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악력계 비교 분석 연구

        김대민(Deamin Kim),김선옥(Sunok Kim),박진만(Jinman Park),김형만(Hyungman Kim),공용구(Yongku Kong)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본 연구의 목표는 본 연구진이 개발한 악력 측정기와 연구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악력 측정기와 상업적으로 판매하여 악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악력 측정기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Bac㎏round: 악력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악력과 건강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한 논문들이 대다수 존재한다. 국외 연구에선 노인의 악력과 뇌기능 일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악력이 언어능력과 의사결정, 질병적으로는 뇌졸중이나 치매의 위험정도와 관련이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국내 외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50대~60대의 악력은 일반적인 건강과 비례하며, 뇌졸중 질환 유병율의 관계가 매우 높으며, 다양한 질병들과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악력과 다양한 질병들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각 손가락의 힘 측정이 가능한 악력 측정기를 활용하기에 앞서, 장비의 신뢰성을 점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Methods: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에서나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장비 4가지를 선별하여, 본 연구진의 악력 측정기(K-force)와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장비의 비교분석을 위해, 악력측정기를 고정시키고 악력 측정기에 힘을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그를 특수 제작하였으며, 지그에 장비들을 고정시키고 10~60㎏ 까지 차례대로 10㎏ 단위로 부하를 가하였다. ANOVA를 이용하여 부하에 따른 장비별로 측정된 힘의 유의한 차이를 살펴보았다. Results: 통계적 분석결과 K-force 악력기는 별로 제공된 부하(10~60㎏, 10㎏ 간격)와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음을 확인하였고, 몇몇 악력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Conclusion: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진에서 개발한 악력 측정기(K-force)가 악력 및 각 손가락의 힘을 측정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각 악력기 별로 측정값에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손잡이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악력 측정기별로 서로 다른 장, 단점을 보유하고 있음을 파악하여, 상황에 맞는 악력 측정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Application: 추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K-force 악력측정기를 적극 활용하여 다양한 악력과 질병들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를 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악력과 총 사망률, 원인별 사망률과의 연관성: 고령화 연구패널조사(2006–2016)

        김소미,최송화,유정은,이정권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5

        Background: Grip strength has been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mortality and disease morbidity.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p strength and mortality in middle aged and elderly Koreans. Methods: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from 2006 to 2016.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grip strength,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according to age and sex,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Results: The adjusted hazard ratio (HR) for all-cause mortality was decreased in the high grip strength group (male: HR=0.580, 95% confidence interval [CI]=0.478–0.704; female: HR=0.601, 95% CI=0.483–0.747) compared to the low grip strength group in both sexes. In male, cardiovascular mortality (middle group: HR=0.453, 95% CI=0.278–0.738; high group: HR=0.538, 95% CI=0.332–0.871) and cancer mortality (middle group: HR=0.697, 95% CI=0.514–0.945; high group: HR=0.589, 95% CI=0.427–0.812)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middle and high grip strength groups compared to the low grip strength group. The HR for mortality due to stroke in male de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rip strength, but this became non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No association between cause-specific mortality and grip strength was found in female. Conclusion: In this study, grip strength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all-cause mortality, with similar effects on cause-specific mortality due to heart disease and cancer in male. Grip strength is a useful predictor of health status,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its clinical relevance in Koreans. 연구배경: 악력은 간편하게 근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사망률 및 질병 이환율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으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건강 장기 지표와의 연관성을 확인한 연구가 없어 중고령자 한국인을 대상으로 악력과 사망률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고령화 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의 1차 기본 조사 자료와 2년마다 추적 조사를 통해 얻은 사망자 자료를분석하였다. 성별과 연령에 따라 악력을 삼분위로 구분하여 악력에따른 총 사망률 및 심장 질환, 뇌졸중 및 암 사망률과의 연관성을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령, 학력,결혼 상태, 취업유무, 가구 총소득, 규칙적 운동 여부, 흡연, 음주,body mass index, activities of daily living 유무, instrumental activities ofdaily living 유무, 우울증, 만성질환(고혈압, 당뇨, 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유무를 보정하였다. 결과: 남녀 모두에서 저악력군에 비해 고악력군에서 총 사망률 위험비가 감소하였다(남자: HR=0.580, 95% CI=0.478–0.704; 여자:HR=0.601, 95% CI=0.483–0.747). 암 사망률의 경우 남성에서 저악력군에 비해 중, 고악력군에서 위험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중악력군: HR=0.697, 95% CI=0.514–0.945; 고악력군: HR =0.589, 95%CI=0.427–0.812) 여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심장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남성에서는 저악력군에 비해 중, 고악력군에서위험비가 낮았으나(중악력군: HR=0.453, 95% CI=0.278–0.738; 고악력군: HR=0.538, 95% CI=0.332–0.871) 여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의 경우 남성에서는 공변수를보정하기 전에는 악력 증가에 따른 위험비 감소가 유의미하였으나변수 보정 이후에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여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결론: 한국인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악력과 총 사망률 및 남성에서심장 질환, 암 사망률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건강예측인자로서의악력의 가능성을 보였다. 한국인에서 연령에 따른 저악력의 기준을정하고 이에 따른 저악력자 선별 및 중재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남자 청소년의 상대 악력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연구: 제6-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4-2016년도)자료를 이용하여

