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물을 통해 본 아라가야와 왜의 교섭

        하승철 중앙문화재연구원 2018 중앙고고연구 Vol.0 No.25

        Negotiations between Aragaya and Wa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Jindong Bay or Masan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Wa relics excavated from Aragaya are from the 4th or the 5th century. A lot of the 4th century Wa earthenware were excavated from the historic site of Hyeondong, and the early 5th century armor made in Japan was excavated from Haman Dohangri Tomb No. 13. In the late 5th century, sword imported from Wa was buried in Malisan Tomb No. 4. Compared to the large number of Aragaya relics from the 5th century excavated in the Japanese Islands, only a few Wa relics were found in Aragaya. Aragaya relics excavated from the Japanese Islands were either buried in ancient tombs, brought in person by Aragaya immigrants, or produced locally. A large amount of Aragaya relics was excavated around Kyushu in the 4th century. We can assume direct negotiating relations between the heads of Aragaya and Kyushu in the 4th century. From the late 4th century, they came to be excavated intensively in Osaka instead of Kyushu. From the late 4th century until the early 5th century, we can see either direct or indirect negotiations between the heads of Kinki and Aragaya. Aragaya relics are highly concentrated particularly in Nara of Japan. In the historic sites where Aragaya relics have been excavated, we find a lot of earthenware and steel products, implying a substantial influx of Aragaya craftsmen. The heads in Nara were accepting advanced handicraft techniques through negotiations with Aragaya. Aragaya relics found in Japanese Islands decrease in number from the late 5th centur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Islands takes a multichannel form, resulting in the increase in the relics from Daegaya, Sogaya, Mahan, and Baekche. 아라가야의 대왜 교섭은 남해안의 진동만과 마산만을 통해 이루어졌다. 아라가야에서 출토된 왜계 유물은 4세기, 5세기 전반, 5세기 후반으로 구분된다. 4세기에는 현동유적과 대평리유적에 왜계 토기가 다량 출토되고, 5세기 전반에는 함안 도항리 13호분에 왜계 삼각판혁철판갑이 반입된다. 5세기 후반에는 말이산 4호분에 왜계 철검이 부장되고, 함안 오곡리 M1호분과 대평리 M1호분에 스에키가 부장된다. 일본열도에 다수의 아라가야계 토기가 출토되는 점에 비해 5세기에 반입되는 왜계 유물은 극히 적다. 일본열도에서 출토되는 아라가야 유물은 고분에 공헌되기도 하고, 이주한 아라가야 사람들에 의해 반출되거나 현지에서 재생산되기도 한다. 아라가야 유물은 4세기에는 규슈를 중심으로 다량 출토된다. 서남해안지역과 거제 아주동유적, 규슈지역에 분포하는 아라가야 유물로 볼 때 마한-아라가야-왜의 관계망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4세기 후반부터 규슈를 대신하여 가야와 왜의 주요 교역로인 쥬고쿠(中國), 시코쿠(西國), 긴키(近畿)에 아라가야 유물이 집중한다. 4세기 후반부터 5세기 전반에는 긴키지역 수장층과 아라가야 수장층의 직·간접적인 교섭이 전개된다. 특히 아라가야 유물은 일본 나라지역에 집중적으로 출토된다. 아라가야 유물이 출토되는 유적에서는 초기 스에키, 철 생산 관련 유물이 공반되고 있어 아라가야 공인이 대거 진출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나라지역 수장층은 아라가야 수장층과의 교섭, 아라가야 이주민의 정착을 통해 철·토기 등 첨단 수공업 기술을 수용하였다. 그러나 5세기 후반부터 일본열도에서 출토되는 아라가야 유물은 급감한다. 한반도와 왜의 교섭이 다원화되면서 대가야, 소가야, 마한·백제계 유물이 증가한다. 5세기 후반부터 아라가야 토기 분포권이 함안분지로 위축되고 아라가야 외곽 수장층에 소가야 유물이 증가하는 것과 궤를 같이한다

      • KCI등재

        아라가야 수혈식석곽묘의 유형화를 통해본 신분질서

        최경규 ( Gyong Kyu Choi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2 文物硏究 Vol.- No.22

