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엄복 : 서양에서 새로운 학문을 구하다

        양일모(Yang, Ilmo)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6 동서인문 Vol.0 No.6

        이글은 19세기 말 중국이 외부로 시선을 전환하게 되는 시기에 활동한 엄복(嚴復, 1854~1921)이라는 한 지식인의 외국 경험을 사상사적 맥락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엄복은 중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영국의 대학에 유학한 인물이다. 그가 영국에 유학한 1877년에는 마침 최초의 중국인 외교관이라고 할 수 있는 곽숭도가 영국에서 공사로서 근무하기 시작한 때였다. 당시의 외교관은 소수의 유학생들의 학업과 생활을 지도하는 역할을 맡고 있었고, 곽숭도는 자신의 일기에 당시 학생들의 상황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주로 곽숭도의 일기 등의 자료를 통해 엄복이 영국에 유학한 기간 동안의 학업과 생활 등을 살펴보면서, 엄복이 청년 시절에 서양의 학문을 어떻게 평가하고 서양의 사회를 어떻게 이해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영국 유학이라는 그의 개인적 체험이 귀국 후 의식적으로 되풀이 되면서 그의 사상 형성에 미친 영향 관계도 검토해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an intellectual approach of Yanfu’ foreign experience, who went to study overseas in the late Qing dynasty for the first time in Chinese history. When he went to the British Empire for training to become a naval officer in 1877, China began to dispatch a diplomat to foreign countries. Guo Songtao, the first diplomatic minister to England, took on the position of guidance for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at London, he wrote all matters pertaining to the students minutely in his diary. I am going to give a detailed explain about Yanfu’s life and study while he was in Royal Naval College, mainly making use of Guo’s diary. Furthermore,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he understood Western learning and Western societies when he was young, furthermore, to review how his personal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made an influence on his thought after returning China.

      • 엄복의 노장 해석에 나타난 중국 전통의 정반합

        김현주 ( Kim Hyunju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20 중국사회과학논총 Vol.2 No.2

        중국 근대 초기 자유주의자로 잘 알려져 있는 엄복(嚴復, 1854-1921)은 몽테스키외나 밀과 같은 서구 사상가들의 저서를 번역하여 서구 사상을 중국에 소개한 인물이다. 후에 그는 서구 자유주의사상을 중국의 전통, 특히 노장사상과 연관시켜 이해하여 서구와 중국, 전통과 현대를 결합시키고자 하였다. 그는 중국의 전통적 주류 사상에 대해 “쓸모도 없고(無用)”, “내용도 없다(無實)”고 비판하였지만, 노장 사상 속에 서구의 자유와 민주사상적 요소들을 발견하였다. 그에게 있어서 중국의 전통은 양면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이었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부정의 대상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긍정의 대상이었다. 즉 그것은 극복의 대상이면서도 재건의 대상이기도 했다. 엄복에 의해 전통은 더 이상 낡고 쓸모없는 것이 아니라 새롭고 쓸모 있는 현실의 철학이 되었다. 전통의 부정, 긍정, 종합이라는 변증법적 과정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그는 그동안 비주류로서 간과되어 오던 노장사상에 대해 긍정하는 한편, 자유, 민주, 개인, 사회 등과 같은 개념들을 중국 사회가 자신의 것으로 수용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노장사상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엄복은 경제적으로는 자유주의적이고,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적이고, 철학적으로는 개인주의적인 자신의 입장을 투영했는데, 서로 상반되어 보이는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천리(天理)’라는 자연법에 따르는‘무위(無爲)’를 통해 조화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본 점에서 이를 통해 엄복의 사상 전반의 기본적 토대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중국 사회에서 상이한 가치들의 공존이 가능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엄복의 노장 사상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당대 중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전통의 재해석이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정당화를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점과 달리, 엄복의 목적이 자유와 민주를 선전하고 내화시키기 위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Yanfu(嚴復, 1854-1921) who has been known as an early liberals in the Modern China, translated many books of Western thinkers such as Montesquieu and J. S. Mill. He tried to combine Western thoughts with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especially Laozi’s and Zhuangzi’s. Even if he criticized Chinese traditional main thought as “useless” and “insubstantial”, he found elements of freedom and democracy in Laozi’s and Zhuangzi’s thoughts. He recognized them to prepare the ground to accept and disseminate Western concepts like freedom, democracy, individual, society, etc. in China. Chinese tradition had ambivalence to Yanfu. It was what to deny on the one hand, and it was also what to affirm on the other. So to speak, It is what to overcome on the one hand, and it was also what to rebuild on the other. Now tradition is no longer old and useless, but has become a new and useful philosophy of reality. Through modern reinterpretation, Yanfu projected his position which is economic liberalist, political democrat, and philosophical individualist. And he thought that the political ideologies that seems to contradict each other, could be reconcilable by ‘Wuwei無爲’ following ‘Tianli天理’, the nature law. Understanding these can make us understood Yanfu’s whole idea and futhermore it can show us some possibility to see that different values can coexist in Chinese society. Actually the reinterpretation and modernization of Chinese tradition is on going in contemporary China. But it is so much different from Yanfu, who wanted to promote freedom and democracy in modern China.