        박성화,이상호,김정현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9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7 No.3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s increasing in male adolescents. Since metabolic syndrome has been associated with muscle mass and sarcopenia in elderly,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muscle strength in adolesc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ative handgrip strength and metabolic syndrome (MetS) to prevent MetS as well as other chronic diseases in male adolescents. A total of 731 subject aged from 13 to 18 were analyzed. Handgrip strength was used as a muscular strength indicator. Participant’s age, economic status, educational status, body mass index (BMI), and MetS indicators were measured.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relative handgrip strength (RHGS), which was defined as absolute handgrip strength divided by BMI.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5.0 package program. MetS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RHGS compared to normal group. The highest quartile of RHGS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body weight, waist circumference (WC), BMI, fasting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acylglyceride, and LDL-C, but higher HDL-C compared to the lowest quartile of RHGS group. The highest quartile of RHGS group has significantly higher amounts of moderate and total physical activities compared to the lowest quartile of RHGS group. Incidence of Met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HGS. The lowest RHGS group had 9.6% of MetS incidence but the highest RHGS had 1.1 of incidence. Male adolescents who performed resistance exercise more than twice a week showed the highest RGHS compared to adolescents who did not do any resistance exercise. In addition,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aerobic exercis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of RHGS than adolescent who did not participated in. Since RHGS were associated with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we should develop and apply the physical education program to increase the physical activities as well as muscular strength in male adolescents. Increased physical activities and enhanced muscular strength may reduce incidence of not only metabolic syndrome but also chromic diseases such as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우리나라 남자 청소년들의 대사증후군 발생률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다른 연령대에서 대사증후 군의 발병이 근육량이나 근감소증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청소년들의 근력과 대사증후군의 관 련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자 청소년들의 상대 악력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에 알아 봄으로써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고, 대사증후군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만성질환을 감소시키고자 수행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2-18세의 남자 청소년 731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으며, 악력을 근력의 측정 도구로 사용하다. 연구대상자의 연령, 경제적 상황, 체질량지수, 대사증후군 측정요인을 변수로 사용하다. 연구대 상자의 악력을 비교하기 위해 상대 악력을 구하으며, 상대 악력은 악력을 체질량지수로 나누어 사용하고,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다. 상대 악력을 사분위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상대 악력이 가장 높은 군은 상대 악력이 가장 낮은 군에 비해 체중과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공복혈당,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LDL-C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HDL-C는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 악력이 가장 높은 군은 상대 악력이 가장 낮은 군보다 중강도 신체활동과 총 신체 활동량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 으며, 대사증후군 발생률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 악력이 가장 높은 군이 그렇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근력운동을 하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상대 악력이 높을수록 대사 증후군의 발생 위험이 감소하며, 상대 악력은 신체 활동량과 저항 운동 실천 일수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것 으로 보고되어, 청소년들의 대사증후군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체육활동을 통해 다양한 유산소 신 체활동과 저항운동을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들이 체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신체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20대의 악력 정도와 한국산 악력 측정기의 신뢰도 분석