        가야제국에 대한 연구는 그간 김해의 금관가야와 고령의 대가야 중심의 연맹체적 해석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 때문에 아라가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하지만, 아라가야의 중심고분군인 도항리고분군에는 4세기 중엽 이후에 대형 목곽묘가 조영되기 시작하고, 이어서 5세기 초엽~중엽에는 대형봉토고분의 매장주체부로 수혈식석곽묘가 축조되는데, 동시기 금관가야에 비해 탁월하며, 대가야와 비교해도 대등한 수준이다. 아라가야의 성장과 발전은 묘제의 변화과정에 나타나 있으며, 아라가야의 최전성기의 묘제인 수혈식석곽묘의 연구를 통해 당시 아라가야 발전기의 대외정세와 지배층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간의 연구경향은 유물중심의 편년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묘제는 목곽묘에서 횡혈식석실묘에 이르는 통시적인 연구경향이 강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아라가야 수혈식석곽묘를 중심으로 성장과 발전을 논하기 위해, 앞 시기의 목곽묘와 수혈식석곽묘를 관곽의 개념을 적용하여 유형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유형화 결과, 목곽묘와 수혈식석곽묘는 각각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수혈식석곽묘의 상위위계인 Ⅰ·Ⅱ유형은 다시 규모, 순장형태, 부장유물의 질적 차이 등에 따라 Ⅰ유형은 3개의 소유형, Ⅱ유형은 2개의 소유형으로 세분할 수 있었다. 아라가야의 5세기 대 수혈식석곽묘 Ⅰ유형에는 순장이 시행되었으며, 마갑과 철제 갑주류 등의 상당한 위세품의 부장되었다. 이는 아라가야 성장의 외적표현이 수혈식석곽묘의 축조와 동시에 나타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수혈식석곽묘 Ⅰ유형의 유형분화 양상은 아라가야의 王과 그 아래에 上·下旱岐층의 존재와 대응되는 것으로, 수혈식석곽묘의 유형화를 통해 파악된 지배층의 분화양상은 아라가야의 정치적 성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고고학적 현상으로 파악된다. The research on the Gaya Empire has been interpreted as confederacies of the center of Geumgwan Gaya in Gimhae and Dae Gaya in Goryung, due to that, Ara Gaya has been lacking research. However Dohangri tombs which is center of Ara Gaya`s tombs started up construcitng the large wooden outer coffin since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and then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As the principal part of large fief of burial tumulus, stone - lined pit burial tomb was constructed. That is excellent compared to Geumgwan Gaya and is the same level compared to Dae Gaya. The growth an development of Ara Gaya appeared in the process of change of burial. By researching of the stone-lined pit burial which is the peak of Ara Gaya, 1 could look through the foreign situation and the ruling class of Ara Gaya in those days. However, the recent studies tend chronological study of the artifact-centric and the research of the burials have tendency to be diachronic study from wooden outer coffin to stone chamber tomb with tunnel entrance.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make typology by applying to the previous wooden outer coffin and stone-lined pit burial as the concept to coffin to discus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one-lined pit burial in Am Gaya. As a result of typology, wooden outer coffin and stone-lined pit burial could be divided into 4 types,1,2 I, I II type of upper hierarchy in stone-lined pit burial tomb sub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the scale, the form of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the qualifies of director`s remains: I type into three small types, II type into two small types stone-lined pit burial tomb I type in Ara Gaya in the 5th century was performing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was buried with considerable prestige goods such as bard and iron armor. This is to say that the outward expression of Ara Gaya growth appeared simultaneously with the construction of stone-lined pit burial tomb. The differentiation type of stone-lined pit burial tomb is corresponding to the presense of king(王) of Ara Gaya and the below strata(上-下旱岐層). At last, the differentiation of the elites through the typology of stone-lined pit burial tomb is realized important archaeological phenomenon which was showing the political grow go Ara Gaya.

      • KCI등재

        고고자료를 통해 본 아라가야의 대외관계

        하승철 ( Ha Seung-cheol ) 부경역사연구소 2018 지역과 역사 Vol.- No.42

        아라가야의 고분문화는 묘제와 부장 유물의 변화를 기준으로 4단계로 설정하였다. 1단계는 중ㆍ소형 목곽묘가 축조되고 고식도질토기가 유행하는 시기로 4세기 전엽부터 4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2단계는 새로운 형식의 도질토기가 제작되고 대형 목곽묘가 축조되는 시기로 4세기 후엽부터 5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3단계는 수혈식석곽묘가 수장층의 묘제로 채택되는 시기로 5세기 후엽부터 6세기 전엽에 해당한다. 4단계는 횡혈식석실분이 도입되고 외래계 토기가 확산하는 시기로 6세기 중엽에 해당한다. 아라가야와 왜는 4세기부터 5세기 전반의 시기에 가장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다. 당초 규슈지역 수장층과 교류하였으나 4세기 후반부터 긴키지역 왜 왕권으로 교섭대상이 바뀐다. 아라가야와 마한의 교류는 3세기 후반부터 전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아라가야와 백제의 교섭은 3단계부터 간헐적으로 진행되었으나 6세기 중엽에 확대된다. 횡혈식석실분의 도입과 함께 백제계 금속기ㆍ토기 등이 아라가야로 유입된다. 아라가야와 신라의 교류는 1단계에 활성화되지만 이후로는 크게 진전되지 못한다. 3, 4단계에는 아라가야 수장층을 중심으로 신라계 의장용마구가 반입된다. 아라가야와 소가야는 1, 2단계에 긴밀한 관계를 형성한다. 아라가야 토기문화는 소가야 토기의 성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아라가야와 대가야는 3단계부터 교류가 시작된다. 아라가야 수장층에 대가야형 마구와 장식대도 등이 반입된다. 6세기 중엽에는 횡혈식석실분에 다량의 대가야 유물이 부장된다. 아라가야가 급격히 위축되는 가운데 백제, 대가야 세력이 영향력을 확대한다. 아라가야는 대외관계로 보아 4세기부터 급성장하였으며 5세기에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6세기 중엽에는 백제의 동진과 신라의 영토확장 정책에 맞물려 급격히 쇠퇴한다. Aragaya developed while forming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s with each of its neighboring countries. Foreign relations are not identical from beginning to end, and its objectives and targets change based on fluctuations in circumstance. Aragaya’s foreign relationships continued from the 4<sup>th</sup> century to the middle of the 6<sup>th</sup> century. Aragaya and Wa formed the closest relationship from the 4<sup>th</sup>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5<sup>th</sup> century. Initially, Ara Gaya engaged in exchanges with the head class of Wa’s Kyushyu region, but from the latter half of the 4<sup>th</sup> century changed to a target of negotiations as Japan’s royal authority. Exchange between Aragaya and Mahan began from the 4<sup>th</sup> century. Negotiations between Aragaya and Baekje were carried out from the latter half of the 5<sup>th</sup> century, but expanded during the middle of the 6<sup>th</sup> century.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oenghyeol stone chamber tomb, metal and earthenware from Baekje were brought into Aragaya. Exchanges between Aragaya and Silla were active for the entirety of the 4<sup>th</sup> century, but didn’t significantly progress after that. From the latter half of the 5<sup>th</sup> century, antiquities from Silla entered into Aragaya centered around the head class. Aragaya and Sogaya formed a close relationship in the first half of the 5<sup>th</sup> century. From the latter half of the 5<sup>th</sup> century, Aragaya and Daegaya had active exchanges with one another. Saddlery and decorative swords from Daegaya entered Aragaya’s head class. In the middle of the 6<sup>th</sup> century, Many of Daegaya’s antiquities were buried together in the stone chamber tomb. Aragaya, based on its foreign relationships, rapidly developed from the 4<sup>th</sup> century, and enjoyed its heydays in the 5<sup>th</sup> century. During the middle of the 6<sup>th</sup> century, Aragaya sharply declined in connection to the territorial expansion policies of Baekje and Silla.