      • KCI등재

        설림(說林) 논엄복(論嚴復)의 근대화 사상

        야오취안더 중국사학회 2012 中國史硏究 Vol.81 No.-

        엄복(嚴復)은 시대에 적응하여 발전하는 민족은 생존하므로 국가를 다스리는 방법은 시대에 부응하여 나아가야 한다고 보았다. 중국은 지금까지 비록 큰 변법을 진행하여 생존과 발전을 모색해 온 것은 아니었는데, 이는 모두가 중국에 비해 발전 수준이 낙후한 민족들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 서방 문명은 오히려 중국 문명에 비해 훨씬 선진적 문명이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중국은 빈궁하고 허약하여 변법 개혁을 하지 않으면 필연적으로 나라가 망할 지경에 처해 있다. 엄복은 중국의 전통적인 정치철학, 문화 풍토, 학술 풍토상 결점과 허황된 면이 아주 많다고 보았다. 엄복은 정교법제(政敎法制)가 군주 성인에게서 비롯된다는 한유(韓愈)의 이론은 지극히 황당한 것이라 하면서 인민이 국가 권력의 근본이라고 주장하였다. 중국은 바로 이러한 황당한 이론에 따라 오랫동안 우민정책으로 나라를 이끌어 왔고, 이것이 중국과 서양 민주국가가 만날 때마다 패전을 거듭하게 하였다고 보았다. 중국 전통의 문화적 학술적 풍토는 고담준론을 줄기면서 실천을 중시하지 않았고, 역사적 경험을 중시하면서 창조적 발전을 중시하지 않고 개인적 자유를 압박하였을 뿐만 아니라 소극적 방법으로 사회의 안정을 유지하려고 하여 결국 중국을 날로 낙후되게 만들었다고 보았다. 엄복은 중국이 반드시 서방의 실력을 배워야 살아 남을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변법 개혁을 위해 유리한 국내외적 환경을 만들어야하고, 개혁파가 정부 기구에서 실권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그런 다음 악습을 제거하고, 서양 학문을 보급하고 민주화를 통해 민력(民力), 민지(民智), 민덕(民德) 등등을 제고하여 점진적인 방식으로 중국 현대화를 완성해 가야 한다고 보았다. 무술변법 기간의 다른 사상가들과 비교해 볼 때 엄복은 서방 문화에 대한 이해, 중서 정치 사상 등 방면의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 탁월하였다. 그 이후 중국 사상 문화계에서는 거대한 변화가 일어났고, 엄복은 이 거대한 변화의 선구자였다. 그러나 엄복은 중국 문화를 비판하면서도 서양 문화에 대해서 맹종하지도 않았고, 서양 문화가 가진 모종의 결함을 파악하면서도 동시에 중국 문화에 대해 무조건 긍정하지도 않았다. 이러한 객관적 태도가 칭찬할 만하다.

