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인 가구의 식생활 양식 유형화 및 유형별 식생활 만족도에 대한 소비자역량의 조절효과 연구

        전상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4 No.4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sumer differences in dietary patterns of one-person households and to consider methods of enhancing consumer competency to increase dietary satisfaction by consumer type. We classified one-person households by consumer type based on dietary lifestyle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levels among the different types. We also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 competency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levels in each type. Data were obtained on 570 one-person households from the 2016 Food Consump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means cluster analysis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Among the one-person households, there were four different types of dietary lifestyles: (1)the type that was passive and preferred small-packed foods(PS), (2)the type that was high- quality-oriented and health-oriented(HH), (3)the type that preferred eating-out,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s, and lower-priced foods(HL), and (4)the type that was indifferent to the dietary life(ID).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 dietary characteristics,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lev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four consumer types. Households of the HH type had the highest nutritional intake and satisfaction levels. The ID type was the most vulnerable type with regard to eating habits, dietary satisfaction, and consumer competency. Also, we found that it was useful to focus on the PS and HL types in strengthening consumer competency to increase dietary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strategies for differentiated dietary improvement and enhancement of consumer competency to improve dietary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ietary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s. 본 연구의 목적은 1인 가구의 식생활 양식 유형의 차이를 이해하고, 유형별 식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소비자역량 강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인 가구 식생활 양식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성과 식생활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유형별 식생활 만족도 차이에 대한 소비자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식품소비행태조사”의 1인 가구 570명 응답 자료를 사용하여 K-means 군집분석과 이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1인 가구의 식생활 양식 유형은 소극적․소포장 추구형과 고급․건강 추구형, 미식․간편․가격 추구형, 식생활 무관심형으로 분류되었고, 유형별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식생활 특성, 식생활 만족도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고급․건강 추구형의 식생활 특성과 만족도가 가장 양호하였고, 식생활 무관심형이 식생활 수준과 만족도, 역량 차원에서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소비자역량 강화는 소극적․소포장 추구형과 미식․간편․가격 추구형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식생활 양식과 유형별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 유형별 차별화된 식생활 개선 지원 방안과 식생활 만족도 제고를 위한 소비자역량 강화 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선택속성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와 식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다인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전상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3

        최근 단독가구가 우리 사회의 주된 가구 유형으로 자리 잡으면서 가정간편식 소비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구입과 관련하여 식생활 만족도 제고를 위한 제품 개발 및 소비자교육․지원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선택속성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다인가구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농촌경제원 2015 식품소비행태조사의 성인 가구원 5830명 자료를 사용하여 교차타당성 검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단독가구의 경우, 가정간편식 편의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가정간편식 구입행동 증가는 식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대조적으로 다인가구의 경우에는 가정간편식의 맛 만족도와 가격 만족도, 편의 만족도가 구입행동 변화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가정간편식 구입행동 증가는 식생활 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단독가구의 가정간편식 구입행동 변화의 원인을 다인가구와 비교하여 제시하고, 단독가구의 식생활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는 가정간편식 개발 및 소비자 교육․지원 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As one-person households become a major household type in Korea, home meal replacement (HMR) consumption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propose useful marketing strategies and consumer education plans about HMR, in order to enhance the dietary life satisfaction levels among one-person households. We tested how satisfaction with HMR attributes influenced purchase changes for HMR among one-person households compared with multi-person households. We analyzed data from the 2015 Food Consumption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 total of 5830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a cross-validation test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found that, among one-person households, satisfaction with the convenience of HMR positively affected the purchase changes for them, and increasing rates of HMR purchas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satisfaction with participants’ dietary lives. In contrast, taste, price, and convenience satisfaction regarding HMR positively affected changes in HMR purchasing, and increased levels of HMR purchasing negatively influenced dietary life satisfaction among multi-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reasons of changes in HMR purchasing behavior compared to their multi-person household counterparts. In addition, effective HMR development plans and consumer education strategies are proposed for improving dietary life satisfaction levels among one-person households.

