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I 시집 『시를 쓰는 이유』에 나타난 시 창작 기술의 실제

        박송이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6

        본 연구는 AI 시집 『시를 쓰는 이유』에 나타난 시 창작 주체의 문제와 AI의 시 창작 기술의 한계 지점을 점검하면서 AI의 시 창작 기술 과정에서 나타난 시 창작의 실제에 관한 탐구에 천착하였다. AI 시집 『시를 쓰는 이유』의 창작 주체와 시적 주체를 구분하기 위해 키워드 입력이 이루어진 후 결과적으로 얻어진 결과물로써의 언어 즉 시 텍스트를 생성한 주체를 시아(SIA)라고 전제하였다. 시아(SIA)(창작 주체)-언어화(시적 주체)-독자라는 삼각 구도의 상호 작용 속에서 AI의 시 창작 기술 과정에서 나타난 시 창작의 실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표-1]에서 AI 창작 주체의 시 텍스트 전달 과정을 제시한 후 [표-2]에서 AI의 시 창작 기술의 생성 과정과 [표-4]에서 시의 개념 요소에 따른 세부 내용을 단계별로 정리하여 [표-5]에 시인과 AI 간의 시의 개념 요소 차원에서의 대등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SIA(시아)의 시 창작 기술 과정은 감지의 차원에서 언어의 출력 단계로 무리 없이 진행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시 창작 기술에서 중요한 인식의 차원에서 한계점이 드러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시에서 중요한 것은 기교와 감정의 차원이 아니라 시적 대상에 대한 미적 태도와 감각적 인식이야말로 좋은 시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고 본 오규원의 『현대시작법』을 수용하여 AI의 시 창작 기술에서 나타난 인식의 차원의 한계점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오규원의 시작법(詩作法)은 AI의 시 창작 기술과 시인의 시 창작 기술을 비교하여 이 둘 간의 시 창작 기술적인 차원에서 유사한 지점을 포착하면서도 AI의 창작 기술력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짚어내기 위한 논거의 표본인 셈이다. 이처럼 AI의 시 창작 기술로 표방되는 AI의 작법(作法)과 일반적인 시 창작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시작법(詩作法) 간의 대등한 구조적 지점을 파악하여 결국 시 창작 기술에서 창작의 핵심이 무엇인가 하는 다소 근본적인 물음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는 기회의 장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기술 연구 개발자들이 4차 산업혁명이라는 과학기술 논리의 세계 속에서 왜 시를 창작하는 AI를 개발하기 위해 이토록 애쓰는가 하는 물음에 대해 답을 찾는 과정이야말로 인문학의 본질을 탐색하는 방향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AI의 시 텍스트가 시(Poetry)인가 혹은 시가 아닌가를 따지려는 게 아니라 시의 개념과 시를 짓는 방법인 시작법에 기반하여 AI의 시 창작 기술이 개발된 현재 혹은 실제를 파악하고자 하였음을 밝힌다. 그리고 시 창작 과정에서 드러나는 시 창작 기술에 관한 폭넓은 이해와 관심을 통해 궁극적으로 시 창작 교육의 방안으로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시적 상상력을 통한 시 창작 교육 연구

        김영관(Kim, Yeong-gwa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1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5 No.1

