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주와 몽규, 부끄러운 청년들의 시대

        김명석(Kim, Myung-Seok)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60

        이 연구는 ‘시대정신과 한국문학의 혁신’이라는 관점에서 작가 윤동주의 생애를 재구하여 새롭게 창조한 두 편의 텍스트, 영화 <동주>와 뮤지컬 <윤동주, 달을 쏘다>를 통해 시인의 시대정신을 고찰하였다. 탄생 백주년을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일어난 ‘윤동주 현상’의 의미는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특히 윤동주 문학에 반복적으로 드러나는 감정인 ‘부끄러움’에 주목하여 당시 시인의 의식과 지금 독자들의 의식을 비교하고, 윤동주 현상과 진정성 또는 ‘마음의 레짐’의 문제를 짚어보았다. 본론에서는 식민지 시대 청년들의 부끄러움이 어떻게 그들의 삶과 문학에 반영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영화 <동주>에서 ‘시’와 ‘총’으로 상징되는 동주와 몽규의 대립은 두 사람 사이의 외적 갈등만이 아니라 동주의 내면적 갈등으로서 몽규라는 짝패는 동주의 분열된 자아를 보여주는 서사적 장치이다. 뮤지컬 <윤동주, 달을 쏘다>에서 송몽규, 강처중, 정병욱과 같은 동주의 세 동무와 가상의 연인 이선화 모두 동주의 애독자이다. 그들의 합창은 ‘시는 무엇인가’란 영원한 질문으로 ‘나’, ‘너’, ‘우리’에게 시쓰기 행위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인과 독자의 합창이다. The significance of the Yun Dong-ju phenomenon, which took place around the 100th anniversary of Yun’s birth, must be redefined.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spirit of the age and the innovation of Korean literature, two reinterpretations of the life of poet Yun Dong-ju are possible through the film “Dong-ju” and the musical “Yun Dong-ju, Shoot the Moon” In particular, he noted the negative sentiments that were repeatedly expressed in Yun’s literature. For this reason, we looked at the problem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wo works, and I examined how the shame of the colonial youth is reflected in his life and literature through comparison of Yun Dong-ju and Song Mong-gyu.

