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여성 정치네트워크 비교 고찰을 통한 정치참여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서헌주(Heon Joo Suh),김경숙(Kyung Sook Kim),송미영(Mi Yong So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0 여성연구 Vol.78 No.-

        본 연구는 18대 국회의원 선거 국면과 17대 국회의원 선거 국면과 크게차별성을 띠는 현상의 하나로 여성 관련 단체 및 NGO 또는 연구기관 간의연대조직 또는 네트워크 조직화가 현격히 줄어들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해 필요한 중요한 조건들 가운데 하나로 여성의정치참여를 위한 조직화 또는 네트워크화를 주장한다 . 아울러 본 연구는 여성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법 · 제도적 차원의 논의는 다양한 수준에서 이루어지는데 반해서 지역차원의 여성 관련 단체들 간의 연계를 통한 네트워크구성을 통한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 방안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논의의 초점을 여성의 정치참여를 위한 네트워크형성에 두고 , 그것의 필요성 , 개념 및 역할 등에 대해서 살펴본다.여성정치네트원크는 여성의 정치참여의 당위성과 그러한 당위성에 문제를제기시키는 우리사회의 다양한 사호|구조적 장벽들을 일정부분이나마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즉 , 전국적 수준은 물론 지역 수준의 여성단체들이 직면하는 문제 즉 , 정치참여에 있어서 중요한 인적 자원이나 조직, 물적 자원을해결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 여성정치네트워크는 각종 수준의 선거를 통한 정치과정에서 개인적인 차원이나분절된 조직 차원에서 영향력을 얻기 힘든 여성 관련 이슈 등을 의제화 시키는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러한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의 시도되었거나 진행 중인 여성정치네트워크구성 사례들을 살펴본 다음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간단히 요약하고 ,여성의 정치잠여 확대를 위한 정책제언들을 여성정치네트원크와 관련하여제시한다.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17th General Election and the 18th General Election, which is concerned with women's movement for enhancing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That is, the 17th General Election saw the rise of women's political network movements for expanding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which were activated by women's NGOs and interest groups while the 18th General Election saw the virtual absence of women's political network movements. This study notes this aspect of women's political movement and argues that in order to expand women's participation in politics, women's NGOs or interest groups reorganize or rebuild their own political (particip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past studies have tended to focus upon the law-institutional dimensions of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network movements for enhancing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could overcome the entrenched political, socio-economic, and cultural obstacles which are embedded in Korean society. That is, women's political networks on national or regional basis can solve various problems such as political finance, human resources, and organizing power facing (potential) female politicians in our society. Besides, women's political networks on national or regional level may greatly help put women-related issues on election agenda because it can serve as a important political pressure for political society. After reviewing the past experiences and cases of women's political networks (movements) both in Korea and Japan in comparative perspective, this study will look at a couple of possible ways of organizing women's political network. Finally, it will propose some policy tasks for improving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which are related to women's political network.