      • KCI등재

        서세동점과 위원·엄복의 대응

        류희성 ( Yoo Hee-sung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9 철학논집 Vol.58 No.-

        이 글의 목적은 19세기 중엽 서양의 제국주의 세력이 중국을 주 타깃으로 삼아 동아시아를 침략했던 이른바 ‘서세동점’에 대해 초기에 대응한 위원(魏源)과 엄복(嚴復)의 철학을 고찰하는데 있다. 필자는 ‘서세동점’으로 야기된 중국근대철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 중국근대철학이 발생된 역사적 계기는 ‘아편전쟁’이지만, 어떤 사람부터 시작되었는지에 대해선 명확하게 제시하지 않고 있다. 둘째, 엄복은 위원의 주장을 처음으로 충실하게 수행하였으며, 이후에 전개된 중국철학과 현대신유학의 발원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간과되고 있다. 셋째, 중국의 근대역사 혹은 철학사를 ‘서세동점’에 의한 일방적인 ‘서양수용’의 관점으로 보고 있다. 이 세 가지 문제에 대해 해명하는 것이 이 논문의 내용이다. 그 내용은, 우선 중국근대철학은 ‘서세동점’에 대응해서 “오랑캐의 장기를 배워 오랑캐를 제압하자”는 명제를 주장한 위원부터 시작된다는 점과 엄복이 처음으로 위원의 주장을 충실하게 수행했고, 엄복의 서양수용의 방식은 이후 중국철학과 현대 신유학의 탄생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는 점, 마지막으로 ‘서세동점’의 역사는 일방적인 ‘서양수용’이 아니라, 서양의 중국화 혹은 중서문화의 융합과정이라는 점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examine the philosophy of Wei Yuan and Yan Fu who initially responded to the so-called 'the eastern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which meant the invasion of Western imperialist powers to the East Asia containing China in the mid-19th century. I think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in studying modern Chinese philosophy caused by 'the eastern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First, the historical trigger for modern Chinese philosophy is the 'Opium War', but it has not been clearly presented as to from whom it was originated. Second, it has been overlooked that Yan Fu carried out Wei Yuan's argument faithfully for the first time and Wei Yuan’s argumen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origin of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Chinese philosophy and new Confucianism. Third, China's modern history or philosophy history i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one-sided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by 'the eastern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It is the content of this paper to explain these three questions. The content is that modern Chinese philosophy begins with Wei Yuan, who insisted on the proposition to 'learn the strong points of western barbarians and thereby to conquer them' in response to the 'the eastern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and Yan Fu's method of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for the first time faithfully carried out Wei Yuan's argument, which later influenced Chinese philosophy and new Confucianism greatly. Finally, it is revealed that the history of 'the eastern penetration of western powers' is not a one-sided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but a process of western Chineseization or the fusion of Chinese culture.

      • KCI등재

        隔著現代的門檻往回看―嚴復 「再創作的」 翻譯文學作品 《天演論》

        주숙하 중국어문논역학회 2011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28

        중국의 근대는 고전에서 현대로 변화해가는 전환기이며 이 과정에서 특히 번역문학은 중국문학사에 큰 영향을 주었다. 엄복이 번역한 《천연론》은 그 시대의 고문으로 서양의 새로운 학문을 소개한 작품 중에서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고문으로 서양 서적을 번역하려는 시도는 결국 백화문이 주요한 번역수단으로 그 자리를 잡게 되었지만, 고문의 전통은 지금까지도 단절되지는 않았다. 본고는‘譯文中心論’에서 출발하여‘現代轉型’의 관점으로 엄복의 《천연론》 번역작품이 번역문학사 상 많은 시도를 했다는 것을 재 발굴하고자 한다. 《천연론》은 중국 지식인들의 시야를 전통 經學論爭에서 벗어나 서양 과학과 철학으로 확대시켜 당시 중국인들에게 신 세계관을 소개하였다. 고문으로만 서양의 학문을 소개하고자 한다면 많은 부족함과 한계를 느낄 수도 있지만 현대의 사유를 반영시키는데 있어서 고문이라는 저변 바탕을 배제할 수는 없다. 엄복의 천연론은 원문의 제 1인칭 서술법을 중국 史書에서 흔히 사용되는 제 3인칭 서술법과 각주를 사용하는 형식으로 바꾸었다. 또한 桐城派 고문에서 강조하는 聲律도 유의하면서 화려하고 古雅한 문장을 통하여 당시 상류층 지식인들이 배타 감 없이 자연스럽게 흡수될 수 있도록 서양의 진화론을 중국에 성공적으로 소개하였다. 《천연론》을 연구하는 논술은 많지만 본고는 구체적으로 엄복이 어떠한 수법으로 자신의 의도를 담아 서양의 최신사상을 중국문인들에게 소개하려는 지에 대한 분석과, 늘 번역학사에서 비판을 받던 《천연론》의 또 다른 긍정적인 면을 찾아내고자 한다.