      • KCI등재

        2~6世紀 阿羅加耶의 對外交流網 硏究

        정현광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24 文物硏究 Vol.- No.45

        아라가야의 대외교류망 규명과 연구는 정치적인 이해관계와 맞물려 해석되는 경향이 강하며 기존연구는 5세기 후엽~6세기 초반 전후 아라가야 후기단계에 왜 및 소가야, 대가야, 신라권 장식 위세품과 토기류 위주의 대외교섭 연구에 집중된 경향을 보인다. 이에 대해 필자는 최근까지 조사, 연구된 고고자료를 토대로 백제, 왜, 중국 남조 위세품 등 동아시아의 다종다양한 국제적 성격의 유물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아라가야 대외교류망의 통시적인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아라가야의 대외교역망의 시기적 변화양상은 크게 3기로 나눌 수 있다. 1기는 2세기 후엽~4세기 초엽 경으로 이 시기 주요 교통로는 남강~낙동강 하천교역로와 양산단층선 및 울산 등의 내륙교통망, 동남해안교통로를 이용한 신라와의 토기를 매개로 한 교역을 시작으로 김해-부산 금관가야와 신라 중심의 교역체계 기반을 형성하였다. 2기는 4세기 전엽~5세기 전엽이며 마산 현동 집단에서 아라가야 양식 토기와 판상철부 등 교역과 관련된 유물이 다수 출토되는 점에서 연안 해상교역이 활성화된 것으로 보인다. 3기인 5세기 중엽~6세기 초엽은 아라가야 계층구조 상 1등급이자 왕인 아라사등부터 6등급인 거수층으로 분화된 3단계에 속한다. 가야읍 말이산 집단을 중심으로 마산-진동만을 중심으로 한 남해안 해안교역로를 통해 마한·백제, 왜, 중국 남조 등 동아시아 국외정치체와 다원적 교류망을 형성하는 시점이다. 아라가야 중심과 주변 지배층 묘역의 부장 양상은 아라가야가 백제의 동진과 서진하는 신라에 대응하기 위해 후기 가야세력뿐만 아니라 왜와의 교류도 일정 수준으로 지속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6세기 중엽 전후로는 소가야, 대가야, 창녕-신라 등의 국내 정치체와의 교류 중심으로 축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시기별 변화양상과 고고자료로 본 아라가야의 대외교역망은 2세기대 초기국가 수준의 교역에서 점진적으로 성장하여 영역 내 인적·물적자원의 활용과 주변 복속집단을 통제할 수 있는 권력의 강약, 지배층 중심의 준 고대국가의 교역형태로 발전했음이 확인된다. 특히 한반도, 왜뿐만 아니라 중국계 위세품의 확인은 아라가야도 고대국가의 광역시장권에 포함된 교역 대국 중 하나였음을 보여준다. The identification and study of Aragaya's foreign exchange network tends to be interpreted in conjunction with political interests, and existing research tends to focus on the late Aragaya period around the late 5th and early 6th centuries, focusing on the study of foreign trade in Sogaya, Daegaya, and Silla decorative arts and ceramics. In this paper, based on recently researched archaeological data, this article comprehensively analyzes various internationally diverse artifacts from East Asia, including Baekje, Wae, and Southern China, to examine the changes in Aragaya's foreign exchange network over time. The periodic changes in Aragaya's foreign trade network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from the late 2nd to early 4th centuries, and the main transportation routes during this period were the Namgang-Nakdong River trade route, the inland transportation network such as the Yangsan Fault Line and Ulsan, and the Southeast Coastal Transportation Route, starting with earthenware trade with Silla, forming the basis of the trade system centered on Gimhae-Busan Geumgwan-gaya and Silla. The second period is between the 4th and 5th centuries AD and appears to be the period of active coastal maritime trade, as many trade-related artifacts such as Aragaya-style earthenware and plate ironware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Masan “Hyeondong” group. The third period, from the mid-fifth century to the early sixth century, is the third level of the Aragya hierarchy, from the first level, "Arasadeung," which is equivalent to a king, to the sixth level, the “big man”, which can also be seen as a village leader. Centering on the Malisan group in Gaya-eup, the southern coastal trade route centered on Masan-Jindong Bay formed a pluralistic exchange network with East Asian foreign political entities such as Mahan·Baekje, Wae, and the Chinese Southern Dynasty. The burials in the center of Aragaya and the surrounding ruling class tombs suggest that Aragaya maintained a certain level of interaction with not only the later Gaya forces, but also with Wae, in order to counter Baekje's advancing east and Silla's advancing west. However, around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it tends to be reduced to interactions with domestic political entities such as Sogaya, Daegaya, and Changnyeong-Silla. The changes over time and archaeological data confirm that Aragaya's foreign trade network gradually grew from early state-level trade in the second century to a quasi-ancient form of trade centered on the utilization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within the territory, the strength of power to control surrounding subordinate groups, and the ruling class. In particular, the identification of luxury goods from the Korean peninsula, Wae, as well as China, shows that Aragaya was one of the trading powers included in the wider market area of the ancient world.