        문학 교육에서 창작 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지만, 교실 수업에서 창작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태를 지적하고, 그 이유로 감상 위주의 교수-학습 형태와 창작을 개인의 천부적인 소질로 취급하여 교육의 대상에서 빼 버려도 무방하다는 분위기를 지적하였다. 또한 그 동안의 연구 성과가 ‘시 교육론’이나 ‘시 창작론’에 치우쳐 있어 ‘시 창작 교육론’에 대한 연구 성과가 미비함을 지적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전문 시인의 입장이 아닌, 시 쓰기 과정에 참여하는 학습자, 즉 창작 주체의 입장에서 상상력을 통한 시 창작을 논의하였다. 관찰과 체험을 통한 시적 상상력에서는 세상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체험을 통해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고, 남들이 들을 수 없는 것을 들을 수 있는 ‘개성적 안목’을 기를 것을 요구했다. 이것은 시적 상상력을 확장하기 위한 출발이며, 창작뿐만 아니라 다른 시를 감상할 때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명상과 체험을 통한 시적 상상력에서는 시 창작에 앞서 정제된 시상(詩想)을 이끌어 내는 데 있어 명상의 중요성을 말하고, 연상을 통해 상상력을 확장하고 극대화하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교사는 창작 주체로 하여금 명상과 연상을 통하여 상상력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기록하게 한 후, 시가 될 수 있는 것과 시가 될 수 없을 것을 해석해 주어야 한다. 기억과 재생을 통한 시적 상상력에서는 과거의 경험을 어떻게 현재에 재생하는지,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상력의 확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과거와 현재의 시간적 간극은 상상력을 더욱 자극시킬 수 있으며, 그것은 현재의 상황에 맞게 재해석 되고 굴절될 수 있다. 기억이 갖고 있는 다양한 서사적인 요소를 창작 주체가 추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그것에 상상력과 여러 가지 시적인 요소가 어떻게 가미되는지 도와줄 필요가 있다. 필자의 의도와 고민은 시를 잘 쓰는 창작 주체를 양성하는 데 있지는 않다. 교사는 큰 고민이나 어려움 없이 시 창작을 교수-학습할 수 있고, 학습자는 시 창작이 특별한 것이 아닌 장르를 달리하는 단순한 글쓰기로 생각하기를 바라는 데 있다. 그래서 감상 위주의 문학 수업이 창작과 감상이 적절하게 균형을 맞추는 역동적인 수업이 되길 바란다. The introduction pointed out that writing education had not been provided properly in classroom lessons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had increased in literary education every day and that the situation was derived from the atmosphere that considered appreciation-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writing as parts of individuals’ innate talents and assumed it would create no problem to leave those areas behind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also pointed out that there had been poor research findings on “theories of education on poetry writing” as research efforts had been inclined toward “theories of poetry education” and “theories of poetry writing.” Taking a start in those issues, the study discussed poetry writing through imagination in the shoes of a learner in a poetry writing process or a subject of creation rather than a professional poet. Poetic imagination through observation and experience asked the students to develop “distinctive eyes” to see what others cannot see and hear what others cannot hear through the detailed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of the world. It is a starting point in the expansion of poetic imagination and serves as an important factor in poetry appreciation as well as in poetry writing. Poetic imagination through meditation and association addressed the importance of meditation, which pulls purified poetical ideas out of an individual before poetry writing and discussed how to expand and maximize imagination through association. The teacher needs to let the subjects of creation write down the images of their imaginations freely through meditation and association and interpret them to tell which of them can be poetry and which of them cannot be poetry. Poetic imagination through memory and reproduction examined how past experiences could be reproduced in the present and what kind of role the expansion of imagination would play in the reproduction process. The time gap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may stimulate imagination further and be reinterpreted and refracted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The teacher needs to help the subjects of creation extract a variety of narrative elements contained in memory and add imagination and various poetic elements to them. The investigator did not intend to produce the subjects of creation that are good at poetry writing through those purports and contemplations and wanted to help the teachers teach poetry writing with no particular worries or difficulties and the students regard poetry writing as a different genre of writing rather than something special, hoping appreciation-based literary classes will be dynamic with proper balance between creation and appreciation.

      • KCI등재

        효율적인 시 창작교육 방안에 대한 한 고찰

        윤의섭(Yoon, Eui-Seoup)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39

        시 창작 관련 저서나 연구 논문을 통한 방안, 그리고 개별 교수자의 창작 경험에 의한 창작교육 방안은 좀 더 전체적이면서 창작 과정까지 구체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고안되어야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안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몇 가지 전제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선 교수자는 시 창작이 어렵다는 인식을 바꿔주고 시 창작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등, 창작자에게 동기부여를 해주어야 한다. 다음으로 창작자나 교수자 모두 시는 언어예술이라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 즉, 교수자는 창작 이전에 아무리 풍부한 생각을 떠올리게 했더라도 그것을 언어로 변환시키고 시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지도하고 창작자 역시 시상을 언어화하는 작업을 꾸준히 수행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창작교육 방안이 될 것이다. 또한 퇴고 단계에서가 아니라 창작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를 끝까지 완결하도록 유도하는 지침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창작 결과물에 대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수용 태도와 미흡한 부분에 대한 보완 방향 제시가 겸해져야 한다. 효율적인 창작교육 방안은 창작 과정에 대해 교수자가 구체적으로 개입하면서 한 편의 시를 끝까지 완결 지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전개 방식과 추진 체계를 제시하는 가운데 이루어질 수 있다. 시 창작 교육 방안에 대한 개선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한 학기 동안의 시 창작교육 과정에 있어서 한 가지 방안만으로 지도하는 방식은 지양해야 한다. 다음으로 수업 시간 내에 창작자들이 시 한 편을 창작해낼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이와 함께 시 창작교육 방안은 언제나 더 나은 방향으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그것이 불필요할 수도 있음을 인정하는 열린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어야 한다. Creative writing education based on books and literature and creating experience of the teachers in poetry writing could be more effective through more overall, comprehensive and specific education program. For doing so there are several preconditions. Teachers should encourage writers to have positive mind set in poetry writing instead of being intimidated and give them motivations for poetry writing. Both writers and teachers should acknowledge that poetry is art of language. That means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guide writers to put creative ideas in words effectively and to continue exercise in expressing ideas through poetry. It is also important that teachers should guide writers throughout the process of writing, not at the end of the process, to complete the work. Writers should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ir work and teachers should guide them in the right direction in supplementing any insufficiencies. Effective education in creative writing can be possible by process and system in which teachers intervene in creating process to help until completion of the work. The followings are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eduction on poetry writing: guiding writers in one single direction in poetry writing throughout the semester is not desirable. Writers are encouraged to write one poem in each class session. Education programs can be established in more diverse directions and it may even not be necessary: there is always possibility for modifications and changes.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시 창작 교육 방향 탐색