      • KCI등재

        엄복의 근대인식과 중·서학의 회통

        윤지원 한국유교학회 201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6

        At the last reign of Qing dynasty, the Great west Powers' intruder has made their culture attack on Chinese native culture strongly. At that time, the intellectual class had to react to the attack. One of the most essential factors that made up the culture is value. The core distinction in different cultures is the diversity of value concept and value system. Facing with the huge attack of western culture, chinese were bound to reconstruct own value in that time. YanFu is an intellectual who represents modern China. He lived the tradition and a modern time of China from late 19th to early 20th. He studied and experienced the West more eagerly than anybody else. After returning to Chinese from studying in England, he analyzed Chinese society with base of principle and value of the we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ollowing 1)YanFu's perception of Modernity 2)Attitude of YanFu to Chinese traditional studies and Western studies 3)Criticism of YanFu for theory of Chinese culture in western use(中體西用) 엄복은 청나라 말기 중국에서 태어나 중국의 근대를 장식했던 지식인이다. 1870년대 중국인으로서 최초 영국의 왕립해군학교에 유학했으며, 해군 항해사가 되어 중국의 국방을 담당했던 근대적 군인이었다. 또한 그는 과거 시험에도 응시했던 전통적인 유학자였다. 그의 삶은 20세기 전환기의 중국에서 살았던 지식인의 인생 역정을 보여주며 동시에 서양의 사상과 문화가 융합된 중국의 근대를 보여준다. 본 글은 중국 근대 인문지식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친 엄복의 근대인식과 중학과 서학 그리고 중체서용에 대한 엄복의 태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일전쟁 패배의 충격 속에 서양의 지식이 중국의 진보적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수용되었고 또 그것이 어떻게 극복되었는지 엄복의 사유 체계 속에서 그 논리 구조의 단편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망국의 위기로부터 출발한 서구지식의 수용은 중국으로 하여금 자신들과 다른 세계를 의식하게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 서구지식에 대한 극복은 중국이 자신을 변화시키고 정체성을 확립할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 KCI등재

        隔着现代的门槛往回看 - 严復 「再创作的」翻译文学作品 《天演论》

        朱淑霞(Shu-shia Chu) 중국어문논역학회 2011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28