      • KCI등재

        아라가야에 대한 연구 동향과 향후 전망

        이주헌 ( Lee Ju-heun ) 부경역사연구소 2018 지역과 역사 Vol.- No.42

        가야를 단일주제로 한 가야사의 연구가 본격화된 것은 1980년대 이후이다. 그동안 축적된 가야사 관련 연구성과는 가야사회의 발전과정을 연대순으로 재구성하는 바탕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김해의 가락국, 고령의 가라국(대가야)을 중심으로 한 가야사 연구경향에서 벗어나 함안의 아라가야(안라국) 및 고성의 소가야(고자국)를 포함한 가야 각국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활성화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가야각국은 한국고대사에서 주체적인 역할을 담당한 정치집단이었으며, 각 정치집단은 사회의 발전 정도가 달라서, 대가야나 아라가야는 정치적으로 고대국가 단계로까지 나아간 것으로도 현재 논의되어지고 있다. 그동안 아라가야를 주제로 한 각 분야의 다양한 연구로는 변진구야국과 안야국, 포상팔국 전쟁, 광개토왕릉비문의 ‘안라인수병’, 『일본서기』 계체ㆍ흠명기의 안라회의, 임나일본부 등과 같은 특정 주제와 관련된 파생적인 문제로만 다루어져 왔다. 따라서 가야사회의 유력한 정치체의 일원으로서 아라가야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에는 아직도 한계가 있음을 시인하지 않을 수 없다. 아라가야에 대한 연구는 태생적으로 자료 부족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문헌사 연구분야에서는 대외관계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삼국사기 초기기록과 광개토왕릉비문을 제외하면 주로 6세기 전반의 『일본서기』 기록에 근거하고 있는 연구의 편중성은 아라가야사를 체계적으로 재구성하는데 있어 적지 않은 문제점을 남기고 있다. 또한 고고자료에 있어서도 대부분이 5세기 이후의 고분 관련 자료에 집중되어 있고, 동일한 유구와 유물의 해석에 있어서도 연구자 간에 서로 상이한 해석으로 실상에 대한 인식차가 큰 점 역시 문제점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단계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연구방법과는 차별적인 새로운 연구법의 모색과 문헌 및 미지의 고고학 자료에 대한 적극적인 조사와 발굴은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는 부분이다. 특히, 고고자료의 심각한 편년관의 극복 및 매장관련 분묘연구 위주에서 생활양식 연구로의 전환, 그리고 왕궁-거점취락-일반취락간의 유기적 관계 검토에 따른 입체적인 사회상 복원은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또한, 아라가야에 대한 효과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전문연구 인력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지역민 스스로 지역사에 관심과 열정을 갖도록 하는 효과적인 방안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research on the history of Gaya began in earnest in the 1980s, efforts to ascertain what the history of Gaya was really like through excavation surveys of historic sites and reinterpretation of the Nihon Shoki are being made even more concretely today. Recently, scholars specializing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have begun referring to the “Four Kingdoms Period” rather than using the established term ‘Three Kingdoms Period’. The results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Gaya accumulated so far not only form the basis on which to recompose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Gaya society chronologically, but have also brought about changes resulting in more in-depth studies of each of the mini kingdoms in present-day Haman and Sogaya of the Gaya Confederacy, breaking with the past trend of research focused largely on Garakguk in Gimhae and Garaguk in Goryeong. So far, studies on Aragaya have only been conducted with a focus on derivative matters like Byeonjinguyaguk, Anyaguk; war among the Posangpalguk ; the Allainsubyeong referred to on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of Goguryeo; the Alla Conference or Mimana Nihonfu mentioned in the Nihon Shoki. Thus,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in-depth study about Aragaya as a powerful polity of Gaya still has a long way to go. The research on Aragaya is limited by a lack of informative materials, as most of the relevant literature only concerns its relationship with neighboring countries. Other than early parts of Samguk sagi and the content of the Stele of King Gwanggaeto, Nihon Shoki, which was written in the early sixth century, is the only material researchers can rely on heavily for their studies of Aragaya. That is the main limitation faced by researchers in their efforts to systematically recompose its history. However, there are other problems. Most of the available archaeological materials are related to tombs dating from the fifth century or thereafter, and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way researchers view the same historic sites and relics. It is necessary to overcome such problems one after another by looking for a new research method and new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In particular, efforts need to be made to end the reliance on specific archaeological materials, to shift the focus from tombs to ancient people’s way of life, and to restore three-dimensional social aspects by revie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oyal palaces and villages.

