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주지역의 역사문화자료 현황과 전망

        길경택 ( Gil Kyung-taek )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2017 東硏(동연) Vol.2 No.-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 충주를 중심으로 한 역사문화자료를 고려시대 건국을 기준으로 그 이후 것들을 주로 언급하여 살펴보았다. 그 방대한 역사문화자료 가운데 충주지역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건을 특별히 발췌하여 그림으로 형상화한 기록화의 역사적 배경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충주지역이 우리 역사의 변곡점에 항상 등장하면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충주의 역사문화자료를 분야별로 분류하여 고찰해보았으며, 그동안 관련 기관에서 진행된 학술적 활용에 대한 자료도 소개하였다. 특히 예성문화연구회의 중원문화학술대회가 비록 민간단체라고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학술적 활용의 가장 오랜 예로서 이제까지 충주지역의 역사를 지켜온 문화의 산증인이었음에 주목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current and future of history and culture data in Chungju. First of all, this introduced to history and culture data since the Goryeo Dynasty by each time period. Through these analyses,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Chungju area is always at an inflection point in our history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This also considered history and culture data by classifying the field and introduced academic application data conducted in relevant institutions all the while. Especially, Jungwon Cultre symposium of Yesung Culture Research was important example of academic application and was a living witness for the history of the Chungju area.

      • KCI등재

        대학도서관 역사문화기록실의 현황과 운영방안 연구

        한미경 한국서지학회 2015 서지학연구 Vol.62 No.-

        This study conducts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history and culture room in the US, Japan, China, and Cheju-do, Korea and provides the direction for their operation with a view to contributing to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local history and culture collections, local studies, and local cultural advancement. In the case of overseas history and culture rooms, this study found out both public libraries and university libraries are collecting and managing history and culture collections. Especially in case of university libraries, various activities such as data base building,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s and publication and researches. On the contrary, the domestic libraries, especially public libraries, conducts collection and related activities and some of the existing university libraries are reallocating collections by subjects or separate codes, due to space, budget, utilization problems, etc. Based on these, this study suggests the roles of university history and culture rooms as 1) the center of local history and culture, 2) the center of local history and culture collections network, 3) the center of local history and cultural education, 4) the center of local history and culture research, 5) the center of local studies. 이 연구는 지역의 역사문화기록 수집 보존과 지역학 연구와 지역문화발전에의 기여를 목적으로 미국과 일본 및 중국과 국내 제주도의 역사문화기록실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외의 경우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에서 모두 지역의 역사문화기록을 수집 및 관리하고 있으며, 특히 대학도서관에서 데이터베이스화와 검색서비스 그리고 출판과 연구 등 다양한 관련 활동이 있음을 조사하였다. 반면, 국내의 경우 주로 공공도서관에서 수집 및 관련 활동이 이루어지고 기존의 일부 대학도서관은 공간, 예산, 이용 등의 문제로 주제별로 재배치하거나 별치기호로 서비스하고 있다. 이에 대학도서관 역사문화기록실의 1) 지역의 역사문화기록의 중심, 2) 지역의 역사문화기록 네트워크의 중심, 3) 지역의 역사문화 교육의 중심, 4) 지역의 역사문화 연구의 중심, 5) 지역학의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공간 단위 문화재 보존개념인 ‘집단민속자료구역’의 법제화 및 적용과정 연구