        이운영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 No.98

        -본고는 인공지능 시대 시 창작은 인공지능과 인간이 협업하는 가운데 예술의 본질을 담보할 수 있다고 보고, 인공지능을 활용한 시 창작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먼저, 시 쓰는 인공지능 시아(SIA)의 창작물에 기반하여 인공지능 시 창작의 현황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인공지능은 인간 창작자인 시인과는 달리 데이터 학습을 위해 시를 읽는 과정에서 시가 담고 있는 의미나 새로운 인식을 음미하거나 이로부터 깨달음을 얻는 심미적 체험을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인공지능은 시 창작의 주체로서 기능하기보다는, 인간의 시 창작 활동을 보조하고 확장하는 도구로서의 역할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며, 인공지능 시 창작은 인간과의 협업을 수반해야 한다. 따라서 인공지능 시대에 시 창작 교육은 인공지능과 학습자가 협업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방향으로 전통적인 창작의 개념을 벗어나 과정 중심의 창작에 주목하기, 창작 과정에서 학습자의 삶의 맥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창작의 전 과정에서 인공지능과 학습자 간의 소통 강화하기, 윤리적 책무성 강조하기로 제안하였다. -This study considered that poetry cre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 guarantee the essence of art in collabora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s, and explored the direction of poetry creation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irst,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poetry creation were reviewed based on the cre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IA. Unlike poets, who are human creators,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appreciate the meaning or new perceptions contained in poetry in the process of reading poetry for data learning or have an aesthetic experience to gain enlightenment from it. In this respect, it is reasonable to see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role as a tool to assist and expand human poetry creation activities rather than functioning as a subject of poetry cre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poetry creation must involve collaboration with humans. Therefore,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poetry creative education should go in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collaboration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earners. To this end, it was proposed to go beyond the traditional concept of creation and focus on process-oriented creation, actively utilize the context of learners' lives in the creative process, strengthen communication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earners in the entire process of creation, and emphasize ethical accountability.

      • KCI등재

        현대시조 창작교육의 실천적 연구 :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이지엽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5