      • KCI등재

        식생활교육이 건강식생활 실천 및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 식생활교육네트워크 활동지역과 비활동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조춘봉(Cho, Chun-Bong),최루미(Choi, Roo-Mi),강국주(Kang, Kook-Joo) 한국외식경영학회 2018 외식경영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식생활 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을 비교하고, 동시에 식생활교육 필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건강 식생활 실천 및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조사대상 및 범위로는 충남도내 사단법인 식생활교육네트워크 체제로 활동하고 있는 지역과 인근의 비활동 지역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 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도구로는 t-검정과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식생활교육 필요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건강식생활 실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활교육은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생활교육 만족도는 건강식생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ietary-related education experience group with the inexperienced group and at the same time,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dietary practi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level of dietary education necessity. The subjects and scope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 the areas of dietary education network system in Chungcheong province and in the inactive areas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The t-test an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analysis tool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necessity of dietary education among the group with and without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Secon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practice of healthy diet life. Thir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dietary education. Fourth, satisfaction with dietary education affects healthy dietary practice.

      • KCI등재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과 식품소비자정보 리터러시가 식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경숙,김지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농촌경제 Vol.43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nsumer anxiety on food hazards and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for dietary life satisfaction with domestic and imported foods. Our analysis resulted in three significant findings. First, the information utilization, synthesis, and evaluation factor, the information search and access factor, goal setting for information search factor among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consumer anxiety on food hazards, and dietary lif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due to our analysis of the effect of consumer anxiety of food hazards and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consumer anxiety on food hazards and the consumer’s gender affect dietary life satisfaction with domestic and imported foods. Third, goal setting for information search had a full mediating effect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with domestic foods. Information utilization, synthesis, and evaluation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with imported foods. On the other hand, goal setting for information search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sequently, food consumer information literacy has direct or indirect impacts on dietary life satisfaction with domestic and imported foods.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과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가 조사대상자의 국내식품과 수입식품에 대한 식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와 국내식품과 수입식품에 대한 식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의 정보활용과 종합 및 평가 요인, 정보탐색 및 접근 요인, 정보탐색 목표설정 요인,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 국산식품 식생활만족도, 수입식품 식생활만족도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소비자의 국산식품과 수입식품에 대한 식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국산식품에 대한 식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과 성별이고 수입식품에 대한 식생활만족도는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 중 정보탐색 목표설정 요인,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 성별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셋째, 식품 소비자정보 리터러시와 국산식품과 수입식품에 대한 식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 KCI등재

        식생활교육이 건강식생활 실천 및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 식생활교육네트워크 활동지역과 비활동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최루미,강국주,조춘봉 한국외식경영학회 2018 외식경영연구 Vol.21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ietary-related education experience group with the inexperienced group and at the same time,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dietary practi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level of dietary education necessity. The subjects and scope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 the areas of dietary education network system in Chungcheong province and in the inactive areas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The t-test an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analysis tool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necessity of dietary education among the group with and without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Secon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practice of healthy diet life. Thir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dietary education. Fourth, satisfaction with dietary education affects healthy dietary practice. 본 연구는 식생활 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을 비교하고, 동시에 식생활교육 필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건강 식생활 실천 및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조사대상 및 범위로는 충남도내 사단법인 식생활교육네트워크 체제로 활동하고 있는 지역과 인근의 비활동 지역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 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도구로는 t-검정과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식생활교육 필요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건강식생활 실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활교육은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생활교육 만족도는 건강식생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시니어소비자의 식생활 역량에 따른 식생활 만족도에 대한 연구: 1인 가구를 중심으로