      • KCI등재

        아라가야의 高塚과 그 體系

        최경규(Gyong Gyu Choi) 영남고고학회 2023 嶺南考古學 Vol.- No.96

        아라가야 고총체계의 개시는 현재의 자료로는 (현)4호분 단계인 5세기 중엽 정도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전 단계에는 말 이산 구릉의 북단에 치우쳐 목관묘와 목곽묘 중심의 비정형적 분포를 이루고 있었다. 45호분과 같이 고암반대를 조영한 목곽고총으로 볼 수 있는 무덤이 주능선상에 배치되긴 하지만 주변에 일정간격으로 연속된 고총의 축조가 보이지 않는 점에서 그러하다. 아라가야 고총체계는 매장주체부의 석곽묘 전환과 동시에 시작하며, 葬法의 변화를 수반한다. 장법상 가장 큰 변화는 순장의 시행이며, 매장주 체부 내부공간의 구조는 전대 대형 목곽묘의 구조를 계승하지만 유물부장의 패턴은 변화한다. 아울러 석곽묘의 구조에서 목가구시설 이 A유형 석곽묘를 중심으로 시설되는 등 묘제의 구조와 봉분의 규모 등으로 신분질서를 명확히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거대 봉분 을 축조하는 데에는 토목기술적 과도기는 확인되지 않으며 출현기부터 비교적 완전한 형태를 보이고, 지형에 맞춰 적합한 토목공법을 적용하는 등 유연한 모습을 보인다. 동시기 아라가야 왕성(도성)의 토성, 산성, 제방, 대형 건축물 등의 대형 토목구조물에서 동일한 토 목공법이 적용된 모습에서 아라가야의 발전된 토목기술과 이를 관리, 운영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아라 가야 고총체계는 말이산 구릉의 4지능선의 정부에서 시작하며 9지능선까지 이어지는데, A-1유형이 주능선의 정부와 가지능선의 정선 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주변으로 A-2·3유형이 배장묘로 배치되는 모습을 보인다. 시기적으로 5세기 중엽~6세기 초엽까지의 약 70년 정도의 비교적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조영되었으며 동시에 각 지능선에 A유형의 고총이 배치되는 것을 통해 말이산 구릉을 왕 묘역으로 조영한 시기에는 수장권이 一元化 되지 않은 多系列의 王權을 유지한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석실 고총으로 묘제의 전환과 동시에 남문외고분군으로 왕묘역을 이동한 단계부터는 고총의 배치에서 일원적 구조의 특정 수장계열의 확립을 엿볼 수 있다 The start of the Ara-Gaya the ancient tomb with a gigantic mound and System began in the mid-5th century, which is now Tomb No. 4 at Marisan Tombs(末伊山古墳群). The Ara-Gaya of the ancient tomb with a gigantic mound and System begins when the tomb ritual is changed to a stone tomb, and at the same time, the tomb ritual is changed. The biggest change in the burial ritual is the implementation of the Sacrificial burial(殉葬), and it inherits the structure of the large wooden chamber tombs from the previous period, but the pattern of the burial site changes. The transition period of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has not been confirm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ancient tomb with a gigantic mound, and it shows a relatively complete form from the time of its appearance. In addition, it shows a flexible appearance by applying a suitable civil engine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topography. It is confirmed that the same civil engineering method is applied to large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such as Saturn, fortress, embankment, and large buildings in the same province. Through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Ara-Gaya’s advanced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and its management and operation system were well equipped. The Ara-Gaya of the ancient tomb with a gigantic mound and System starts at the top of the fourth ridge of the Marisan Tombs and continues to the ninth ridge. Type A-1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top of the main ridge and the ridge of the branch ridge, and type A-2 and 3 are arranged as tombs attached to the periphery. The tomb of a large mound is in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It was intensively contrasted in a relatively short time of about 70 years until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of large-scale mound tombs of type A on each ridge, it is believed that when the hills of Marisan Tombs were built as Scope of the Royal Tomb, the right of burial was not unified construction of royalty(多系列王權). On the other hand, from the stage of moving the the scope of a royal tomb to the Namnunoe Tombs(南門外古墳群) at the same time as turning into the ancient tomb with a gigantic mound and System, it is possible to get a glimpse of the establishment of a specific series of kingship(一元的 王權系列).

