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음악유산과 음악아카이브

        이용식(Lee Yong Shik) 국립국악원 2009 국악원논문집 Vol.19 No.-

        음악아카이브는 음악학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는 시청각자료 및 이와 관련된 물질자료를 보존·이용하기 위해 보관하는 기구이다. 서양에서는 민족음악학의 발전과 더불어 현지에서 수집한 각종 녹음자료와 기록자료를 보존하고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음악아카이브의 역사도 시작되었다. 현재 세계 각국에서는 급격한 도시화와 세계화의 와중에 사라져가는 자국의 음악유산을 보존하기 위하여 음악아카이브가 급속도로 팽창하는 실정이다. 무형문화유산은 살아있는 생명체이고, 이를 둘러싼 유기적인 환경이 바뀌면 무형문화유산은 외부환경의 영향으로 스스로 소멸되기도 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변모하기 마련이다. 무형문화유산은 이런 특성으로 말미암아 각종 시청각매체를 활용하여 기록으로 보존해야 하고, 이 기록자료는 체계적·과학적인 방법으로 반영구적으로 보존되어 후세에 물려줘야 할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음악아카이브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음악아카이브가 왜(소멸·변화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하며 무엇을(음악을 비롯한 공연예술 유산의 기록자료) 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보다도 앞으로는 어떻게 효율적으로 아카이브에 담고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다. 무형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다. 음악아카이브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운영되어야 하고, 이는 단순히 실제적 보관과 관련된 것뿐만 아니라 윤리적 이슈도 동반한다. 음악아카이브의 각종 자료가 무차별적으로 이용자에게 노출되어 있는 현실에서 전통문화의 불법적 이용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렇기에 음악아카이브는 수장되는 자료의 모든 저작권과 윤리적 요구도 보장해야 한다. 이것이 무형문화유산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아카이브의 역할일 수도 있다. An audiovisual archive is a place where audiovisual recordings and other related materials are stored for the purpose of both preservation and use. Since the late 19th century, field researchers, including ethnomusicologists and ethnologists, have accumulated a wealth of recordings on which is based our present knowledge of musical cultures around the world. Early ethnomusicologists were concerned that many musical and performing traditions were becoming extinct and regarded recording collections as the sole manifestations of such material.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ist in a state of flux, and oral traditions and performing arts are constantly changing. Thus audiovisual archives came into being to provide repositories for the systematic storage of field recordings which should be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ask why (to safeguard the endangered heritage) an archive is needed and what (audiovisual recordings of performing arts) will be stored in an audiovisual archive anymore. We need to contemplate how we can manage a well-established archive at this moment. It is a very complicated task for an archive to preserve and pres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chivists usually have to make decisions archivists are in a position to make decisions that have very long-term effects: not only are physical preservation criteria involved, but also many ethical issues. When we wish to place our digitized materials online as a website presentation, we must determine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the recording. The copyright law prohibits placing our materials on a website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rights-holders of collections. Therefore, the archivist must ensure that copyright and ethical demands are met by all concerned. Archivists should seek legal opinions not to violate the conditions for use of collections. We should protect traditional culture against exploitation, piracy, and other improper uses. Th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of archives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공동체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이영남 한국기록학회 2012 기록학연구 Vol.0 No.31

