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인지능력에 대한 언어적 예측변인

        이미숙 ( Lee Mi-soo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2

        언어-인지 능력은 노화의 주요한 예측변인이며, 경도인지장애나 치매의 초기 지표가 될 수 있다. 특히, 신경학적 질환의 초기 단계에 나타나는 언어-인지적 변화는 생리학적인 노화현상과 유사해 변별적 진단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신경병리학적 진단 이전에 노인의 언어 및 인지 능력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를 예측하는 변별적 기능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언어 및 인지 영역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2명의 청년((24.56±2.73세)과 34명의 노인(74.26±5.90세)을 대상으로 K-BNT-15, K-WAB, CAPTBI를 적용하여 대면이름대기, 비유언어 이해 등 5개 언어 능력과 기억력, 집행기능 등 5개 인지 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면이름대기, 비유언어 이해, 기억력, 집행기능 등 모든 언어-인지 능력에서 노인은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둘째, 문제해결력, 시지각력 등의 인지 능력과 비유언어 이해, 비유언어 표현 등의 언어 능력이 상대적으로 예측력이 높은 변인에 해당하였다. 셋째, 대면이름대기는 주의력과 집행기능, 비유언어 이해는 시지각력, 생성이름대기는 기억력과 문제해결력을 잘 예측하는 언어 과제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언어 및 인지 능력이 노화의 예측변인으로서 매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언어-인지의 각 영역이 갖는 변별력과 예측 과제를 분석함으로써 임상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증거 기반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Linguistic and cognitive abilities are critical in predicting aging. They are also the early indicator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Linguistic and cognitive changes in the early stage of neuropathological disease are similar to those of normal aging,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iscriminate them. It is necessary to examine linguistic and cognitive aspects of aging before diagnosed as neuropathological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inguistic and cognitive domains used as a differential function detecting aging. We selected 32 young adults (24.56±2.73 years) and 34 older adults (74.26±5.90 years), and administered the K-BNT-15, K-WAB, CAPTBI in measuring their five linguistic and five cognitive abilities. There were three main findings. First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young and aged adults were detected in both language and cognition like confrontational naming, confrontational naming,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Secondly, several domains(problem solving, visuoperception, figurative language comprehension, and figurative language expression) had higher group discrimination. Lastly, confrontational naming task significantly predicted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and figurative language comprehension was the sensitive linguistic measure for assessing visuoperception in elderly people. Generative naming detected memory and problem solving of the aging population accurately. The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the linguistic and cognitive abilities are very useful as the predictors of aging. This examination also provides clinically informative evidence-based data.

      • KCI등재

        자동 언어 환경 분석치로부터 18-20개월 말-언어 발달 예측 연구

        하승희,하승희,김호,이유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6-8개월과 12-14개월의 언어 환경기 (LENA) 자동 분석치가 18-20개월 말-언어 발달을 예측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일반 아동 18명으로부터 6-8개월, 12-14개월, 18-20개월에 하루 동안 아동의 가정에서 수집된 LENA 녹음자료를 수집하였다. 6-8개월과 12-14개월의 녹음자료에서는 LENA 자동 분석치인 성인 낱말 수(AWC), 대화 주고받기 수(CTC), 아동 발성 수(CVC)를구하였다. 18-20개월 녹음자료에서는 서로 다른 낱말 수, 자음 목록 수, 음운 구조 목록 수를 구하였다. 이를 통해 6-8개월과 12-14개월 LENA 자동 분석치가 18-20개월의 말-낱말 측정치를 예측하는지 상관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CTC와 CVC는 18-20개월의 모든 말-낱말 측정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6-8개월의 CTC는 18-20개월의 서로 다른 낱말 수, 자음 목록 수, 음운 구조 목록 수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12-14개월은 CTC, AWC, CVC가 18-20개월의 서로 다른 낱말 수를 예측하였으며, 12-14개월의 CTC는 추가로 18-20개월의 자음 목록 수, 음운 구조 목록 수도 예측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영유아와 주양육자 간 상호작용이 이후 말 언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조기 언어 환경이 아동의 말-언어 발달에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