        This study investigated creative writing education of modern Sijo focusing on Sasul-Sijo. As modern society becomes highly advanced and high-tech, human becomes smaller and isolated. To well express individuality and complicated mind of each individual, Pyeong sijo focusing on being closed has its limitation. Furthermore, to express complete human emotion with Sijo, more open structure is needed and modern Sasul-Sijo can make it possible. Accordingly, first of all, this study set basic form of Sasul‒Sijo for creation of modern Sasul-Sijo. Basic form should meet following conditions. 1) Basic form has the first line(初章), the middle line(中章), and the final line(終章). Each line has semantic structure. 2) Each line is composed of four phrases. Increased foot(音步) in phrase is mostly walk in even number. 3) First phrase of final line has three letters and second phrase has more than five letters. It is true that modern Sasul-Sijo is complicated in requirements for form differently from other genres but if existing various elements are used, one can easily approach creative writing. The most efficient method for creation of Sasul-Sijo is to reflect basic form of Sasul‒Sijo well, or to use characteristics of Sasul‒Sijo or genre which is most similar to Sasul‒Sijo among various genres of modern literature. First, case where basic form of Sasul‒Sijo is well reflected connects three lines of the first line, middle line, and final line with three stages composition among composition with fixed form in poetry creation. Second, Characteristics of Sasul‒Sijo can be used. This study gave attention on attribute of ‘weave (篇)’ meaning that speaking or writings are extended long by connecting meaning of ‘Sasul(辭說)’. This can be related to tone in poem. In this case, confessional story of poetic self has the most similar character. Accordingly, creative writing method through poem with story was suggested. Third, Among various genres in modern literature, prose poem is most similar to Sasul-Sijo. So, creative writing method through prose poem was suggested. When each line in Sasul‒Sijo is extended, its form is most similar to prose poem. But its structure of the sentence does not include simple expression. There are drop height of long·short·slow· hurried(長·短·緩·急) while it has ascending structure of repetition, enumeration, and climax. That is, it has dynamic structure. In short,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several methods for creating modern Sasul‒Sijo were first suggested by methodologically approaching methods of using creation based on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judged in method showing the most frequency in actual creation of Sasul-Sijo, creation based on story, and prose poem. By embodying parts which are hard to express in modern Sijo through modern Sasul‒Sijo, independence can be constructed-independence comes from that all the complicated and delicate human emotions can be included in traditional genre form which is Korean and only one in the world. Modern Sasul-Sijo not only gives mutual help with various sub‒genres of poem but also can play a major role as future poetics. 본 논문은 현대시조 창작교육을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현대사회는 날로 고도화, 첨단화되어 가고 있지만 인간은 더욱 왜소해지고, 고립화 되어가고 있다. 각 개인의 개성과 복잡한 심경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는 닫힘 중심의 평시조만으로는 불가능하게 된 것이다. 더욱이 시조로 완전한 인간의 감정을 다 표현하기 위해서는 좀 더 개방적인 구조가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현대사설시조로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대시조는 제7차와 2009교육과정 개편과정에서도 현대시에 비하여 심한 홀대를 받았으며, 이러한 현상은 지금까지도 전혀 시정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더 심각한 것은 현대사설시조에 대한 창작이론이나 준거들이 마련되지 않아 일반인들은 물론 전문시조시인들까지도 쉽게 창작에 적응하기가 힘들고 마땅히 교육 자체도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설시조 창작을 위하여 아직까지 정립되지 않은 여러 견해들을 종합하여 사설시조 기본형을 설정하였다. 기본형은 다음의 조건을 충족해야한다. 1) 초장, 중장 종장 3장으로 나누어지며, 각 장(章)은 하나 이상의 의미 구조를 가진다. 2) 각 장은 4마디로 나누어진다. 마디에서 늘어나는 걸음(음보) 수는 대개 짝수 걸음이다. 3) 종장의 첫 마디는 3자로 고정되며, 둘째 마디는 5자 이상이다. 현대사설시조는 타 장르와는 달리 형식상의 요건이 까다로운 것이 사실이지만 기존의 여러 요소들을 활용하면 보다 쉽게 창작에 접근할 수 있다. 사설시조 창작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사설시조 기본형을 잘 반영하거나 사설시조가 갖고 있는 특성, 혹은 현대문학의 여러 장르 중 사설시조와 가장 유사한 형태의 장르를 활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첫째 사설시조 기본형을 잘 반영한 경우로는 초장, 중장 종장의 3장과 시창작의 정형구성 중 삼단구성을 연결시키는 방법이다. 둘째 사설시조가 갖고 있는 특성을 활용할 수 있는데 ‘사설(辭說)’이 갖는 의미와 연결하여 말이나 글을 길게 늘어놓는 ‘엮음(篇)’의 속성에 주목하였다. 시에서 어조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시적 자아의 고백적 이야기가 이와 가장 유사한 성격을 가지게 됨에 따라 이야기시를 통한 창작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현대문학의 여러 장르 중 사설시조와 가장 유사한 형태의 장르, 곧 산문시를 통한 창작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설시조는 각 장이 늘어날 경우 이를 형태로만 가늠해본다면 산문시와 가장 유사하지만 평이하게 서술해가는 문장 구조가 아니라 長·短·緩·急의 낙폭을 주면서 반복과 열거, 절정의 상승적 구조로 엮어가는 역동적인 구조를 지녔다고 볼 수 있다. 요컨대 이 논문에서는 사설시조 실제 창작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이는 방법으로 판단되는 구조의 특성을 활용한 창작, 이야기를 활용한 창작, 산문시를 활용하여 원용하는 방법을 방법론적으로 접근해보고 실제 학생들의 작품을 사설시조로 창작해봄으로써 현대사설시조 창작교육의 실천적 접근을 최초로 제시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할 것이다. 현대시조로서는 표현하기 힘든 부분을 현대사설시조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현대의 복잡 미묘한 인간의 모든 감정을 한국적이면서 세계 유일의 장르인 전통장르 형식으로도 담아낼 수 있다는 독립성을 견고하게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시의 여러 하위 장르들과 상보적인 도움을 주면서 동시에 미래 시학으로도 주요역할을 감당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중화인민공화국 건설기 조선족 시에 나타난 사회주의 리얼리즘 창작방법의 인식