        중국의 근대는 고전에서 현대로 변화해가는 전환기이며 이 과정에서 특히 번역 문학은 중국문학사에 큰 영향을 주었다. 엄복이 번역한 《천연론》은 그 시대의 고문으로 서양의 새로운 학문을 소개한 작품 중에서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고문으로 서양 서적을 번역하려는 시도는 결국 백화문이 주요한 번역수단으로 그 자리를 잡게 되었지만, 고문의 전통은 지금까지도 단절되지는 않았다. 본고는‘譯文中心論’에서 출발하여‘現代轉型’의 관점으로 엄복의 《천연론》 번역작품이 번역문학사상 많은 시도를 했다는 것을 재 발굴하고자 한다. 《천연론》은 중국 지식인들의 시야를 전통 經學論爭에서 벗어나 서양 과학과 철학으로 확대시켜 당시 중국인들에게 신 세계관을 소개하였다. 고문으로만 서양의 학문을 소개하고자 한다면 많은 부족함과 한계를 느낄 수도 있지만 현대의 사유를 반영시키는데 있어서 고문이라는 저변 바탕을 배제할 수는 없다. 엄복의 천연론은 원문의 제 1인칭 서술법을 중국 史書에서 흔히 사용되는 제 3인칭 서술법과 각주를 사용하는 형식으로 바꾸었다. 또한 桐城派 고문에서 강조하는 聲律도 유의하면서 화려하고 古雅한 문장을 통하여 당시 상류층 지식인들이 배타 감 없이 자연스럽게 흡수될 수 있도록 서양의 진화론을 중국에 성공적으로 소개하였다. 《천연론》을 연구하는 논술은 많지만 본고는 구체적으로 엄복이 어떠한 수법으로 자신의 의도를 담아 서양의 최신사상을 중국문인들에게 소개하려는 지에 대한 분석과, 늘 번역학사에서 비판을 받던 《천연론》의 또 다른 긍정적인 면을 찾아내고자 한다.

      • KCI등재

        근대 전환기 중국의 문명 인식과 ‘天’ ‘國’ 관념-담사동과 엄복을 중심으로-

        박영미 ( Park Young-mi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7 No.-

        19세기 말 중국은 거대한 변화 속에 있었다. 정치 경제 문화 방면에서 중국의 오랜 문명은 서양으로부터 유입된 새로운 문명의 도전을 받았다. 전통적인 것은 균열되었고, 새로운 것에 대한 모색이 시작되었다. 중국의 지식인들은 자신들의 문명이 아닌 서양 문명의 우월함을 인정했고, 서양 문명을 도달해야 하는 목표로 설정했다. 이와 같은 문명에 대한 변화된 인식은 중국이 직면한 현실의 절박함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서양의 사상과 제도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태도의 변화로 이어졌다. 본 논문은 근대 전환기 문명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이에 따라 이루어진 ‘天’과 ‘國’의 변화에 주목한다. ‘天’과 ‘國’은 중국의 정치 사회의 근거가 되는 관념이었다. 담사동과 엄복은 ‘에테르’와 ‘사회진화론’을 수용해서 재정의하고, 전통적인 국가를 유지시켰던 규범들을 비판하고 국가 원리를 제안한다. 이러한 전통적 관념들의 균열과 재정립을 검토하는 것은 동아시아의 근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China was in the time of upheaval. The Chinese traditional civilization - in the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aspects - had been challenged by the new civilization introduced by the western countries. The traditional civilization started disintegrating and tried to find a way to look for something new positively. Chinese intellectuals admitted that the western civilization was superior to the Chinese one and made a goal to develop the Chinese civilization to the level of the western civilization. Their altered perspective toward civilization was caused by the current desperation and led to the change of their attitude - accepting the western thoughts and social and political systems. This thesis focuses on the change of Chinese perspective toward the early modern civilization and the change of ideas of “天” and “國” consequently. “天”and “國” are the Chinese political and social bases. Tan Si Tong and Yan Fu embraced “ether” and “social Darwinism” to define “天”, and criticized the norms and principles that had maintained the traditional stat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se disintegrated and redefining these traditional ide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modernization of East Asia.