        특성확인질문 제시에 따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개인화된 예측추론

        정수연(Jeong, Su Yeon),최소영(Choi, So Young)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3

        연구목적: 추론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어려움을 보이는 언어 영역 중 하나로, 그 중 개인화된 예측추론은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행동을 파악하는 과정이며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에서 특성확인질문 제시에 따라 수행의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만 4세에서 6세인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각 12명, 총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는 행동 특성을 나타내는 6개의 어휘(착하다, 나쁘다, 예의바르다, 욕심쟁이다, 깨끗하다, 버릇이 없다)를 포함하는 전제문장을 듣고 예측추론 질문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특성확인질문의 제시 유무에 따라 전체 24문항을 절반의 세트로 나누어 역균형화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에 비해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 수행에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두 집단 모두 특성확인 질문이 제시된 조건에서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 수행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오류 빈도 및 유형을 살펴보았을 때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오류를 보였으며 가장 많이 나타난 오류 유형은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상황추론’이었다. 결론: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에 비해 개인화된 예측추론 과정에서 어려움을 보이나 행동 특성을 확인하는 절차와 같이 추론을 촉진하는 방안을 도입한다면 보다 적절한 수행이 가능할 수 있음을 확인한 본 연구는, 향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추론 특성에 관한 연구 및 중재 방향을 모색함에 있어 경험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Purpos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face difficulties with inference among various language area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children with SLI showed differences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characteristic confirmation question in a personalized predictive inference task.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2 children with SLI aged 4 to 6 years old, and 1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ho matched their chronological age (CA). The personalized predictive inference task of a premise sentence including six words (good, bad, polite, greedy, clean, and not spoiled), indicating person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fter listening to the sentence,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predictive inference question. A total of 24 sentences were divided into half sets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characteristic confirmation question. Result: First, children with SLI showed difficulty in performing personalized predictive inference tasks compared to the CA group. However, both groups showed a better performance of task the characteristic confirmation question was presented.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and types of errors, children with SLI showed relatively more errors, and the most common error types were of “situation inference” in both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SLI have difficulty processing personalized predictive inference, but more appropriate inference can be achieved by introducing a method to facilitate the proces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empirical data and implications considering future studies and language interventions for SLI.

      • KCI등재

        Zero-Shot 기반 기계번역 품질 예측 연구

        어수경,박찬준,서재형,문현석,임희석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1

        최근 다언어모델(Cross-lingual language model)을 활용하여 한 번도 보지 못한 특정 언어의 하위 태스크를 수행하는 제로샷 교차언어 전이(Zero-shot cross-lingual transfer)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계번역 품질 예측(Quality Estimation, QE)을 학습하기 위한 데이터 구축적 측면에서의 한계점을 지적 하고, 데이터를 구축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QE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로샷 교차언어 전이를 수행한다. QE에서 제로샷을 다룬 연구는 드물며, 본 논문에서는 교차언어모델을 활용하여 영어-독일어 QE 데이터에 대해 미세조정을 실시한 후 다른 언어쌍으로의 제로샷 전이를 진행했고 이 과정에서 다양한 다언어모델을 활용하여 비교 연구를 수행했다. 또한 다양한 자원 크기로 구성된 언어쌍에 대해 제로샷 실험을 진행하고 실험 결과에 대해 언어별 언어 학적 특성 관점으로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multilingual BART와 multillingual BERT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특정 언어쌍에 대해 QE 학습을 전혀 진행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QE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zero-shot cross-lingual transfer, which leverages cross-lingual language models (CLLMs) to perform downstream tasks that are not trained in a specific language. In this paper, we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the data-centric aspect of quality estimation (QE), and perform zero-shot cross-lingual transfer even in environments where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QE data. Few studies have dealt with zero-shots in QE, and after fine-tuning the English-German QE dataset, we perform zero-shot transfer leveraging CLLMs. We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various CLLMs. We also perform zero-shot transfer on language pairs with different sized resources and analyze results based on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each languag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in multilingual BART and multillingual BERT, and we induced QE to be performed even when QE learning for a specific language pair was not performed at all.