        박윤우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31 No.-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조선족 시단에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창작방법에 입각한 작품 창작이 일반화되는 과정은 사회주의 국가 체제 속에 편입된 소수민족의 일원으로서 시인들이 자신의 새롭게 부여받은 정체성을 탐색하고 확보해나가는 방법론적 모색의 과정과 동일한 궤 적을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의 문학과 예술, 그리고 출판 언론, 언어연구 등 분야들은 동화와 비동화의 모대김 속에서 민족의 얼을 지키고 민족의 정체성, 독자성을 수호해왔다.”는 술회적 자평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창작방법론을 둘러싼 조선족 시인들의 형식 탐구가 지닌 현실적 의의를 대변해주기에 충분하다. 이 시기 시를 창작방법의 측면에서 살피는 것은 리얼리즘의 성취라는 미학적 국면과 동시 에 시적 담론에 내재한 시인들의 현실인식과 그 대응전략을 검토하는 작업으로서 의미를 갖 는다. 이것은 특히 이 시기 시가 이전과는 다른 뚜렷한 차이를 형성하면서 중국 조선족 시로 서의 패러다임을 형성하는 탈식민의 과정을 겪은 바, 이들 시의 문체나 구조, 현실인식 전반에 나타나는 변화가 시인 개인의 변화보다는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전환에 의해 총체적으로 이 루어진 측면이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민족문학으로서의 누적적 변모양상이라는 측면과는 다른 관점을 취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 시기 시도된 대표적인 시양식인 ‘송가’와 ‘서정서사시’ 작 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이들 작품이 지닌 사실주의 창작방법상의 의미를 규명하는 동시 에, 그러한 방법적 시도에 담긴 조선족 시인들의 현실인식이 가지는 시대적 의의를 탐색하도 록 한다. 무엇보다, 이 시기에 송가와 서정서사시가 중심적인 시양식으로 채택된 것은 사회주의 문 예이론에 입각한 창작지침을 따른 결과 나타난 것으로, 사회주의 국가 건설의 당위성과 행복 한 인민 생활의 터전에 대한 낙관적 희망을 노래한다는 목적의식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 이었다. 이 과정에서 조선족 시인들은 ‘조국’을 ‘중국’과 동일시함으로써 정치적 동화의 태도를 보임으로써 정체성 확보를 위한 지향을 보인다. 아울러, 송가의 형식에 의해 창작된 작품들은 화자의 과도한 노출로 중국에 대한 찬양과 당의 정책에 대한 계몽적 승인이라는 관념을 직접 드러낸 반면, 서정서사시 양식으로 쓰인 작 품들은 민족의 역사적 삶을 시적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서술자로서의 화자가 지닌 객관적 조 망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다만 서정적 주인공의 형상을 창조하는 데 있어 그 영웅적 면모만을 부각한 결과 서사의 진술에 치우친 면을 보인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66년 문화대혁명 이전까지의 전체적 흐름을 통해 볼 때 이 시기에 다양한 시양식의 탐구가 이루어진 것은 한편으로는 ‘부인’의 과정을 통해 체제로 의 편입과 정체성 확보의 욕구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적 모색이라는 의미를 가진 것이지만, 다 른 측면에 보면 소수민족으로서 민족문학의 전통에 대한 자의식을 변화된 사회 환경에 적응 하는 방식으로 구체화하려는 노력의 소산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서정서사시 양식의 경우 역사 적 과거에 대한 기억을 통해 식민체험이 부과한 굴레로부터 벗어나 미래지향적인 삶을 영위 하고자 하는 현실인식의 지평을 엿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중화인민공화국 건설기의 조선족 시가 모색한 사실주의적 창작방법은 양식 적 탐구를 통한 가능성을 얻는 데는 일정한 성과를 보였으나, 서정적 주인공의 형상화의 측면 이나 현실적 전형성의 획득에는 한계를 보인다. 그것은 대체된 ‘조국’에 대한 동일시와 동화의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나타난 양가적 정체성의 혼란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측면은 이 시기의 시가 추구한 사실주의적 창작방법이 결과적으로 시문학의 진실성과 시인의 개성을 위축시킨 점이다. 정치적 범주와 민족적 범주의 혼재가 빚어낸 이러한 과도적 양상은 변화된 현실 자체에 대한 내면적 탐구를 통해 민족 정체성에 대한 심화된 인식을 동반 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다. 그러나 문화대혁명기의 기나긴 어둠과 침체를 거쳐 개혁개방의 시대를 맞이함으로써 비로소 조선족 시의 민족문학으로서의 가치 탐색이 재개된 다는 점에서, 이 시기의 조선족 시가 서정시를 통한 리얼리즘의 구축을 위한 확대된 인식을 결여한 채 전개된 점은 여전히 과제로 남는다. The process of generalization in the strategy of socialist realism within the Chosunjok poets' creative method after constructing Chinese People's Republic showed a similar track with their identity tracing and securing process as a minor nations enrolled a socialist nation system. Therfore searching for the poems of Chosunjok in this era has a meaning of investigaion not only for aesthetic aspects of accomplishing realism but also for poets' recognition and correspondant strategy of changed social reality. In this regards, this study made to reveal the meaning of socialist realistic creative method surveing the poetic genre of ‘hymns’ and ‘lyrical ep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osunjok poets' choice of hymns and lyrical epics in this era was the result of following the creation guide based on socialist literary theory. And therefore it couldn't be free from the objective consciousness of singing the task of constructing socialist nation and the optimistic hope of happy life of people. In this process, they identified ‘mother-nation’ with ‘China’ showing the attitude of political assimilation. Second, the poems created as a form of hymn revealed the thought of praising Chinese People's Republic and accepting the policy of communist party extremely exposing speaker. Rather the poems created as a form of lyrical epic fulfilled the narrative speaker's role of objective viewing with the theme of people's historical life. But in creating the shape of lyrical subject, they showed plain statement of narrative just emphasizing his heroic feature. Third, seeing through from 1949 to 1966, various quests for poetic genres with Chosunjok poets had a meaning of system enrollment in the process of ‘negation’ and methodological search for accomplishing the desire of securing identity in one side, but also those were the result of accomodating their self-consciousness of the tradition of national literature as a minor nations to changed social environment. In these meanings, Chosunjok poets' research on creative method of socialist realism in the constructive era of Chinese People's Republic showed a certain positive result with generic quests. But it could not obtain realistic typicality and also weakened poet's individuality and sincerity. It had a reason for confusion of dual identification derived in identifing with the alternated ‘mother-nation’ and assimilatng process.