        This paper considers some possibilities of community archives by exploring the concepts ans meanings of archival description. The author deals with two interesting cases -Herstory Writers Workshop Collection of Stony Brook University in New York and Poolmoo Collection of Poomoo Agricultural School in Korea. The author argues that archivists should know the specifications of Community Archives related to National Archives when they organizing and preserving records and archives of community archives. 이 글에서는 공동체 아카이브 컬렉션의 두 사례를 비교하면서 공동체 아카이브의 의미를 짚어보았다. 살펴본 사례는 외국의 경우에는 미국 뉴욕 Herstory Collection(Stony Brook Univ.)이고, 한국의 경우에는 풀무학교 전공부(충남 홍성군 홍동면 소재)의 개교 10주년 컬렉션이었다. 전자는 뉴욕 주립대학인 스토니 브룩 대학에서 지역단체인 Herstory Writers Workshop의 기록을 기증 받아 정리한 컬렉션이고, 후자는 풀무학교 전공부에서 개교 10주년을 맞아 수집한 기록과 10년 동안 자체적으로 보유하던 기록을 모아 정리한 컬렉션이다. 뉴욕 허스토리 컬렉션은 전문 아키비스트가 국제표준인 ISAD(G)에 따라 정리하고 기술한 것이다. 허스토리 컬렉션은 ‘지역기반+소수자 기반’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측면은 우리가 공동체 아카이브의 의미를 말할 때 주요하게 지적되어 로컬리티 다큐멘테이션과 소수자의 기억과 정체성의 측면을 동시에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겠다. 또한 허스토리 컬렉션은 ‘대학 + 지역단체 공동 아카이브’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대학과 지역단체가 서로 협력해서 공동으로 아카이브를 운영한다는 점에서 한국 대학 아카이브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 같다. 왜냐하면 대학은 자신이 속해 있는 지역에 자체적으로 기록관리를 할 수 없는 소규모 공동체를 아카이빙할 수 있고, 역으로 소중한 활동을 기록으로 남겨야 하나 여건이 되지 않는 소규모 공동체는 대학과 협력해서 자신의 기억을 아카이빙할 수 있기 때문이다. 풀무 전공부 10주년 컬렉션은 아마추어 아키비스트(풀무학교 전공부 재학생)가 국제표준에 따르지 않고 다소는 특이한 이야기 정리기술(Narrative Description) 방식으로 정리하고 기술한 것이다. 이야기 정리기술은 아직은 ‘기록 공동체’에 알려지지 않았거나 시도되지 않았던 방식이다. 그런데 풀무가 이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공동체 내부에 고유한 내러티브가 있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고유한 공동체 내러티브와 실제 기록물을 연결시켜 작업함으로써 이야기 정리기술은 공동체의 역사와 특성을 살린 기술방식이 될 수 있었다. 이런 점은 국제표준 적용방식과는 다른 맥락에서 주목할 만하다고 본다. 또한 풀무 컬렉션은 앞에서 지적했듯이, 전문 아키비스트가 아닌 공동체 내부의 구성원이 아마추어 아키비스트가 되어 만든 것이다. 이는 공동체 아카이브에서 제기될 수 있는 몇 가지 문제―비용문제, 인류학적 맥락에서 삶과 아카이브의 유대성 문제, 공동체의 고유한 내러티브와 실제 아카이브의 연관성 문제 등―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본다. 국가 아카이브가 추구하는 것에 ‘국민의 역사적 정체성’이 들어가듯이, 공동체 아카이브도 ‘공동체성’을 추구해야 한다. 양자의 차이점이 있다면, 소규모 공동체의 경우 전문가-비전문가, 전문작업-일상생활 등의 격자에서 다소는 자유롭게 추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풀무 컬렉션에서 내부 구성원이 이야기 정리기술이라는 새로운 정리기술 방법론을 만들어가면서 작업할 수 있었던 것도 이런 자유로움에서 유래할 것이다. 공동체 아카이브는 국가 아카이브와 다른 맥락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아카이브와 죽음충동 : 데리다와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조선령 ( Seon-ryeong Cho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9 No.-