      • KCI등재

        함안 가야리 토성 소고

        김현봉(Hyun-Bong Kim) 중앙문화재연구원 2024 중앙고고연구 Vol.- No.43

        The Earthen Fortress of Haman Gayari are the remains of Earthen Fortress representative of Aragaya along with the Malisan Ancient Tombs, which were recently designa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s. The sites are located in the hills of Gayari, which offers an excellent view of most of the Hamancheon Stream basin. Although references to the sites have been confirmed since the Joseon Dynasty,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began in 2018 and continues until 2022.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Earthen Fortress, which was built using formworked earth techniques, was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in the Gaya area, and the interior space of a Earthen Fortress, one building with an elevated floor, seven buildings with pit-dwelling, four pits, and the pillar hole groups, archaeologically proving it was a living space for the Aragaya ruling class. In particular, Earthen Fortress, which has a total circumference of about 2.4 kilometers, is the largest among the Earthen Fortress of Gaya culture, and is on par with the royal fortresss of the Three Kingdoms, such as Buso Fortress in Buyeo and Wolseong Fortress in Gyeongju.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the Fortress show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ll and the repaired, and the expanded wall. The first wall was built using the formworked earth technique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ormworked earth techniques of Hanseong Baekje. The repaired and expanded wall, embankment techique was used and the defense power was reinforced by installing a wooden fence. The structure of the Earthen Fortress consists of inner fortress and outer fortress, and shows a unique pattern connecting the Gayari Embankment from the northeast of the outer fortress. Also in the south of inner fortressthere is a presumptive embankment sites, which is also observed in Japanese colonial era photographs and intellectual maps. And the structure of the wall changes with time, and it changes from earthen fortress to a wooden fortress. Wooden Fortress is again divided into the slope barrier stage and the top barrier stage, and in the latter ca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wall was raised once more. Th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structures of this sites do not simply show Aragaya's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but it is a clue to understanding exchang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an important evidence to gauge Aragaya's national power. And around the Gayari sites, there are many major sites of Aragaya, including Bongsan Fortress, West ridge of the Malisan Ancient Tombs, Seonwang Ancient Tombs, Deokjeon Ancient Tombs, Pildong Ancient Tombs, and Gayari Embankment sites, so it is highly likely that Gayari Earthen Fortress was the royal fortress of Aragaya. 함안 가야리 토성은 최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말이산 고분군과 함께 아라가야를 대표하는 토성 유적이다. 토성은 가야리 구릉에 입지하고 있어, 함안천 유역권 대부분이 탁월하게 조망된다. 조선시대부터 유적에 대한 언급이 확인되나, 본격적인 고고학 조사는 2018년부터 진행되어 2022년까지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가야지역에서는 처음으로 판축기법으로 축조한 성벽이 확인되었고, 토성 내부에서는 고상건물지 1동과 수혈건물지 7동, 수혈 4기, 주혈군 등이 발견되어 아라가야 지배층의 생활공간이었음이 고고학적으로 증명되었다. 특히, 토성은 전체둘레가 약 2.4㎞로 가야 문화권 토성 가운데 최대규모여서, 부여 부소산성과 경주 월성 등 삼국의 왕성과도 대등한 양상을 보인다. 성벽의 축조기법은 초축성벽과 수축·증축성벽이 차이를 보인다. 초축성벽은 판축기법과 성토기법을 사용해 축조하였는데, 한성백제의 판축 단위와는 차이를 보인다. 수축·증축성벽은 성토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목책을 설치함으로써 방어력을 보강하였다. 토성의 구조는 내성과 외성으로 이루어졌으며 외성의 동북쪽에서 가야리 제방과 연접하는 독특한 양상을 보인다. 내성의 남쪽에도 추정 제방유적이 존재하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사진과 지적원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유적은 시기에 따라 성벽의 구조가 변모하는데 토성에서 목책성으로 변화한다. 목책성은 다시 사면부 목책과 정상부 목책 단계로 구분되는데, 후자의 경우 성벽을 한 번 더 높였을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토성의 축조기법과 구조는 단순히 아라가야의 토목기술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며, 주변 국가와의 교류를 파악할 수 있는 단서이자 아라가야의 국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이다. 그리고 가야리 유적 주변에는 봉산산성, 말이산 고분군 서구릉, 선왕 고분군, 덕전 고분군, 필동 고분군, 가야리 제방유적 등 아라가야의 주요 유적이 다수 분포하고 있어 가야리 토성은 아라가야의 왕성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 KCI등재