      • KCI등재

        한ㆍ일 여성 정치네트워크 비교고찰을 통한 정치참여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서헌주,김경숙,송미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여성연구 Vol.82 No.-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17th General Election and the 18th General Election, which is concerned with women's movement for enhancing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That is, the 17th General Election saw the rise of women's political network movements for expanding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which were activated by women's NGOs and interest groups while the 18th General Election saw the virtual absence of women's political network movements. This study notes this aspect of women's political movement and argues that in order to expand women's participation in politics, women's NGOs or interest groups reorganize or rebuild their own political (particip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past studies have tended to focus upon the law-institutional dimensions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network movements for enhancing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could overcome the entrenched political, socio-economic, and cultural obstacles which are embedded in Korean society. That is, women's political networks on national or regional basis can solve various problems such as political finance, human resources, and organizing power facing (potential) female politicians in our society. Besides, women's political networks on national or regional level may greatly help put women-related issues on election agenda because it can serve as a important political pressure for political society. After reviewing the past experiences and cases of women's political networks (movements) both in Korea and Japan in comparative perspective, this study will look at a couple of possible ways of organizing women's political network. Finally, it will propose some policy tasks for improving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which are related to women's political network. 본 연구는 18대 국회의원 선거 국면과 17대 국회의원 선거 국면과 크게 차별성을 띠는 현상의 하나로 여성 관련 단체 및 NGO 또는 연구기관 간의 연대조직 또는 네트워크 조직화가 현격히 줄어들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해 필요한 중요한 조건들 가운데 하나로 여성의 정치참여를 위한 조직화 또는 네트워크화를 주장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여성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법ㆍ제도적 차원의 논의는 다양한 수준에서 이루어지는데 반해서 지역차원의 여성 관련 단체들 간의 연계를 통한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 방안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논의의 초점을 여성의 정치참여를 위한 네트워크 형성에 두고, 그것의 필요성, 개념 및 역할 등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성정치네트워크는 여성의 정치참여의 당위성과 그러한 당위성에 문제를 제기시키는 우리사회의 다양한 사회구조적 장벽들을 일정부분이나마 극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즉, 전국적 수준은 물론 지역 수준의 여성단체들이 직면하는 문제 즉, 정치참여에 있어서 중요한 인적 자원이나 조직, 물적 자원을 해결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여성정치네트워크는 각종 수준의 선거를 통한 정치과정에서 개인적인 차원이나 분절된 조직 차원에서 영향력을 얻기 힘든 여성 관련 이슈 등을 의제화 시키는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의 시도되었거나 진행 중인 여성정치네트워크 구성 사례들을 살펴본 다음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간단히 요약하고,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정책제언들을 여성정치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제시한다.

      • KCI등재

        여성의 지방정치 참여와 지역여성운동 :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이혜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9 여성학논집 Vol.26 No.2

        Compared to males Korea does not have enough female political representatives such as National Assembly members and local politicians. This is due to the political culture of considering politics as the domain of men, the lack of awareness in political parties regarding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insufficient programs and policies to support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empowerment is a process by which oppressed persons gain some control over their lives by taking part with others in the development of activities and structures that allow people increased involvement in matters which affect them directly.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ways to provide a ground for more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local politics within Gyeongnam Province. Several suggestions must be made to expand the political participation in local politics. First,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ought to be provided for women to arouse women's interest in politics. Second, women's movement organizations have to make an effort to support female candidates and to create solidarity among women. Third, various programs are to be developed to help create women's politica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Fourth, a women's network is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gender politics in local areas. Affirmative action ought to be institutionalized, including a quota of 30% women as local council members. 1980년대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여성들도 하나의 정치세력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여성의 정치세력화는 민주화 과정 속에서 성장한 여성운동단체들이 중심이 되었으며 ‘영향의 정치’와 함께 직접적인 ‘참가의 정치’라는 이중전략을 실천해 왔다. 이 글에서는 여성의 정치세력화의 전반적인 흐름을 정리하고 정치참여에 주된 초점을 맞추어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여성의 정치세력화와 정치참여의 과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경남지역의 여성의 정치참여 관련 활동으로는 지역여성운동의 형성과 여성의 생활정치운동, 후보발굴과 여성후보에 대한 지원, 여성의 지방정치 참여와 조직적 연대활동 등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경남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방안과 과제로는 여성정치인의 양성과 발굴에 대한 중장기적 계획의 필요성, 검증된 여성후보 지원과 포용적 연대, 생활정치시대의 이슈의 개발과 지역여성의 조직화, 여성의 정치세력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여성정치조직 모색과 제도적 대안제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