        본 연구는, 동시대 예술현상으로서의 이른바 아카이브 아트가 사용하는 전략에 주목하면서 관료주의 문서고로서의 근대적 아카이브와 미학적 실천으로 간주되는 탈근대적 아카이브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살펴본다. 현대미술에서 아카이빙 경향에 대한 전시들을 기획한 큐레이터 오쿠이 엔위저와 비평가 할 포스터의 글을 분석한 뒤, 『아카이브 병』에 개진된 데리다의 이론을 이 글들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해주는 논의로 간주하고, 특히 정신분석학과의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살펴본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프로이트에 대한 라캉의 해석과 데리다의 해석이 서로 구별되는 가운데에서도 매우 유사한 지점을 공유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프로이트의 죽음충동 개념과 원초적 아버지 가설을 경유하여, 데리다와 라캉은 환상 혹은 허구를 경유한 역설적인 진리성의 장소를 발견하고자 한다. 정신분석학적 아카이브를 연구하면서 프로이트의 목소리를 직접 들으려는 예루살미의 열망, 고대의 폼페이를 직접 경험하려는 고고학자 하르놀트의 망상은, 아카이브 너머에 있는 아카이브의 출처 혹은 근원을 아카이브 그 자체와 일치시키려는 `아카이브병`의 대표적인 사례이면서, 역설적인 진리성의 장소를 알려주는 지표들이다. `유령으로서의 진리`가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에 대한 열망 없이는 어떠한 아카이브도 존재할 수 없다는 점에서, 아카이브 병은 단지 아카이브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아카이브를 가능하게 하는, 아카이브 그 자체를 추동하는 원리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탈근대적 아카이브는 근대적 아카이브의 외부에서 새롭게 구축된 것이 아니라 근대적 아카이브의 핵심에 이미 존재했던 `유령과 같은 토대를` 가시화한 것이라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또한 본 연구는 오늘날 다양한 예술실천들 중에서, 근대적 아카이브 속에서 이미 작동하고 있는 `죽음충동`을 간파하고 그것을 가시화하는 작업에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하면서, 아우구스트 잔더의 작업과 베른트 & 힐라 베허의 작업 사이의 관계를 그 사례로 제시한다. In this essay I want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modernist archive regarded as bureaucratic files of documents and post-modernist one regarded as a kind of aesthetic practice. After reviewing texts on contemporary `archive arts` by curator Okwui Enwezor and critic Hal Foster, I try to analysis Jacques Derria`s Mal d`archive, in the light of its connection to Lacan`s psychoanalysis, by focusing on his criticism on Yerusalme`s book on Freud as well as his review on Freud`s text about Jensen`s novel Gradiva. I suggest that Lacan`s interpretation on Freud shares unexpectably common characters with Derrida`s. By referring to Freud`s concepts of dead drive and Primal Father, both Derrida and Lacan argue that the truth ironically emerges through `spectre` or `fiction`. Aspiration of Yerusalme to hear Freud`s voice directly and delusion of Harnolt (the protagonist in Gradiva) to experience ancient Pompeii by himself, are typical examples of `archive fever` locating the paradoxical truth. In the archive without archive, the spectral truth comes to exist, according to Derrida. The archive fever not only destroys archives but also cause them. In conclusion, I argue that post-modernist archive is equivalent to visualized `spectral` base of modernist one. In addition, I present the relation between August Sander`s works and Bernd & Hilla Becher`s as an good example of art practice recognizing and visualizing death drive in the modernist archive.

      • KCI등재

        독일 문학아카이브의 역사와 현재-국립한국문학관을 위한 제언

        조성희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9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8 No.-