        이효택,노효련,김다정,이지온,이한민,박윤아,김혜미,임철균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는 국내산 악력 측정기와 국외 제품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20대의 악력 정도와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산 제품의 기술력과 신뢰도를 확인하고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악력 측정기는 일본산 디지털 악력계, 중국산 디지털 악력계, 한국산 디지털 악력계를 사용하였으며, 오른손과 왼손에서의 악력을 각각 2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20대 성인 63명(남자:36명, 여자:27명)으로 상지질환이나 신경계 질환이 없으며, 인지 장애와 당뇨병이 없는 대상자로 하였다. 한국의 두 지역에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측정자 간 신뢰도는 .971로 나타나서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여자의 오른손의 악력은 26.27±4.94 Kg이었고 왼손 악력 정도는 23.75±4.99 Kg이었다. 남자의 오른손 악력은 48.09±9.47 Kg 이었고 왼손 악력은 45.15±8.47 Kg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악력 측정기와 일본산 악력 측정기와 중국산 악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20대 성인들의 악력 정도는 악력기의 종류에 따른 성별과 오른손 및 왼손에서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악력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범위는 국내산이 가장 적었다. 또한, 손 길이와 악력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손 길이가 길수록 악력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양인의 악력에 비교하면 한국인의 악력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20대 성인들의 악력 정도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0대의 악력 결과와 본 연구 의 결과는 유사하였으며, 중국산 및 일본산 악력 측정기와의 악력 측정값과도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많았다. 그러므로, 한국산 악력 측정기는 대규모의 측정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작은 인원의 측정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20대 성인들의 악력 정도가 외국인과 한국인에서 10Kg 가량 차이가 나타나 외국에서 제시한 자료를 기준으로 삼는 것에는 주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grip strength measuring instruments and foreign product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with the level of grip strength of people in their 20s. Through this, we aim to confirm the technological powers and reliability of domestically produced products and increase their usability. The grip strength measuring instruments used were a Japanese digital grip dynamometer, a Chinese digital grip dynamometer, and a Korean digital grip dynamometer. The grip strength on the right and left hands was measured twice each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The study subjects were 63 adults in their 20s (men: 36, women: 27) with no upper extremity disease or neurological disease, cognitive impairment, or diabetes.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regions in Korea, and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971, ensuring reliability. The woman's right hand grip strength was 26.27±4.94 Kg and her left hand grip strength was 23.75±4.99 Kg. The man's right hand grip strength was 48.09±9.47 Kg and his left hand grip strength was 45.15±8.47 Kg.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rip strength of adults in their 20s measured using a domestic grip measuring device, a Japanese grip measuring device, and a Chinese hand grip measuring device, depending on the type of grip device used by gender and in the right and left hands. The range of minimum and maximum grip strength was the smallest in domestic products. In the correlation between hand grip and grip strength, it was found that the longer the hand grip, the higher the grip strength, and compared to the grip strength of Westerners, the grip strength of Koreans appears to be lower. The grip strength of adults in their 20s was similar to the grip strength results of people in their 20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ip strength measurements of Chinese and Japanese grip strength measuring instruments, but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Therefore, the Korean grip strength measuring device can be used for large-scale measurements, but it appears to have limitations in measuring small numbers of people. However, the grip strength of adults in 20s differs by about 10kg between foreigners and Koreans, so it seems necessary to be careful about using data presented by foreign countries as a Korean standard.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비만, 상대악력,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석범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비만, 상대악력,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관리 및 재활프로그램에 대한 개선된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악력검사가 이루어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차 년도(2014년)부터 제8기 1차 년도(2019년)까지의 원시자 료 중 뇌졸중 환자 651명을 대상으로 이차분석을 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비만, 상대악력,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관련 삶의 질, 통제변수를 선정하여 각 변수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주관적 건강상태(β=0.39, p=0.00)와 상대 악력(β=0.28, p=0.00)이 있었으며, 체질량지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건강행태 요인을 보정한 상태에서 상대악력과 체질량지수의 상호작용은 건강관련 삶의 질과 정(+)적인 관계 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β=0.27, p=0.00). 셋째, 상대악력이 높은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F=14.78, p=0.00). 넷째,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건강관련 삶의 질이 유의하게 높았다(F=12.64, p=0.00). 결론 : 상대악력이 뇌졸중 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을 평가하는 주요한 요인이므로, 삶의 질의 저하 가 예상되는 환자들에게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악력 훈련을 포함한 근력 훈련을 통한 중재프로그램을 시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비만그룹에서도 상대악력의 크기에 따른 차별화된 중재프로그램의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developing improved strategies for the rehabilitation programs of stroke patient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relative grip strength,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Method : A secondary analysis was conducted on 651 stroke patients among the raw data from the 6th, second year(2014) to the 8th, first year(2019)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which the grip strength test was conducted. Obesity, relative grip strength,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control variables of stroke patients were sele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as analyzed. Result :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cluded subjective health status(β=0.39, p=0.00) and relative grip strength(β=0.28, p=0.00), and obesity have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relative grip strength and body mass index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adjusting for socio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factors(β=0.27, p=0.00). Third, the group with high relative grip strength had a significantly high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an the group with low relative grip strength(F=14.78, p=0.00). Fourth, the group with good subjective health status had significantly high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an the group with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F=12.64, p=0.00). Conclusion : Since relative grip strength is a major factor in evaluat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an intervention program through strength training, including grip strength training, was attem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hose quality of life is expected to decline.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differentiated interven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size of relative grip strength in obese group can be a way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에서 흡연 상태에 따른 악력: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7년 자료 이용