        여성정치참여와 여성정치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송태수(Song, Tae-Soo),양민석(Yang, Min-Su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치 불신과 혐오현상이 확산되는 한국의 정치상황에서 여성정치교육이 갖는 의미를 밝히고 그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여성정치참여 현실과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 및 민주시민교육으로서 여성정치교육이 갖는 의미를 정리한다. 또한 우리사회 여성정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정부, 정당, 대학, 시민단체 등 여성정치교육 주체별 역할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정치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현재 여성정치교육이 교육주체마다 분산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익성을 갖추고 다양한 여성정치교육 활동을 포용하는 중심적인 여성정치교육 기관의 설립과 지원체계의 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정부ㆍ정당 및 제반 사회단체들의 여성정치교육을 소통시키고 상호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하며, 교육지원을 통합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여성정치네트워크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The reality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and activation plan of political education for women. Political education for women is the study conducted by various education institutions to enable women to recognize political phenomenon correctly and actively exercise rights & responsibility in community and society by developing own capability, in other word, political education enables women to raise strength of recognition ability for participating politics an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larifying the meanings and finding the development plan of political education for women under the current political circumstances, expansion of distrust and disgust in Korea.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summarize the current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supporting to activate the participation and meaning of political education for women as civil education. Also will review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political education for women from the point of Government, Parties, University and Civic group. Based on this, will raise the necessity for establishing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to activate women"s political education. Current political education of women is decentralized and conducted by various parties and it"s very inefficient. So should establish the public institution which could integrate various political education of women to overcome the inefficiency. And should set up the network of women"s politics with which Government, Parties and Social group can communicate and share the information each other and can integrate educational support.

      • KCI등재

        중국과 대만의 여성지위 비교연구: 정치참여를 중심으로

        이경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9 국제지역연구 Vol.23 No.1

        This study analyzed Chinese and Taiwanese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perspective of feminism. The study focused on factors that affected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Factors include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election system, patriarchy, women’s movement, and socio-cultural factors.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differed in China and Taiwan as results of ‘role of state’, ‘degree of democratization’, ‘effectiveness of laws and institutions’, ‘impact of patriarchy’, ‘women’s educational level’, ‘women’s movement’ and ‘spread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During the Planned-Economy era in China, many women participated in politics under state control. However, after entering into Market-Economy era,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became stagnant due to ambiguous laws and institutions, deterioration of state protection, relatively low women’s educational level, decrease in economic role, restriction on activities of women’s organizations, and existence of patriarchy. On the other hand, in the aspect of legislature participation before 2000, degree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was lower in Taiwan than in China. However, democratization, improvement of women’s educational level, increase in women’s economic role and active movements of women’s organizations weakened patriarchal system, which gradually expanded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with the spread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aiwan. 본 연구는 여성주의 관점에서 중국과 대만 여성의 정치참여 경험을 비교 분석하였다. 양안 여성의 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정치경제체제, 선거제도, 가부장제, 여성운동 및 사회문화적 요인 등을 분석하였다. 여성의 정치참여는 ‘국가의 역할’, ‘민주화 정도’, ‘법·제도의 실효성’, ‘가부장제의 영향’, ‘여성의 교육수준’, ‘여성운동’ 및 ‘성평등의식 확산’ 등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가져왔다. 중국은 계획경제시기 국가 주도 하에 많은 여성이 정치에 참여하였으나, 시장경제시기 진입 후, 모호한 법·제도, 국가의 보호기능 약화,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여성의 교육수준 및 경제적 역할 축소, 여성단체의 활동 제약, 가부장제의 지속적 잔존 등으로 인하여 여성의 정치참여가 답보상태에 놓였다. 2000년 이전 입법기관을 기준으로 대만여성의 정치참여수준은 중국여성보다 낮았다. 그러나 대만은 민주화의 진전,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 및 경제적 역할 증대, 여성단체의 활발한 활동 등을 통해, 가부장제가 완화되고 아래로부터의 성평등의식이 확산되면서 여성의 정치참여가 점차 확대되었다.

