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세계체제의 확장과 약소자의 정체성― 중국 조선족 작가 금희의 소설 세계

        오창은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0

        소설가 금희는 중국 조선족 문학계와 한국 문학계에서 동시에 주목받는 작가이다. 그는 조선족 거주지역인 길림성 장춘 구태시에서 나고 자랐으며, 한때는 한국에서 하위계층 노동자로 생활하기도 했다. 금희는 1990년대 이후 동아시아의 세계체제 변화에 따라, 중국 조선족의 삶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양상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금희의 소설에는 조선족으로서의 삶을 긍정하는 태도가 드러나고(「세상에 없는 나의 집」), 북한 이탈 주민을 약소자로서 형상화해내는 뛰어난 윤리적 감각을 보여주기도 한다(「옥화」). 개혁 개방 이후 중국 조선족 여성들이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면서 겪는 윤리적 갈등과 자기 욕망의 발견을 핍진하게 그려냈다(『천진 시절』). 중국 조선족 문학은 중국의 소수민족 문학이면서, 한국에서는 동일한 언어를 쓰는 재외한인문학으로 포용된다. 금희는 스스로를 ‘조선어로 작품을 쓰는 마지막 세대의 작가’라고 했다. 금희는 소설을 통해 농촌에서 도시로 옮겨온 이주민으로서, 가부장적 질서와 갈등하는 여성으로서, 세계체제의 하위주체로서 자기 정체성을 발견해나가는 과정을 형상화냈다. 금희 소설에 표현된 약소자로서의 정체성은 세계체제와 긴장하는 정치성을 띠고 있다. 금희의 소설은 디아스포라 문학을 바라보는 시선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제기한다.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자는 자기가 속한 세계를 중심에 놓는 관점에서 벗어나 디아스포라적 주체의 시선으로 세계를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금희의 소설은 중국 조선족의 자기 정체성의 발견을 제시함으로써, 전지구적 근대체제의 작동양상과 연관해 디아스포라 연구를 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한다. Geum Hee, a novelist, is a writer who is attracting the attention of both the Joseonjok (ethnic Koreans in China) literature circle and the Korean literature circle. She was born and raised in Changchun, Jilin Province, and she once lived as a lower-class laborer in Korea. Geum Hee has realistically depicted the rapid changes in the lives of Joseonjok in East Asia following the changes in the world system since the 1990s. Geum Hee’s novel reveals an attitude that gives an affirmative depiction of the life of Joseonjok (My Home That Is Not in the World), and also shows an excellent ethical sense that embodies North Korean defectors as the Minority (Okhwa).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her novel plausibly portrays the ethical conflicts and the discovery of self-desire experienced by Joseonjok women as they move from rural to urban areas. (The Days of Tianjin) Joseonjok literature is ethnic minority literature in China, while it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using the same language. Geum Hee described herself as ‘the last generation of writers who write works i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her novels, Geum Hee embodies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ir own identity of women in conflict with the patriarchal order as migrants from the countryside to the city and as a sub-subject of the world system. The identity as the Minority, expressed in Geum Hee Novel, is politicized in tension with the world system. Geum Hee’s novels call for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diaspora literature. Diaspora literature researchers should be able to look at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a diaspora subject, away from the point of view that puts their world at the center. Geum Hee’s novels present Joseonjok’s discovery of self-identity, indicating the need to study diaspora in relation to the workings of the global modern system.

      • KCI등재

        디아스포라 문학에 발현된 생존전략

        김유순(Yu-soon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8

        이 연구는 탈경계적 지점에서 생산된 ‘흩어진 자들의 문학’, 즉 디아스포라 문학이 생경한 문화에 노출되었을 때 일어나는 문화변용과정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생존전략을 보이느냐에 주목하였다. 우선, 이산 문학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꾀함으로써, 이산의 현장에서 머뭇거리는 ‘약소자의 문학’이 아니라, 치열하게 ‘살아남은 자’로서, 신산한 상황을 생성의 세계로 전환시킨 ‘강자의 문학’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는 논의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이산체험과 이산담론으로서의 글쓰기의 경계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생존전략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창래와 차학경, 최인훈을 호명하였다. 이로써 혼종적 인물을 통한 동조의 징후 및 귀향의 미완성을 포착하고, 이어서 비극적 해체와 결여를 매개로 한 저항의 징후를 그로테스크의 전형에 비추어 봄과 동시에, 이산 담론 안에서 작동하는 전략적 글쓰기의 전환 및 귀향의 완성에 천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reasoning of the remainder is revealed over the course of acculturation, during which oneʹs persistent strategies survives either as a form of assimilation or marginalization. This is evidenced by ‘the Literature of the Scattered,’ diaspora literature that evolved during the de‐bordering phase. This study challenges the current perception of diaspora literature as ‘the literature of the underdog’ laying a foundation critical for further discussion. It underscores the need to incorporate the literary production of the diaspora into the internal trend of Korean literature, transforming it to the ‘the literature of the topdog.’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varying degrees of assimilation from complete to partial, through the works of Lee Chang Rae, by designating the boundary of the adaptation of Diaspora literature. Contrarily, the works of Cha Hak Kyung captures the process of marginalization, which manifests itself in the typical grotesque dismantling tragedy, absence, the grotesque of deformity, and complexity, as a byproduct of unfamiliarity and discomfort. Through the works of Choi In Hoon, however, by conversion of a genre, which is from novel to drama, the completion of homecoming and molding of discourse in Diaspora literature is revealed. It is deemed to be the desperate survival strategies of the remaind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