      • KCI등재

        유길준 『서유견문』과 嚴復 『天演論』의 ‘國家富強’ 상상 비교

        김선영 ( Kim Sun Young ) 한국중국학회 2023 중국학보 Vol.106 No.-

        본 논문은 19세기 말 비슷한 시기에 출판된 조선 개화파 유길준의 『서유견문』과 중국 維新派 嚴復의 『天演論』의 텍스트 비교를 통해 당시 개혁파 지식인들의 저작을 통해 드러낸 국가부강에 대한 상상의 구체적인 면모를 살펴보았다. 저자인 유길준과 嚴復은 모두 과거제에서 이탈하여 서방교육과 학문을 받아들인 새로운 부류의 지식인이었지만 실제 저작 서술에 있어서는 완전히 혁신적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우선 그들은 실제 정치에 관여할 수 있는 사대부 계층을 저작의 독자 계층이자 국가부강을 위한 개혁의 주체로 삼고, 이들에게 효과적으로 저작을 보급하기 위하여, 중도개량적인 특성을 가진 ‘서면어’와 번역에 자기 논의를 더한 ‘해석적 번역’이라는 글쓰기 방식을 선택하였다. 그들은 이러한 저술전략을 바탕으로 당시 유행하던 ‘진화론’과 ‘문명개화론’을 배경이자 근거로 삼은 각 국의 국가부강의 구체적 방향과 관련 정책을 제시한다. 그들의 목표는 그들 각자가 속한 조선과 중국이 당시 ‘민족-국가’로 구성된 세계 질서 안에서 독립된 주권을 가지고서 국가와 국민이 더 진화하고, 더 문명화된 내용을 가지게 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그들이 제시한 가장 구체적인 방책은 학교 설치 중심의 교육 개혁이었다. 그러나 이는 완전히 새로운 문명화된 국가로의 진화라는 목표, 그리고 직분을 중시하고 이에 따른 계몽자와 피계몽자의 관계를 전제한 소극적인 교육 개혁 수단 사이에 이미 일정한 괴리가 존재했으며, 이는 두 저자의 국가부강 상상 실천에 대한 일정한 한계로 작용했다. This treatise examined the specific appearances of the nation's prosperity conceived through the works of reformist intellectuals in the late 19th century, by comparing the texts of You Gil-jun's 『SeoYouGyeonMun』 and the one of Chinese reformers, Yan fu’s 『Tianyanlun』which published at the similar period. The authors You Gil-jun and Yan Fu were both a new generation of intellectuals who had seceded from the imperial examination system and received western education and erudition, but in terms of their authorship, they cannot be said to be completely innovative. Firstly, they regarded the literati and officialdom who could participate in actual politics as the readership of their writings and the main body to be reformed for the prosperous n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disseminate their works to them, they chose the writing method by the “written language”, which has the moderate improvement characteristics, and the “explanatory translation” with the self-discussion. Based on these writing strategies, they proposed specific directions and related policies for the prosperity of each country, by the theories of ‘Evolutionism’ and ‘Civilization-Enlightenment Theories’ which were popular at the time. Their goal was to ensure that the Nation, where they were belonged, Choseon and China, has the independent sovereignty respectively within the World ordered by the “Nation-State” hierarchy at that time, and enable the country and its people to be more evolved and civilized. For this, the most specific countermeasure they proposed was educational reform, focusing on founding the school. However, there was already a certain deviation between the relatively passive educational reform methods, which based on the premis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lightened and illuminator who value their position, and the goal of evolving into a whole new civilized nation. And this had also become a limitation of the two authors' imaginative practice to the Nation’s Prosperity.

      • KCI등재

        중국 근대 번역의 다시쓰기 : 엄복과 화합본의 <마가복음> 번역텍스트 비교

        황지연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8 통번역학연구 Vol.22 No.1

        Lefevere argued that it is difficult for translation text to perfectly reflect the original text as translation involves the process of asymmetric exchanges of different cultures. It is because translation is inevitably affected by ideology, poetics, and sponsors. That is why translators are engaged in ‘rewriting’ of the original text. According to Lefevere, ideology refers to a network of ideas accepted by a certain group of people in society at a certain period of time in history. Translators are inevitably under the influence of such ideas in their process of translating the originaltext. Sponsors, as spokesperson of ideology, also interfer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rough their power. The expert group, consisted of writers and translators, conducts their work through poetics skill within the boundary of ideology permitted by sponsors. The modern history of Chinese translation from 1840 to 1919 is the period that witnessed the proof of Lefevere’s translation theory. This paper applies Lefevere’s translation theory to the two modern Chinese translation versions of the Bible; <The Gospel of Mark> translated by Yan Fu and the Chinese Union Ver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