      • KCI등재

        체제전환 이후 동유럽국가 여성의 정치 참여 : 의회에서의 여성 대표성을 중심으로

        이규영(Lee Kyu-Young),김경미(Kim Kyung-Mi) 한국정치정보학회 2010 정치정보연구 Vol.13 No.1

        본 논문은 체제전환 이후 동유럽 국가의 의회에서 여성의 대표성을 중심으로 동유럽 여성의 정치참여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의회에서 여성의 대표성은 대의민주주의가 심화되면서 여성 정치참여의 주요 척도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체제전환 이후 동유럽 국가들의 의회에서 여성 대표성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인다. 첫째, 사회주의 하에서의 높았던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이 체제전환기에 모든 동유럽국가에서 급락했다. 둘째, 여성 대표율의 정도와 체제전환의 속도는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지 않다. 셋째, 대부분의 국가에서 1990년대 중반 이후 완만하기는 하지만 여성의원의 비율이 상승하고 있다. 동유럽 국가들은 대체적으로 여성에게 유리한 비례대표제나 소선거구/비례대표 혼합선거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슬로베니아만이 여성할당을 법적 강제조항으로 갖고 있다. 일부 정당들은 자발적 여성할당제를 실시하고 있으나 제대로 지켜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동유럽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은 한국이나 일본과 비교한다면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다. 따라서 향후 한국에서 여성의 정치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정치제도적 및 사회문화적 노력이 요구된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analyze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since system transition focusing on women’s representation in parliament of Eastern European countries. Women’s representation in parliament has become a key indicator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s representative democracy is being intensified. Women’s representation in parliament in Eastern Europe since system transition shows the following features: Firstly, higher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under socialist system drastically declined in the process of system transition in all countries of Eastern Europe. Secondly, there is no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women’s representation’s rate and the velocity of system transition. Thirdly, the percentage of women elected to parliament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after the mid-1990s in most of the countries. Eastern European countries on the whole implemen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or mixed election systems favorable to women and only Slovenia holds gender quota system to obligations. Some of political parties implement voluntary gender quota system but it is rarely enforced. However,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of Eastern European countries is not low at all compared to Korea or Japan. Thus various political institutional and socio-cultural efforts are required to expand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박범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9 『選擧硏究』 Vol.1 No.10

        본 연구는 다양한 선거제도의 변화를 통해 여성의 정치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는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를 중심으로 여성의 참여 확대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직선거법개정을 통한 점진적인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첫째, 시 ․ 도지사선거와 기초자치단체장선거에 있어 여성할당제 30% 의무조항을 신설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둘째, 광역의원선거에 있어서도 여성할당제 30%의 권고조항을 의무조항으로개정하고, 기초의원 지역구선거에 적용된 중선거구제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셋째, 기초의원선거에 있어 공직선거법 제26조 ②항과 ④항의 조문을 삭제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 외에도 몇가지의 공직선거법 조문에 대한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공직선거법의 개정은 여성의 수적 대표성을 확대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진정한 여성의 정치 대표성 확보를 위해 시민교육, 청년리더십프로그램, 여성의 정치아카데미, 여성정치박람회 그리고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한 여성의 조직력을 강화해 공천과정에서 여성의 선택 가능성을 높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은 젊은 층의 정치참여와 다양한 사회약자의 정치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모델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women’s participation on the results of nationwide simultaneous local elections that induce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various electoral system chang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policy for increasing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revision of the election law. First, it proposes to establish a 30% mandatory provision for women quota in city and provincial elections and election of basic local governments. Second, in the metropolitan council election, the recommendation provision of 30% of the quota system for women was revised as a mandatory provision, and the introduction of multi-member districts applied to the municipal council elections is proposed. Third, it proposes to remove the articles of Article 26 ② and ④ of the Public Election Law in the election of the basic members. In addition, we suggested that women’s choice in the process of nomination should be enhanced by strengthening the organization of women through civic education, youth leadership program, women’s political academy, women’s political exposition and various networks. The amendment of the election law for women to expand political participation will be an important model for participation of young people and political participation of various social underprivileged.

