순위 결정함수와 비교해본 결과, 두 함수 공히 최소 연관성 기준값들의 크기와는 관계없이 항상 -1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3개의 연관성 기준값이 모두 충족되면 1의 값을 가지며, 3개 모두 충족되지 않으면 -1의 값을 갖게 된다. 그러나 조건부 확률증분비를 이용한 연관순위 결정함수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함수에 비해 연관성 측도들과 최소 연관성 기준값들간의 차이를 잘 반영하지 못하고 향상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고유한 항목 특성 파악을 위한 순수 연관성 규칙의 제안

        박희창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2

        Data mining is the method to find useful information for large amounts of data in database. An association rule of this techniques, finds the relation among each items in massive volume database using interestingness measures such as support, confidence, and lift. There are some kinds of association rules ; boolean association rule, quantitative association rule, single-dimensional association rule, multi -dimensional association rule, single-level association rule, multi-level association rule sequences association rule, and dissociation rule etc. This paper present a new association rule to evaluate pure association(we call pure association rule) and describe some conditions and properties for a proposed association rule. A comparative study with new interestingess measures is shown by numerical example. The results showed that we were able to avoid the discovery of misleading association rules by the pure association rule thresholds and interpret whether positive association by specific items or not. 데이터 마이닝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 속에서 쉽게 드러나지 않는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기법이다. 데이터 마이닝 기법 중에서 연관성규칙은 데이터베이스 내에 존재하는 항목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찾아내는 기법으로서 항목들 사이의 지지도, 신뢰도, 향상도 등의 흥미도 측도를 기준으로 상호 관련성 여부를 측정한다. 이러한 연관성 측정을 위한 연관성 규칙의 종류로는 불리언 연관성 규칙과 정량적 연관성 규칙, 1차원 연관성 규칙과 다중차원 연관성 규칙, 단일 수준 연관성 규칙과 다 수준 연관성 규칙, 그리고 순차 연관성 규칙과 비 연관성 규칙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유한 항목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순수 연관성 규칙을 제안하고, 제안된 연관성 규칙의 평가기준에 대한 조건과 성질을 규명하였다. 또한 예제를 통하여 기존의 흥미도 측도와 제안한 흥미도 측도를 비교한 결과, 순수 연관성 규칙에서는 특정 요인에 의한 결과를 나타내주는 동시에 양의 관련성과 음의 관련성을 판단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북한의 산업연관표와 북한산업의 전,후방연관효과

        신동천 ( Dong Cheon Shin ),이혁 ( Hyeok Lee ),김용균 ( Yong Kyun Kim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14 통일연구 Vol.18 No.2

        북한의 제한된 투자재원을 이용하여 경제성장을 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북한경제 상황에서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에 투자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북한의 투자우선순위 결정에 사용되는 기준 중 하나인 전 방 및 후방연관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북한 산업연관표를 추정하였다. 추정된 북한의 산업연관표로부터 북한산업의 전방 및 후방 연관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북한의 경공업과 일차금속산업의 전방 및 후 방 연관효과가 모두 높고 기계,전자산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화학공업은 전방연관효과는 높으나 후방연관효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수산업과 서비스산업 등은 반대로 후방연관효과는 높으나 전방 연관효과는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기계,전자산업은 전,후방 연관효과가 모두 낮아 투자우선순위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paper constructs the recent input-output table of North Korea and computes forward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between North Korean industrial sectors. It turns out that the light industry and primary metals have the strongest forward and backward linkages to other industrial sectors. The heavy industry has higher forward but lower backward linkage effects except for machinery and electronics while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and services tend to have higher backward but lower forward linkage effects. Machinery and electronics show lower backward and forward linkages than the industry aver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