        김혜인,이홍수,이상화,심경원,류인선,정연희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5

        Background: Smoking is a well-known risk factor for respiratory disease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many types of cancers, but there is little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smoking on muscle strength. Hand grip strength (HGS) is a simple way to measure muscle power. We compared themean HGS according to smoking status and smoking level in Korean male and female smokers. Methods: We obtaine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I and included adults aged 20–79 years. We identifiedfactors that affect HGS and after adjusting for these factors, we compared the mean HGS of smokers, ex-smokers, and nonsmokers. We alsocompared the mean HGS of smokers according to the smoking level. ANOVA and ANCOVA analyse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mean HGS. Inadditio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mean main HGS, which is the mean HGS of the dominant hand. Results: A total of 9,848 people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those with uncertain smoking status and those who did not respond to the studyvariables. After adjusting for all cofactors, the mean HGS and the mean main HGS were higher in smokers and ex-smokers than in both male andfemale nonsmokers with no previous history of smoking. In smokers, the amount of smoking did not affect the mean HGS or mean main HGS. Conclusion: Smokers and ex-smokers have higher mean HGS and mean main HGS than nonsmokers, and the amount of smoking does not affect themean HGS and mean main HGS in smokers. 연구배경: 흡연이 호흡기계, 심혈관계 질환 및 각종 암 발병의 위험인자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으나 흡연이 골격근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 악력은 근력을 측정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 남녀에서 서로다른 흡연 상태에 따라, 흡연자의 경우 흡연량에 따라 평균 악력에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년도(2016), 2차년도(2017) 자료를이용하였고 20–79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남녀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악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요인들을 보정한 뒤 흡연자, 과거 흡연자, 비흡연자에 따라 양손의 평균 악력을 비교하고 흡연자 내에서 흡연량에 따른 평균 악력에차이를 알아보았다. 흡연 상태에 따른 평균 악력과 흡연자에서 흡연량 사분위 집단에 따른 평균 악력을 확인하기 위해 분산분석 및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로 주로 사용하는 손의 평균 악력과흡연과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결과: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0–79세 성인 12,178명 중 흡연상태가 불확실한 사람과 연구변수에 미조사 혹은 무응답 항목이있는 사람들을 제외한 뒤 9,84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악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남녀 모두에서 나이가 적을수록, BMI가 높을수록, 신체활동량이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악력이높았다. 모든 변수들을 보정한 결과 남녀 모두에서 흡연자와 과거흡연자가 평생 흡연을 한 적 없는 비흡연자보다 평균 악력과 주로사용하는 손의 평균 악력이 높았다. 흡연자에서 흡연량은 평균 악력과 주로 사용하는 손의 평균 악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흡연자와 과거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평균 악력과 주로사용하는 손의 평균 악력이 높으며 흡연자에서 흡연량은 평균 악력과 주로 사용하는 손의 평균 악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KCI등재

        악력과 정신 건강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2015년, 2017년)

        현보라,윤영숙,양윤준,이언숙,이준형,허 연,정창현,방도담,강보람 대한가정의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1 No.5