        Das Literaturarchiv, dessen erster Zweck die Sammlung und die Erhaltung der Handschriften sowie der Nachlässe von Schriftstellern ist, entstand erstmals in Deutschland. Zurzeit wird das koreanische Nationalarchiv für Literatur gegründet als eine Institution, um das koreanische literarische Erbe und Material systematisch zu sammeln, aufzubewahren und zu erforschen. Es wäre ein sinnvoller Versuch, eben zum jetzigen Zeitpunkt den Fall Deutschlands als Beispiel und Vorbild zu betrachten. In dem vorliegenden Beitrag wird zunächst Wilhelm Diltheys Aufsatz Archive für Literatur (1889) analysiert, die erste theoretische Annäherung zum Literaturarchiv, dann wird ein Überblick über die Geschichte und die Gegenwart der beiden repräsentativen deutschen Literaturarchive mit jeweils über hundertjähriger Tradition gegeben, nämlich des Goethe- und Schiller-Archivs in Weimar und des Deutschen Literaturarchivs Marbach. Ferner wird daraus herleitet, was wir aus deuschen Beispielen lernen können. ,Larchiveumʻ, ein Modell der komplexen Kultureinrichtung, das die Funktionen von Bibliotheken, Archiven und Museen integriert, wurde in der letzten Zeit als Modell für das koreanische Nationalarchiv für Literatur vorgeschlagen. Die Idee der Integration von Archiven (Erhaltung) und Museen (Ausstellung) ist bereits im Goethe- und Schiller-Archiv, Deutschlands erstem Literaturarchiv, enthalten und das Modell des Larchiveums ist meines Erachtens im Deutschen Literaturarchiv Marbach idealerweise umgesetzt. In deutschen Literaturarchiven hat sich in jünster Zeit der Neologismus ,Vorlass‘ (im Gegensatz zu ‚Nachlass‘) vollständig durchgesetzt. Er bezeichnet Manuskripte und andere persönliche Dokumente, die Schriftstellerinnen und Schriftsteller noch zu Lebzeiten an Literaturarchive verkaufen oder schenken. Aus langfristiger Sicht ist dies ein gutes Mittel, um den Verlust des literarischen Erbes zu verhindern, das auch bei uns einzuführen ist. Darüber hinaus sollten wir erwägen, Verlagsarchive in die Sammlung aufzunehmen. Bemerkenswert ist auch, dass der Sammlungsbereich der Literaturarchive mit dem Wandel der Zeit um digitale Materialien erweitert wird. Schließlich sollte das koreanische Nationalarchiv für Literatur die gesammelten Materialien auch selbst untersuchen, um sinnvolle Sammlungsrichtlinien zu entwickeln. „Sammlung ohne Forschung ist blind, Archive ohne Forschung verarmen.“ 작가들의 친필원고와 유고를 수집⋅보존하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하는 문학아카이브는 독일에서 처음 생겨났다. 한국의 문학유산 및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보존 및 연구하기 위한 기관으로서 국립한국문학관이 설립되고 있는 현 시점에 문학아카이브의 시원을 연 독일의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문학아카이브’에 대한 최초의 이론적 접근이라 할 수 있는 빌헬름 딜타이의 「문학을 위한 아카이브」(1889) 를 살펴본 후 100년 이상의 전통을 자랑하는 독일의 대표적인 두 문학아카이브, 즉 괴테 쉴러 아카이브와 마르바흐 독일 문학아카이브의 역사와 현재를 개관하고 우리가 독일의 사례로부터 배울 수 있는 점들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라키비움’, 즉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기능을 통합한 복합적 문화공간모델이 국립한국문학관의 모델로 제시되기도 하는데, 기록관(보존)과 박물관(전시)의 통합이라는 구상은 독일 최초의 문학아카이브인 괴테 쉴러 아카이브에 이미 담겨 있으며 필자가 보기에 라키비움 모델은 마르바흐 독일 문학아카이브에 이상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독일의 문학아카이브 현장에서는 최근 살아있는 작가의 원고 및 개인적 문서를 문학아카이브가 미리 기증받거나 구입하는 것을 뜻하는 ‘사전유고 死前遺稿’라는 신조어가 완전히 정착되었는데,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는 문학유산의 소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므로 우리도 도입할 만하다. 이에 더해 출판사 아카이브를 수집대상에 넣는 것도 고려해 볼 일이다. 또한 문학아카이브의 수집영역이 변화된 시대상황에 맞춰 디지털 자료에까지 확대되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마지막으로 “연구 없는 수집은 맹목적이고 연구 없는 아카이브는 영락한다”라는 말처럼 국립한국문학관도 수집한 자료를 대상으로 직접 연구를 수행해야 이를 토대로 의미 있는 수집정책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공연예술아카이브의 존재론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호신 무용역사기록학회 2014 무용역사기록학 Vol.33 No.-

        이 연구는 공연예술아카이브의 근본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공연예술은 현장 성을 기반으로 하는 순간의 예술이라는 점을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은 서구의 공연학 이론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공연의 특성이 아카이브와 관련을 맺으면서 발생하는 여러 복잡한 문제들을 공연예술아카이브의 존재론적인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서 분석하였다. 아울러 공연과 기록의 관계를 진본성과 신뢰성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러한 고유의 특성이 공연예술아카이브에 남겨 놓는 특수한 문제들로 인해서 공 연예술아카이브는 새로운 정의와 접근이 필요함을 밝혔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Archives. To do this, I first consider that performance is the arts of ephemerality which is based on the liveness through western postmodern performance study theory which is based on postmodern aspects. And then I analyze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performance and the archiv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archives. And I consider the authentic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records of performing arts. At last, I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redefining of performing arts archives.