        나종연,이해랑,김소현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1인가구 시니어소비자의 취약성을 확인하고 이들의 삶의 질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식생활 만 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을 검증함으로써 이들의 취약성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한국농촌경제연구소의 ‘식품소비행태조사’ 2022년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가구유형에 따라 시니어소비자 간에 행 동측면의 식생활 역량 및 식생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50세 이상의 시니어소비자를 대상으 로 집단간 차이분석(t-test)을 실시하였다. 이후, 1인가구 시니어소비자의 식생활 만족도와 유의한 관계를 가지 는 이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식생활 역량을 살펴보기 위하여 1인가구 시니어소비자를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집단간 차이비교 분석 결과, 농식품 정보활용, 균형잡힌 식사 그리고 식생활 만족도 등 조사된 대부분의 항목에서 1인가구 시니어소비자가 다인가구 시니어소비자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1인가구 시니어소비자의 식생활 만족도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주요 변수에는 지역, 연령 등의 인구통계 학적 변수와 객관적 정보활용, 그리고 규칙적 식사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1인가구 시니어소비자는 다 인가구 시니어소비자에 비하여 취약성을 보이는 집단임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1인가구 시니어소비자의 식생활 만 족도는 심적, 신체적 여유가 존재하는 연령대와 환경에서 유의하게 높은 경향을 보이며, 식품구매 및 섭취에 있 어 보다 적극적인 자신의 판단이 개입된 정보활용 행동 및 규칙적인 생활 패턴을 담보할 수 있는 행동 등 1인가 구 시니어소비자의 식생활 관련 효능감과 연결될 수 있는 행동이 식생활 만족도와 유의하게 정적인 관계를 가짐 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시니어소비자의 취약성을 가구유형에 따라 세분화하여 살펴보았으며, 이들의 취약성을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준다는 점에서 이론적, 정책적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ulnerabilities of senior consumers living alone and identified factors that could enhance their dietary satisfaction, which is crucial for their quality of life. Using data from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s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2022, it compared dietary competencies and satisfaction levels between senior consumers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family through a t-test for the respondents aged 50 and above. Furthe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senior consumers living alone to examin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ietary competencies significantly related to dietary satisfaction. The findings showed that senior consumers living alone had lower levels of agricultural and food information utilization, balanced meals, and overall dietary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family. Significant predictors of dietary satisfaction of senior consumers living alone included regional and age demographics, objective information use, and regular meal patterns. The study concludes that senior consumers living alone are more vulnerable than those living with family. It also indicates that seniors in the age and environments with better mental and physical well-being report higher dietary satisfaction. Additionally, informed food choices and consistent dietary habits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ir overall dietary satisfaction.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the unique vulnerabilities of senior consumers living alone, offering valuable insights for both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policy-making.

      • KCI등재

        고령 소비자의 식생활 유형별 식품소비 행태와 역량 분석

        전상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4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20 No.2