      • KCI등재

        소셜미디어 이용 행태와 시의 창작방법 변화

        강정구(Kang, Jeong-Gu) 한국시학회 2021 한국시학연구 Vol.- No.65

        이 논문은 소셜미디어 이용 행태가 웹 2.0 환경 속의 시에 어떠한 창작 방법적 변화를 주는가 하는 점을 문제로 제기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소셜미디어 이용 행태에 따라서 그 이전의 기존 시와 구별되는 새로운 시의 변모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주로 소셜미디어적 특징을 언급했을 뿐, 소셜미디어 이용 행태에 따른 시의 창작 방법적 변화를 제대로 검토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첫째, 소셜미디어 환경 속의 주요 시는 기존 시와 비교해 볼 때에 블로그의 형식적 · 내용적 특징을 반영하는 블로그 스타일을 창작방법으로 사용했다. 새로운 시는 짧은 일지 형태이고 제작 기간이 상당히 짧으며 빠르게 게시하는 블로그의 형식적 특징을, 그리고 한 개인의 편집되지 않은 지극히 개인적인 소재 · 주제를 선택하는 그 내용적 특징을 고스란히 보여줬다. 둘째, 소셜미디어 환경 속의 주요 시는 사진 UCC를 시 창작 · 영상화 과정에서 적극 활용했다. 주요 디카시인들은 자신들의 주관 · 경험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사진 UCC와 시를 병치 · 조화시키는 방식으로, 그리고 최대호 · 글배우 등의 주요 SNS시인들은 소통 · 오락 · 자기표현을 위해서 시를 영상화한 사진 UCC를 그들의 SNS에 게시하는 방식으로 창작 방법적 변화를 줬다. 셋째, 웹 2.0 환경 속에서는 새로운 시의 형식이 다양하게 창조될 때에 소셜미디어의 다른 시인(이용자)들이 특정한 형식의 유용성에 공감하고 그 형식을 공유하는 창작방법이 나타났다. 이상옥이 창안한 디카시의 선(先)사진 후(後)단시(短詩)와 하상욱이 실험한 선(先)본문 후(後)제목의 창작 방법적 형식은 다른 시인들에 의해서 폭넓게 공유됐다. 이렇게 볼 때, 소셜미디어 이용 행태에 따라서 웹 2.0 환경 속의 주요 시에는 블로그 스타일, UCC 활용, 형식 공유라는 창작 방법적 변화가 나타났음이 확인됐다. 소셜미디어 환경 속의 주요 시는 이러한 창작 방법적 변화를 보여줌으로써 시라는 관념의 새로운 변모를 잘 확인시켜준다. 소셜미디어 이용에 따라서 시는 가볍고 탈권위적이며 반위계적인 양상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How does the use of social media change the way poets create poetry in the Web 2.0 environment? Since the mid-2000s, social media usage patterns such as blogging, UCC production and utilization, and form sharing have also appeared in poetry. Compare the new poems to the traditional poem. Firstly, in the new poems, a “blog style” that reflects the formal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blog was used as a creative method. The new poems are in the form of a short diary, the production period is quite short, and it is published quickly. And an individual’s unedited voice was revealed. These were the formal and content features of the blog. Secondly, the new poems actively utilized the photo UCC in the creative and visual process. Major poets juxtaposed and harmonized poems with UCC photographs that could well reveal their subjectivity and experience. Major social media poets posted UCC photos of poems on their social media. Their poems were created for communication, entertainment, and self-expression. Thirdly, in social media, various forms of new poems were created. At this time, other poets (users) of social media sympathized with the usefulness of a particular form and shared the form. Lee Sang-ok first presented a picture, and then wrote a short poem. Ha Sang-wook first presented the text, and then wrote a short poem. These poets’ forms were widely shared by other poets.