      • KCI우수등재

        다중 인코더 구조를 활용한 기계번역 품질 예측

        허담,이원기,이종혁 한국정보과학회 2022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9 No.7

        Quality estimation (QE) is the task of estimating the quality of given machine translations (MTs) without their reference translations. A recent research trend is to apply transfer learning to a pre-training model based on Transformer encoder with a parallel corpus in Q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ual-encoder architecture that learns a monolingual representation of each respective language in encoders. Thereafter, it learns a cross-lingual representation of each language in cross-attention networks. Thus,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a single-encoder architecture in cross-lingual tasks, such as QE. We proved that the dual-encoder architecture is structurally more advantageous over the single-encoder architecture and furthermore, improved the performance and stability of the dual-encoder model in QE by applying the pre-trained language model to the dual-encoder model.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WMT20 QE data for En-De pair. As pre-trained models, our model employs English BERT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and German BERT to each encoder and achieves the best performance. 기계번역 품질 예측은 기계가 번역 문장의 품질을 주어진 정답 번역 문장이 없이 예측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 품질 예측 분야의 연구 동향은 다량의 병렬 말뭉치로 학습된 트랜스포머 인코더 기반의 사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전이 학습을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품질 예측과 같은 교차 언어 태스크에서 단일 인코더 구조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코더에서 각 언어에 대한 단일 언어 표현을 개별적으로 학습하고 상호 참조망에서 교차 언어 표현을 학습하는 이중 인코더 구조를 제시한다. 이중 인코더 구조가 단일 인코더 구조보다 품질 예측 태스크에서 구조적으로 유리함을 입증하고, 나아가 이중 인코더 모델에 사전학습된 언어 모델을 적용하여 품질 예측 태스크에서 이중 인코더 모델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인다. WMT20 품질 예측 영어-독일어 쌍에 대해서 실험을 진행했다. 사전학습 모델로서 영어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BERT) 언어 모델과 독일어 BERT 언어 모델이 각각의 인코더에 적용되었고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중국 청도 조선족 사회의 언어 정체성

        한성우 한국방언학회 2011 방언학 Vol.0 No.14

        This paper aims to make a close investigation into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society in Qingdao, China. Since 1990th, Korean-Chinese who was from all across China gathered in Qindao, and they built a new Korean-Chinese society in Qindao. Because they are living in China and making close relationship to Korea, their language is influenced by both Korean and Chinese, and their language shows a complicated language identity. Although Korean language of Korean-Chinese(朝鮮語) is the main language of Korean-Chinese society in Qindao, it's position is very unstable. Because they live in Chinese society and they learn and use Chinese, Chinese interfere in their language and influence on their language too. And the close cultural and economical connection with Korea has a big influence on their language. Therefore their language identity is changing from the Korean language of Korean-Chinese to Korean or Chinese. Both Korean and Chinese has equal probability of replacing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in Qingda. While the cultural and economic connection with Korea is unstable, the influence of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is continuous. Therefore Chinese will have decisive effect on the language identity of Korean-Chinese in Qingdao. 본고는 중국 청도 조선족의 언어 정체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조선족들이 청도에 새롭게 집결하여 형성된 조선족 공동체는 한국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중국 사회 속에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언어는 다언어 사회 및 이종언어 사회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현재는 조선어가 이들 언어의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그 지위는 상당히 불안하다. 중국 사회 내에서의 교육과 활동 때문에 중국어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중국어의 간섭으로 이어진다. 또한 한국과의 경제적, 문화적 관련 때문에 한국어의 영향도 많이 나타난다. 따라서 이들 언어 정체성의 중심은 조선어에서 중국어 또는 한국어로 옮겨 가고 있다. 이들의 공동체는 중국 사회 내에 존재할 수밖에 없어 중국어의 영향은 지속적이지만 한국과의 경제적 문화적 관계는 유동적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중국어가 이들의 언어 정체성의 중심을 이룰 가능성이 매우 높다.