      • KCI등재

        영미권 민속아카이브 현황과 한국민속학에서 민속아카이브의 전망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15 비교민속학 Vol.0 No.58

        아카이브라는 용어는 공적인 기록물을 저장하는 모든 장소를 일컫는 용어이면서 마을이나 공동체의 공식적인 업무와 관련한 기록물을 지칭하여 사용되기는 하지만 최근에는 거의 기록물저장소 혹은 기록물보존소와 같은 기록물을 저장하고 보존하는 장소라는 의미로 인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아카이브에 대한 용어 속에는 한편으로는 기록물보존소와 같이 자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보존할 수 있는 장소 및 기관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초창기에는 다양한 수집의 결과 모여진 자료 및 기록 전반을 의미하기도 하였기 때문에 민속아카이브의 경우에는 특히 민속자료보존소의 역할과 기능에 못지않게 현지조사를 통하여 얻어지고 수집되는 민속자료 및 민속기록물 자체도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수도 있다. 한국민속학에서 그동안 박물관이나 도서관의 한 부속영역으로만 치부되었던 아카이브가 “민속아카이브”라는 영역으로 새롭게 조명되면서 박물관이나 도서관과 별도로 독립적인 기능과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민속아카이브의 설립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민속아카이브는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수집된 다양한 현지의 민속자료를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관리하며 연구자 및 일반인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설과 구조를 갖추어야 하는데, 이러한 모범적인 사례는 영미권 민속아카이브를 통하여 잘 파악할 수 있다. 영미권 민속아카이브의 특징을 살펴보면 각 지역의 민속자료를 보존하고 관리하는 민속아카이브가 잘 설치되어 있다는 점과 어린이 민속 관련 민속아카이브가 활성화되고 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특히 민속아카이브는 누구나 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인터넷 사이트가 잘 마련되어 있어서 다양한 민속자료를 언제 어디서든지 간편하게 인터넷으로도 검색할 수 있는 접근성과 편의성을 제공해준다. 한편 한국민속학에서는 도시민속과 관련한 민속아카이브가 중요한 것 같은데 이것은 현대 한국사회는 빠른 경제성정과 도시화로 인하여 도시의 민속이 점차로 약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개발이라는 명목하에 기존의 도시마을이 뉴타운으로 새롭게 조성되면서 사라질 위기에 처한 도시공동체와 도시지역의 마을민속에 대한 관심이 생겨나게 되었다. 즉 이러한 도시민속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서 사라질 위기에 처한 도시의 민속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보존할 수 있도록 도시민속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민속아카이브의 설치도 필요한 것 같다. This article mainly deals with prospects on Korean folkloristics of folk archives through contemporary issues of Anglo-American folk archives. In general, folk archives are repositories where the primary resource material generated by folklore fieldwork and research are stored and restored as well as systematically indexed and catalogued in order to made accessible not only to researchers but also to publics. Also folk archives contain the raw data that reflect grass-roots everyday life culture. Hence, these raw data are consist of almost any form or on almost any medium. For instance, these raw data are field recordings, photographs, drawings, field notes, transcriptions of words or music, logs and even artifacts collected during fieldwork. In almost all cases, however, individual items in archives are unique and individual documents rather than mass-produced public materials. In Anglo-American folk archives (particularly folk archives for children) are well preserved and these folk archives are easily accessible by inter-net service. In this progress and development state Universities play a crucial role to collect and catalogue folk data as well as to make folk culture contents inside web site. By comparison to Anglo-America cases, folk archives issues are relatively new and emerging sphere in Korean folkloristics. There are five main forthcoming issues which may be urgent today. First, all sorts of accumulated folklore raw data should be collected in one place and make accessible to any researchers and publics. Second, folk data from urban areas are also collected and maintained systematically by local government. Third, folk data from North Korea should be kept in the newly established folk archive for future unified Korea. Fourth, folk archives for multi-culture and oversea Koreans are needed. Lastly, folk archives for schools, educational institutes and places are extraordinary interesting aspects for Korea folkloristics as well.