        고령화 추세가 심화되면서 고령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 관리와 합리적인 식품 소비, 식생활 만족도 및 식품소 비자역량 증대를 위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고령 소비자의 식생활 유형별 식품소비행태와 식품소비자역량 수준을 이해하고 식생활 만족도 영향요인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3년 식품 소비행태조사 의 만 65세 이상 1,004명의 응답자료를 요인분석과 K-means 군집분석, χ2검정, F검정, 다중회 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 소비자의 식생활 방식은 편의지향과 맛지향, 건강지향, 합리적 소비지향, 안전지향으로 분류되 었는데, 건강지향 수준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안전지향, 맛지향, 합리적 소비지향, 편의지향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고령 소비자 유형은 식생활 고관심형(39%), 건강지향형(21.2%), 맛지향형(16.6%), 무 관심형(23.1%)이고, 식생활 고관심형이 가장 다수였다. 식생활 고관심형은 맛과 편의성, 안전을 모두 고려하면 서 합리적 소비도 지향하는 유형으로, 소득과 학력, 건강관심도, 주관적 건강상태가 가장 양호하였다. 건강지향형 은 안전과 건강을 중시하고, 합리적 소비를 고려하는 유형으로 식생활 고관심형 다음으로 사회인구적 조건이 양 호하였다. 맛지향형은 맛과 건강을 중시하는 유형이고, 무관심형은 특별히 지향하는 식생활 방식이 없는 유형으로, 이들 유형의 사회인구적 조건은 취약하였다. 다음으로 고령 소비자 유형별 식품소비행태와 식품소비자역량 수준의 차이는 유의하였는데, 모든 차원에서 식생활 고관심형의 수준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건강지향형이며, 맛지향형과 무관심형은 그 수준이 낮았다. 식생활 만족도는 맛지향형이 가장 높고, 식생활 고관심형, 건강지향형, 무관심형 순이었는데, 유형별로 식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 탕으로 본 연구는 고령 소비자 유형별 합리적인 식품소비를 위한 차별화된 지원 방안과 만족스러운 식생활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As the trend of population aging intensifie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societal interest and support in promoting healthy dietary management, rational food consumption, and the enhancement of dietary satisfaction and consumer competence among elderly consumer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food consumption behavior and food consumer competency levels of elderly consumers based on their dietary types and to ver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nhancement of dietary satisfaction.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2023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nalyzing responses from 1,004 participants aged 65 and older through factor analysis, K-means clustering, χ² tests, F-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lassified the dietary patterns of elderly consumers into convenience- oriented, taste-oriented, health-oriented, rational consumption-oriented, and safety-oriented groups. The health-oriented pattern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safety-oriented, taste-oriented, rational consumption-oriented, and convenience-oriented. The identified dietary types of elderly consumers based on these patterns were dietary-conscious (39%), health- oriented (21.2%), taste-oriented (16.6%), and indifference (23.1%), with dietary-conscious constituting the majority. The dietary-conscious type considers taste, convenience, and safety while leaning towards rational consumption with this group characterized as having the highest levels of income, education, health interest, and subjective health level among the groups. Health-oriented individuals prioritize safety and health, considering rational consumption, and ranked second after the dietary-conscious type, in terms of favorable socio-demographic conditions. Taste-oriented individuals prioritize taste and health, while the indifferecnt type does not have a specific dietary preference-these groups exhibited more vulnerable socio- demographic conditions. Subsequent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od consumption behavior and food consumer competence levels among elderly consumer types. The dietary- conscious type consistently showed the highest levels across all dimensions, followed by the health-oriented type, while the taste-oriented and indifferent types had lower levels. In terms of dietary satisfaction, the taste-oriented type ranked the highest, followed by the dietary- conscious, health-oriented, and indifferent types. The factors influencing dietary satisfaction varied significantly among the identified typ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differentiated support measures for elderly consumers in promoting a healthy and satisfactory diet, as well as rational food consumption.

      • KCI등재

        심리적 식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식습관 관련 변인연구 : 학부모 대상의 MSG 사용에 따른 편식행동감소 매개효과

        이빛나,최윤영,신은하,김민지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use of MSG, balanced eating habit, perceived life happiness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foo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arents. In addition, the mediation effect of reducing unbalanced eating hab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food and use of MSG. For this analysis, 80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ar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with boostrapping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Group using MSG is more satisfied with food-related life than group not using it. (2) Perceived life happiness and healthy eating habit were positively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food-relate life. Lastly, (3) Reducing of unbalanced eating habit was a partial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of MSG a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It suggests that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use of MSG and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the positive effects of which may be mediated by expectancy of reducing unbalanced diet. 본 연구는 초중고 자녀를 둔 학부모를 대상으로 식생활 만족도에 MSG 사용, 균형 잡힌 식습관, 주관적 행복감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MSG 사용과 식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편식행동 감소에 대한 생각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해 보았다. 이를 위해 수도권 내 학부모 8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트스트랩 분석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MSG를 사용하는 집단이 미사용 집단에 비해 식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행복감이 높고 균형 있는 식습관을 가질수록 식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SG 사용이 식생활 만족도를 높이는데 있어 편식행동 감소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식생활 만족도 향상에 MSG 사용이 긍정적 효과를 보이며 이는 편식행동 감소에 따른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청소년 식생활교육 표준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교육 효과 분석