      • KCI등재

        초등학교 시 창작교육 방법의 학생중심의 실천적 연구

        정승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search of poetry writing educationmethod in the elementary school. This research is a practical study of the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very hard thing to find out generalizable Poetrywriting education method. But I think that it’s can be found out poetry writingeducation method and hints through this kind of practical study. This research excuted during one year.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seven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third grade. First, I studied preliminary poemof my students. I taught four time poetry writing classes and poetry writing. Infirst step, we studied about formal aspect. In second step, I taught about poetrywriting of candid and novel contents. In third step, we studied poetic ideaeducation through the cooperation poem writing. In forth step, I educated formalaspect and content at the same time. Firs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ct very sensitively about poetrywriting education and education contents. Second, we have to do balancedpoetry writing education of contents and form. Third, we have to teach poeticspirit and content more than formal aspect in first. Forth, Empathy of the objectis useful for poetry writing etc. 본고의 목적은 초등학교 시 창작교육 방법의 탐색에 있다. 일반화 가능한 시창작교육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 주된 목적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천한 연구이다. 시 창작 방법의 다양성과 개인성 때문에 일반화 가능한 방법을 찾기란 매우 지난한 일로 여겨지지만 실천적 연구를 통해 시창작교육의 방법과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에 본고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 7명을 대상으로 약 1년 동안 시 창작교육을실천한 결과를 기록하고 정리한 것이다. 아이들을 만나 4월에 먼저 예비시를 써보게 하고, 부족한 점을 보완해주는 쪽으로 시 창작교육을 실시하였다. 그렇게진행된 것이 모두 네 번의 시 창작수업과 시 쓰기이다. 1차로는 형식적인 측면에대한 교육을, 2차로는 진솔하고 참신한 내용으로 쓰는 것에 대한 교육을, 3차로는협동시 쓰기를 통한 발상 교육을, 4차로는 형식과 내용에 대한 교육을 동시에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은시 창작교육과 교육 내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이다. 둘째, 내용과 형식의 균형 잡힌 시창작교육을 실시해야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 셋째, 대상에 대한 감정이입이 시창작에 도움이 된다. 넷째, 아이들은 개방적이고 자율적인분위기에서 더 좋은 시를 쓴다. 다섯째, 시 창작수업의 지도 교사도 시적 분위기를연출해야 아이들이 더 좋은 시를 쓴다.