      • KCI등재

        공연예술아카이브 교육 콘텐츠 개발환경 개선 방안 연구

        김도연 한국무용과학회 202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7 No.2

        This study encourages to development educational contents by using records preserved at performing arts archives as soon as possible. To conclude the result, this study explored the examples of dance archives and educational contents in England and uncovered several complex issues encountered by national performing arts archives. In order to make diverse education programmes fully based on performing arts records, firstly, korean art archives need to consciously move from 'collecting and preserving' to 'utilising' in organisational system and work process, as well as keep networks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lated organisations. This will enable performing arts archives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and reflect feedback from them and consistently develop. In addition, archives should provide programmes and manuals for users to utilise archives. In terms of copyright, performing arts archives are being in trouble. Records are very fragile as performing arts archives include different kinds of medium. This is the reason why performing arts archives need to have educational system and manuals for users. Most of all, copyright have to be solved and managed for people to utilise records related to performing arts as mush as possible. Without positive changes in copyright of performing arts, it is very hard to find solutions and probabilities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Studies on materials of performing arts professionally and modern technologies such as AR・VR or AI make educational contents more fruitful and colorful. 본 연구는 공연예술아카이브 교육 콘텐츠 개발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영국을 중심으로 무용 아카이브와 교육 콘텐츠 사례를 알아보고, 국내 공연예술아카이브와 비교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공연예술기록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아카이브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수집과 보존보다 활용이 중심이 되는 의식 변화를 바탕으로 교육 콘텐츠 개발 등과 관련한 전문 인력과 조직체계, 그에 따른 예산을 확보해야한다.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조사와 연구에 착수하고, 교육기관 및 유관기관과의 지속적인 네트워크 형성과 협력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아카이브 소장 자료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단계별 이용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아카이브는 물리적 훼손을 최소화해야하는 유일본을 다루는 기관이다. 또한 기록 간의 관계, 즉 맥락 정보가 중요하여 기록의 그룹이나 컬렉션 단위로 접근하는데 의미를 두는 아카이브의 고유한 특성 때문에 아키비스트의 적극적인 안내와 도움 없이는 공연예술아카이브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기 어렵다. 체계적인 이용 매뉴얼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공연예술아카이브의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해 무엇보다 먼저 해결해야할 것은 저작권 문제이다. 공연 작품의 구성 요소별 법의 적용 기준과 범위를 구체화하여 법에 저촉되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기록들을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되고, 자료에 대한 전문적인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변화하는 사회에 맞는 첨단기술이 적용된 교육 콘텐츠가 개발된다면 공연예술아카이브는 더욱 활성화되고, 공연예술기록의 가치는 더욱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역사의 기억과 기록 장치로서 아카이브 미술 연구