        Background: Handgrip strength (HGS) is a commonly measured indicator of physical activity. As decreases in HGS are associated with mortality andcardiovascular morbidity, it is an important biomarker of disease and a health status.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HGSand chronic diseases in the elderly, but the relationship of HGS with mental health has been less studi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association between HGS and psychological distress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Methods: Study subjects were 9,589 adults aged ≥1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5and 2017. HGS was measured three times in alternating hands, and the maximum value of HGS of the commonly used hand was used as the finalgrip value.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s of HGS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after adjustingfor covariates. Results: The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was 4.1% and 9.4% in male and 5.2% and 14.9% in female, respectively. Female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than male (all P<0.05). In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dds ratios (95% confidence intervals)for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highest tertile of HGS relative to the lowest tertile were 0.54 (0.30–0.95) and 0.68 (0.47–0.99) inmale and 0.63 (0.43–0.93) and 0.72 (0.57–0.92) in female, respectively. Conclusion: HGS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and can thus serve as a useful predictor of psychologicaldistress 연구배경: 악력은 신체 활동의 지표이며 악력의 감소는 사망률이나심혈관 질환의 이환율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악력은 건강상태를나타내는 중요한 생체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악력에 관한 많은 연구에서 노인의 악력과 만성질환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으나 악력과정신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악력과 정신건강문제(우울감, 자살사고)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2015년,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이상 성인 9,589명이다. 악력은 양손을 번갈아서 3회씩 측정하였으며 주로 사용하는 손의 최댓값을 최종 악력 값으로 사용하였다. 악력과 우울감, 자살사고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변량을 보정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결과: 자살 사고와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각각 남자에서 4.1%, 9.4%였고, 여자는 5.2%, 14.9%로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다(all P<0.05).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악력이 가장 낮은 삼분위수군에 비해 가장 높은 삼분위수군의 자살사고와 우울증상의 위험은 남성에서 각각 0.54 (0.30–0.95)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와 0.68(0.47–0.99)로 나타났고 여성에서 각각 0.63 (0.43–0.93), 0.72 (0.57–0.92)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 성인 남녀에서 악력은 자살사고와 우울감과 음의 연관성이 있었으며, 본 연구는 비용이 저렴하고 측정이 간단한 악력을자살사고나 우울감을 예측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한국 60세 이상 노인에서 사구체여과율과 악력의 연관성: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이햇빛,최윤선,박재영,김정구 대한가정의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2 No.3

        연구배경: 신장기능은 연령이 증가함에 감소하며 심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등의 여러 만성질환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노인에서의 만성신부전은 근감소증의 유병률을 증가시키며 일상 생활 수행능력 및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중요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 연구는 60세 이상 노인에서 평균 이하 악력군과 평균 이상 악력군의 평가 사구체여과율과 악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하였으며,만 60세 이상 노인 6,710명 중 혈청 크레아티닌(serum creatinine) 결과가 있는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 악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암 병력이 있는 대상을 제외하여 총 5,16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복합표본분석 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남녀의 평균이하 악력군과 평균 이상 악력군간 차이를 조사하였고 평가 사구체여과율과 악력저하간의 교차비를 분석하였다. 결과: 남녀 모두 45≤eGFR<60 (mL/min per 1.73 m2)군에서 악력저하와 평가 사구체여과율과의 연관성이 있었다(남성[OR] 1.875, 95% CI1.158–3.036; 여성[OR] 2.278, 95% CI 1.569–3.307). 교란변수를 모두보정하고 난 후 여성에서만 신기능이 감소할수록 낮은 악력에 대한교차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P for trend=0.043), 특히 subgroup4 (eGFR<45 mL/min per 1.73 m2)군에서는 평균 이상 악력그룹군,subgroup 1 (eGFR≥90 mL/min per 1.73 m2)군 대비 낮은 악력에 대한교차비가 4.496 (95% CI, 1.422–14.211; P for trend=0.04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60세 이상 한국 여성노인 eGFR<45 (mL/min per 1.73 m2)군에서 평가 사구체여과율은 악력감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향후 노인의 신장기능 감소로 인한 악력감소와 이에 따른 기능저하를 미리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노인에서의 간질환, 영양결핍 등의 요소 등을 충분히 반영한 사구체여과율 계산식의 연구가 필요하겠다

      • KCI등재

        40세 이상 성인에서 악력, 폐쇄성수면무호흡증(STOP-bang score)과 폐 기능의 연관성: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9)

        서화니,여요환,조정진,엄유진,조아랑 대한가정의학회 2024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4 No.2