        가야와 일본 와카야마(和歌山)지역 호족과의 교류

        하승철 동아시아고대학회 2019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3

        The exchanges between Gaya and Wa greatly contributed to the enrichment of both cultures. The Wakayama region in Japan is located in southern Osaka, and it is known as the birthplace of the “Ki”(紀) family, one of the most powerful clans in the region. Many pieces of relics that prove the exchanges between Gaya and Wakayama have been unearthed in the downstream area of Kinogawa (紀ノ川),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Wakayama. Most of the unearthed Gaya relics were created from the late 4th century until the late 5th century. The relics from the late 4th and early 5th century are mostly Aragaya. The grave goods buried in the Otani (大谷) Tomb built at the end of the 5th century were relics from Daegaya. Relics created from the 6th century and later were no longer from Gaya. Shilla earthenware was buried in the IwaseSenzuka Tombs (岩橋千塚古墳群). The relics of Gaya excavated in the Wakayama region are proof of direct exchanges between Gaya and powerful families in the Wakayama region. Aragaya and Wakayama continued their exchanges from the late 4th century until the 5th century. By the end of the 5th century, Wakayama began to have exchanges mostly with Daegaya. In the 6th century, the direct exchanges between Gaya and Wakayama discontinued, as the king of Wa gained control of all of the powerful local families in Japan and created a unified opportunity for Japanese exchanges with the Korean peninsula. The exchanges between Aragaya and Wa were implemented in a multidirectional manner. The people of Aragaya who went to Wakayama for exchanges distributed a new culture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ancient state of Japan. 본고에서는 일본 와카야마지역에서 출토된 가야유물을 통해 가야와 왜의 교류관계를 살펴보았다. 와카야마는 왜 왕권의 중추부와 인접한 지역으로 주요 호족인 기씨(紀氏)의 근거지로 알려져 있다. 와카야마 북부의 키노가와(紀ノ川)하류에는 가야와의 교류를 반영하는 유물들이 다량 출토되고 있다. 가야유물은 4세기 후반부터 5세기 후반에 집중적으로 출토된다. 4세기 후반부터 5세기 전반에는 아라가야 토기가 중심이며, 5세기 말에 축조된 오오타니(大谷)고분에는 대가야와 관계있는 장식마구와 마주, 수식부이식이 부장된다. 6세기에는 가야유물이 자취를 감추고, 이와세센쯔카고분(岩橋千塚古墳群)에서 신라토기가 출토되었다. 와카야마의 특징적인 토기인 구스미(楠見)식토기는 아라가야와 금관가야 토기 제작기술에 영향을 받아 출현하였다. 대옹은 아라가야 토기와 관련되고, 발형기대는 금관가야 토기와 관련된다. 마한․백제계 토기는 4세기 후반부터 취락유적에서 출토되는데 아라가야 토기와 함께 출토된다. 와카야마 출토 가야유물은 가야와 와카야마 호족과의 직접적인 교류를 반영한다. 아라가야와 와카야마 호족의 교류는 4세기 후반부터 5세기에 이루어진다. 5세기 말에는 대가야로 교섭 주체가 변한다. 6세기는 가야와 와카야마 호족과의 직접적인 교섭이 중단된다. 왜 왕권이 일본열도의 호족세력을 장악하고 한반도와의 교섭을 일원화시킨 결과이다.

      • KCI등재

        가야와 고구려의 교류사 연구

        李永植(Lee Young-sik)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5

        본 논문은 가야제국과 고구려의 교류를 연대기적으로 복원해 볼 목적으로 준비되었다. 가야와 고구려의 교류에 관계되는 유물자료를 정리 · 제시하고, 각 유물의 시기와 역사적 성격에 관련되는 문헌기록과의 대조를 통해 단계 별 교류의 내용과 변화를 추적해 보았다. 이 연구 결과 새롭게 복원된 교류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1~3세기(전기가야)의 경남지역에서 확인되는 1~2세기 북방 계통의 鐵斧, 김해의 대성동고분군과 양동고분군에서 보이는 북방계 문물에서 고구려와의 교류를 상정할 수는 있겠으나, 그 빈도가 매우 낮고, 고구려 계통의 문물로 확신할만한 것도 많지 않다. 둘째, 3세기 포상팔국의 전쟁과 철 수출의 관련기사에서 추론되듯이, 이른 시기 가야와 고구려의 교류에는 동해안 루트도 기능하였을 것이다. 이 동해안 루트에는 전기가야의 철을 수입해 가던 濊가 개재 되어 있었고, 濊에 대한 고구려의 진출에 따라 고구려 계통의 문물이 직 · 간접적으로 남부가야에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셋째, 4세기부터 확인되는 고구려 계통의 갑주와 마구는 김해 대성동고 분군과 동래 복천동고분군과 같은 남부가야에서 주로 출토되어, 전기가야의 중심세력과 고구려의 교류를 상정케 하였다. 김해 양동고분군에서 출토된 長槍은 濊를 개재한 고구려와 문물교류의 가능성을 생각하게 하였다. 넷째, 4세기 말~5세기 초의 가야사의 전환기에는 광개토왕의 가야원정과 같이, 고구려와 가야의 직접적 접촉이 전개되었으며, 安羅와 任那加羅가 그 상대였다. 광개토왕의 남정 이후 신라와 고구려의 정치적 교섭이 전개 되면서 신라 개재의 교류채널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다섯째, 후기가야에서 확인되는 고구려 문물의 분포는 남부가야에서 북부가야로 확산되었고, 북부가야의 예가 남부가야를 압도하게 되었다. 대고구려 교류의 중심이 남에서 북으로 라는 가야사의 전개와 연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5세기 고구려와 신라의 신속관계는 신라를 통한 고구려 문물의 전파를 가능케 하였고, 신라는 고구려 문물의 공여를 통해 배후세력의 고구려를 가야제국에 각인시켰으며, 가야진출의 기회로 활용하였다. 신라의 경주와 가야의 동래 · 창녕에서 출토되는 고구려 계통의 문물들이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창녕 교동7호분에서 신라의 금동관과 함께 고구려 계통의 청동각배, 초두, 삼엽환두대도, f자형경판비 등이 출토되는 것, 교동 11호분에서 고구려 관직명이 새겨진 환두대도가 출토되는 것이 그러한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 KCI등재