        조사라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Archives are acting as major strategies and discourses in contemporary visual art scene. Jacques Derrida referred to Archive Fever as the repetitive compulsion toward the archive to find the sources of records and memories that are absent in『Archives Fever: Freudian Impression』, published in 1995, and Hal Foster published An『Archival Impulse』in October magazine in 2004. Under these philosophical and aesthetic discussions, Okwui Enwezor's exhibition of ‘Archive Fever: Uses of the Document in Contemporary Art’ in 7th Gwangju Biennale held in 2008 ‘Annual Report, and Georges Didi-Huberman's exhibition, led by the 2008 Large exhibitions in contemporary art since the 2000s, including Exhibition and Massimiliano Gioni's 8th held in 2010 Gwangju Biennale ‘10,000 Lives’ have chosen encyclopedia archival methodologies. Prior to this exhibition planning, artists visualized human history by applying archiving methodology, and Jewish Gustav Metzger, Gerhard Richter, and Christian Liberté Boltanski have testified against the Holocaust. And Yanagi Yukinori, Walid Raad, and Thomas Hirschhorn worked to record, collect, and remember dark human history such as the Pacific War, the Civil War in Lebanon, and the War in Iraq. These artists are constantly summoning and imprinting memories of individuals, groups, and ethnic groups through archive methodology. The archiving methodology, which reproduces the past and history, is meaningful in terms of weav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while contemporary art closely adheres to society. In other words, archival art is a testimony to war and imperialism and a visual repository of human wounds, and has a modern meaning in constantly re-recognizing the past and history. Also, it is a supporter that best reflects and forms the phenomena and attributes of contemporary art in terms of an open system to society. Therefore, Archive art is likely to expand further in an infinite new media environment, and various discussions on the definition of archive art will be needed accordingly. 동시대 시각 예술 현장에서 아카이브가 주요 전략과 담론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크 데리다는 1995년출간한 『아카이브 열병 : 프로이트적인 흔적』에서 부재하는 기록과 기억의 근원을 찾아 회귀하려는아카이브를 향한 반복적인 강박을 ‘아카이브 열병’이라고 언급했으며, 2004년 미술사학자 할 포스터(Hal Foster)가 옥토버지에 『아카이브 충동』글을 게재하면서 촉발되었다. 이러한 철학과 미학적 논의 아래 오쿠이 엔위저의 2008년 ‘아카이브 열병: 현대미술의 도큐먼트 사용’ 전시와 2008광주비엔날레 ‘연례보고’를 필두로 조르주 디디-위베르망의 아비 바르부르크의 미완성 프로젝트를 과거와 도큐멘타에 대한 재해석과 재구성의 미학적 프레임으로 구축해 선보인 전시와 마시밀리아노 지오니의2010광주비엔날레 ‘만인보’ 등은 2000년대 이후 동시대 미술계의 대형 기획전은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방법론을 택하였다. 이러한 전시 기획 이전부터 작가들은 인류 역사를 아카이빙 방법론을 적용하여시각화하였는데 유대인 출신 구스타프 메츠거, 게르하르트 리히터, 크리스찬 볼탕스키 등은 홀로코스트를 은유하고 증언하고 있으며, 야나기 유키노리, 왈리드 라드, 토마스 허쉬혼 등은 태평양전쟁, 레바논 내전, 이라크전 등 어두운 인류 역사를 기록하고, 수집하며, 기억하려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작가들은 아카이브 방법론을 통해 개인과 집단, 민족의 기억들을 재생시키고 환기시키고 있는 것이다. 과거와 역사를 재생산하는 아카이빙 방법론은 동시대 미술이 사회와 밀착하면서 과거와 현재, 미래를직조해나간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즉 아카이빙 미술은 전쟁과 제국주의에 대한 증언이자 인류가지닌 상처의 시각적 저장고로서 끊임없이 과거와 역사를 재인식하는 데 현대적 의미가 있다고 볼 수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와 텍스트, 영상이 무한한 뉴미디어 환경 속에서 아카이브 미술은 더욱 확장될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이며, 오늘날 아카이브 미술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평가 모형 탐색과 적용