        한나래 ( Han Na Lae ) 한국법정책학회 2021 법과 정책연구 Vol.21 No.3

        일반에게 ‘민속마을’로 익숙한 ‘집단민속자료구역(현 집단민속문화재)’은 1973년 「문화재보호법」 시행규칙에 신설된 문화재 공간 보존개념으로, 이에 대한 정부의 보존조치는 민속자료가 집중적으로 보존된 5개 마을을 민속자료 보호 구역으로 선정(1974), 이어 보호구역 지정(1977), 각 시도에 민속마을로 보존하도록 방침 시달(1978), 민속마을의 지방문화재 지정(1980~), 국가문화재로 승격 지정(1984)하는 과정으로 변화되어 왔다. 집단민속자료구역 정책의 특성은 공간 단위 보존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점 단위 지정문화재 보존체계로 관리된다는 점과, 민속마을의 보존과 관광지화라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대규모 예산이 투입된 보수정비사업을 진행한다는 점, 법제화 내용과 상이하게 시작하여 여러 단계의 적용 변화를 거쳤다는 점, 마지막으로 집단민속자료구역이 담고 있는 다양한 보존가치의 존재로 정리할 수 있다. ‘집단민속자료구역’에 적용되는 지정문화재 보존방식은 오늘날 대표적인 문화재 공간 단위 보존개념인 역사문화환경이 보존의 ‘대상’과 더불어 보존의 ‘방법’에 있어서도 점 단위 지정문화재 보존체계와 다른 방향을 적용하는 것과 상반된 결과이며, ‘집단민속자료구역’이라는 법률개념은 국제규범의 공간 보존가치인 ‘경관적 가치’, ‘무형적 가치’, ‘생태적 가치’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또한 집단민속자료구역 정책은 건조물 중심의 지정ㆍ보존체계를 통한 경관적 가치 보존에 이어 민속마을 보수정비사업을 통하여 전통적 삶의 방식을 이어가며 삶 속에서 문화재가 보존되는 ‘생태적 가치’도 일정 부분 보존된다고 보여진다. 다만 보존대상의 ‘원형’에 대한 유연한 인식 전환과 ‘변화를 수용하는 보존ㆍ복원’ 대상의 구체적인 제시가 필요하며, 집단민속자료구역 내 세시풍속 등을 무형문화재로 별도 지정하여 ‘무형적 가치’를 포함한 ‘집단민속문화재구역’의 다양한 가치가 종합적으로 보존되어야 한다. 아울러 ‘민속마을’ 외 ‘다양한 유형의 지정 활성화’도 필요할 것이다. 집단민속자료구역 법제화 및 적용과정의 변화는 역사문화환경에 대한 ‘보존가치’의 개념 확대, 지정 공간 내 적절한 보존조치 개선, 유형의 문화재에 적용되는 원형보존원칙과 함께 전승을 통한 보존원칙의 적용 필요성 등 오늘날 대표적인 문화재 공간 단위 보존개념인 ‘역사문화환경’ 보존정책의 발전방향 수립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Collective Folklore Resources Zone’, the concept of space-based protection in Cultural Heritage, which is familiar to the public as 'Folk village', was newly added to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1973. Since then, the governement has taken the following measures to preserve the ‘Collective Folklore Resources Zone’ such as Selection 5 villages as the protection zone of ‘the Collective Folklore resources’(1974), designation of the protection zone(1977), instruction policy on preservation them as a folk village to local government(1978), designation as local cultural heritage(1980~), and designation of the promotion 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1984).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ve Folklore Resources Zone’ polic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spite the concept of the space-based protection, they are managed by the point-based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system. Second, projects with large-scale budgets carry out with the two goals of preservation and touristify. Third, it started differently from the legalized content and has gone through several stages of application change, and the last characteristic is the existence of various preservation values for the Collective Folklore Resources Zone. The protection method of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applied to 'Collective Folklore Resources Zone' is contrary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Cultural Heritage, which is applied to the other direction in the 'method' of preservation, as well as the 'object' of preservation. And the legal concept of 'Collective Folklore Resources Zone'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includes ‘landscape value’, 'intangible value' and 'ecological value', which are the space-based preservation values of international norms. The policy of the Collective Folklore Resources Zone effectively preserves 'landscape value' through the designation and preservation system centered on buildings. In addition, through the folk village repair and maintenance project, it is seen that a certain part of the 'ecological value' in which cultural heritages are preserved in life while continuing the traditional way of life is also preserved. Howev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flexible perception of the 'original state' of the protection target and to present a specific target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at accommodates change', the various values of Collective Folklore Resources Zone including ‘intangible value’ must be comprehensively preserved in the end by designating traditional customs within Collective Folklore Resources Zone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to 'folk villages', 'activation of various types of designation' will also be necessary. The legalization and the changes of application process for the Collective Folklore Resources Zone have great implications for expansion of the concept of the preservation value, the improvement to appropriate preservation measures in the designated zone, the establishment of preservation principle through transmission in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olicy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Cultural Heritag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space-based protection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today.