      • KCI등재

        字符 勿의 字源 考

        韓延錫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6 漢字 漢文敎育 Vol.41 No.-

        해서 勿은 갑골문 ( , , 勿)과 ( , 勿)을 모두 가리키기도 한다. ‘雜文’을 가리켰던 ( , , 勿)과 ‘쏘다’를 가리켰던 ( , 勿)은 갑골문 단계에서 형체가 서로 달랐다. ( , , 勿)는 卜辭에서 주로 ‘雜文’으로 쓰였다. 字源에 대해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 ’은 쟁기( )와 쟁기질을 할 때 나오는 ‘쟁기 밥’을 그려 ‘雜文’을 나타낸다 하고, 다른 하나는 ‘ ’의 는 칼을, 斜線은 칼로 자른 물건을 나타내어 ‘分割’을 나타낸다고 한다. 전자는 그 방증으로 ( )이 部 件인 利는 본래 ‘禾+ ’로, 쟁기로 땅을 갈면 벼에게 이롭기 때문에 ‘이롭다’란 의를 갖게 되었다고 하고, 利가 聲符인 , 黎 등은 아직도 부건 ( )의 흔적을 보유하고 있음에서 쟁기와 쟁기 밥을 그린 것이 맞다 한다. 후자는 ‘ ’는 (分)의 상부 ‘ ’이 칼로 잘려진 물건을 나타내듯이 分割, 切斷 을 나타내는데, 잡다하게 잘려진 것으로부터 雜文이 인신되었다고 한다. 또, 同源 혹은 후치자인 物 과 刎이 전적이나 복사에서 ‘베다’란 뜻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본의가 ‘분할’이라 한다. 物은 ( , , 勿)과 깊은 관련이 있다. 갑골문에 物이 존재하는가는 아직 쟁론 중인데,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람들은 ‘ ’처럼 ‘ + 牛’의 合文만 존재하였다고 한다. 그 반대는 ‘ ’처럼 엄연히 존재 했다고 한다. 전자는 그 방증으로 ‘ 馬 牡 牝 ’같이, 복사는 ‘ + 牛’로만 존재했다고 한다. ( , 勿)은 활을 쏜 뒤 시위가 진동하고 있는 모습을 그려 ‘쏘다’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복사에서 는 대부분 부정사로 쓰였다. 그런데 ‘雜文’을 나타내었던 이 西周 金文에 이르러 과 같이 부정사 로 쓰이면서 큰 혼란을 겪는다. 말하자면 자신들의 본의 혹은 引伸義와는 상관없이 모두 부정사로 쓰이면서 누가 ‘勿’의 初文인지 헛갈리기 시작하였다. Haeseo(楷書) Mul(勿) represents Chia-ku-wen(甲骨文) ( , Mul ‘勿’) and ( , Mul ‘勿’) both. Chia-ku-wen(甲骨文) ( , , Mul ‘勿’) represents ‘Japmun(雜文)’, ( , Mul ‘勿’) represents ‘shoot an arrow’. There are two theories about Jawon(字源) of ( , , Mul ‘勿’). First, ‘ ’ represents plough and furrow slice which was produced when plowing, so it means ‘Japmun(雜文)’. second, of represents knife, and Saseon(斜線) represents stuff cut with a knife, so it means ‘divide(分割)’. Chia-ku-wen(甲骨文) ( , Mul ‘勿’) originally represents trembling string after shooting an arrow, so it means ‘shoot an arrow’. However, it was used as infinitive such as ‘Mu (毋)’ in Chia-ku-wen(甲骨文). The shape of ( , Mul ‘勿’) have been changed in the order of ‘ ( ) - ( ) - (㢭) - ( Bal‘癹’) - - Bal(發)’ By Seoju(西周) Geummun(金文), ( , , Mul ‘勿’) which was represented ‘Japmun(雜 文)’ came into infinitive. Therefore, in 金文, with ( , Mul ‘勿’) which was being used as infinitive already, both ( , Mul ‘勿’) and , Mul‘勿’) was used as infinitive. Mul(物) have much to do with ( , , Mul ‘勿’). It is still under debate whether Mul(物) exist or not in Chia-ku-wen(甲骨文). People who claims that it did not exist said Mul(物) only exist as Habmun(合文) of ‘ + Wu(牛)’ just like ‘ ’. As proof of it, They claimed it only existed as ‘ + Wu(牛)’ with ‘ 馬(Ma) 牡(Mo) 牝(Bin) ’, However, the opponent of it claimed that Mul(物) existed clearly like ‘ ’.