      • KCI등재

        지방선거 여성후보자의 성격과 선거과정

        이혜숙(Lee, Hyesook)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1

        이 연구는 2014년 6.4 지방선거 경남지역 여성후보자를 중심으로 여성후보자의 성격과 선거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여성의 지방정치 참여과정과 현황을 검토하고 여성 정치세력화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경남지역을 기반으로 여성후보자 전체에 대한 지역사례 연구로 여성후보자의 성격에 대한 심층적 접근이 가능하고 여성후보자들의 선거참여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여성의 정치세력화 연구의 지평을 넓힐 수 있으며 총체적이고 종합적인 전망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정치에 참여하는 여성후보자들의 전반적 성격은 어떠한가? 둘째, 여성후보자들의 선거참여 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당선된 여성의원들의 성격은 어떠하며 당선과 낙선에 작용하는 주된 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여성 정치세력화의 방향과 과제는 무엇인가? 이 연구는 2014년 6.4 지방선거 경남지역 여성후보자 60명에 대한 선거공보, 신문보도, 참여관찰을 통한 자료수집, 기존 문헌자료들을 통해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서 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접근방법은 선거공보에 나타난 항목들의 빈도나 상관관계 등을 살펴보는 양적 방법과 관찰내용이나 신문자료, 선거공보의 내용분석을 통해 특성을 유형화하는 질적 방법을 같이 사용하였다. 여성 정치세력화의 방향과 과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정치참여를 높이기 위한 여성후보 발굴과 여성후보 양성이 필요하다. 둘째, 여성의원들에 대한 역량강화를 통해 여성정치인의 전문성 확보와 정치역량 수준을 높여야 한다. 셋째, 여성후보의 경쟁력을 키우면서 적절한 홍보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 수준에서 여성의 정치세력화에 주된 관심을 두는 여성운동단체나 여성정치인네트워크가 필요하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analysis of female candidates who ran for the 2014 local elect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election process of female candidates in Gyeongnam province, this paper aims to find the goals and tasks for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The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candidates to participate in local politics? Second, what is the election process which is experienced by female candidates? Third, what is the nature of elected female members in local councils and what are the main factors for female candidate to win the local election? Fourth, what are the directions for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Based upon the official leaflets of 60 female members and participational observation of female candidate’s election process for the 2014 local election in Gyeongnam province, major findings for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iscover suitable women and raise the female candidates at the local level in order to increase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olitical empowerment. Second, female members in local politics must try to increase their expertise and political skills through various program for political empowerment. Third, it is important for female candidates to have a good PR strategy. Fourth, It is necessary to make women’s organization and women’s network which focuses on achieving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at the local level.

      • 스웨덴 여성정치참여의 제도적 발전과정과 한국에의 적용가능성 연구

        이헌근 한국시민윤리학회 2005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18 No.2

        여성 정치참여의 문제를 거론할 때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은 흔히 하나의 모델로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노르웨이의 경우 ≪인형의 집≫이라는 소설로 널리 알려진 여권을 위한 비련의 주인공 로라의 활동 무대였고, 한 때 가장 높은 여성의 정치참여율과 사회참여율을 기록한 바 있다. 이후 1980년대 중반부터는 스웨덴이 오히려 여성의 인권과 사회참여라는 측면에서 노르웨이를 앞서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스칸디나비아의 노르웨이,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 4개국의 경우를 일부 학자들은 ‘국가 페미니즘’((state feminism) 혹은 ‘여성 친화적인 국가들’(women-friendly states)이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스웨덴의 경우를 중심으로 여성정치참여가 점차적으로 높아져 가는 과정을 제도화라는 측면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물론 스웨덴처럼 남녀평등사회로의 발전과정 분석에는 역사적인 요인을 바탕으로 한 정치문화적 접근법(political culture approach)이 그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필자는 이미 다른 연구에서 이 문제를 다룬 바 있고,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남녀평등지수라는 점에 있어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스웨덴의 사례를 제도적 발전 과정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기로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스웨덴의 경험과 한국의 상황과의 대비를 통해 여성정치의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양성간의 조화, 평등사회를 지향해야 하는 한국 사회의 상황과 스웨덴의 역사적 경험을 대비하는 것은 시의적절하며, 향후 한국정치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중요한 작업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When we refer on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Scandinavian countries are ‘a model’ those seems desirable. Specially, Sweden is often nominated ‘women-friendly states’ or ‘state feminism’. That is so as to high level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also high level of gender equality. This paper examines the institutional process of women'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Sweden, and then I analyze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sweden. This is precedent work to adapt Swedish experiences to Korean cases. This paper concludes as follows. First, above all, we must know the importance of social consensus on gender equality, that is a short way to our happiness. Second, We need some efforts to eliminate social hurdles, for example, PR electoral system and quota system, lists system or zipper system, an effort to even seat distribution on Cabinet and Parliament, etc. Another paper is preparing this the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ctoral System and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Third, the aim on the women's representation guarantee is demands on the organization of women's movements, support of press, government and Political Parties. And finally, the best way to have a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 depends on social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n gender equality. The idea only must make we all be happy.