        연구배경: 악력은 호흡근 강도 감소 및 폐 기능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전체 근육량 감소를 반영한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 또한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여 근육 이화 및 폐 손상을 유발한다. 본 연구는 악력과 폐 기능 감소 패턴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폐쇄성수면무호흡증 등 악력과 폐 기능 감소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40세 이상 성인 3,2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악력과 폐 기능의 연관성을 Spearman 상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성별과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위험도로 층화하여 악력 그룹에 따른 폐 기능(폐쇄성 또는 제한적 패턴)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교차비 및 95% 신뢰구간을 비교하였다. 결과: 남성 1,264명, 여성 1,479명이 정상악력이었다. 남성은 낮은악력군이 정상악력군보다 FVC (L), FVC (%, predicted), FEV1 (L), FEV1 (%, predicted), FEV1/FVC가 유의하게 낮았다. 제한적패턴의 위험도는 악력이 낮은 남성에서 더 유의하게 높았다(aOR, 2.773; 95% CI, 1.220–6.300). 낮은악력과 폐 기능 감소 사이 연관성은 남성에서 더 두드러졌다(P-interaction of sex; 0.002 [폐쇄성], 0.008 [제한성]). 그러나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위험도에 의한 유의미한 영향은 없었다. 결론: 낮은악력을 가진 남성은 제한적 폐 기능 감소 위험이 더 높다. Background: Decreased handgrip strength (HGS) reflects overall muscle mass reduction, which can reduce 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impair lung function. Obstructive sleep apnea (OSA) has also been reported to cause muscle catabolism and lung damag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GS and lung function by exploring the effect modifiers, including OSA. Methods: Data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used in this study. A total of 3,207 adults aged >40 years were included. The association between HGS and lung function was determin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calculated using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lung function (restrictive or obstructive pattern) according to HGS groups stratified by sex and OSA risk. Results: In total, 1,264 males and 1,479 females had normal HGS. In males, the low HGS group had lower forced vital capacity (FVC, L), FVC (%, predicted), forced explo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FEV1 (%, predicted), and FEV1/FVC, than the normal HGS group. The risk of having restrictive pattern of lung function was higher in males with low HGS (adjusted OR, 2.77; 95% CI, 1.22–6.30). The association between low HGS and decreased lung function was stronger in males (P interaction of sex: 0.022 for obstructive pattern and 0.008 for restrictive patter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modification by OSA risk. Conclusion: Males with a low HGS showed a higher risk of restrictive pattern of decreased pulmonary function.

      • KCI등재

        연령대별 남녀노인의 악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과 여가활동의 차이 :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자료 활용

        박영주,이춘엽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연령대별 남녀노인의 악력에 따라 일상생활활동에서의 수행과 여가활동 참여 에서 차이를 확인하고, 국내노인의 실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8월부터 동년 12월까지 수집된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의 8차 년도 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65세 이상의 노인 3,7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노인을 성별과 연령, 우세손과 비우세손에 따라 나누어 악력, 기본적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정도, 여가활동 참여 정도를 확인하고 각 변수에 대한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노인의 악력에 따른 연속형 변인 분석은 독립 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악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의 차이에서 75세 이상은 남녀 모두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다(p<.05). 75세 미만의 노인은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모두 악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악력에 따른 여가활동의 차이에서는 모든 연령의 남자와 75∼84세 여자 노인의 경우 여행, 관광, 나들이 경험 횟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75∼84세 남자와 65∼74세 여자 노인의 경우 영화, 공연, 음악회, 전시 회, 스포츠경기 등의 관람 횟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75∼84세 여자 노인의 경우 취미 및 오락 관련 모임 또는 프로그램 참여 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에서 노인의 악력이 높을수록 일상생활활동과 여가활동 참여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노인의 일상생 활활동 기능과 여가활동 참여를 높이기 위해 악력과 관련된 개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 및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formance in daily life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 to grip strength for the elderly by age and gender group in Korea, and to present basic data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lderly in Korea. Methods : Based on the 8th year survey data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collected from August 2020 to December of the same year, 3,789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f age were targeted. The elderly were divided by gender, age, dominant hand, and non-dominant hand to check the grip strength,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and the relevance of each variable was analyzed. Continuous variable analysis by grip strength for the elderly was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Results : In the differe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by the grip streng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both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75 (p<.05). The elderly under the age of 75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grip strength in bo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p>.05). In the difference in leisure by the grip streng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ravel, tourism, and outing experiences for men of all ages and women aged 75 to 84,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iewing number of movies, performances, concerts, exhibitions, and sports games for men aged 75 to 84, and for women aged 65 to 7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me to participate in hobbies and entertainment-related meetings or programs for women aged 75 to 84 (p<.05). Conclusion : Since the elderly with high grip strength were found to have high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leisure, efforts to improve grip strength are needed to improve the elderly's daily fun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