        주용국(Joo, Yong-Ko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0 No.-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평가 모형구안과 모형의 적용을 통한 산복도로 아카이브 평가와 개선방향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카이브 평가 모형은 아카이브 문헌자료와 마을 공동체 아카이브 사례에 기초하여 구안하였다. 산복도로 아카이브의 평가는 부산동구 아카이브 관련 문헌자료와 마을 아카이브의 시설과 웹페이지, 아카이브앱을 활용하였다. 개발된 평가모형은 기획, 수집 · 기록화, 활용, 평가 단계로 구분되어 있다. 기획단계는 정체성 구축과 자료의 범위 설정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집 · 기록화 단계에서는 아카이브 생산주체의 참여, 분류기준, 스토리텔링 요소 반영, 흥미성 · 교육성 · 다양성 · 접근성 · 사용편의성 · 유용성 · 추후사용의도의 반영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활용단계에서는 Benjamin의 읽기와 성찰, 개인과 공동체의 성장이나 변화 방향성 설정과 실천 여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 단계에서는 기획단계, 수집 · 기록화 단계, 활용단계에 대한 평가와 아카이브 산출물에 대한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모형적용을 통한 산복도로 아카이브는 현재 설립에서 안정화로 이양되는 단계에 있다. 산복도로 아카이브의 발전 방향은 단순한 기록저장소가 아니라 인간 간의 관계 복원과 공동체 재생, 공동체의 발전에 대한 교류의 공간이자 기회이므로 인간 공동체 구성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n evaluation model of local community archives.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analyses of archives literature and Sanbokdoro archives practices were conducted. The developed evaluation model is divided into 4 phases. The planning phase consists of archive identity construction and scope setting. The collection and documentation phase consists of producers participating in the archive, classification criteria, storytelling elements, interest, educationality, diversity, accessibility,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The utilization phase consists of Benjamin’s reading, reflection, plan and implementation of growth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development. The assessment phase consists of the formative assessments of each phase and the summative assessments of the outcomes of the archiv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pplying the evaluation model, the future directions of Sanbokdoro archives should focus on not data reservoir but the opportunity for development of human communities.

      • KCI등재

        아카이브 기억의 재현 불가능성과 미래적 픽션의 재구성: 김아영과 린제이 시어스 작품 연구

        지가은 현대미술사학회 2024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55

        본 논문은 아카이브 아트로서 김아영과 린제이 시어스(Lindsay Seers) 작품이 보여주는 픽션의 세계를 통해 아카이브 기억의 총체적인 재현 불가능성을 확인하고, 그 예술적 실천과 전략에 주목한다. 두 작가 모두 과거의 사건을 둘러싼 파편적 아카이브 기록을 기반으로 작품을 구성하지만 그 서사는 실제와 가상의 경계를 흐리는 픽션으로 재구성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거대서사의 역사적 증거물로서, 보편적 상징질서의 사회적 구축물로서의 아카이브 개념과 체계를 의문시하며 아카이브에 진입해 과거로 이르는 하나의 우회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자크 데리다는 『아카이브 열병(Archive Fever: A Freudian Impression)』(1995)에서 아카이브의 모순적 이중성을 통찰했다. 이는 아카이브가 기억의 출처와 근원으로 끊임없이 회귀하려는 반복적 욕망에 사로잡혀 있는데 이것이 역설적이게도 아카이브를 파멸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동시에 아카이브를 가능케 하는 원리라는 것이다. 논문의 초첨은 첫째, 이 아카이브의 모순적 이중성 그 자체를, 다시 말해 아카이브적이면서도 반아카이브적인 충동의 공존 양상을 보다 극적으로 가시화하는 두 작가의 작품을 분석한다. 둘째, 동시대 아카이브 아트가 드러내는 반복과 실패의 전략, 생성적이고 미래적인 서사를 구축하는 다중감각적인 경험과 비선형적 접근을 토대로, 아카이브가 과거 기억의 최초의 출발점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실은 현재의 시점에서 재구성하는 미래적 서사의 가능성으로 열려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works by Ayoung Kim and Lindsay Seers, focusing on their world of fiction in an effort to ascertain the infeasibility of a total representation of the archival memory and examine its artistic practices and strategies. Both artists compose their works based on fragmented archival records about the past episodes, but their epics are recomposed into fictions blurr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Furthermore, they doubt the concept and system of the archive as historical evidence of the grand narrative or as a social construction of a universal symbolic order, and thereupon, advance into the archive to suggest an indirect possibility of reaching the past. In his work Archive Fever: A Freudian Impression (1995), Jacques Derrida showed insight into the contradictory duality of the archive. He argues that we are captured by a repetitive desire of regressing to the Archive as sources and origins of memory, but ironically, this compulsive desire aims at destroying the archive, while at the same time empowering it.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I analyze the two artists’ works dramatically featuring the contradictory duality of the archive, namely, the co-existence between archival and anarchival impulses. Secondly, I argue that the archive opens a futuristic possibility of the epic recomposing the multi-sensory experiences and non-linear approaches rather than returning to the first starting point of the past memory, based on the multi-sensuous experiences and non-linear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