      • KCI등재

        지방의회 여성의원의 의정활동과 성평등 의식

        이혜숙(Lee, Hyesook) 한국여성학회 2014 한국여성학 Vol.30 No.1

        여성의 정치세력화를 위해서는 여성의원의 수가 늘어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적으로 여성의원의 증가가 의정활동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여성의원은 여성의 이해를 대표하는가, 여성의원이 경험하는 의정활동의 현실은 어떠한가 등에 대해서도 살펴보아야 한다. 이 글은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여성의 지방정치 참여현황을 살피고 구체적으로 여성의원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통해 여성의원의 의정활동과 성평등 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여성의원의 역량강화 및 여성의 정치세력화를 위한 방안과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주요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원들의 정치참여 경로와 의정활동의 성격은 어떠한가? 둘째, 여성의원의 성평등 의식과 여성문제 및 여성정책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가? 셋째, 여성의원으로서 경험하는 의정활동의 현실은 어떠한가? 넷째,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와 역량강화 방안에 대한 여성의원들의 의식과 전망은 어떠한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원은 주로 정당이나 사회단체 활동경험을 통해 정치에 입문하였으며 적극적으로 의정활동을 하고 있었고 의정활동의 주된 관심 영역은 ‘사회복지 실현’, ‘여성의 권익증진’ 순이었다. 둘째, 여성의원의 성평등 의식은 비교적 높았으며 여성문제에 관심도가 높았다. 셋째, 여성의원은 여성문제에 대한 관심이나 여성으로서 경험하는 의정현실의 유?불리에 대한 의식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여성의원은 역량강화 및 여성의 정치세력화를 위해서 선거제도 개선, 사회문화적 의식변화, 정당의 지원, 여성단체의 지원, 전반적인 네트워크의 활성화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여성의원의 역량강화 방안을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고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와 관련한 다양한 제도에 대한 보편적인 담론이 형성되어야 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egislative activities of female members in local councils and their perceptions of gender equality focused on Gyeongnam Province. The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process in political participation did female members in local councils experience? Second, how much female members in local councils are interested in gender issues or women’s policies? Third, what kind of opinions do female members have about the current situations in local councils in terms of gender equality? Fourth, what are their perceptions and opinions about the ways of improvement regarding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Based upon the survey outcomes of 31 female members in Gyeongnam local council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female members took part in the local politic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political parties and the activities of NGOs in community. Female members whose main interests are ‘social welfare’ and ‘women’s interest’ take part actively in the local politics. Second, female members in local councils have high perceptions about gender equality. And they are also much interested in gender issues and women’s policies. Third,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female members in local councils in terms of opinions about advantage and disadvantages as a female member. Fourth, in addition to the change of political culture, gender friendly systems, supports of political parties and activation of women’s networks are important for achieving women’s political empowe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