        김선효(Sun Hyo Kim),조성숙(Sung Suk Jo)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선과 보급에 활용하고자 청소년 식생활교육 표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교육을 통해 교육효과 및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프로그램은 청소년용으로 ‘나탐(미각교육)’, ‘우탐(전통 식생활교육)’, ‘지탐(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총 10개 소단원으로 구성하였다. 소단원별로 1차시(차시당 90분)를 배정해 총 10차시로 편성하였으며 전체 소단원을 조리실습 위주로 구성하였다. 일부 지역의 14~17세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식생활교육지원센터에서 활동하는 해당 지역 강사가 1주에 1차시씩 총 10주간 대면으로 시범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시범교육 기간에 교육효과(n=72) 및 만족도(n=82)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효과 평가를 위해 동일한 설문지로 사전조사, 사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만족도 평가를 위해 영역별로 마지막 수업시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효과 평가에서 지식 정도는 ‘우탐’과 ‘지탐’ 영역의 문항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태도⋅행동 정도는 전체 영역의 대부분 문항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만족도에서는 영역별 모든 문항에서 5점 만점에 4.10 이상으로 높았다. 이상에서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시범교육에서 대상자는 교육에 재미있게 참여하면서 식생활관리 역량을 향상시킨 것으로 확인되어 의의가 있었다. 연구 결과로 볼 때 바른 식습관 형성 관련 내용보다는 전통 식생활, 지속가능한 식생활 관련 내용에 비중을 두도록 프로그램을 조정하고 조리실습 위주의 교육방법을 유지해 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The program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Natam’ (taste education), ‘Wetam’ (traditional dietary life education), and ‘Gitam’ (sustainable dietary life education), consisting of a total of 10 units primarily focused on cooking activities. For participants aged 14~17 years, face-to-face pilot education was conducted by a trained instructor once a week for 10 week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ducational effect(n=72) and satisfaction(n=82) during education period.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knowledge levels for the ‘traditional dietary life education’, and ‘sustainable dietary life education’ which were identified as insufficient in the preliminary survey. Attitude and behavior level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cross all areas. Satisfaction was high with a score of 4 out of 5 points for all areas. In conclusion, this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and further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raditional and sustainable dietary life education to enhance its impact.

      • KCI등재

        식생활교육 현황 파악 및 식생활교육의 성과에 관한 연구

        조춘봉,최루미,김시용 한국외식경영학회 2017 외식경영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식생활교육 정도에 따라 식생활교육 성과 및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계되었으며,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조사를 통하여 측정문항과 변수들을 도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선정된 측정문항 과 변수들을 이용하여 리커트(Likert) 5점 척도 설문지조사 방식으로 설계되었으며, 식생활 관련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홍성군 소재 각 급 학교의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설문지 조사는 2016년 8월 25일부터 9월 1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성실하게 응답하여 회수된 설문지에 364부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도구로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제외한 모든 측정변수 및 항목들에 대하여 신뢰도 분석과 설문지 구성 타당도 분석을 위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과 신뢰도분석(reliability), 가설검정을 위한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고, 조사자료에 대한 통계 처리는 SPSSWIN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변수 특성으로서 각 급별 학생으로는 초등학생 66명(18.1%), 중학생 93명(25.5%), 고등학생 82명(22.5%), 대학생 121명(33.2%)이 참여하였으며, 성별은 남학생 177명(48.6%), 여학생 186명(51.1%)이 응답했고, 참여교육 형태로는 이론교육 형태로 참여한 학생 97명(26.6%), 요리 실습교육 형태로 참여한 학생 95명(26.1%), 텃밭 체험교육 형태로 참여한 학생 38명(10.4%), 캠페인 참여 6명(1.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가설검정은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1> 식생활 교육은 식생활교육의 성과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분석되었으며, <가설2> 식생활 교육은 식생활교육의 만족도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설3>과 <가설4> 식생활교육의 성과와 만족도는 상 호간에 의미있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educati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dietary education, and to derive measurement items and variables through theoretical review, empirical survey and literature studies. The analysis method was designed by using the survey items and the variables, with the Likert 5 point scale questionnaires.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the students belong to schools in Hongseong - gun, Chungnam who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dietary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25, 2016 to September 15, 2016, and 364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 a sincere respons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rough 4> Dietary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dietary educ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dietary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dietary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