      • KCI등재

        창작 주체에 따른 청소년 시의 내용 양상 연구 -상호인정의 문제를 중심으로-

        정용호 한국어문학회 2019 語文學 Vol.0 No.143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contents according to creative subjects of youth.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he issue of mutual recognition of older generation and adolescents. The criticism about the situation that the older generation does not acknowledge the diversity of the youth and the standardization is an important theme of the adolescent poems.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blem was common in the adolescent poems by the established poet and the poems created by the adolescent. However, there was a contrast in the way of suggesting alternatives to overcome this reality. In the adolescent poems of the established poet, it mainly appears as the tendency to positively suggest the advent of future for the youth. On the contrary, in the created poems by the adolescents, a realistic voice about resto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older generation tends to become more prominent. The reason why there is a difference as to overcoming the reality between the adolescent poems by established poets and the poems created by the adolescents seems to be because the adolescent poems still exist in enlightening discourse. An established poet is likely to create poems with a sense of obligation to convey the didactic content to the youth. On the other hand, adolescents seem to restore the mutual recognition by concentrating on expressing their situation. Without containing the teenager’s image in the adolescent poems, revealing the teenager’s image, judged and selected by the established poets does not give a goo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adolescent poems. When the creators of adolescent poems cannot express the real teenager’s image, the adolescent poems cannot be successfully understated the possibility of staying in the self-satisfaction of the established poets. This study suggests the 'Non-form' as a value to be possessed by an absolute majority of the established poets who are creating adolescent poems. This is because the subject who creates adolescent poems can express a more realistic youth, without presupposing the specific form of youth.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open up a way for the established poets to represent the stance of teenager who is bent on maintaining a strong position as a creative subject. 본고는 청소년 시의 창작 주체에 따른 내용의 양상을 살펴 보았다. 특히 기성세대와 청소년의 상호인정의 문제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기성세대가 청소년이 지닌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고, 획일화하는 상황에 대한 비판의식이 청소년 시의 중요한 주제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의식은 기성시인의 청소년 시와 청소년이 창작한 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방법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기성시인의 청소년 시에서는 청소년에게 도래할 미래를 긍정적으로 제시하는 경향이 주로 나타났다. 그와 달리 청소년이 창작한 시에서는 기성세대와의 관계 회복에 대한 현실적인 목소리가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였다. 기성시인의 청소년 시와 청소년이 창작한 시에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의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여전히 청소년 시가 계몽적인 담론 속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기성시인은 청소년에게 교훈적인 내용을 전달할 의무감을 느끼면서 창작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청소년들은 자신의 상황을 표출하는 것에 집중함으로써 상호인정의 회복을 원하는 것처럼 보인다. 청소년 시가 이와 같은 청소년의 모습을 담아내지 못한 채, 기성시인이 판단하고 선택한 청소년의 모습만 드러내는 것은 청소년 시의 발전에도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한다. 청소년 시의 창작자가 현실적인 청소년의 모습을 담아내지 못할 때, 청소년 시는 단지 기성시인들의 자기만족에 머무를 가능성도 간과할 수 없다. 필자는 청소년 시를 창작하는 절대다수인 기성시인이 지녀야 할 가치관으로서 '무용[無容]'의 시학을 제안한다. 청소년의 특정한 모습을 전제하지 않음으로써, 실제에 가까운 청소년을 드러낼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창작주체로서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청소년의 입장을 기성시인이 보다 잘 대변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디지털 사진을 활용한 초등 학습자의 시 창작 활동 사례 연구

        방승범,이향근 청람어문교육학회 2024 청람어문교육 Vol.- No.97

        디지털 소통환경에서 시 창작이나 향유의 양상도 달라지고 있다. 특히 사진을 활용한 시 장르의 출현은 이미지를 함축적으로 다루어왔던 시 텍스트 창작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자신의 감정을 디지털 사진 찍기와 시를 융합하여 표현 및 창작 가능성, 창작 과정에서의 경험 등을 질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시 창작 활동을 관찰하고 개방 코딩과 축 코딩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경험양상을 분석했다. 사진과 글의 결합 양식인 포토포엠과 디카시를 학습하였다. 학습자들에게 3가지 감정(우정, 슬픔, 분노)을 디카시 형식을 활용하여 시로 표현하도록 하고, 창작과정에서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시 창작 경험의 양상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 초등학생들은 시적 발상을 디지털 카메라를 활용한 사진과짧은 시행 발화를 활용하여 시적 형상화를 구축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본 연구에 참여한 초등 학습자들이 사진과 시구의 배치를 통해 발생한 의미 층위에 불편없이 참여하거나, 창작자로서 자신이 직조해 사유의 틈에 독자를 초대하는 창작 작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에게 주변의 사물이나 현상을 자세히 관찰하는 태도가 나타났으며, 이는 자기 자신에 대한 관심과 성찰로 이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포토포엠이나 디카시 창작활동이 즉시성과 즉흥성을 기반으로 하는 사진찍기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기 주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디지털 사진을 활용한 시 창작 활동이 초등 시 교육에 긍정적 효용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