      • KCI등재

        한-중 동시통역 시 예측의 표지와 활용 가능성 분석

        이정순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4 통번역학연구 Vol.18 No.2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I) is a 'time-saving' mode of interpretation. Viewed from interpreter's perspective, however, simultaneous interpretation is a complex undertaking where listening, speaking and memorizing should take place simultaneously under strict time constraints. In case of a language combination in which Language Typology are markedly different, interpreters work under considerable pressure of having to memorize larger amount of source text information, and process more information accordingly. Pressure is particularly high when simultaneously interpreting between languages that are structurally different in terms of word order-SOV vs. SVO- or information sequencing structure such as location of adnominal phrases and key words. To cope with these difficulties, the author of this paper suggests that anticipation method under the principle of syntactic linearity play more prominent role. The author then moves on to differentiate 'topic anticipation' and 'language anticipation,' classify cues which can trigger anticipation in the process of SI, and see if the cues can be employed by analyzing actual speech scripts.

      • KCI등재

        정상 노인과 경도인지장애의 감별을 위한 언어 기억과 시공간 기억 검사의 예측 성능 비교

        변해원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6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specific memory among linguistic memory and visuospatial memory, and to identify the most predictive index for discriminating MCI from normal elderly. The subjects were analyzed for 189 elderly (103 healthy elderly, 86 MCI). The verbal memory was used by the Seoul Verbal Learning Test. visuospatial memory was measured using the Rey Complex Figure Test. As a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verbal memory and visuospatial memory showed significant predictive performance in discriminating MCI from normal elderly. On the other hand, when all the confounding variables were corrected, including the results of each memory test, the predictive power was significant in distinguishing MCI from normal aging only in the immediate recall of verbal memory, and the predictive power was not significant in the immediate recall of visuospatial memory. This result suggests that delayed recall of visuospatial memory and immediate recall of verbal memory are the best combinations to discriminate memory ability of MCI. 이 연구는 첫째, 경도인지장애(MCI)가 언어 기억 및 시공간 기억 등 특정 기억의 저하와 관련이 있는지를 파악하고, 둘째, 정상 노인으로부터 MCI를 감별하는 데 예측력이 우수한 지표를 탐색하였다. 표준화 된 기억검사를 수행한 189명(정상 노인 103 명, MCI 86 명)을 분석하였다. 언어 기억은 Seoul Verbal Learning Test를 이용하였고. 시공간 기억은 Rey Complex Figure Test를 이용해서 측정하였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기억 검사의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 언어 기억과 시공간 기억은 정상 노인으로부터 MCI를 감별하는 데 예측 성능이 유의미하였다. 반면, 각 기억 검사의 수행결과를 포함하여 모든 혼란변수를 보정했을 때, 언어 기억의 즉시 회상만 정상 노인으로부터 MCI를 감별하는 데 예측력이 유의미하였으며, 시공간 기억의 즉시 회상은 예측력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MCI를 선별할 때 언어 기억과 시공간 기억의 지연 회상, 언어 기억의 즉시 회상이 MCI의 기억능력을 감별할 수 있는 최상의 조합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Predicting the Light Verb Construction

        Cho, Geunho(조근호) 국제언어문학회 2017 國際言語文學 Vol.- No.36

        Jespersen(1942)이 ‘경동사’에 대해 논의한 이래로, 영어 경동사에 대해 수많은 연구가 이뤄졌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경동사 have a N과 take a N 변이에 영향을 주는 문장구조적, 의미적, 사회언어학적 변수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많은 선행연구들은 하나의 변수에만 집중해 진행됐다. 본 연구의 목적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여러 변수를 통합한 모형을 통해 경동사 구조에 끼치는 영향을 해석하고 예측하는데 있다. 그 결과에 따르면, 선행연구에서 밝힌 요소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경동사 표현이 속한 의미적 분류가 가장 큰 영향을 지닌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예측모형은 ROC 분석을 통해 좋은 예측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예측정확도는 77%로 매우 정확한 모형이라고는 하기 힘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향후 연구에서는 대형 코퍼스를 사용하고, 경동사 구조 선택에 관계된 더 많은 요소를 모형에 삽입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Since Jespersen (1942) defined the light verb, researchers have conducted various studies on English light verbs. According to these previous studies, there are several variables, including structural, semantic, and sociolinguistic factors, which affect the light verb construction (LVC), specifically have a N (noun) and take a N alternation; however, many of them have been limited to a certain variable.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integrate the variables into one model to interpret and predict the LVC using a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variables, which have shown influences on the LVC, caus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oosing have a N and take a N. In addition,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mantic class of light verb expressions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mong the variables. Although the model used was confirmed to have a goodness of fit and excellent effectiveness, the prediction accuracy did not seem high enough: 77% compared to the observed data. To develop a more advanced prediction model for future studies, megasized corpora must be used, and more variables related to the LVC should be included.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관광경제학 연구의 동향과 방향: 언어네트워크 분석