        全南東部地域의 加耶系 土器와 歷史的 性格

        이동희(Dong Hee Lee) 한국상고사학회 2004 한국상고사학보 Vol.46 No.-

        최근에 조사된 활성화로 전남동부지역에서는 4~6세기의 아라가야계·소가야계·대가야계 토기 외에 가야계 고총고분도 일부 확인되고 있다. 전남동부지역에서 가야계 토기가 등장하기 시작하는 4~5세기에는, 영산강유역이나 경남서부지역과 달리 독자적인 묘제나 토기문화가 성립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독자적인 지역연맹체를 형성할 만한 주체적인 역량을 갖추지 못한 점이 가야의 영향력하에 놓이게 되는 배경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남동부지역의 가야계토기는 경남서부지역과 거의 동일하게 아라가야계토기→소가야계토기→대가야계토기의 순으로 나타난다. 4세기말에서 5세기중엽에 이르는 시기에는 아라가예 토기와 이른 단계의 소가야계토기가 등장하늗네 섬이나 해안·강변에서 간헐적으로 출토되고 생활유적에서 재지계토기가 공반되므로 일시적인 교류나 교역의 산물로 판단된다. 반면 5세기 후엽 이후에는 소가야토기가 출토되는 소가야계 분묘유적의 비율이 증가한다. 소가야계 묘제와 토기가 전남동부지역에 확산되는 5세기 후엽에는 한시적으로 소가야연맹체(서남부가야연맹체)에 속했을 가능성이 크다. 6세기 이후가 되면 소가야토기의 토착화가 진전되어 재지에서 제작된 변형된 소가야토기가 등장하여 6세기 중엽까지 지속된다. 6세기 이후에 소가야토기의 토착화 시점은 대가야토기의 등장과도 궤를 같이하는데, 이는 대가야세력의 확장에 의해 소가야의 영향력이 축소됨을 보여준다.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자료로 보면 전남동부지역에서 대가야계 토기의 출현은 500년을 전후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전남동부지역에서의 대가야계 토기는 크게 2단계로 구분해 줄 수 있다. 즉 530년을 기준으로 전기(6세기 초엽)와 후기(6세기 중엽)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 기준점인 530년은 백제가 전남동부지역을 점차 영역화를 진행함에 따라, 대가야가 간접저긍로나마 전남동부지역에 영향을 끼치던 하한시점으로 볼 수 있다. 전기에는 주로 전형적인 대가야토기가 출토되는데 반해, 후기로 갈수록 현지에서 제작되어 변형된 대가야계 토기나 백제토기의 속성과 혼합된 양식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대가야 세력이 전남동부지역에 일정한 정치적 영향을 미치다가 백제에 밀려 이 지역에서 벗어났지만, 대가야 토기문화는 토착화 및 혼합화 과정을 겪으면서 6세기 중엽까지 잔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전남동부지역은 任耶四縣으로 비정되고 있는데, 그와 관련된 중심지는 선사시대 이래로 지역 거점이면서 소가야·대가야·백제 토기뿐만 아니라 관련 墓制가 확인된다. 이는 외래의 새로운 정치세력이 토착의 거점세력과 연계하여 그 영향력을 행사하였음을 시사한다. 대가야계 토기가 출토되는 고분군은 대가야 세력이 전남동부지역으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대가야와 관계를 맺은 재지 거점세력이 조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전남동부지역은 대가야 토기와 고분이 출토되는 지역거점의 수장층이 고령의 대가야와 연맹관계를 맺은 대가야연맹체의 일부였다고 볼 수 있다. Thanks to the recent active investigation, part of the Gaya-lineage ancient tombs are being confirmed in addition to the Aragaya-, Sogaya- and Daegaya-lineage potteries. When the pottery of Gaya-lineage began to appear in the eastern area of Chon-nam Province in 4-5th centuries, unlike Youngsan valley or western area of Gyungnam Province, unique patterns of grave system and pottery culture had not been yet completed in the eastern of Chon-nam Province. The failure to secure the standing-alone power strong enough to form any independent regional federation due to the above reason, seems most likely the background that the region had to ne under the Gaya's influence. Aragaya-lineage and Sogaya-lineage potteries appeared in the period between the end of 4th and the middle of 5th centuries. As they were occasionally found on the island along the sea or riverside and were also found together with natively-developed potteries from the living remains, they could be understood as the products for the temporary intercjange or trading. On the other hand, since later 5th century, the ratio of the tombs of Sogaya-lineage in which Sogaya potteries were found, increased. When the grave system and potteries of Sogaya-lineage spread to the eastern area of Chon-nam Province late in the fifth century, it was highly possible that it temporarily belonged to Sogaya Alliance. Potteries of Daegaya-lineage could be main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 the eastern area of Chon-nam Province and it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former period (early of 6th century) and the latter period (middle of 6th century) when we set the year of 530 as the standard. In the former period, typical Daegaya potteries were mainly found. However, with the time nearing to the latter period, on the rise were variations of Daegaya potteries locally manufactured, or hybrid potteries of characters between Baek-je and Daegaya. After power of Daegaya influenced the eastern area of Chon-nam Province politically for the time being, it had to leave this area due to the power of Baek-je. However, it meant that the pottery culture of Daegaya still remained through the localization and mixture process until the middle of 6th century. The ancient tomb groups in which Daegaya-lineage potteries were unearthed are assumed to have been made by the local warlords which kept partnership with the Daegaya in the process of advancing to the eastern Chon-nam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