      • KCI등재

        1년 동안 글쓰기, 윤동주 산문 「달을 쏘다」 - 윤동주 연구·12 -

        김응교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9 사고와표현 Vol.12 No.1

        There are not many papers that have studied Yun Dong-ju’s written prose. An important fact can be confirmed by analyzing Yun Dong-ju’s prose “Shoot the moon”. The most important fact is how Yun Dong-ju writes. “Shoot the Moon” shows that he has fixed for almost One year to write a sentence line. Yoon Dong-ju writes a report on the final exams written around August and September, 1938. After the revision in October, 1938, He sent the article to “Chosun Ilbo”. He also considered writing in class as a work. Then, This proese was published in January 1939, “Chosun Ilbo” student column, “Shoot the Moon” is announced under the title. Without ending here, he expanded the passage in “The Moon Filled,” and in September 1939 he completed the poem “Self Portrait”. Through this process, Yun Dong-ju could write a single article and write it for one year to expand it to prose and poetry. At the end of the article, Yun Dong-ju’s strong will can be seen. It is a strong dynamism which can not be seen in the front part of the prose, such as “to die, to die,” “excitement”, “upright”, “sash” and “solid reed”. We have seen this will in terms of Cruel Optimism. If you read this prose simply, it seems like a simple sentimentalism, but you see a strong will in the inside of the writing. “Shoot The Moon” is a unique piece that can be read by Yun Dong-ju about his writing and his will at a time when he is represented as a dark night. 윤동주가 쓴 산문을 연구한 논문은 그리 많지 않다. 윤동주가 쓴 산문 「달을쏘다」를 분석하면 중요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사실은 윤동주가글을 어떻게 쓰는가 하는 점이다. 「달을 쏘다」를 보면 그가 문장 한 줄을 쓰기위해 거의 1년 이상 다듬고 고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윤동주는 1938년 8, 9월경에 쓴 기말고사 보고서를 쓴다. 이어 1938년 10월 수정 후 『조선일보』에 투고 한다. 그는 수업 시간에 쓴 글도 하나의 작품으로 여겼던 것이다. 이어서 1939년 1월 『조선일보』학생란에 「달을 쏘다」라는 제목으로 발표된다. 여기서 끝나지 않고 그는 「달을 다」에 나오는 구절을 확장시켜 1939년9월 시 「자화상」을 완성한다. 이 과정을 통해 윤동주가 글 하나를 쓰면 그것을 산문과 시로 확장시켜 창작하는 1년 간의 글쓰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글의 뒷부분에 이르면 윤동주의강한 의지를 볼 수 있다. “죽어라고 팔매질”, “통쾌”, “꼿꼿한”, “띠를 째서”, “탄탄한 갈대” 등 이 산문의 앞부분에서 볼 수 없었던 강한 역동성(逆動性)을 보이는 표현이다. 이러한 의지를 잔혹한 낙관주의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 산문을 그냥 읽으면 단순한 센티멘탈리즘 글 같지만, 글의 내면에는 강한 의지가 보인다. 「달을 쏘다」는 어두운 밤으로 표상되는 시기에 윤동주가 어떻게 글을 썼는지 그의 글쓰기와 그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독특한 글이다.

      • KCI등재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에 나타난 윤동주 시 활용 양상 연구

        손미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3

        윤동주의 시와 그의 표상은 다양한 영상 및 극 매체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그 매체 및 장르적 특성에 따라 윤동주의 표상과 그의 시는 선택되고, 변주된다. 문학이 다양한 매체들과 통섭하는 현대에서 한 시인의 초상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은 텍스트가 한 인물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읽어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윤동주의 시가 다른 장르의 예술적 텍스트들에서 활용된 방법을 검토하는 한편으로, 각 텍스트들의 시문학과의 통섭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윤동주, 달을 쏘다>에서 윤동주의 시는 감정을 극대화하는 장치이자, 인물의 의지를 관객들에게 전달하는 대사의 형식으로 활용되었다.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가 시를 통해 ‘윤동주’의 감정을 격정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가무극 즉, 뮤지컬은 다른 예술 장르에 비해 장르적 특성상 인물의 미세한 감정 변화를 전달하기에 제약이 따른다. 이로 인해 가무극은 인물의 감정 표현이 좀 더 격정적이며, 서사의 진행 또한 극적이며, 영화와 가무극이 조명하는 시인 윤동주의 면모 또한 차이를 보인다. 예컨대 영화 <동주>는 시인 윤동주를 순수한 문학청년으로 형상화하고자 한다면, 창작가무극 <윤동주, 달을 쏘다>는 윤동주의 시를 저항의 의미를 지닌 것으로 재조명하고 있는 것이다. Yun Dong - ju 's poetry and his representations are used in various visual and dramatic media. According to its medium and genre characteristics, Yoon Dong - ju 's representations and his poems are selected and changed. It is also the process of reading what the text is trying to convey to the public through a single person. In this study, Yoon Dong - joo 's poetry was compared with other poetry of poetry. Particularly, the discussion was focused on the creative actor <Yun Dong-ju, Shoot the Moon>. If the creative drama <Yoon Dong-ju, shoots the moon> is transmitting the feelings of Yoon Dong-ju through the city, the film <Dongju> conveys the poem of Yoon Dong-ju. Gamuplays are more restrictive than the movies because of their genre. As a result,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the characters are more intense, the progress of the narrative is also dramatic, and the aspect of Yun Dong - ju, a poem illuminated by the movie and the drama, also differs. If the film <Dongju> aims to portray poet Yoon Dong-ju as a genuine literary youth, the creative poet <Yoon Dong-ju, shoots the moon> reinterprets Yun's poetry as having a meaning of resi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