        이충기,김학준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7

        This study aims to analyze trends in tourism economics research published to tourism and hospitality areas, and suggest research directions in the future. To this end this study searched for “tourism economics” from the database of KCI(Korea Citation Index) by Korean Research Foundation during the periods of 2002∼2020 and implemented language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Research papers of tourism economics were broadly classified by forecasting tourism demand, economic impacts, and valuation, in which major key words were derived. Results show that Journal of Tourism Sciences published the largest research papers of tourism economics(81), followed by Journal of Tourism & Leisure Research(77),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46),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39),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 Hospitality Research(39), and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Studies(15). With regard to detailed fields of research papers, forecasting tourism demand was dominant, but showed a decreasing trend. Recently research papers of economic impacts indicated more increasing trend than valuation. The results of language network analysis indicate that major key words included “tourism”, “demand”, “input-output model”, “time-series”, “CVM”, “festival”, “willingness to pay(WTP)”, and “tourism demand.” The visualized results of language network show that the major key word of “tourism” was highlighted with “WTP”, “festival”, “tourist”, “multiplier”, and “time-series” during the periods of 2002∼2014. On the other hand, the major key word of “demand” was highlighted with “festival”, “tourism demand”, and “tourist“ during the periods of 2015∼2020. When comparing two periods, valuation papers were dominant in the past, but recently papers related to tourism demand and economic impacts showed an increasing trend. Furthermore, studies on festival were show a more increasing trend. 이 연구는 그동안 관광․호텔․외식분야 학술지에 게재된 관광경제 논문들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학술논문 DB인 KCI(Korea Citation Index)에서 2002년부터 2020년까지의 관광․호텔․외식분야 학술지에서 『관광경제』 논문들을 검색하고, 이를 토대로 언어네트워크 분석과 시각화를 실시하였다. 관광경제 논문들은 크게 수요예측, 경제적 파급효과, 가치평가로 구분되었으며, 이들 논문들에서 핵심어를 도출하였다. 관광경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학술지별로는 관광학연구(81)에 가장 많이 게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관광레저연구(77), 호텔경영학연구(46), 관광연구(39), 관광연구저널(39), 호텔관광연구(15)의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분야별로 살펴볼 때, 수요예측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되었으나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최근 들어 가치평가보다는 경제적 파급효과 관련 논문이 더 큰 증가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네트워크 분석결과 주요 핵심어로는 “관광”, “수요”, “산업연관모형”, “시계열”, “CVM”, “축제”, “지불의사”, “관광수요”로 나타났다. 언어네트워크 시각화 분석결과 2002∼2014년까지의 관광경제 논문들의 경우 “관광” 핵심어를 중심으로 “지불의사”, “축제”, “관광객”, “승수”, “시계열”로 나타났다. 반면에 최근(2015∼2020) 연구논문들의 경우 핵심어 “수요”를 중심으로 “축제”, “관광수요”, “관광객” 등으로 나타났다. 두 기간 동안을 토대로 관광경제 연구의 추세를 분석해보면, 과거에는 관광자원을 대상으로 가치평가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관광수요와 경제적 파급효과분석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또한, 축제에 관한 연구는 과거보다 최근에 오면서 더 각광을 받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