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기업의 제품시장에서의 독점력과 자본구조간의 관계

        신민식 ( Minshik Shin ),이재익 ( Jaeik Lee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6 금융지식연구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제품시장에서의 독점력과 자본구조간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기업의 제품시장에서의 독점력에 관한 대용변수는 많은 선행연구에 따라 Tobin-q로 측정하였으며, 중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의 제품시장에서의 독점력은 자본구조에 3차 함수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제품시장에서 기업의 독점력이 낮은 수준에서는 부채를 증가시키고, 중간 수준에서는 부채를 감소시키며, 높은 수준에서는 부채를 다시 증가시킴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품시장에서 기업의 독점력이 낮은 수준에서는 유한책임 가설이 지지되고, 중간 수준에서는 약탈 가설이 지지되며, 높은 수준에서는 다시 유한책임 가설이 지지된다. 그리고 산업의 유형에 따라 기업의 제품시장에서의 독점력이 자본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9개 주요 산업 중에서, 음식료, 섬유의복, 화학, 기계, 전기전자, 의료정밀, 운수장비 등 7개 산업은 기업의 제품시장에서의 독점력이 자본구조에 3차 함수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 나아가, 정태적 자본구조뿐만 아니라 동태적 자본구조 하에서도, 기업의 제품시장에서의 독점력이 자본구조에 3차 함수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정태적 자본구조뿐만 아니라 동태적 자본구조 하에서도, 제품시장에서 기업의 독점력이 낮은 수준에서는 부채를 증가시키고, 중간 수준에서는 부채를 감소시키며, 높은 수준에서는 부채를 다시 증가시킴을 의미한다. 그리고 기업규모와 성장기회 수준에 따라, 기업의 제품시장에서의 독점력이 자본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소기업은 대기업보다 제품시장에서의 독점력이 자본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고, 저-성장 기업이 고-성장 기업보다 더 크다. 결론적으로, 기업의 제품시장에서의 독점력은 자본구조에 대체로 3차 함수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 산업의 유형별로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기업의 제품시장에서의 독점력은 자본구조에 3차 함수 형태로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성장기회가 낮을수록 제품시장에서의 독점력이 자본구조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제품시장에서의 독점력이 자본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변수라는 점을 인정하여 자본구조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the relationships of monopoly power in product market and capital structure of firms listed on Korea Exchange from 2000 to 2013. The sample firms are classified into subsample, according to firm size and growth classifications. This study uses Tobin’s q as a proxy variable for degree of monopoly power in product marke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onopoly power in production market and capital structure, as measured by Tobin’s q and leverage ratio, respectively, are shown to have a cubic relation[+Q_{t-1};-Q_{t-1}^{2}`;+Q_{t-1}^{3}], due to the complex interaction of market conditions, agency problems and bankruptcy costs. This result means that Tobin’s q and leverage are positively linked at low and high level of Tobin’s q but this relation is negative at medium level of Tobin’s q. In other words, leverage is increased at low and high level of monopoly power, but it is reduced when the monopoly power is at medium level. This results suggest that at low and high level of monopoly power,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Tobin’s q and leverage supports the limited liability hypothesis, but at medium level of monopoly power,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Tobin’s q and leverage supports the predation hypothesis. The relationships between monopoly power in production market and capital structure varies across industries. Among the 9 main industries, for the food, clothes, chemical, machine, electronics, medical and transportation industry, the relations between monopoly power in production market and capital structure are shown to have a cubic relation[+Q_{t-1};-Q_{t-1}^{2}`;+Q_{t-1}^{3}]. Moreover, in the framework of dynamic capital structure, monopoly power in production market and capital structure are shown to have a cubic relation. In this framework, it is assumed that firms adjust their capital structure through time. This study classifies the sample firms into subsample according to firm size and growth classifications. According to the firm size classifications, it seems that monopoly power in product market is not pivotal in capital structure of the relatively large firms. On the other hand, there appears to be a cubic relation for small firms. Moreover, according to the growth classifications, for the firms with low growth opportunities, the cubic relation is again detected. In conclusion, there appears to be a cubic relations between monopoly power in production market and capital structure in the static and dynamic frameworks. There a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depending on firm size and growth opportunities.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managers must have to consider the monopoly power in production market as a new determinant of capital structure. This study may have a few limitations because it may be an only early study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monopoly power in product market and capital structure of firms listed on Korea Exchange. Therefore, we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sample firms and control variables, and use more elaborate analysis methods in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