      • KCI등재

        역사문화 콘텐츠 육성 정책의 회고와 전망

        양창진(Yang, Chang-Jin)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5

        한국은 해방 후 전쟁의 폐허 속에서 국가 주도형 산업화 정책을 바탕으로 고속성장을 이루었다. 자원과 에너지를 결집하여 신속히 압축 성장하기 위한 국가 주도 산업화 정책은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러한 경험을 하드웨어 정보 인프라 구축 및 정보 콘텐츠 축적에도 적용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제 우리나라는 산업화 단계를 넘어 지식 정보화 시대를 지나고 있다. 지식 정보화 시대는 제조업이 국가적 역량을 결정하던 과거와는 달리 정보의 축적과 이를 활용한 산업이 국가 발전의 토대가 되는 시대이다. 때문에 지식 정보화 시대에는 개인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민간 기업과 벤처 기업의 역할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국가 주도형 산업화를 추진해 온 우리나라가 정보화라는 시대 조류 속에서도 이전의 국가 주도 패러다임을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전략을 모색할 것인가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이 글은 우리나라가 과거에 추진한 국가 주도형 산업화 전략이 지식 정보시대의 정보 콘텐츠 및 DB 구축에도 유효할 것인가 하는 점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가가 추진하는 대표적인 지식 콘텐츠 구축사업 중 ‘국가DB사업’, 특히 역사 문화 분야의 DB 구축사업을 주로 고찰하였다. 이 사업은 국가주도의 디지털 사회간접자본 축적 사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국가 DB사업 전담기관인 한국정보화진흥원은 국가DB사업 출범 초기와 달리 단기간에 경제적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2차 가공 자료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전환하고 있다. 그런데 박근혜 정부는 출범하면서 국정과제로 정부3.0을 제시하였는데, 이 정책의 핵심은 정보의 공유 개방을 통한 국가 보유 콘텐츠의 민간 활용 제고에 있다. 이 정책을 위해서는 정부가 민간 영역에 속하는 콘텐츠의 2차 가공 사업은 지양해야 한다. 이렇게 정부와 정책 담당 기관 사이에 정책의 불일치가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경제적 가치 창출을 위한 활용은 민간에 맡기고, 국가는 여전히 원문 중심의 기초 자료 축적을 담당하여야 함을 선진국 사례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After the liberation and ruins of Korean War, Korea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on the basis of the state-led industrialization policy. This policy, despite many problems, mobilized resources and energy for compressive growth and had a big success. A result of the success now the private sector has been greatly expanded and the extent of state intervention in the economy was weaker. Korea is going through the knowledge information era. Unlike in the past, economic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ge depends on the capacity of na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So, the creativity of individuals to respond quickly to the change and the role of private enterprises has become more important. Then, is the state-led industrialization a old paradigm? This paper aims to look whether the state-led industrialization policy is available in this time. For this purpose, I focused on the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DB Project. National Information Agency is moving the direction of this project to build a secondary processing materials that can create economic value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the govern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proposed the Government 3.0 issues. The core of this policy is to promote the private advantage of the national informations by its’ opening and sharing. Secondary processing of content for economic values belongs to the private sector. In conclusion,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DB Project was a state-led digital social overhead capital or basic contents accumulation strategy and is still valid in the information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